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719Y1 - 플립형 기기의 플립장치 - Google Patents

플립형 기기의 플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719Y1
KR200165719Y1 KR2019970037145U KR19970037145U KR200165719Y1 KR 200165719 Y1 KR200165719 Y1 KR 200165719Y1 KR 2019970037145 U KR2019970037145 U KR 2019970037145U KR 19970037145 U KR19970037145 U KR 19970037145U KR 200165719 Y1 KR200165719 Y1 KR 200165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flip cover
shaft
elastic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668U (ko
Inventor
박병덕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37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719Y1/ko
Publication of KR199900246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6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7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립형 기기의 플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조립시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동작이 불완전하고, 또한 기기본체와 플립커버 사이에 갭이 발생됨은 물론 낙하충격시험 또는 사용중 기기의 낙하로 인한 충격발생시 플립관련부품이 기기본체로부터 이탈되어 분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기본체의 돌출부에 형성된 축삽입공을 관통하여 양단이 플립커버에 고정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을 상기 플립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축봉의 중간부에 45。후향 경사지게 형성된 접촉물이 상기 플립커버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면서 일정각도 범위를 지나 탄성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상기 플립커버의 열림 또는 닫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물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조립작업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견고하여 낙하충격에 의한 안정성을 기할 수 있고, 또한 한 쌍의 판스프링을 결합하여서된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기 플립커버와 기기본체 간의 갭을 제거함은 물론 동작이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져 기기의 성능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플립형 기기의 플립장치
본 고안은 플립커버가 장착된 플립형 기기의 플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립형 기기란 플립커버가 달린 기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상기 플립커버는 커버를 열고 닫을 때 상기 커버가 일정각도를 지나면 사용자의 힘 작용이 없이도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커버이다. 현재 이러한 플립커버가 달린 기기의 대표적인 것은 휴대폰을 들 수 있다. 상기 휴대폰에 적용되는 플립커버는 휴대폰의 전면부에 수개 구비된 버튼을 외부로 부터 보호하는 기능과 함께 상기 플립커버의 열고 닫음으로 상기 휴대폰의 동작이 온/오프되도록 하는 기능을 겸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상기 휴대폰의 구조를 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휴대폰 본체(1)의 전면부에는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상대방의 전화번호 입력 또는 각종 정보의 입력 및 출력 동작을 위한 누름버튼(1A)이 수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누름버튼(1A)의 상부측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 또는 정보의 출력을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1B)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휴대폰 본체(1)의 전면부 상.하측에는 상대방과 말을주고 받을 수 있도록 리시버(1C) 및 마이크(1D)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 본체(1)의 하단에는 플립커버(1E)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기 버튼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립커버(1E)는 전술한 바와같이 일정범위의 회전각도를 지나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휴대폰 본체(1)와 플립커버(1E)를 연결하는 부분의 내부에 장착되어진 플립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2, 도3a 및 도3b를 참조로 하여 종래의 플립장치를 설명한다. 이는 먼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단은 플립커버(1E)와 조립되고 타측단은 휴대폰 본체(1)내의 축공(도시없음)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는 한 쌍의 회전축(2)과, 상기 휴대폰 본체(1)의 축공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조립된 상기 회전축(2)을 상기 축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와이어스프링(3)이 구비되고, 이와함께 상기 플립커버(1E)를 일정 회전각도에서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2)은 도3a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길이의 봉체(2A)로 형성되고, 일측단은 상기 플립커버(1E)와 조립되는 원형의 고정턱(2B)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의 전방측에는 상기 고정턱(2B)과 소정거리 이격된 원형의 걸림턱(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턱(2B)과 걸림턱(2C) 사이에는 플립수단으로서 타원형태로 45° 후방측으로 기울어진 단면을 갖는 캠(2D)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스프링(3)은 일정길이의 금속와이어 양측을 일측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절곡시켜 상기 휴대폰 본체(1) 내의 고정구(1F)에 끼움 고정되도록 한 쌍의 고정핀(3A)(3B)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3A)(3B)의 단부측은 다시 하향 동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회전축(2)의 캠(2D)에 끼워져 상기 회전축(2)의 걸림턱(2C)에 의한 걸림으로 상기 회전축(2)의 축공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캠(2D)을 탄력 지지토록 한 탄지핀(3C)(3D)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플립장치는 우선, 상기 회전축(2)의 일측단에 형성된 고정턱(2B)을 이용해 상기 회전축(2)을 플립커버(1E)에 조립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상기 플립커버(1E)에 조립된 회전축(2)의 타측부를 휴대폰 본체(1) 내에 형성된 축공에 삽입한 후, 와이어스프링(3)을 이용해 상기 회전축(2)을 상기 축공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와이어스프링(3)의 고정핀(3A)(3B)은 상기 휴대폰 본체(1) 내의 고정구(1F)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고정핀(3A)(3B)의 단부측을 다시 하향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절곡시켜 형성된 탄지핀(3C)(3D)은 상기 회전축(2)의 고정턱(2B)과 걸림턱(2C) 사이의 캠(2D)에 끼워짐으로써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와이어스프링(3)의 탄지편(3C)(3D)은 상기 회전축(2)의 걸림턱(2C)에 의한 걸림으로 상기 회전축(2)을 휴대폰 본체(1) 내의 축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캠(2D)을 탄력지지토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플립커버(1E)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2)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축(2)의 캠(2D)은 45。후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스프링(3)의 탄지편(3C)(3D)과 접촉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즉, 일정 회전각도까지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서 상기 와이어스프링(3)의 탄지편(3C)(3D)을 바깥쪽으로 밀면서 회전되다가 그 회전각도의 범위가 지나면 밀려났던 상기 탄지편(3C)(3D)의 탄성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축(2)과 조립된 플립커버(1E)를 일정 회전각도 이후부터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플립형 기기의 플립장치는 조립시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플립구조에 의한 플립커버의 동작이 불완전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기본체와 플립커버 사이에 갭이 발생됨은 물론 이러한 갭으로 인한 소비자들의 불만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낙하충격시험 또는 사용중 기기의 낙하로 인한 충격발생시 상기 회전축과 와이어스프링 등의 부품이 기기본체로부터 이탈되어 분해되는 경우가 많아 기기의 불안정성을 초래함은 물론 이로인해 기기의 성능 및 신뢰성 저하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견고하면서도 조립이 간편하고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휴대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2는 종래의 플립장치를 보인 휴대폰 본체의 내부 평면도.
도3a, 도3b는 종래의 플립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을 보인 것으로,
도3a는 회전축봉의 정면도.
도3b는 와이어스프링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플립장치가 적용된 휴대폰 본체의 내부 평면도.
도5a, 도5b, 도5c, 도5d는 본 고안의 플립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을 보인 것으로,
도5a는 축봉의 정면도.
도5b는 탄성부재의 정면도.
도5c는 도5b의 측면도.
도5d는 축봉과 탄성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6a, 도6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6a는 플립커버가 열린 상태에서의 축봉의 캠 위치상태도.
도6b는 플립커버의 닫힌 상태에서의 축봉의 캠 위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0 : 휴대폰 본체 10A : 플립장착부
20 : 플립커버 20A : 체결공
30 : 축봉 31:고정편
31A : 고정공 32 : 캠
40 : 탄성 부재 41, 42 : 탄성편
41A, 42A : 절곡면 41B, 42B : 탄지면
41C : 끼움공 42C : 삽입홈
42D : 끼움돌편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기본체의 돌출부에 형성된 축삽입공을 관통하여 양단이 플립커버에 고정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을 상기 플립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축봉의 중간부에 45°후향 경사지게 형성된 접촉물이 상기 플립커버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면서 일정각도 범위를 지나 탄성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상기 플립커버의 열림 또는 닫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물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립형 기기의 플립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고정수단은 상기 축봉 양단에 고정공을 갖는 고정편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편의 고정공을 상기 플립커버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공과 일치시켜 스크류로 체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두께가 얇고 일정폭 및 길이를 갖는 금속판체의 양단을 일측 동일방향으로 절곡시키고 이의 절곡부 사이를 상기 절곡방향으로 만곡지게 탄지면을 형성한 한 쌍의 탄성편을 상호 대향되게 결합시켜 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축봉의 접촉물이 상기 몸체의 각 탄지면 사이에 개재토록 기기본체의 돌출부 내부에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1은 일반적인 휴대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플립장치가 적용된 휴대폰 본체의 내부 평면도이고, 도5a, 도5b, 도5c, 도5d는 본 고안의 플립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을 보인 것이며, 도6a, 도6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는 휴대폰 본체이며, 는 플립커버이다. 상기 휴대폰 본체(10)의 하단 중간부에는 몰드물로 된 플립장착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플립장착부(10A)에는 축봉(30)이 끼워져 측방향으로 관통되는 식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축봉(30)의 양단은 플립커버(20)의 하단(상기 플립커버(20)가 닫힘상태에서의 하단부) 내부 양측에 고정된다. 이의 고정수단으로서, 상기 플립커버(20)의 내부 양측에 체결공(20A)을 갖는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축봉(30)의 양단에는 상기 체결공(20A)과 일치되어 스크류 체결되는 고정공(31A)을 갖는 고정편(31)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축봉(30)의 중간부에는 타원형태의 단면형상을 갖고 45°후향으로 기울어진 캠(32)이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 본체(10)의 플립장착부(10A)에는 상기 캠(32)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도5b, 도5c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께가 얇고 일정폭과 길이를 갖는 금속판체의 양단을 일측 동일방향으로 절곡시키고 이의 절곡면(41A)(42A) 사이를 상기 절곡방향으로 만곡지게 탄지면(41B)(42B)을 형성한 한 쌍의 탄성편(41)(42)을 상호대향되게 결합시켜 몸체를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편(41)(42) 간의 결합을 위해서 일측 탄성편(41)의 양측 절곡면(41A)에는 끼움공(41C)이 형성되고, 타측 탄성편(42)의 양단부측에는 상기 끼움공(41C)에 끼움 고정되는 끼움돌편(42D)이 형성된다. 이와함께 상기 타측 탄성편(42)에는 상기 탄성편(41)(42)의 각 탄지면(41B)(42B) 사이에 축봉(30)의 중간부 캠(32)이 개재되어 탄력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축봉(30)의 양단이 삽입되는 삽입홈(42C)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42C)은 상기 타측 탄성편(42)의 전방측에서 후방측 일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그 깊이는 상기 축봉(30) 삽입시 상기 축봉(30)의 중간부 캠(32)이 상기 각 탄성편(41)(42)의 탄지면(41B)(42B) 사이의 중간부에 위치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42C)의 끝부분은 삽입된 축봉(30)이 회전될 수 있게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 및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한 쌍의 탄성편(41)(42)을 결합하여서된 탄성부재(40)의 몸체를 휴대폰 본체(10)의 하단 중간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플립장착부(10A)에 끼워 조립한다. 그리고 다시 축봉(30)을 상기 몸체의 일측 탄성편(42)에 형성된 삽입홈(42C)에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축봉(30)의 중간부에 타원형태의 단면으로 45。후향으로 기울어진 캠(32)이 상기 몸체의 각 탄지면(41B)(42B) 사이에 개재되도록 삽입하여 조립한다. 그런 다음 상기 축봉(3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31)의 고정공(31A)을 플립커버(20)의 하단 양측 보스에 형성된 체결공(20A)과 일치시켜 스크류 체결함으로써 일련의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플립커버(20)를 열림방향 또는 닫힘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몸체를 구성하는 각 탄성편(41)(42)의 탄지면(41B)(42B) 사이에 개재되고 타원형태로 45。후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축봉(30)의 중간부 캠(32)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편(41)(42)의 탄지면(41B)(42B)과 미끄럼 접촉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축봉(30)의 캠(32)은 상기 탄성편(41)(42)에 의한 탄성력을 받게 되고, 이의 탄성력으로 상기 축봉(30)의 캠(32)이 일정각도에서부터 회전됨으로써 상기 축봉(30)과 결합된 플립커버(20)를 일정각도의 열림 또는 닫힘방향에서 자동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6a 및 도6b를 참조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6a는 플립커버(20)가 열려진 상태에서 닫혀지는 과정의 캠(32) 작용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플립커버(20)를 계속적으로 닫힘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캠(32)은 상.하 대향되게 만곡진 탄성편(41)(42)의 탄지면(41B)(42B)을 바깥쪽으로 밀어 내면서 계속회전되다가 도6b의 상태에서는 바깥쪽으로 밀려났던 상기 탄성편(41)(42)의 각 탄지면(41B)(42B)이 자체 복원력으로 상기 캠(32)에 탄성을 가하게 됨으로써 상기 캠(32)은 사용자의 힘 작용없이 자동으로 회전되어 상기 플립커버(20)를 자동으로 닫을 수 있게 되고, 다시 상기 플립커버(20)를 열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의 역순으로 동작되면서 자동으로 상기 플립커버(20)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커버가 달린 가전제품이나 사무용품 등과 같은 모든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같이 본 고안은 플립구조에 필요한 부품을 모듈화하여 조립하므로 조립작업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견고하여 낙하충격에 의한 안정성을 기할 수 있고, 또한 한 쌍의 판스프링을 결합하여서된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기 플립커버와 기기본체 간의 갭을 제거함은 물론 동작이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져 기기의 성능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4)

  1. 기기본체의 돌출부에 형성된 축삽입공을 관통하여 양단이 플립커버에 고정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을 상기 플립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축봉의 중간부에 45°후향 경사지게 형성된 접촉물이 상기 플립커버의 회전과 함게 회전되면서 일정각도 범위를 지나 탄성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상기 플립커버의 열림 또는 닫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물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립형 기기의 플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봉 양단에 고정공을 갖는 고정편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편의 고정공을 상기 플립커버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공과 일치시켜 스크류로 체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플립형 기기의 플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두께가 얇고 일정폭 및 길이를 갖는 금속판체의 양단을 일측 동일방향으로 절곡시키고 이의 절곡면 사이를 상기 절곡방향으로 만곡지게 탄지면을 형성한 한 쌍의 탄성편을 상호 대향되게 결합시켜 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축봉의 접촉물이 상기 몸체의 각 탄지면 사이에 개재토록 기기본체의 돌출부내부에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립형 기기의 플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탄성편의 절곡면에는 끼움공을 형성하고, 타측탄성편의 절곡면에는 끼움돌편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플립형 기기의플립장치.
KR2019970037145U 1997-12-13 1997-12-13 플립형 기기의 플립장치 KR200165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145U KR200165719Y1 (ko) 1997-12-13 1997-12-13 플립형 기기의 플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145U KR200165719Y1 (ko) 1997-12-13 1997-12-13 플립형 기기의 플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668U KR19990024668U (ko) 1999-07-05
KR200165719Y1 true KR200165719Y1 (ko) 2000-01-15

Family

ID=1951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145U KR200165719Y1 (ko) 1997-12-13 1997-12-13 플립형 기기의 플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7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668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96275B2 (ja) 携帯用電話機のカバー開閉機構
US4605312A (en) Watchband/watchcase connection
JP4562083B2 (ja) 小型電子機器
KR200165719Y1 (ko) 플립형 기기의 플립장치
KR20090052918A (ko)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6245503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2056744A (ja) スイッチ装置
JP4553088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4296231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4205619B2 (ja) 扉の取付構造
KR100747455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JP2000269662A (ja) 開閉蓋の取り付け構造及びそれに使用する支持軸構造並びに開閉蓋構造
WO1999046466A1 (en) Battery door assembly
KR200226693Y1 (ko) 힌지장치
KR920003695Y1 (ko) 기기 케이스의 구조
JP4502271B2 (ja) 操作ノブ構造
JP2529817B2 (ja) 平面ハンドル
JPS5814209Y2 (ja) 蓋体ロック部材
JPH057647U (ja) 蓋の取付け構造
JPH08105256A (ja) 扉状開閉体のロック構造
KR200204928Y1 (ko)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 장치
KR940004118Y1 (ko) 중, 대형 컴퓨터의 후면판넬 개폐장치
KR200236056Y1 (ko) 가구용 자물쇠
JP3143862B2 (ja) 押圧スイッチ
JP3468353B2 (ja) 箱体と蓋体の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