KR200167374Y1 - 자동차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 - Google Patents

자동차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374Y1
KR200167374Y1 KR2019960024635U KR19960024635U KR200167374Y1 KR 200167374 Y1 KR200167374 Y1 KR 200167374Y1 KR 2019960024635 U KR2019960024635 U KR 2019960024635U KR 19960024635 U KR19960024635 U KR 19960024635U KR 200167374 Y1 KR200167374 Y1 KR 200167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damper
mass
shaft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4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1138U (ko
Inventor
윤동영
Original Assignee
배길훈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2019960024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374Y1/ko
Publication of KR19980011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3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관으로부터의 발생되는 회전 동력을 구동륜에 전달하는 자동차 구동축의 질량형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축에 소정의 질량을 갖는 금속재의 댐퍼를 부착함으로써 구동축의 고유 진동 및 공진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도록 하며, 특히 질량형 댐퍼를 부착함으로써, 종래 구동축의 질량을 증대시키도록 직경을 크게함으로 인해 가공성 및 조림성이 저하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댐퍼이다.

Description

자동차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
본 고안은 기관(engine)으로부터의 발생되는 회전 동력을 구동륜에 전달하는 자동차 구동축(drive shaft)에 장착되어 진동 및 공진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도록 한 질량형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구동축은 기관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구동륜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그 동력 전달 과정에서 고속 회전에 따라 유발되는 고유 진동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고유 진동을 가지는 구동축은 강제 진동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진동의 주기(周期)와 진동체 즉, 구동축의 고유 진동의 주기가 같을 때에 진동의 진폭이 배증되는 공진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구동축의 진동 및 공진을 경감시키기 위해 구동라인의 구동축에 댐퍼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댐퍼는 고무계 댐퍼로서 구동축이 구동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공진을 감쇠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무계 댐퍼는 질량이 작아 진동의 감쇠 효율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또한 고무계 댐퍼의 진동 감쇠가 불가능할 경우 구동축의 질량을 증대시켜 구동축의 고유 진동수를 낮춤으로써 진동 및 공진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구동축의 질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당연히 구동축의 직경이 커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구동축과 연결되는 주변장치를 구동축의 크기에 맞게 가공하거나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동축에 별도의 질량을 갖는 댐퍼를 부착함으로서 구동축의 고유 진동 및 공진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도록 하는 질량형 댐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한쌍의 블록이 서로 마주하게 접합되고 중심부에 구동축의 축경과 대응하는 내경의 중심축공을 갖는 댐퍼가 각 블록의 양측단에 볼트로 체결되어 구동축에 설치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중심축공은 구동축에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타원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댐퍼에 체결되는 볼트는 질량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머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게 체결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의 블록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의 블록구조를 보인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의 장착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의 장착구조를 보인 일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댐퍼 10a,10b : 블록
11 : 중심축공 11a,11b : 반원홈
12 : 체결공 13 : 볼트머리홈
14 : 볼트 15a,15b : 접합면
20 : 구동축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원 형상의 블록(10a)의 정면인 접합면(15)의 중심에 구동축의 축경과 대응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반원홈(11a)이 형성되고, 양측단에 볼트가 체결되는 각각의 체결공(12)이 접합면(15a)에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체결공(12) 상측으로는 체결되는 볼트의 머리가 내입되는 볼트머리홈(13)이 형성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블록(10a)과 동일 형상의 블록(10b)을 한쌍으로 서로 마주하게 즉, 접합면(15a)(15b)이 서로 접합되게 하면 중심부의 두 반원홈(11a)(11b)이 구동축(20)에 접합되면서 구동축(20)의 축경과 대응하는 내경의 중심축공(11)을 갖는 댐퍼(10)를 이루며, 각 블록(10a)(10b)의 체결공(12)에 볼트(14)를 체결하여 구동축(20)에 고정한다. 상기 각 블록(11a)(11b)은 소정의 질량을 유지하도록 주물, 단조 혹은 가공된 금속재이다.
한편, 상기 중심축공(11)은 구동축(20)에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타원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댐퍼(10)의 체결공(12)에 체결되는 볼트(14)는 질량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머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체결된다. 즉, 상기 각 블록(10a)(10b)의 일측 체결공(12)에만 나사부가 형성되어 설치시 나사부를 갖는 체결공이 서로 대각으로 대칭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금속재의 각 블록(10a)(10b)을 구동축(20)에 볼트(14)로 체결하여 댐퍼(10)를 형성하게 되면 기관으로부터 발생된 회전 동력이 구동축(20)을 거쳐 구동륜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고속 회전시 구동축(20)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공진을 감쇠시키게 된다. 즉, 고속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구동축(20)의 중심이 흐트러지게 되어 떨림이 발생하는 구동축(20)에 소정의 질량을 갖은 댐퍼(10)를 장착함으로써 중심을 잡아주어 진동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공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중심축공(11)은 타원으로 형성되어 구동축(20)의 축경과 오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댐퍼(10)에 체결되는 볼트(14)의 머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즉, 대각으로 대칭을 이루며 체결되어 고속 회전시 질량의 균형을 맞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구동축에 소정의 질량을 갖는 금속재의 질량형 댐퍼를 부착함으로써 구동축의 고유 진동 및 공진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질량형 댐퍼를 부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구동축의 질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직경을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공성 및 조림성이 저하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3)

  1. 한쌍의 블록(10a)(10b)을 서로 마주하도록 접합하여 중심부에 구동축(20)의 축경과 대응하는 내경의 중심축공(11)을 갖는 댐퍼(10)를 형성하여, 상기 댐퍼(10)의 각각의 블록(10a)(10b)을 양측단에서 볼트(14)로 체결함으로써 구동축(20)에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공(11)이 타원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10)에 체결되는 볼트(14)의 머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
KR2019960024635U 1996-08-17 1996-08-17 자동차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 KR200167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635U KR200167374Y1 (ko) 1996-08-17 1996-08-17 자동차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635U KR200167374Y1 (ko) 1996-08-17 1996-08-17 자동차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138U KR19980011138U (ko) 1998-05-25
KR200167374Y1 true KR200167374Y1 (ko) 2000-03-02

Family

ID=1946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4635U KR200167374Y1 (ko) 1996-08-17 1996-08-17 자동차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3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799B1 (ko) * 2001-11-19 2005-04-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138U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731B2 (en) Motor-driven wheel small in size and improved in ride comfort, ease of assembly and reliability
JP2532365Y2 (ja) 回転軸用ダンパ
KR200167374Y1 (ko) 자동차 구동축용 질량형 댐퍼
JPS64390Y2 (ko)
JP2001199352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H04171340A (ja) 流体伝動装置の捩じり振動ダンパ装置
KR200230045Y1 (ko) 구동샤프트용프랜지
JPS6140967Y2 (ko)
KR200267231Y1 (ko) 자동차용 댐퍼풀리
KR19980072795A (ko) 러버 커플링의 결합구조
KR200169613Y1 (ko) 추진축의 다이나믹댐퍼 장착구조
JP2560556Y2 (ja) 等速ジョイント
JPS60159418A (ja) 軸の連結構造
KR200332345Y1 (ko) 프로펠러 샤프트의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JPH04128531U (ja) 等速ジヨイント
JP2531472Y2 (ja) 弾性カップリング
JPH02150527A (ja) 補機別置きエンジンのダンパカップリング
KR200170191Y1 (ko) 추진축의 토션댐퍼 장착구조
KR20210157167A (ko) 허브 일체형 등속 조인트
KR100379631B1 (ko) 로드 휠과 브레이크 디스크 및 허브의 체결구조
JPH0740101Y2 (ja) フレキシブルカップリング
KR200170043Y1 (ko) 크랭크샤프트와 플라이 휠의 결합구조
KR19990032938U (ko) 자동차용 구동축의 이중댐퍼
KR20070045585A (ko) 축 결합용 러버 커플링의 진동저감구조
JPH07167153A (ja) 動力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