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142Y1 -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142Y1
KR200167142Y1 KR2019970024874U KR19970024874U KR200167142Y1 KR 200167142 Y1 KR200167142 Y1 KR 200167142Y1 KR 2019970024874 U KR2019970024874 U KR 2019970024874U KR 19970024874 U KR19970024874 U KR 19970024874U KR 200167142 Y1 KR200167142 Y1 KR 200167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accelerator pedal
speed
air cylinder
w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518U (ko
Inventor
황병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4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142Y1/ko
Publication of KR19990011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1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60R21/01546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using belt buckl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83Interlock systems
    • B60R2022/4891Interlock systems preventing use of the vehicle when the seatbelt is not faste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 차량의 속도가 일정한 속도, 예를 들면 60KM/H 이상으로 가속되는 상태로 판단되면, 에어 실린더를 통해 액셀 페달의 작동을 구속함으로써, 차량의 가속을 강제로 제지하고 경고등 및 부저를 통해 이를 경고하여 시트 벨트 미착용으로 인한 여러 위험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색인어]
자동차, 시트 벨트, 액셀 페달, 컨트롤 유니트

Description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
본 고안은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 벨트의 착용 유무를 감지한 신호와 차량의 속도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는 컨트롤 유니트를 이용하여 차량이 일정 속도, 예를 들면 60KM/H 이상으로 과속하면 시트 벨트의 착용 유무에 따라 액셀 페달의 작동을 제한하여 줌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시트 벨트가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 벨트는 차량 충돌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몸을 구속하는 보호수단으로서, 세계적으로 시트 벨트의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시트 벨트는 운전 조작에 따른 불편함이 없고 긴급시에는 충격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를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어야 하는 여러 사항이 요구되며, 착용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몸을 지지하는 점의 수에 따라 2점식과 3점식 등이 있고, 3점식은 허리와 어깨를 동시에 지지하는 방식으로서 현재 대부분의 승용차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3점식 시트 벨트는 허리부위를 구속하는 랩 벨트와 어깨부위를 구속하는 숄더 벨트가 조합된 것으로 모든 형태의 충돌에 대하여 유효하지만 착용에 있어서 번거로움과 착용시의 구속감 등으로 인해 그 착용을 기피하는 경우가 많으며, 차량 운행 중에는 시트 벨트의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착용하지 않는 사례를 흔히 볼 수 있고, 최근에는 시트 벨트의 착용 유무에 따라 차량의 운행을 제한하는 여러 형태의 장치가 나와 있기는 하나 차량 사고의 주 원인이 되는 과속을 방지하는 측면에서는 그 효과가 미흡한 실정이다.
실제로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과속으로 인한 차량 충돌사고는 인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쳐 안타까움을 더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 차량의 속도가 일정한 속도, 예를 들면 60KM/H 이상으로 가속되는 상태로 판단되면, 에어 실린더를 통해 액셀 페달의 작동을 구속함으로써, 차량의 가속을 강제로 제지하고, 경고등 및 부저를 통해 이를 경고하여 시트 벨트 미착용을 인한 여러 위험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시트 벨트의 버클에 시트 벨트의 착용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착용 접점을 설치하여 버클에 텅이 체결될 경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여 차속 신호화 함께 컨트롤 유니트에 입력되게 하고, 상기 차속 신호화 시트 벨트 착용 신호를 입력받은 컨트롤 유니트는 시트 벨트의 미착용 상태가 판단되고 차속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가속되는 상태가 판단되면, 액셀 페달과 함께 움직이는 에어 실린더를 제어하여 액셀 페달의 작동을 제한함으로써,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과속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과속 방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개략적인 제어 블럭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과속 방지장치에서 시트 벨트의 착용 유무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착용 접점의 접점의 개략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과속 방지장치에서 액셀 페달의 조작을 제한하기 위해 설치되는 에어 실린더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텅 20 : 버클
30 : 착용 접점 40 : 액셀 페달
50 : 에어 실린더 60a, 60b : 포트
70 :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의 과속 방지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제어 블록도이다.
시트 벨트의 착용 신호와 차속 신호를 입력받는 컨트롤 유니트가 설정된 로직에 따라 시트 벨트를 미착용된 상태로 일정한 차속 이상으로 가속되는 경우를 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액셀 페달(7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에어 실린더(40)를 제어하고 이와 동시에 경고등 및 부저를 통해 이를 경고할 수 있도록 한 제어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첨부한 도 2 는 시트 벨트의 텅(10)이 체결되는 버클(20)에 시트 벨트의 착용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착용 접점(30)을 설치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착용 접점(30)은 2개로 되어 있으며 체결되는 텅(10)에 의해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류를 통하게 함으로써, 시트 벨트의 착용 신호를 감지할 수 있게 하고, 이렇게 감지한 신호는 컨트롤 유니트에 입력되어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컨트롤 유니트에서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첨부한 도 3은 액셀 페달(40)의 길이중간에 설치된 에어 실린더(50)가 컨트롤 유니트의 제어 신호에 따라 액셀 페달(40)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컨트롤 유니트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액셀 페달(40)의 작동을 제한하는 에어 실린더(50)는 그 로드가 페달 몸체에 핀 등으로 일체 연결되는 구조로 액셀 페달(40)과 결합되어 있으며, 액셀 페달(40)을 밟거나 떼게 되면 에어 실린더(50)의 로드도 함께 수납되거나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에어 실린더(50)에 있는 통상 앞뒤 2개의 포트(60a), (60b) 중에서 어느 1개의 포트(60a)는 대기중으로 직접 통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1개의 포트(60b)는 에어의 출입을 단속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70)측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니트가 솔레노이드 밸브(70)의 개폐작동을 제어함에 따라 에어 실린더(50)의 작동이 액셀 페달(40)과 함께 자유롭게 되거나 또는 제한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트 벨트의 텅(10)이 체결되는 버클(20)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착용접점(30)은 텅(10) 체결과 동시에 금속재질의 텅(10)에 의해 통전되고, 이때의 통전 신호, 즉 시트 벨트의 착용 신호가 컨트롤 유니트에 입력된다.
컨트롤 유니트에서는 시트 벨트의 착용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되는 차속 신호를 설정 로직에 따라 일정한 차속, 예를 들면 60KM/H의 속도와 비교하여 차량의 과속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시트 벨트의 착용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차속이 60KM/H 이상을 넘어서게 되면, 과속 상태로 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상시 개방상태로 있던 솔레노이드 밸브(70)를 닫아 에어 실린더(40)의 작동을 제한하는 동시에 경고등을 켜주고 부저를 울려주게 된다.
이때에는 액셀 페달(40)을 밟아도 눌려지지 않게 되고, 또 경고등과 부저로 인해 운전자는 시트 벨트의 미착용 상태를 인삭할 수 있게 된다.
측, 시트 벨트를 착용한 상태인 경우에는 컨트롤 유니트로부터 어떠한 제어신호도 출력되지 않게 되므로 자유롭게 작동되는 에어 실린더(50)와 함께 액셀 페달(40)의 밟음 조작도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속이 60KM/H를 넘게 되면 컨트롤 유니트에 의해 에어 실린더(50)의 작동이 제한을 받게 되므로 액셀 페달(40)을 밟아도 눌려지지 않게 되어 차량의 과속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과속을 하게되면, 액셀 페달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고 또 경고등 및 부저를 통해 이를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 벨트 미착용으로 인한 여러 위험요소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느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버클의 내측 벽면에 상하 설치되며 금속재질의 텅에 의해 서로 통전가능한 2개의 착용 접점과, 상기 착용 접점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차량의 속도 신호를 가지고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속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과속하면 소정의 로직을 통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 유니트와, 밸브수단을 포함하면서 액셀 페달과 함께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 유니트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액셀 페달의 작동을 제한하는 에어 실린더와, 상기 컨트롤 유니트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과속상태를 운전자에게 경고해주는 경고등 및 부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는 액셀 페달의 뒷쪽에 그 로드를 이용하여 일체 연결되면서 액셀 페달의 조작과 함께 자유롭게 작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킨트롤 유니트의 제어 신호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닫힘에 의해 그 작동이 제한되면서 액셀 페달의 작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장치.
KR2019970024874U 1997-08-30 1997-08-30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 KR200167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874U KR200167142Y1 (ko) 1997-08-30 1997-08-30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874U KR200167142Y1 (ko) 1997-08-30 1997-08-30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518U KR19990011518U (ko) 1999-03-25
KR200167142Y1 true KR200167142Y1 (ko) 2000-05-01

Family

ID=1950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874U KR200167142Y1 (ko) 1997-08-30 1997-08-30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1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01B1 (ko) 2007-06-11 2008-08-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및 속도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231B1 (ko) * 2020-09-14 2022-08-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Dc 센서의 전류 측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01B1 (ko) 2007-06-11 2008-08-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및 속도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518U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0721A (en) Automatic passenger safety system
US6804595B1 (en) Controller for occupant restraint system
EP3399510A1 (en) Detecting and signalling the presence of a passenger involuntarily left unattended in a motor vehicle
EP1208021B1 (en) Controller for occupant restraint system
US4344502A (en) Passive seatbelt system
JPH1059122A (ja) 動力車用安全ベルトシステム
KR200167142Y1 (ko)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
JPH06278574A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着促進装置
KR970000952A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장력조절장치
JP3207589B2 (ja)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着用促進装置
KR200178870Y1 (ko) 시트 벨트 착용 유도 시스템
KR200152757Y1 (ko)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
KR100190456B1 (ko) 리프팅 시트를 이용한 에어 백 제어 방법
KR19990004085A (ko) 시트벨트 미착용시 주행방지장치
KR100217693B1 (ko) 속도감응형 시트벨트장치
KR200166243Y1 (ko) 안전 벨트 자동 해제 장치
KR19980012959U (ko) 자동차의 안전 벨트 인장력 조절 장치
KR100196373B1 (ko) 자동차의 충돌에 따른 도어락및 안전벨트의 해제장치
KR200309905Y1 (ko) 에어백 전개판단 제어로직
KR100337821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기폭 제어장치
KR960002532Y1 (ko) 안전벨트착용 경보장치
KR100232125B1 (ko) 승객 보호시스템 제어방법
KR0171926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
JPH0732958A (ja) 車両用安全装置の作動制御装置
KR100214966B1 (ko) 엔진 브레이크와 연동되는 시트벨트 록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