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926B1 -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926B1
KR0171926B1 KR1019940014380A KR19940014380A KR0171926B1 KR 0171926 B1 KR0171926 B1 KR 0171926B1 KR 1019940014380 A KR1019940014380 A KR 1019940014380A KR 19940014380 A KR19940014380 A KR 19940014380A KR 0171926 B1 KR0171926 B1 KR 0171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belt
collision
detecting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653A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101994001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926B1/ko
Publication of KR96000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60R22/32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using automatic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5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belt anchor position, belt orientatio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Bag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 및 승객 탑승시 안전벨트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정함과 동시에 비상시 안전벨트를 자동으로 해제하는 것으로 자동모드 선택시 승탑자의 어께높이를 감지하는 어께높이 감지부; 주행시 차량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 차체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감지하는 충돌 감지부; 상기 충돌 감지부에서 감지된 충돌에너지가 이미 설정된 충돌에너지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 에어백을 동작시키는 에어백 구동부; 승탑자의 어께높이에 따라 시트에 장착된 안전벨트 높이를 조정하는 벨트높이 조정수단; 승탑자를 보호하는 안전벨트를 해제하는 벨트풀림 조정수단 및 상기 어께높이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상기 벨트높이 조정수단의 동작을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조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어께높이 감지부 20 : 속도 검출부
30 : 충돌 감지부 40 : 에어백 구동부
50 : 시스템 제어부 60 : 모터 구동부
70 : 벨트높이 조정부 80 : 솔레노이드 제어부
90 : 벨트풀림 구동부 100 : 벨트높이 조정기
110 : 벨트풀림 조정기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 및 승객 탑승시 안전벨트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정함과 동시에 비상시 안전벨트를 자동으로 해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설치된 안전벨트는 운전자 및 승객을 갑작스런 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비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조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참조번호 1은 시트이고, 2는 벨트고정용 버클이며, 3은 벨트체결용 버클이다. 4는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벨트이며, 5는 벨트높이를 조정하는 벨트높이 조정기이고, 6은 안전벨트 릴이고, 7은 차체기둥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자동차에서, 운전자 및 승탑자는 시트(1)에 앉은 후에 벨트높이 조정기(5)를 자신의 어께높이에 맞게 조정한 다음 이 벨트체결용 버클(3)을 당겨 벨트고정용 버클(2)에 삽입함으로써 갑작스런 사고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운전자 및 승탑자는 이미 조정된 운전벨트와 일치되지 않을 경우 벨트높이 조정기(5)를 자신의 어께높이에 맞게 일일이 조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고발생시 사고 차량으로부터 빠른 시간안에 이탈해야 할 경우 이 안전벨트를 수조작으로 해제해야만 하였다. 이는 긴급을 요하는 중상자에게는 매우 치명적인 요인이 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 및 승객 탑승시 안전벨트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정함과 더불어 사고발생시 소정시간 지연 후에 안전벨트를 자동으로 해제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는, 자동모드 선택시 승탑자의 어께높이를 감지하는 어께높이 감지부; 주행시 차량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 차체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감지하는 충돌 감지부; 상기 충돌 감지부에서 감지된 충돌에너지가 이미 설정된 충돌에너지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 에어백을 동작시키는 에어백 구동부; 승탑자의 어께높이에 따라 시트에 장착된 안전벨트 높이를 조정하는 벨트높이 조정수단; 승탑자를 보호하는 안전벨트를 해제하는 벨트풀림 조정수단; 및 상기 어께높이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상기 벨트높이 조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속도 검출부, 충돌 감지부 및 에어백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벨트풀림 조정수단을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이고,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제2도에서, 어께높이 감지부(10)는 모드선택 스위치(9)로부터 자동모드 선택시 운전자 및 승탑자의 어께높이를 감지하는 센서가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께높이 감지부(10)는 측정된 데이터를 검출하여 후술하는 시스템 제어부(50)의 입력포트(I1)에 공급하게 된다.
속도 검출부(20)는 자동차 주행시 차량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감지 센서가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속도 검출부(20)는 검출된 속도데이터를 후술하는 시스템 제어부(50)의 입력포트(I2)에 공급하게 된다.
충돌 감지부(30)는 구체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감지하는 충돌감지 센서가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충돌 감지부(30)는 감지된 충돌데이터를 후술하는 시스템 제어부(50)의 입력포트(I3)에 공급하게 된다.
에어백 구동부(40)는 상기 충돌 감지부(30)에서 감지된 충돌에너지가 이미 설정된 충돌에너지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 에어백 동작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후술하는 시스템 제어부(50)의 입력포트(I4)에 공급하게 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상기 어께높이 감지부(10)와 속도 검출부(20) 및 충돌 감지부(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벨트의 높이 및 벨트풀림을 단속하는 프로그램 로직이 저장되어 있다.
벨트높이 조정기(100)는 모터 구동부(60)와 벨트높이 조정부(70)로 구성된다. 모터 구동부(60)는 상기 시스템 제어부(50)의 출력포트(O1)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운전자 및 승탑자의 어께높이가 일치되도록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벨트높이 조정부(70)는 상기 모터 구동부(60)의 동작에 의해 시트에 장착된 안전벨트가 운전자 및 승탑자의 어께높이와 일치되도록 구성되어있다.
벨트풀림 조정기(110)는 솔레노이드 제어부(80)와 벨트풀림 구동부(90)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 제어부(80)은 상기 시스템 제어부(50)의 출력포트(O2)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안전벨트의 풀림 및 잠김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벨트풀림 구동부(90)는 상기 솔레노이드 제어부(80)의 동작에 의해 운전자 및 승탑자를 보호하는 안전벨트가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도의 동작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운전자 및 승객 탑승시 자동으로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서, 스텝 S1에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수동신호, 자동신호, 운전자 어께높이 신호를 입력신호로 설정한다.
스텝 S2에서 자동모드 여부를 판정한 결과, 자동모드이면 스텝 S3로 나아가 어께높이 감지부(10)의 센서를 통해 인가된 승탑자의 어께높이와 안전벨트에 설정높이가 일치하는 지를 판정한다. 스텝 S3에서, 승탑자의 어께높이와 안전벨트의 어께높이가 일치되지 않을 경우 스텝 S4로 나아가 시스템 제어부(50)는 출력포트(O1)를 통해 모터 구동부(60) 및 벨트 높이 조정부(70)를 동작시키게 된다. 즉, 어께높이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데이터에 연동되어 승탑자의 어께높이에 맞게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정한다.
이러한 조정은 어께높이 감지부(10)에서 감지된 승탑자의 어께높이가 설정된 안전벨트의 높이와 일치할 때까지 계속된다. 스텝 S3에서 일치하는 경우 스텝 S5로 진행되어 모터 구동부(60) 및 벨트 조정부(70)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승탑자는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제4도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풀림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서, 스텝 S6에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차속, 충돌, 에어백 신호를 입력신호로 설정한 뒤, 스텝 S7로 진행되어 속도 검출부(20)를 통해 검출된 차량의 현재속도가 설정된 위험속도 보다 클경우 스텝 S8로 나아가 충돌 감지부(30) 및 에어백 구동부(4)로부터 검출되는 충돌신호 또는 에어백 구동제어신호가 시스템 제어부(50)에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 결과, 충돌신호 또는 에어백 구동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스텝 S9 진행된다. 스텝 S9에서 충돌신호 또는 에어백 구동제어신호가 입력된 후 소정시간이 소요되면 스텝 S10로 진행되어 시스템 제어부(50)는 벨트풀림을 동작제어한다. 여기서 상술한 소정시간은 운전자가 차량 운행중에 사고로 인한 충격 및 에어백이 동작된 후 자동으로 안전벨트가 풀려야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이어서 스텝 S11에서는 안전벨트 해제여부를 체크한 결과, 안전벨트가 해제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에서는 안전벨트 해제를 위한 상술한 단계를 반복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원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전벨트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운전자 및 승탑자가 일일이 어께높이를 조정할 필요가 없고, 또한 예기치 않은 사고발생시 소정시간 지연 후에 안전벨트가 자동으로 해제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자동모드 선택시 승탑자의 어께높이를 감지하는 어께높이 감지부; 주행시 차량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 차체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감지하는 충돌 감지부; 상기 충돌 감지부에서 감지된 충돌에너지가 이미 설정된 충돌에너지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 에어백을 동작시키는 에어백 구동부; 승탑자의 어께높이에 따라 시트에 장착된 안전벨트 높이를 조정하는 벨트높이 조정수단; 승탑자를 보호하는 안전벨트를 해제하는 벨트풀림 조정수단; 및 상기 어께높이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상기 벨트높이 조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속도 검출부, 충돌 감지부 및 에어백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벨트풀림 조정수단을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차량속도가 기준치를 넘거나 한계치 이상의 충돌 데이터가 입력되면, 소정시간 지연후에 상기 벨트풀림 조정수단이 동작되도록 제어함을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
KR1019940014380A 1994-06-23 1994-06-23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 KR0171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380A KR0171926B1 (ko) 1994-06-23 1994-06-23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380A KR0171926B1 (ko) 1994-06-23 1994-06-23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653A KR960000653A (ko) 1996-01-25
KR0171926B1 true KR0171926B1 (ko) 1999-02-18

Family

ID=1938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4380A KR0171926B1 (ko) 1994-06-23 1994-06-23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9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653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118B2 (en) Seatbelt apparatus
US6758495B2 (en) Method and safety restraint device for restraining an occupant on a vehicle seat
CN100348444C (zh) 车辆座椅安全带装置
US6808201B2 (en) Occupant sensor
KR100215277B1 (ko) 탑승객 탈출지원장치
US6846019B2 (en) Seatbelt apparatus for vehicle
EP3689684B1 (en) Vehicular seat belt device
US7698037B2 (en) Seatbelt device for vehicle
US20040083824A1 (en) Seatbelt apparatus for vehicle
KR0171926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자동조정장치
JP6748390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230052692A1 (en) Method for a safety belt system, safety belt system for a vehicle, and vehicle with a safety belt system
KR20190113217A (ko) 차량의 에어-백 전개 후 자동 제동장치 및 그 방법
JP4614183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US5054574A (en) Control for automotive passive restraint system with manual retrigger
JP3019672B2 (ja) 車両用安全制御装置
JP2003175797A (ja) 乗員保護システム
KR200167142Y1 (ko)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
JP2000326824A5 (ko)
KR970000952A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장력조절장치
KR19990034204A (ko) 차량용 자동 안전벨트의 구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12959U (ko) 자동차의 안전 벨트 인장력 조절 장치
KR100196373B1 (ko) 자동차의 충돌에 따른 도어락및 안전벨트의 해제장치
KR100534164B1 (ko) 시트벨트 안전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JPH06263008A (ja)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着用促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