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402Y1 -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 - Google Patents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402Y1
KR200166402Y1 KR2019990016103U KR19990016103U KR200166402Y1 KR 200166402 Y1 KR200166402 Y1 KR 200166402Y1 KR 2019990016103 U KR2019990016103 U KR 2019990016103U KR 19990016103 U KR19990016103 U KR 19990016103U KR 200166402 Y1 KR200166402 Y1 KR 200166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veranda
plate
pip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시종
Original Assignee
신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시종 filed Critical 신시종
Priority to KR2019990016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4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4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42Balusters; Grille-type elements
    • E04F11/1844Grille-typ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층의 아파트, 주택 등의 베란다에 난간을 통하여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면서 외부의 시선이 실내에 미치지 않도록 차단시켜 사생활을 보호받을 수 있는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에 관한 것으로, 기술적 구성을 간단히 설명하면, 전체적으로 직사각판체로 만들어지고 일정간격마다 촘촘하게 형성되는 블레이드(11) 사이사이로 통풍이 이루어지는 통풍통로(12)들이 뚫려지되 상기 블레이드(11)는 내,외측 방향으로 적절한 두께를 확보하면서 형성되는 판체부(10)와, 상기 판체부(1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베란다의 상부파이프(50)에 체결되는 체결부(20)와, 상기 판체부(1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베란다의 하부파이프(60)에 지지되는 지지부(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A Ventilating Plate for Isolating the Line of Sight}
본 고안은 저층의 아파트, 주택 등의 베란다에 난간을 통하여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면서 외부의 시선이 실내에 미치지 않도록 차단시켜 사생활을 보호받을 수 있는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베란다의 난간은 도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 중간높이 정도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난간파이프(50)와, 건축물의 외벽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난간파이프(60)와, 상기 상부난간파이프(50) 및 하부난간파이프(60) 사이에 일정간격마다 세로로 설치되는 사이난간파이프(70)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베란다 난간에 대한 개념은 파이프를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실내에서 외부로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으로, 실내로 미칠 수 있는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는 개념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의 베란다는 외부의 시선이 실내로 직접적으로 미치게 되므로 실내의 안정된 생활이 침해 당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거주자는 항상 정신적 갈등을 가지고 생활하게 되며, 저층에 대한 선호도가 극히 저조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도 외부의 시선이 실내에 미치지 않도록 차단시켜 줌으로써 사생활을 보호받을 수 있는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베란다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패널들로 베란다에 설치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니트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니트 패널의 측면도 및 파이프에 결합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니트 패널 사이에 설치하는 이음판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통기패널 10:판체부
11:블레이드 12:통풍통로
13:구획판 14:반원판
15:이음공 20:체결부
21:걸이홈 30:지지부
31:지지플랜지 32:결합플랜지
40:사이판 41:이음돌기
50:상부난간파이프 60:하부난간파이프
70:사이난간파이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판체로 만들어지고 일정간격마다 촘촘하게 형성되는 블레이드 사이사이로 통풍이 이루어지는 통풍통로들이 뚫려지되 상기 블레이드는 내,외측 방향으로 적절한 두께를 확보하면서 형성되는 판체부와, 상기 판체부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베란다의 상부파이프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판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베란다의 하부파이프에 지지되는 지지부로 구성됨을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들에 도시하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도, 도3 및 도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하가 길다란 직사각판체로 만들어지고 상하수직 방향의 일정간격마다 촘촘하게 형성되는 블레이드(11) 사이사이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통풍통로(12)들이 뚫려지되 상기 블레이드(11)는 내,외측 방향으로 적절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판체부(10)와, 상기 판체부(1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베란다의 상부파이프(50)에 체결되는 체결부(20)와, 상기 판체부(1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베란다의 하부파이프(60)에 지지되는 지지부(30)를 그 구성요소들로 가진다는 점에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판체부(10)의 블레이드(11)는 내,외측 방향으로 적절한 두께를 가지면서 그 사이사이로 좁은 통풍통로(12)들을 형성하는 이유는, 통풍을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외부의 시선이 실내에 미치지 못하도록 블레이드(11)에 의해 차단되게 위함이다. 이러한 블레이드(11)의 배치형태는 본 실시 예에서 내,외측방향으로 가지런히 배치하고 있으나,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할 수도 있고, 일부분을 절곡시킴으로써, 통풍은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면서 외부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란다 난간에 설치되는 것을 보여준다.
즉, 판체부(10)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부(20)를 베란다의 상부파이프(50)에 체결하고, 판체부(10)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부(30)를 베란다의 하부파이프(60)에 지지시킴으로써 각 통기패널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도4참조) 따라서, 통풍통로(12)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통풍되면서 블레이드(11)를 통하여 외부의 시선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판체부(10)는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풍통로(12)들은 상하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11) 사이사이로 뚫려지되 적절한 높이에서 가로지르는 구획판(13)으로 상,하부를 구획하면서 그 상부는 상부통풍통로들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하부통풍통로들이 구분되게 형성됨을 보여준다. 이는 미적인 감각을 살려 미려감을 증대시켜 주기 위함이다.
상기 체결부(20)는 판체부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베란다 상부파이프(50)에 체결되는 구조부로서, 도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체부(10)의 상단부 내측에 형성되고 베란다의 상부파이프(50)에 걸어서 매달게 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이홈(21)이 형성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걸이홈(21)으로 베란다의 상부파이프(50)에 걸어서 매달리게 함으로써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30)는 판체부의 하부 내측에 형성되어 베란다 하부파이프(60)에 체결되는 구조부로서, 도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체부(10)의 블레이드(11) 측면에 형성되는 지지홈(16)(도3 참조)에 지지돌기가 끼워지고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1쌍의 지지플랜지(31)와, 상기 베란다 하부파이프(60)에 결합되는 1쌍의 결합플랜지(32)로 구성됨을 보여준다. 이 같이 구성되는 지지부(30)는 1쌍의 지지플랜지(31)를 약간 오므려서 통풍통로(12)속으로 넣어 주면 지지돌기가 지지홈(16)에 끼워져 지지되고, 또한 1쌍의 결합플랜지(32)를 약간 벌려서 베란다 하부파이프(60)에 밀어 결합시켜 줌으로써 지지된다.
한편,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판체부(10)의 상단부 좌우측에 각기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반원판(14)이 형성됨을 보여준다. 이때 반원판(14)은 시각적으로 미려감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외측으로 돌출시키되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점점 단턱을 형성하면서 단계적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반원판(14)은 통기패널(1)들을 연결시킬 때 도2에서와 같이, 좌우측 반원판이 서로 밀접되어 하나의 원판을 이루면서 설치된다.
또한, 반원판(14)은 외측으로 돌출될 뿐만 아니라 도3에서와 같이 좌우측으로도 약간 돌출된다. 따라서 통기패널(1)을 설치할 경우 각 통기패널(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그 공간을 차폐시켜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공간을 차폐시켜 주기 위해 별도의 사이판(40)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 즉, 도5에서와 같이, 통기패널(1) 사이의 공간에 들어갈 형태로 만들고 그 좌우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이음돌기(41)들을 형성시켜 준다. 따라서 사이판(40)의 이음돌기(41)를 판체부(10)의 좌우측 일정간격마다 천공된 이음공(15)에 끼워 연결시켜 줌으로써 통기패널 사이사이에 사이판(40)을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도2참조).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외측 방향으로 적절한 두께를 확보하면서 형성되는 블레이드(11) 사이사이로 통풍통로(12)들이 촘촘하게 형성되는 판체부(10)를 베란다 난간파이프에 설치하게 됨으로써,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도 외부의 시선이 실내에 미치지 않도록 차단시켜 주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전체적으로 직사각판체로 만들어지고 일정간격마다 촘촘하게 형성되는 블레이드(11) 사이사이로 통풍이 이루어지는 통풍통로(12)들이 뚫려지되 상기 블레이드(11)는 내,외측 방향으로 적절한 두께를 확보하면서 형성되는 판체부(10)와, 상기 판체부(1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베란다의 상부파이프(50)에 체결되는 체결부(20)와, 상기 판체부(1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베란다의 하부파이프(60)에 지지되는 지지부(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부(10)에 형성되는 통풍통로(12)들은 상하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11) 사이사이로 뚫려지되 적절한 높이에서 가로지르는 구획판(13)으로 상하부를 구획하면서 그 상부는 상부통풍통로(12)들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하부통풍통로(12)들이 구분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0)는 판체부(10)의 상단부 내측에 형성되고 베란다의 상부파이프(50)에 걸어서 매달게 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이홈(2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는 판체부(10)의 블레이드(11)에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1쌍의 지지플랜지(31)와, 상기 베란다 하부파이프(60)에 결합되는 1쌍의 결합플랜지(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부(10)의 상단부 좌우측에 각기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좌우 및 외측으로 각기 돌출되는 반원판(14)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부(10)의 좌우측 일정높이마다 이음공(15)을 천공하고 상기 이음공(15)을 통하여 통기패널 사이사이에 이음돌기(41)들이 형성되는 사이판(40)을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
KR2019990016103U 1999-08-06 1999-08-06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 KR200166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103U KR200166402Y1 (ko) 1999-08-06 1999-08-06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103U KR200166402Y1 (ko) 1999-08-06 1999-08-06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402Y1 true KR200166402Y1 (ko) 2000-02-15

Family

ID=1958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103U KR200166402Y1 (ko) 1999-08-06 1999-08-06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4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7351A (zh) * 2019-04-29 2019-09-06 西安建筑科技大学 高海拔地区新型护栏送风口及送风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7351A (zh) * 2019-04-29 2019-09-06 西安建筑科技大学 高海拔地区新型护栏送风口及送风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3572B2 (en) Multifunctional beam for sub-ceilings, sub-ceiling structure and modular system for customized sub-ceiling structure incorporating such beam
JP4467981B2 (ja) モジュラーサービスユニット
AU2017315205B2 (en) Attachment profile member allowing the passage of air and ceiling assembly comprising such a profile member
US20090023379A1 (en) Exhaust box
JP5726772B2 (ja) 洗面所の採光構造
KR200166402Y1 (ko) 베란다 시선가림용 통기패널
JP5684499B2 (ja) 建物の通気構造
JP2010095899A (ja) 屋内配線構造および建物
US20080291679A1 (en) Ventilation fan and light
JP6475999B2 (ja) 建物の天井構造
JP4043736B2 (ja) 住宅の換気システム
KR200267530Y1 (ko) 커튼레일
JP7100689B2 (ja) ユニット建物の換気システム
JP7328681B2 (ja) ダクト、換気システム、及び建物
WO2024018094A1 (es) Esquinera, conjunto de soporte, y habitáculo modular que incluye una pluralidad de dichas esquineras o conjuntos de soporte
JPH0122015Y2 (ko)
JP2004162499A (ja) 屋外吹き抜け空間を有する長屋建住宅
JP2017133265A (ja) パラペット換気構造及び換気金具
JPH0130825Y2 (ko)
JPS6340732Y2 (ko)
JP3352069B2 (ja) 軒天井の取付け構造
JP4518914B2 (ja) 住宅
KR20160109176A (ko) 화장실 환기를 위한 공동주택용 수평 덕트
JPS6214515Y2 (ko)
JPH11125443A (ja) 建物の小屋裏換気装置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