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757Y1 -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757Y1
KR200152757Y1 KR2019950048644U KR19950048644U KR200152757Y1 KR 200152757 Y1 KR200152757 Y1 KR 200152757Y1 KR 2019950048644 U KR2019950048644 U KR 2019950048644U KR 19950048644 U KR19950048644 U KR 19950048644U KR 200152757 Y1 KR200152757 Y1 KR 200152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topper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8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5488U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8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757Y1/ko
Publication of KR9700354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54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7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4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4Electro-magnetic actuators, e.g.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for moving a clutching member
    • B60Y2400/4045Electro-magnetic valves, i.e. solen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자동차의 사고시, 안전 벨트의 벨트가 지나치게 풀려 안전 벨트를 착용한 승객이 사고의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록킹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된 벨트에 결합되어 센터 필러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앵커 플레이트가 포함된 자동차용 안전 벨트에 있어서, 상기 앵커 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상기 센터 필러 패널에 그 일측부가 힌지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다른 일측부를 상기 벨트와 접촉하게 되는 스톱퍼와; 이 스톱퍼에 연결되어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톱퍼를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스톱퍼 구동수단이 포함된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벨트 풀림 억제장치가 안전 벨트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톱퍼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3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안전 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센터 필러 패널 22 : 벨트
24 : 앵커 플레이트 30 : 스톱퍼
30a : 벨트 접촉부 32 : 전원
34 : 컨트롤러 36 : 유압실린더
38 : 로드 40 : 컴프레서
42 : 제1유로 44 : 제2유로
46 : 제1솔레노이드 밸브 48 : 제2솔레노이드 밸브
50 : 충돌감지센서 52 : 제1피스톤 감지센서
54 : 제2피스톤 감지센서 56 : 피스톤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사고시 벨트가 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사고 유사시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의 한가지로 자동차에서 사용되고 있는 안전 벨트는, 그 사용의 중요도가 크게 인식되어 필수적으로 구비되고 있으며 법으로도 의무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안전 벨트의 종류에는 승객의 허리 부분을 감싸주는 2점 지지용 안전 벨트와, 허리 부분과 어깨 부분을 지지해 주는 3점 지지용 안전 벨트가 있다.
상기 2점 지지용 안전 벨트는 대개 승용차의 뒷좌석이나 승합차량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상기 3점 지지용 안전 벨트는 승용차의 앞좌석이나 승합차량의 운전석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 벨트에 있어, 근래에는 3점 지지용 안전 벨트가 그 구조면에서 승객의 어깨와 허리 부분을 동시에 잡아 주기 때문에 2점 지지용 안전 벨트에 비하여 고정성 및 안정성이 뛰어나 차량에 더욱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제3도는 종래의 3점 지지용 안전 벨트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 벨트는 록킹 리트렉터(1)로부터 인출되는 벨트(3)에 앵커(5)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벨트(3)의 선단을 시트(7)의 일측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시트(7)의 타측에는 상기 앵커(5)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버클(9)을 고정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벨트(3)에는 앵커 플레이트(11)가 결합되어 있는 바, 이 앵커 플레이트(11)는 센터 필러 패널(미도시)에 고정 설치된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한편, 상기에서 록킹 리트렉터는 상기 시트를 풀었을 때 자동으로 감기게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안전 벨트를 착용시에는 상기 벨트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계속해서 조여 사고시에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안전 벨트에 있어서는, 차량 사고시 상기 벨트가 일시적으로 늘어나거나 상기 록킹 리트렉터의 고장으로 인해 상기 벨트가 풀리게 되면, 상기 벨트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이탈되어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사고시에 벨트가 풀리는 것을 억제하여 자동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록킹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된 벨트에 결합되어 센터 필러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앵커 플레이트가 포함된 자동차용 안전 벨트에 있어서, 상기 앵커 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상기 센터 필러 패널에 그 일측부가 힌지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다른 일측부를 상기 벨트와 접촉하게 되는 스톱퍼와; 이 스톱퍼에 연결되어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톱퍼를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스톱퍼 구동수단이 포함된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톱퍼 구동수단은, 상기 센터 필러 패널에 고정 설치되어 그 로드를 상기 스톱퍼의 벨트 접촉부에 연결하고 있는 유압 실린더와; 이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컴프레서에 각기 관통 연결되는 제1,2 유로와; 이 제1,2 유로에 각기 체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유압 실린더 내벽 설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드와 연결된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이 피스톤에 접촉되는 제1,2 피스톤 위치 감지센서와; 상기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돌 감지센서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벨트 접촉부는 너얼링 가공되어 구비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가 안전 벨트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안전 벨트 역시, 센터 필러 패널(20)에 록킹 리트렉터(미도시)로부터 인출된 벨트(22)와 결합되는 앵커 플레이트(24)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앵커 플레이트(24)를 보유하는 안전 벨트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센터 필러 패널(20)에 스톱퍼(30)를 설치하게 되는 바, 이때, 이 스톱퍼(30)는 상기 센터 필러 패널(20)에 그 일측부를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른 일측부 즉, 그 벨트 접촉부(30a)를 상기 벨트(22)에 접촉시키게 된다.
이러한 스톱퍼(30)의 구체적인 형상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기 벨트 접촉부(30a)는 상기 벨트(22)와의 접촉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너얼링(knurling) 가공 처리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톱퍼(30)는 본 고안에 따라 구비되는 스톱퍼 구동수단에 의해 그 힌지점을 중심을 회전 운동하게 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톱퍼 구동수단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게 된다.
우선, 상기 스톱퍼 가동수단은 자동차 전원(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3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톱퍼(3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의 구성에는 먼저, 상기 센터 필러 패널(20)에 고정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36)가 포함되는 바, 이 유압 실린더(36)는 그 로드(38)를 상기 벨트 접촉부(30a)에 고정되도록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유압 실린더(36)와 함께 본 고안의 구성에는 상기 컨트롤러(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컴프레서(40)가 더욱 포함된다.
이 컴프레서(40)와 상기 유압 실린더(36)에는 제1 유로(42)와 제2 유로(44)가 관통되어 각기 연결되는데, 상기 제1 유로(42)에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46)가 그리고, 상기 제2 유로(44)에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48)가 각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46)는 상기 컴프레서(40)에서 상기 유압실린더(44) 측으로, 또한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46)는 상기 유압 실린더(36)에서 상기 컴프레서(40) 측으로만 개방되어 상기 유로(42,44)를 통해 오일을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2 솔레노이드 밸브(46,48)는 상기 컨트롤러(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의 제어를 받고 작동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구성에는 상기 컨트롤러(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에 감지신호를 보내는 다수의 센서가 구비되는 바, 이에는 먼저 차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차량 사고시, 충돌 감지를 상기 컨트롤러(34)에 전기적 신호로 보내는 충돌 감시 센서(50)가 있다.
또한, 다른 센서는 상기 유압 실린더(36)의 내벽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 피스톤 위치 감지센서(52,54)이다.
이 제1,2 피스톤 위치 감지센서(52,54)는 상기 로드(38)와 연결된 피스톤(56)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압 실린더(36) 내벽에 각기 설치되며, 이때, 상기 제1 피스톤 위치 감지센서(52)는 상기 피스톤(56)의 직선 운동시, 피스톤(56)의 상단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 피스톤 위치 감지센서(54)는 상기 피스톤(56)의 하단면에 접촉되어 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34)로 보내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톱퍼 구동수단과 더불어 상기 스톱퍼(30)를 포함한 본 고안은, 차량 사고시 다음과 같은 작용을 이루어 승객을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우선, 차량 사고시, 사고 상태를 상기 충돌 감지센서(50)가 감지하게 되면, 이 충돌 감지센서(50)는 상기 컨트롤러(34)에 신호를 보내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컨트롤러(34)는 상기 컴프레서(40)와 제1 솔레노이드 밸브(46)를 온(on)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48)는 오프(off) 상태이다. 이에, 상기 제1 유로(42)를 통해 소정의 오일이 상기 유압 실린더(36) 내로 들어가게 되므로, 이로 인해 상기 피스톤(56)이 상승됨에 따라 상기 로드(38)의 전진운동으로 인해 상기 벨트 접촉부(30a)는 상기 앵커 플레이트(24)측으로 벨트(22)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차량 사고시 상기 벨트(22)가 도면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풀리는 경우, 이 벨트(22)는 상기 벨트 접촉부(30a)와 상기 앵커 플레이트(24) 사이에 끼어 이에 지지됨에 따라 그 풀림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전벨트를 착용한 차량 탑승객은, 상기 벨트(22)가 풀리지 않게 됨으로써,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상기 피스톤(56)이 전진되면서 상기 제1 피스톤 위치 감지센서(52)에 닿게 되면, 이 제1 피스톤 위치 감지센서(52)는 상기 컨트롤러(34)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게 되는데, 상기 컨트롤러(34)는 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46)는 오프상태로, 또한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48)는 온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상기 유압 실린더(36)로 들어갔던 소정의 오일이 제 2유로(44)를 통해 다시 빠져 나오게 되어, 이에 상기 피스톤(56)이 후퇴되어 상기 벨트 접촉부(30)가 원위치 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상기 벨트(22)의 구속 상태는 해제된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56)은 그 후퇴시, 상기한 제2 피스톤 위치 감지센서(54)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 피스톤 위치 감지센서(54)는 상기 컨트롤러(34)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 이 컨트롤러(34)가 상기 컴프레서(40)의 구동을 멈추게 함에 따라, 이에 본 고안의 모든 작용은 끝나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는, 차량 사고시, 상기 스톱퍼를 구동시켜 상기 벨트가 풀려 나가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벨트가 승객의 신체에 보다 견착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차량 사고시 상기 벨트의 풀림을 종래보다 감소시켜 이에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게 되는 효과를 지닐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록킹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된 벨트에 결합되어 센터 필러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앵커 플레이트가 포함된 자동차용 안전 벨트에 있어서, 상기 앵커 플레이트(24)의 하방으로 상기 센터 필러 패널(20)에 그 일측부가 힌지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다른 일측부를 상기 벨트(22)와 접촉하게 되는 스톱퍼 (30)와; 이 스톱퍼(30)에 연결되어 자동차 전원(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3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톱퍼(30)를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스톱퍼 구동수단이 포함된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구동수단은, 상기 센터 필러 패널(20)에 고정 설치되어 그 로드(38)를 상기 톱퍼(30)의 벨트 접촉부(30a)에 연결하고 있는 유압 실린더(36)와; 이 유압 실린더(36) 및 상기 컨트롤러(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컴프레서(40)에 각기 관통 연결되는 제1,2 유로(42,44)와; 이 제1,2 유로(42,44)에 각기 체결되어 상기 컨트롤러(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 솔레노이드 밸브(46,48)와; 상기 유압 실린더(36) 내벽 설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컨트롤러(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드(38)와 연결된 피스톤(56)의 움직임에 따라 이 피스톤(56)에 접촉되는 제1,2 피스톤 위치 감지센서(52,54)와; 상기 컨트롤러(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돌 감지센서(50)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벨트 접촉부(30a)는 너얼링 가공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
KR2019950048644U 1995-12-27 1995-12-27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 KR200152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644U KR200152757Y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644U KR200152757Y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488U KR970035488U (ko) 1997-07-26
KR200152757Y1 true KR200152757Y1 (ko) 1999-07-15

Family

ID=1943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8644U KR200152757Y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7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826A (ko) * 2001-08-09 2003-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벨트 구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488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08372A1 (en) Occupant-restraining system
US6283543B1 (en) Motor vehicle roof
KR200152757Y1 (ko)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
JP2917804B2 (ja) 車両用安全装置
KR200152754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
KR200167142Y1 (ko)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
KR200240568Y1 (ko) 자동차의측면충격보호장치
ES2179535T3 (es) Dispositivo de proteccion de ocupantes para un vehiculo.
KR100239645B1 (ko) 차량용 시트 벨트의 긴급 권취장치
KR100386032B1 (ko) 자동차용 시트밸트 로드 리미트장치
KR960009355Y1 (ko) 자동차 시트밸트의 풀림량 제어장치
KR100224236B1 (ko) 브레이크 연동식 시트벨트 웨빙 클램프 장치
KR0184406B1 (ko) 차량용 시트벨트 보조구속장치
KR100228077B1 (ko) 시트벨트 록킹해제 장치 및 방법
KR200140889Y1 (ko) 프리텐셔너로 보강된 자동차용 안전벨트
KR0175244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프리텐션 장치
JP2001278003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EP0421951A1 (en) A device for loosening the tension of a safety-belt around a driver or passenger's body in motor-vehicles
KR0151579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자동 압착장치
KR200154445Y1 (ko) 래치기능을 가진 버클형 프리텐셔너
KR200189167Y1 (ko) 차량용 시트의 승객 밀림 방지장치
KR100362115B1 (ko)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
KR200146868Y1 (ko) 시트벨트 웨빙 길이 구속장치
KR100353942B1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탑승자 안전성 확보장치
KR19990041280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