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501B1 -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및 속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및 속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501B1
KR100850501B1 KR1020070056894A KR20070056894A KR100850501B1 KR 100850501 B1 KR100850501 B1 KR 100850501B1 KR 1020070056894 A KR1020070056894 A KR 1020070056894A KR 20070056894 A KR20070056894 A KR 20070056894A KR 100850501 B1 KR100850501 B1 KR 100850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vehicle
seat belt
driving
speed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욱
문태윤
서석현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56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18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a device to audibly, visibly, or otherwise signal the existence of unusual or unintended spe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2031/0091Speed limiters or speed c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및 속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속도제어장치는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벨트착용 판단센서와;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여 차량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엔진 전자제어부와; 상기 벨트착용 판단센서에 의해 상기 시트벨트의 미착용이 감지된 경우,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제1 제한 속도 이하로 떨어지도록 또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제2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엔진 전자제어부를 제어하는 안전주행 전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시트벨트가 미착용 상태에서는 차량의 속도가 제1 제한 속도 및 제2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시트벨트의 착용을 강제하면서도, 주차 등과 같은 상황에서는 시트벨트의 미착용 상태에서도 차량이 제2 제한 속도까지는 운행 가능하게 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및 속도제어방법{VELOCITY CONTROL APPARATUS AND VELOCITY CONTROL METHOD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속도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속도제어장치의 안전주행 전자제어부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속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속도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안전주행 전자제어부 11,11a : 주행 제어부
12 : 센싱값 수신부 13 : 속도정보 수신부
14 : 상태 저장부 15a : 사용제한 송신부
30 : 벨트착용 판단센서 50 : 엔진 전자제어부
70 : 차량 엔진 80 : 부가장치 전자제어부
81 : 오디오 시스템 82 : 에어 컨디셔너
83 : 난방 시스템 90 : 시트
91 : 시트벨트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및 속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벨트가 미착용 상태에서는 차량의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시트벨트의 착용을 강제하면서도, 주차 등과 같은 상황에서는 시트벨트의 미착용 상태에서도 차량이 제한 속도까지는 운행 가능하게 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속도제어장치 및 속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 버스 등과 같은 차량에는 운행 중 발생하는 충돌사고나 급제동 조건 하에서 운전자와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설치되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시트벨트(또는 안전벨트, 이하 동일)이다.
시트벨트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신체를 시트에 구속시켜 차량의 충돌이나 급제동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되어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그 중요성으로 인해 차량에 창작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운행 중 시트벨트의 미 착용시에는 과태료의 부가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 또는 탑승자 중 일부는 그 착용이 답답하는 이유로, 또는 습 관적으로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채 주행하는데, 운전자에게 시트벨트의 착용을 강제하기 위해 운전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 차량의 시동 자체가 걸리지 않는 기술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시트벨트의 착용을 강제하는 기술은 운전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을 걸고 다시 시트벨트를 푸는 경우, 즉 주행 중에 시트벨트를 푸는 경우에는 그 실효성을 잃게 된다.
또한, 주차나 좁은 골목에서의 주행시, 사용자는 사각지대나 차량 바깥쪽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기 위해 시트벨트를 푸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와 같은 시트벨트의 착용을 강제하는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운전자는 시트벨트를 착용한 후 차량의 시동을 걸고, 다시 시트벨트를 푼 후 주차나 좁은 골목을 빠져나와야 한다.
또한, 좁은 골목을 빠져 나온 경우에는 다시 주행을 위해 시트벨트를 착용하여야 하는 등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야기시켜, 시트벨트의 착용을 강제할 수 있는 기술로서의 실효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벨트가 미착용 상태에서는 차량의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시트벨트의 착용을 강제하면서도, 주차 등과 같은 상황에서는 시트벨트의 미착용 상태에서도 차량이 제한 속도까지는 운행 가능하게 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속도제어장치 및 속도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속도제어장치에 있어서,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벨트착용 판단센서와;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여 차량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엔진 전자제어부와; 상기 벨트착용 판단센서에 의해 상기 시트벨트의 미착용이 감지된 경우,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제1 제한 속도 이하로 떨어지도록 또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제2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엔진 전자제어부를 제어하는 안전주행 전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속도제어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주행 전자제어부는, 상기 벨트착용 판단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센싱값 수신부와; 상기 엔진 전자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속도정보 수신부와; 상기 센싱값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와, 상기 속도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현재 주행 속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상태 저장부와; 상기 상태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현재 주행 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트벨트의 미착용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상기 제1 제한 속도 이하로 떨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제2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엔진 전자제어부를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한 속도는 상기 제2 제한 속도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 다.
또한, 상기 제1 제한 속도와 상기 제2 제한 속도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가장치 전자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주행 전자제어부는 상기 시트벨트의 미착용이 감지된 경우, 상기 부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부가장치 전자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장치는 오디오 시스템, 에어 컨디셔너 및 난방 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차량의 속도제어방법에 있어서,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시트벨트의 미착용이 감지되고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제1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주행 속도를 상기 제1 제한 속도 이하로 감속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트벨트의 미착용이 감지되고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제2 제한 속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상기 제2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속도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한 속도는 상기 제2 제한 속도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한 속도와 상기 제2 제한 속도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벨트의 미착용이 감지된 경우, 차량 내부의 부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장치는 오디오 시스템, 에어 컨디셔너 및 난방 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있어 그 실시예가 상이하더라도 상호 대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속도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착용 판단센서(30), 엔진 전자제어부(50)(Electronic Control Unit : ECU, 이하 동일) 및 안전주행 전자제어부(10)를 포함한다.
벨트착용 판단센서(30)는 시트(90)에 설치된 시트벨트(91)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안전주행 전자제어부(10)로 출력한다. 여기서, 벨트착용 판단센서(30)는 시트벨트(91)의 착용에 따라 기구적 체결 또는 전기적 연결을 통해 시트벨트(91)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벨트착용 판단센서(30)로부터 출력되는 센싱값은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 또는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안전주행 전자제어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엔진 전자제어부(50)는 차량 엔진(70)의 구동을 제어하여 차량의 주행 속도를 제어한다.
안전주행 전자제어부(10)는 벨트착용 판단센서(30)로부터 출력되는 센싱값에 따라 엔진 전자제어부(50)가 차량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게 하는데, 벨트착용 판단센서(30)로부터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시트벨트(91)의 미착용이 감지되고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제1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제1 제한 속도 이하도로 감속되도록 엔진 전자제어부(50)를 제어한다.
또한, 안전주행 전자제어부(10)는 벨트착용 판단센서(30)로부터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시트(90)벨브의 미착용이 감지되고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제2 제한 속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를 조작하여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가속시키더라도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제2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엔진 전자제어부(5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1 제한 속도와 제2 제한 속도는 동일한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는데, 시트벨트(91)의 미착용 상태에서의 주행에도 운전자의 안전이나 주행에 큰 무리가 없으며, 운전자 차량의 주행 속도가 감속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주행 속도가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가속되지 않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시트벨트(91)의 착용을 강제할 수 있을 정도의 속도, 예컨대, 40Km/h 정도의 속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한 속도와 제2 제한 속도는 상호 상이한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한 속도가 제2 제한 속도보다 큰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제1 제한 속도가 제1 제한 속도보다 고속으로 주행 중에 시트벨트(91)의 미착용이 감지된 상태에서 감속되는 기준이 되는 값인 바, 고속도로와 같은 고속 주행 중 시트벨트(91)의 미착용이 감지되더라도 급속한 감속으로 인한 위험한 상황을 제거하기 위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2 제한 속도의 경우에는 제2 제한 속도보다 저속으로 주행 중에 시트벨트(91)의 미착용이 감지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초기 주행시 시트벨트(91)의 미착용이 감지되는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에, 제2 제한 속도의 값이 작더라도 차량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 아니라, 주차 등을 위해 시트벨트(91)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저속으로 주차가 가능하게 되는 바, 차량의 운전 상황에 맞게 제1 제한 속도와 제2 제한 속도의 값이 설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시트벨트(91)가 미착용 상태에서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제1 제한 속도 및 제2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시트벨트(91)의 미착용 상태를 통지함과 동시에 주행을 위해 시트벨트(91)의 착용을 강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트벨트(91)의 미착용 상태에서도 제1 제한 속도 및 제2 제한 속도, 특히 제2 제한 속도까지는 주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주행 상황, 예컨대, 주차 등의 상황에 융통성있게 대처할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속도제어장치의 안전주행 전자제어부(10)를 상세히 설명한다.
안전주행 전자제어부(10)는 센싱값 수신부(12), 속도정보 수신부(13), 상태 저장부(14) 및 주행 제어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값 수신부(12)는 벨트착용 판단센서(30)로부터 출력된 시트벨트(91)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 즉 전술한 벨트착용 판단센서(30)의 센싱값을 수신한다. 여기서, 벨트착용 판단센서(30)로부터의 센싱값이 아날로그 신호 형태를 갖는 경우 센싱값 수신부(12)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센싱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정보 수신부(13)는 엔진 전자제어부(5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엔진 전자제어부(50)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주행 속도에 대한 정보가 아날로그 신호 형태를 갖는 경우 속도정보 수신부(13) 또한 A/D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값 수신부(12)를 통해 수신되는 시트벨트(91)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 즉 센싱값과, 속도정보 수신부(13)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에 대한 벙보는 상태 저장부(14)에 저장된다.
주행 제어부(11)는 상태 저장부(14)에 저장된 시트벨트(91)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와 현재 주행 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트벨트(91)의 미착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제1 제한 속도 이하로 떨어지도록 하거나 제2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엔진 전자제어부(50)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속도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속도제어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 제1 제한 속도와 제2 제한 속도가 동일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며, 제1 제한 속도 및 제2 제한 속도를 '제한 속도'라 임의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먼저, 차량에 시동이 걸리고 차량의 주행이 시작되면(S10), 벨트착용 판단센서(30)에 의해 시트벨트(91)의 착용 여부가 감지된다(S11). 이 때, 시트벨트(91)의 미착용이 감지되면, 안전주행 전자제어부(10)는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2),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속되도록 엔진 전자제어부(50)를 제어하여(S13)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 이하로 떨어지도록 제어한다(S14).
그런 다음,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 이하로 떨어진 상태로 판단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를 조작하여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가속하는 경우(S15), 안전주행 전자제어부(10)는 시트벨트(91)가 착용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6), 시트벨트(91)가 착용된 상태인 경우 속도가 가속될 수 있도록 엔진 전자제어부(50)를 제어한다.
반면, 안전주행 전자제어부(10)는 S16 단계에서 시트벨트(91)가 미착용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가속시키되(S18)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S12 단계, S13 단계, S14 단계, S15 단계 및 S16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속도제어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대한 설명은 상술 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부가되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제1 실시예에 따른 속도제어장치의 구성 및 기능은 제2 실시예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속도제어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부가장치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가장치 전자제어부(8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안전주행 전자제어부(10a)는 벨트착용 판단센서(30)로부터 센싱값에 기초하여 시트벨트(91)의 미착용이 감지된 경우, 부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이 차단되도록 부가장치 전자제어부(8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내부의 부가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시스템(81), 에어 컨디셔너(82), 난방 시스템(8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시트벨트(91)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을 하는 경우, 오디오 시스템(81)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거나, 차량 내부의 냉방 또는 난방이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시트벨트(91)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시트벨트(91)의 착용을 강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안전주행 전자제어부(10a)는 부가장치 전자제어부(80)에 부가장치의 착동을 차단하게 하는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사용제한 송신부(15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행 제어부(11a)는 시트벨트(91)의 미착용이 감지된 경우 부가장치의 작동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사용제한 송신부(15a)를 통해 부가장치 전자제어부(8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벨트가 미착용 상태에서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제1 제한 속도 및 제2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시트벨트의 미착용 상태를 통지함과 동시에 주행을 위해 시트벨트의 착용을 강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벨트의 미착용 상태에서도 제1 제한 속도 및 제2 제한 속도, 특히 제2 제한 속도까지는 주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주행 상황, 예컨대, 주차 등의 상황에 융통성있게 대처할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을 하는 경우, 오디오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거나, 차량 내부의 냉방 또는 난방이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시트벨트의 착용을 강제할 수 있다.

Claims (11)

  1. 차량의 속도제어장치에 있어서,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벨트착용 판단센서와;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여 차량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엔진 전자제어부; 와
    상기 벨트착용 판단센서에 의해 상기 시트벨트의 미착용이 감지된 경우,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제1 제한 속도 이하로 떨어지도록 제어하고,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제2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엔진 전자제어부를 제어하는 안전주행 전자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한 속도는 상기 제2 제한 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주행 전자제어부는,
    상기 벨트착용 판단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센싱값 수신부와;
    상기 엔진 전자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속도정보 수신부와;
    상기 센싱값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와, 상기 속도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현재 주행 속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상태 저장부와;
    상기 상태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현재 주행 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트벨트의 미착용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상기 제1 제한 속도 이하로 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2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엔진 전자제어부를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가장치 전자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주행 전자제어부는 상기 시트벨트의 미착용이 감지된 경우, 상기 부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부가장치 전자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장치는 오디오 시스템, 에어 컨디셔너 및 난방 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7. 차량의 속도제어방법에 있어서,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시트벨트의 미착용이 감지되고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제1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주행 속도를 상기 제1 제한 속도 이하로 감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시트벨트의 미착용이 감지되고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제2 제한 속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상기 제2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기 제1 제한 속도는 상기 제2 제한 속도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속도제어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벨트의 미착용이 감지된 경우, 차량 내부의 부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속도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장치는 오디오 시스템, 에어 컨디셔너 및 난방 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속도제어방법.
KR1020070056894A 2007-06-11 2007-06-11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및 속도제어방법 KR100850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894A KR100850501B1 (ko) 2007-06-11 2007-06-11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및 속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894A KR100850501B1 (ko) 2007-06-11 2007-06-11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및 속도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501B1 true KR100850501B1 (ko) 2008-08-05

Family

ID=39881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894A KR100850501B1 (ko) 2007-06-11 2007-06-11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및 속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252Y1 (ko) 2015-06-03 2015-09-18 주식회사 지성기계 안전벨트 연동된 차량 속도 제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4131A (ja) * 1985-02-08 1986-08-1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出力制限装置
KR970003554B1 (en) * 1995-04-28 1997-03-20 Kia Motors Corp On seat belt according to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 car
KR19990059391A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상용 차량용 가변형 에어컨 장치
KR200167142Y1 (ko) 1997-08-30 2000-05-01 정몽규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
KR200267741Y1 (ko) 2001-08-29 2002-03-13 임영근 차량 주행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4131A (ja) * 1985-02-08 1986-08-1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出力制限装置
KR970003554B1 (en) * 1995-04-28 1997-03-20 Kia Motors Corp On seat belt according to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 car
KR200167142Y1 (ko) 1997-08-30 2000-05-01 정몽규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
KR19990059391A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상용 차량용 가변형 에어컨 장치
KR200267741Y1 (ko) 2001-08-29 2002-03-13 임영근 차량 주행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252Y1 (ko) 2015-06-03 2015-09-18 주식회사 지성기계 안전벨트 연동된 차량 속도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57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triggering a deceleration in a motor vehicle
US20050252710A1 (en) Seatbelt apparatus
JP3814050B2 (ja) 緊急自動ブレーキ装置
JP2007536142A (ja) 自動車の可逆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の作動を制御する方法
JP4084318B2 (ja) 緊急ブレーキ装置
US7496431B2 (en) Rolling away protection after engine switch off and security device
KR20190017339A (ko) 자율 주행 차량의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
US833561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belt pretensioner and safety arrangement comprising a belt pretensioner
KR100850501B1 (ko)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및 속도제어방법
KR101514419B1 (ko)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18216B1 (ko)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230052692A1 (en) Method for a safety belt system, safety belt system for a vehicle, and vehicle with a safety belt system
CN113428162A (zh) 一种全方位汽车防撞预警系统
CN114572006A (zh) 电子驻车系统的控制方法、装置和车辆
JP3019672B2 (ja) 車両用安全制御装置
US20200207295A1 (en) Methods and systems to prevent unintended shut down of vehicle systems
JPH04166465A (ja) 自動車事故用安全装置
KR19990040173A (ko) 노면상태 경고장치
US2024013201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system
KR100231533B1 (ko) 차량의 고속주행시 사고방지장치
JP2019006271A (ja) 車載器、過積載車両制御方法、及び過積載車両制御プログラム
KR100380614B1 (ko) 자동차의 자동 파킹장치
KR101952107B1 (ko) 자동 변속 시스템
JPH0664526A (ja) ブレーキスイッチの失陥検出方法
KR970000952A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장력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