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695Y1 - 기기 케이스의 구조 - Google Patents

기기 케이스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695Y1
KR920003695Y1 KR9202899U KR920002899U KR920003695Y1 KR 920003695 Y1 KR920003695 Y1 KR 920003695Y1 KR 9202899 U KR9202899 U KR 9202899U KR 920002899 U KR920002899 U KR 920002899U KR 920003695 Y1 KR920003695 Y1 KR 920003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inge
hinge member
case means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끼 스쯔끼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6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6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on hinges or pivo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6Thermal details
    • H05K2201/066Heatsink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기 케이스의 구조
제1도는 개폐 가능한 한벌의 기기케이스를 갖는 소형 전자계산기의 전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기기케이스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연결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기기케이스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연결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기기케이스의 연결부분의 확대 분해 사시도.
제5도는 기기케이스를 폐쇄한 상태의 연결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6도는 기기케이스를 제5도의 위치에서 대략 수직으로 개방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
제7도는 기기케이스를 제6도의 위치에서 더 개방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
제8도는 기기케이스를 제7도의 위치에서 더 개방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
제9도는 제5도에 도시한 기기케이스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제5도에 도시한 개폐 가능한 기기케이스를 갖는 소형전자 계산기의 전체의 외관 사시도.
제11도는 경사유지기구를 갖는 기기케이스의 연결부분을 축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경사유지기구의 요부 부재의 사시도.
제13도는 기기케이스의 연결부분을 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기기케이스를 약 45°정도로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기기케이스를 대략 수직으로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6도는 기기케이스를 제15도의 위치에서 더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17도는 기기케이스를 제16도의 위치에서 더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18도는 제13도에 도시한 기기케이스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19도는 제11도에 있어서의 경사유지기구의 상이한 동작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20도는 제16도에 도시한 기기케이스를 폐쇄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102 : 제2케이스 3, 103 : 제1케이스
6, 106 : 힌지부재 7, 107 : 키보드
10, 110 : 접속부재 12, 13, 112, 113 : 힌지수납부
109 : 액정표시패널 143, 144 : 지지축
170, 180 : 경사유지기구 181, 183 : 래칫
본 고안은 한벌의 케이스의 각각의 내부에 수납된 전자부품을 가요성 접속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접을 수 있는 기기케이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소형 전자계산기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는 접는식으로 된 것이 있다.
이와같이 접는식으로 된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그 합성수지제의 기기케이스는 힌지로 결합된 한벌의 케이스로 구성되며, 또한, 기기케이스내에 수납되는 여러 가지의 전자부품(예를들면 전자계산기의 경우, 키보드, 회로기판 및 액정표시패널등)은 각 케이스에 분산되어서 수납되고, 각 케이스에 분산수납된 전자부품 사이는 가요성 접속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은 접는 식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종래의 연결구조는 각 케이스의 대향측부 각각의 양 단자에 설치된 통형의 힌지부재 및 이들 통형의 힌지부재의 축중심구멍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 힌지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케이스는 양단의 각 힌지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되고, 그 회동에 의하여 양 케이스를 열면 기기는 사용상태로 할 수가 있고, 양 케이스를 닫으면 기기불사용의 접힌 상태로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 힌지를 사용하는 종래의 기기케이스의 구조에서는 양 케이스가 열린 사용상태로 있을 때, 양 케이스가 닫혀져서 불사용 상태에 있을 때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접속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상 나쁘고, 또한 접속부재가 외부로부터 손상을 받아 단선되기 쉬운 것이었다.
또한, 접속부재는 케이스를 개폐할 경우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굴곡되지만, 종래의 구조에서는 이 접속부재의 굴곡각도는 케이스의 회전각도와 대략 동일량이고, 케이스가 180° 회전되는 구조이라면, 접속부재도 대략 180°굴곡되는 것이 되고, 굴곡 각도가 매우 크게 변화되었다.
이 때문에, 케이스의 개폐동작에 수반하여 접속부재에 가해지는 반복 하중에 의한 피로가 커서 내구성이 떨어지는 구조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으로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접속의 신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고급감을 구비한 기기케이스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기케이스의 구조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에 지지된 전자부품을 가요성 접속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제1 및 제2케이스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기기케이스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를 연결하는 힌지부재에 상기 접속부재를 삽입하는 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힌지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중심이 되는 지지축과, 상기 제2케이스와 상기 힌지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중심이 되는 지지축을 별개로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기기케이스의 구조에 있어서는 양 케이스에 간직된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재는 힌지부재의 홈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접속부재가 외부로부터 손상을 받는 일이 없고, 기기에 고급감을 부여할 수가 있다.
또한, 각 케이스는 힌지부재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기 때문에, 각 케이스와 힌지부재의 회동각도는 회동중심축이 한개인 종례구조의 절반이 된다.
이 때문에, 케이스의 회동에 수반하여 굴곡되는 접속부재의 굴곡각도도 종래보다 절반정도 감소되어 케이스의 개폐에 수반하는 반복하중에 대한 피로가 격감한다.
이것에 의하여, 접속부재의 내구성이 향상하고, 신뢰성이 증대한다.
이하, 본 고안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소형, 예를들면 포켓형의 접는식 전자계산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전자계산기의 표시부를 개방한 상태의 요부확대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제3도는 제1도의 전자계산기의 표시부를 폐쇄한 상태의 요부확대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기기케이스(1)는 각각 합성수지로 형성된 한벌의 케이스(2, 3)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케이스(2, 3)는 각각 상부케이스(2a, 3a)와 하부케이스(2b, 3b)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제2도 및 제3도 참조).
각 케이스(2, 3)에는 합성수지제의 긴 직사각형으로 된 힌지부재(6)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 힌지부재(6)도 상측힌지(18)와 하측힌지(19)를 조합하여 구성된다(제2도, 제3도 참조).
한 케이스(2) 내에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7)가 수납되고, 다른 케이스(3) 내에는 키보드(7)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집적회로칩(도시되지 않음)등의 전자부품을 갖는 회로기판(8) 및 처리된 연산결과 등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9)이 수납되어 있다.
이 경우 키보드(7)와 회로기판(8), 회로기판(8)과 액정표시패널(9)은 각 가요성 접속부재(10, 11)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 케이스(2)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2a)와 하부케이스(2b)는 각기 일측부에 절결부(14, 17)가 형성되어, 양방의 절결부(14, 17)에 의하여 힌지부재(6)의 상반부를 수납하는 힌지수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케이스(3)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3a)와 하부케이스(3b)는 각각 절결부(14, 17)에 대향하는 일측부에 절결부(15, 16)가 형성되고, 양방의 절결부(15, 16)에 의하여 힌지부재(6)의 하반부를 수납하는 힌지수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재를 구성하는 상측힌지(18) 및 하측힌지(19)는 기본적으로는 대칭형상을 하고 있다.
즉, 어느것이나 단면 사다리꼴의 기둥형상의 중앙부가 있고, 각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각각 수평형상의 플랜지{(20, 21) 및 (22, 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측힌지(18)의 플랜지(20, 21)에는 상부 케이스(2a, 3a)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 24 및 25, 제2도)가 걸어맞춰진다.
또 상측힌지(18)의 하면측 중앙부에는 상기 키보드(7)와 회로기판(8)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재(10)를 삽입시키기 위한 얕은 광폭의 홈(2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측힌지(18) 및 하측힌지(19)의 내면측에는 반원주형의 오목부(33, 34)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힌지(19)의 길이방향의 일단과 타단에는 오목부(34)를 막는 벽(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벽(30)은 도시는 되어 있지 않으나, 상측힌지(18)에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하측힌지(19)에는 오목부(33)내로 돌출된 나사구멍(35)을 갖는 보스(3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힌지(18) 및 하측힌지(19)의 각각의 벽(3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반원통형의 홈(37, 38)이 형성되고, 상측힌지(18)의 양측의 플랜지(20, 21) 및 하측힌지(19)의 양측의 플랜지(22, 23)의 단부에는 각각 양자를 결합하는 나사(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삽입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하측힌지(19)는 오목부(34)를 상측을 향한 상태로하여 절결부(16 및 17)내에 수납되고, 그 양측의 플랜지(22, 23)가 힌지수납부(12, 13)의 플랜지(40, 41)상에 배치된다.
하측힌지(19)의 벽(30)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홈(37. 38)에는 각각 U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금속제의 지지축(42)이 끼워지게 된다.
이 지지축(42)은 각 축부(43, 44)의 선단이 하부케이스(2b, 3b)의 각 절결부(16, 17) 단부에 홈(37, 38)과 평행하게 형성된 구멍(45, 46)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나사(47)의 나사부는 U자형의 지지축(42)의 2개의 축부사이에 삽입되어 보스(36)의 나사구멍(35)에 죄여진다.
이것에 의하여, U자형 지지축(42)의 2개의 축부가 나사(47)의 헤드부에 의하여 보스(36)의 외면에 압착되어 하측힌지(19)에 고정된다. 또한, 상측힌지(18)는 가요성 접속부재(10)를 홈(28)내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오목부(33)가 하측을 향하게 양측의 플랜지(20, 21)를 하측힌지(19)의 양측의 플랜지(22, 23)에 겹쳐지게 하고, 각각 나사구멍(39)에 나사(도시생략)를 조이게 하므로써 조립된다.
이것에 의하여 양 케이스(2, 3)가 힌지부재(6)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결합된다.
키보드(7)를 수납하는 케이스(2)의 상부케이스(2a)에는 키보드(7)보다도 한둘레 작은 형상의 키보드용 개구(49)가 형성되어 있다.
또 회로기판(8) 및 액정표시패널(9)을 수납하고 있는 다른 케이스(3)의 상부케이스(3a)에는 긴 사다리꼴의 표시용 개구(51)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a, 3a)는 각기 하부케이스(2b, 3b)에 겹쳐져서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나사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상부케이스(2a, 3a)가 하부케이스(2b, 3b)에 조합되면 상측힌지(18)는 그 플랜지(20, 21)가 상부케이스(2a, 3a)에 형성된 돌기부(24, 25)에 걸어맞춘 상태로 절결부(16 및 17)내에 수납된다.
키보드(7)는 중공메사(mesa) 형태의 다수의 조작부(52)를 보유하는 고무제의 조작보드(53) 및 가동접점시트(54)와 고정접점시트(55)가 일체화된 시트에는 스페이서층이 인쇄되어 있다.) 접점시트(56)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보드(53)는 접점시트(56)상에 적층되어 접착 고정되어 있다.
이 키보드(7)는 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조작부(52)를 내리누르면 접점시트(56)가 변형되어 그 내리눌려진 조작부(52)에 대응하는 가동접점이 고정접점과 접촉한다.
또 조작부(52)를 내리누르지 않으면 접점시트(56)의 탄성복원에 의하여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소형 전자계산기에서는 한 케이스 내에 수납된 키보드(7)는 다른 케이스(3) 내에 수납된 회로기판(8)과 액정표시패널(9)에 힌지부재(6)를 삽입한 접속부재(6)를 삽입한 접속부재(1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 키보드(7)와 회로기판(8)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재(10)는 하측힌지(19)의 상면을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하측힌지(19)에 상측힌지(18)를 결합할 경우에 상측힌지(18)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28)에 삽입된다(제2도, 제3도).
또 홈(28)에 삽입된 접속부재(10)는 상부케이스(2a, 3a)에 형성된 반원주형의 돌기부(59, 60)에 의해 가이드 된다(제2도, 제3도).
돌기부(59, 60)는 절결부(14, 15)의 돌기부(24, 25)와 상측힌지(18)의 플랜지(20, 21) 사이에 접속부재(10)가 끼워지지 않도록 접속부재(10)를 외측으로 내미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소형 전자계산기에 있어서는 키보드(7)를 수납하고 있는 케이스(2)는 힌지부재(6)에 고정된 지지축(42)의 한 축부(43)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또, 회로기판(8) 및 액정표시패널(9)을 수납하고 있는 다른 케이스(3)는 힌지부재(6)에 고정된 지지축(42)의 다른 축부(44)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 경우 각 케이스(2, 3)의 대향 측부에는 각 케이스(2, 3)가 개방된 때에도 각 케이스(2, 3)가 폐쇄된 때에도 힌지부재(6)에 의한 간격이 생기지 아니한다.
따라서, 외관상 보기 좋고, 접속부재(10)가 힌지부재(6) 내에 삽입되어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외부부재에 의하여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
또한 각 케이스(2, 3)는 상이한 축부(43, 44)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므로 접속부재(10)의 절곡각도는 0∼90°의 범위로 제한되어 내부의 배선이 단선되는 일은 없다.
또한 힌지부재(6)는 나사(47)로 고정되어 있는 지지축(42)을 제거하면 분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성도 양호하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U자형으로 절곡한 지지축(42)을 두 부분으로 사용한 경우를 표시하였지만, 네부분의 축으로 치환할 수가 있다.
또, 양단의 구멍(45 또는 46)사이에 도달하는 길이의 축이라면 두 부분으로된 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중심이 되는 축은 케이스 또는 힌지부재의 어느 것인가에 일체성형하여 부품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다음에 그 일예를 제시한다.
제4도는 제2도 실시예를 도시하고, 케이스부재와 힌지부재의 연결부분의 확대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는 하부케이스(2b, 3b)에는 힌지수납부(13)의 길이 방향 양단면(한단면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각각 핀 형태로 돌출형성된 작은 직경의 한쌍의 지지축(61, 62)이 일체 성형되어 있다.
한 하측힌지(19)의 오목부(34) 양단부(한단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좌우의 수직벽(63, 64)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수직벽(63, 64)의 외면에 지지축(61, 62)에 걸어맞춰지는 한쌍의 오목부(63a, 64b)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벽(63, 64)은 가요성을 가지며 이 수직벽(63, 64)을 내향으로 휘어지게 하면서 오목부(63a, 64b)를 지지축과 한쌍의 오목부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통해, 돌기부를 하측힌지(19)측에 설치하고, 오목부를 하부케이스(2b, 3b)측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어느 것이나 한 케이스(2)를 다른 케이스(3)에 대하여 단순하게 개폐하는 것 뿐이었지만, 한 케이스(2)를 다른 케이스(3)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은 그러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이하 제5도∼제10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제10도는 소위 접는식 소형 전자계산기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이 소형 전자계산기에서는 한 케이스(102)와 다른 케이스(103)로 구성된 기기케이스(101)가 구비되어 있다.
한 케이스(102)와 다른 케이스(103)와의 연결 부분에는 힌지수납부(112, 113)가 설치되어 있다.
힌지수납부(112, 113)에는 긴 광폭의 힌지부재(106)가 배치되어 있다. 후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각 케이스(102, 103)가 힌지부재(106)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 케이스(102)에는 계산데이터등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107)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케이스(103)에는 키보드(107)로부터 입력된 계산데이터나 그 연산결과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109)이 설치되어 있다.
액정표시패널(109)의 하방에 있어서의 다른 케이스(103)의 내부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 소형 전자계산기의 전자회로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자부품이 배치된 회로기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로기판은 도시되어 있지 않는 가요성 필름을 통하여 액정표시패널(109)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5도∼제9도는 제3실시예의 기기케이스의 연결부분의 확대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한 케이스(102)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하여 결합된 하부케이스(102b)와 상부케이스(102a)로 되어 있다.
다른 케이스(103)는 도시되지 않는 나사에 의하여 결합된 하부케이스(103b)와 상부케이스(103a)로 되어 있다.
힌지부재(106)는 대략 대칭적인 형상의 하측힌지(119)와 상측힌지(118)를 구비하고 있다.
양 힌지(118, 119)는 각각의 폭방향 양단에 각각 플랜지(120, 121, 122, 123)를 구비하여, 각각 겹쳐진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하여 결합되어 힌지부재(106)를 구성하고 있다.
한 케이스(102)는 힌지부재(106)에 고정된 한 지지축(143)을 중심축으로 하여 힌지부재(106)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다른 케이스(103)는 다른 지지축(144)을 중심축으로 하여 힌지부재(106)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한 케이스(102)와 다른 케이스(103)는 힌지부재(106)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중심축 즉, 힌지축(143)과 다른 힌지축(14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하측힌지(119)의 양 플랜지(122, 123)의 내면측에는 각기 소정의 범위에 걸쳐서 홈(128)이 형성되어 있다.
홈(128)에는 가요성 접속부재(110)가 삽입되어 있다.
가요성 접속부재(110)는 한 케이스(102)에 설치된 키보드(107)와 다른 케이스(103)에 설치된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그 일단이 키보드(107)에 접속되어 그 중심이 힌지부재(106)의 홈(128)을 통하여 힌지부재(106)의 내부를 통하고, 그 타단이 회로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케이스(103)내의 힌지수납부(112)의 근방에는 경사유지기구(170)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유지기구(170)는 캠부재(171)와, 이 캠부재(171)를 힌지수납부(112)측에 가세하는 압축코일 스프링(175)과, 캠부재(171)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홈(176)을 가진 지지부(177)를 구비하고 있다.
캠부재(171)는 접촉부(172)와 슬라이딩부(174)가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슬라이딩부(174)는 안내홈(176)에 삽입된 다음, 그 일단부에 링(178)이 끼워 맞춰져서 지지부(177)에 대해 이탈방지 된다.
지지부(177)는 상부 케이스(103a)와 일체 성형되게 되어 있지만, 별개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코일 스프링(175)은 캠부재(171)와 지지부(177)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캠부재(171)를 화살표(A)방향으로 가세하고 있고, 보통은 링(178)이 지지부(177)에 접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캠부재(171)의 접촉부(172)에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측힌지(118)의 플랜지(120)와 걸어맞춰지는 평탄한 캠면(173a)과 이 캠면(173a)에 연속된 대략 원호형의 캠면(173b)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제3실시예의 기기케이스의 구조의 개폐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5도는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다른 케이스(103)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한 케이스(102)의 상면에 다른 케이스(103)가 겹쳐지고, 또 양 힌지부재(106)가 대략 수직으로 기립하는 상태이다.
이 때문에, 가요성 접속부재(110)는 힌지부재(106)의 양단측에 있어서 각각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캠부재(171)는 링(178)이 지지부(177)에 접해 있는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다른 케이스(103)를 개방해가면, 다른 케이스(103)가 다른 지지축(144)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른 케이스(103)가 다른 지지축(144)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45°회동된 위치에서는 다른 케이스(103)와 함께 이동하는 캠부재(171)의 캠면(173a)이 상측힌지(118)의 플랜지(120)에 접촉한다.
이 사이에 힌지부재(106)와 한 케이스(102)는 힌지축(143)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한 케이스(102)와 다른 케이스(103)의 회동각도는 약 90°가 된다.
따라서,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른 케이스(103)는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대략 수직위치로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는 캠부재(171)의 캠면(173a)은 상측힌지(118)의 플랜지(120)에 압축코일 스프링(175)의 탄성력으로 압접되어 있다.
그러나, 한 케이스(102)와 힌지부재(106)의 회동에는 지지축(143)과 한 케이스(102)의 회전마찰력 이외에는 하등의 저항력도 작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의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다른 케이스(103)를 더 개방하여 가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른 케이스(103)와 힌지부재(106)가 지지축(144)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가 되어 회동되며, 상측힌지(118)의 플랜지(121)가 한 케이스(102)의 상부케이스(102a)의 힌지수납부(112) 근방의 내면에 접한다.
이 상태가 되면, 캠부재(171)의 캠면(173a)은 상측힌지(118)의 플랜지(120)에 접하고, 또한 상측힌지(118)의 플랜지(121)가 한 케이스(102)의 상부케이스(102a)의 내면에 접하기 때문에 힌지부재(106)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다른 케이스(103)의 회동이 일시적으로 저지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다른 케이스(103)에서 손을 떼더라도, 다른 케이스(103)가 제7도에 도시한 경사위치, 즉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수직보다도 약간 큰 각도로 회동된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다른 케이스(103)를 더욱더 개방해 나가면,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캠부재(171)의 캠면(173b)이 우선, 상측힌지(118)의 플랜지(120)의 단면에 연속하여 하측힌지(119)의 플랜지(122)의 단면에 접촉된다.
이 때문에 캠부재(171)는 압축코일 스프링(175)의 스프링력에 항거하여 화살표(B)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된다.
이 경우에는, 압축코일 스프링(175)의 스프링력에 항거하여 다른 케이스(103)를 개방하는 것이 되므로, 다른 케이스(103)의 회동에 적당한 부하가 부여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다른 케이스(103)룰 더 개방하면,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캠부재(171)의 접촉부(172)가 하측힌지(119)의 플랜지(122)의 아래쪽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수반하여, 캠부재(171)가 압축코일 스프링(175)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힌지부재(106)의 플랜지(120, 122)는 다른 케이스(103)의 상부케이스(103a)의 내면과 캠부재(171)의 접촉면(172)사이에 유지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다른 케이스(103)의 상부케이스(103a)의 내면에 상측힌지(118)의 플랜지(120)와 접하므로써, 다른 케이스(103)는 그 이상의 회동이 저지되며, 또 캠부재(171)의 접촉부(172)와 하측힌지(119)의 플랜지(122)가 상호 대향하므로써, 다른 케이스(103)의 반대방향으로의 회동, 즉 폐쇄되는 방향으로의 회동이 일시적으로 저지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다른 케이스(103)가 한 케이스에 대하여 최대로, 즉 180°회동된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한편,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 있는 다른 케이스(103)를 폐쇄할 경우에는, 상측힌지(118)의 플랜지(121)가 한 케이스(102)의 상부케이스(102a)의 내면에 단순히 접하고, 또 캠부재(171)의 캠면(173a)이 상측힌지(118)의 플랜지(120)에 단순히 압접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약한 조작력으로 다른 케이스(103)를 폐쇄할 수가 있다.
다음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 있는 다른 케이스(103)를 폐쇄할 경우에는, 캠부재(171)의 캠면(173a)이 상측힌지(118)의 플랜지(120)의 단면에 의하여 압접되고, 캠부재(171)가 압축코일 스프링(175)을 압축하여 화살표(B)방향으로 어느정도 이동되어 있으므로, 다른 케이스(103)의 회동에 적당한 부하가 부여되게 된다.
따라서, 다른 케이스(103)의 회동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될 때 까지는 비교적 강한 조작력이 필요하게 된다.
다음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 있는 다른 케이스(103)를 폐쇄할 경우에는, 다른 케이스(103)에, 이 케이스(103)를 일으켜 세우는 방향으로 상당히 강한 외력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이 조작에 의하여, 하측힌지(119)의 플랜지(122)가 접촉부(172)의 캠면(173b)을 누른다.
이 때문에 이 누름력에 의하여 캠부재(171)가 압축코일 스프링(175)을 압축하면서 화살표(B) 방향을 이동한다.
이와같이 하여, 우선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므로, 다른 케이스(103)를 폐쇄하는 초기에는 제8도에 도시한 경우보다도 더욱 강한 조작력이 필요하다.
이와같이 제3실시예에 도시한 기기케이스 구조에서는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다른 케이스(103)를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 보다도 약간 큰 각도로 개방하면, 이 개방위치에 다른 케이스(103)를 정지할 수가 있다.
다른 케이스(103)의 경사상태는 제10도의 외관도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 개방위치에서 다른 케이스(103)를 제9도에 도시한 최대로 개방한 위치에서는, 다른 케이스(103)는 개폐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회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다른 케이스(103)의 안정이 양호하며, 이 상태에서의 키 입력등의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캠부재(171)의 캠면(173a, 173b)을 계단식으로 하여, 다른 케이스(103)를 단계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다른 케이스(103)를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보다도 약간 큰 각도의 범위로 개폐할 경우에는 경사유지기구(170)에 의한 압접력이 작용하지 못하므로, 다른 케이스(103)의 개폐를 비교적 약한 조작력으로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경사유지기구(170)를 다른 케이스(103)에 설치하고 있지만, 다른 케이스(103)가 아닌 한 케이스(102)에 설치해도 좋고, 또 양 케이스(102, 103)에 설치하여도 된다.
다른 케이스(103)를, 예를들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위치로부터 더 이상 개방되지 않게 하여도 되고, 이 경우에는 압축코일 스프링(175)을 없애고 캠부재(171)를 다른 케이스(103)에 나사에 의하여 고정하면 된다.
다음에 다른 케이스(103)를 상이한 경사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실시예를 제시한다.
제11도 내지 제20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기기케이스(101)에는 제3실시예에서 제시된 경사유지기구(170) 대신에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경사유지기구(180)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경사유지기구(180)에 대하여 제11도 및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경사유지기구(180)는 힌지부재(106)와 다른 케이스(103)의 연결부분의 한쪽에 설치되어 있고, 고정래칫(181) 및 가동래칫 구성체(183)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래칫(181)은 다른 케이스(103)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103a) 및 하부케이스(103b)의 힌지부재(106)와의 연결면에 방사상의 톱니부(18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상부케이스(103a) 및 하부케이스(103b)에는 각기 고정래칫(181)의 톱니부(18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반원통형의 홈(146a, 146b)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부케이스(103a, 103b)가 조합되면 고정래칫(181)의 중심부에 원통형의 축구멍(146)이 형성된다.
또한 가동래칫 구성체(183)는 일단면에 방사상태의 톱니부(184)가 있는 링 형태의 래칫부(185)와, 이 래칫부(185)의 타단면 중앙부에 설치된 원통형의 축부(186)와, 래칫부(185) 및 축부(186)의 축중심부에 설치된 축구멍(187)과, 래칫부(185)의 외주부의 축중심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홈(188)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가동래칫 구성체(183)는 그 축구멍(187)을 통하여 다른 지지축(144)에 슬라이딩 가능하고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가동래칫 구성체(183)의 톱니부(184)는 고정래칫(181)의 톱니부(182)와 대향하고 있다. 가동래칫 구성체(183)의 축부(186) 단면에는 이 가동래칫 구성체(183)를 고정래칫(181)측에 입착하는 압축코일 스프링(190)이 배치되어 있다.
압축코일 스프링(190)은 다른 지지축(144)에 삽입되어 부착된다.
다른 지지축(144)은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144b)측이 제11도에 있어서의 도면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른 지지축(144)은 상술한 일단(144b)을 힌지부재(106)의 벽(104)에 접하여 이탈이 방지되어 있다.
한편, 상하측힌지(118, 119)의 연결부분에는 래칫 받이부(191)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래칫 받이부(191)는 가동래칫 구성체(183)의 외형 형상에 대응하는 대경구멍(192)과 소경구멍(193)으로 된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또 대경구멍(192)의 내주벽면에 축중심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194)를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래칫 구성체(183)의 래칫부(185) 및 축부(186)는 대경구멍(192) 및 소경구멍(193)에 삽입된다.
이 경우, 가동래칫 구성체(183)는 그 홈(188)에 돌기부(194)를 끼워맞춤으로서 래칫 받이부(191)내에 회전이 정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것 이외의 부분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3실시예와 동일하고, 동일부재에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기케이스의 개폐구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1도 및 제13도는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다른 케이스(103)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 케이스(102) 상면에 다른 케이스(103)가 겹쳐져 힌지부재(106)가 대략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에 있다.
또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축코일 스프링(190)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가세되어 있는 가동래칫 구성체(183)의 래칫부(185)의 톱니부(184)가 고정래칫(181)의 톱니부(182)와 맞물려 있다.
한편, 힌지부재(106)에 고정된 한 지지축(143)과 케이스(102)에는 거의 하등의 저항력도 작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13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다른 케이스(103)에 개방방향의 외력을 부여하면,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른 케이스(103)와 힌지부재(106)와의 위치관계는 고정된 그대로 지지축(143)의 중심으로 하여,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즉, 이 상태에서는 다른 케이스(103)가 힌지부재(106)와 함께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거의 하등의 저항력을 받는 일없이 원활하게 회동한다.
그리고, 제15도는 도시한 바와같이 다른 케이스(103)와 한 케이스(102)가 대략 직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힌지부재(106)도 대략 평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 위치에 도달하면 힌지부재(106)의 한 플랜지(121)가 한 케이스(102)의 내면에 접하게 되어, 힌지부재(106)는 이 이상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다른 케이스(103)의 회동이 일시적으로 저지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다른 케이스(103)가 제15도에 도시한 경사위치, 즉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개방된 위치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다른 케이스(103)를 더 개방할 경우, 즉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직 위치보다도 큰 각도로 회동할 경우에는 경사유지기구(180)가 동작한다.
즉, 제15도의 상태에서는 힌지부재(106)의 플래지(121)가 한 케이스(103)를 다른 지지축(144)을 중심으로 하여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는 데에는 다른 케이스(103)를 경사유지기구(180)의 압축코일 스프링(190)의 스프링력에 항거하여 조작할 필요가 있다.
즉, 이 위치에 있어서의 다른 케이스(103)의 회동동작에는 압축코일 스프링(190)에 의한 저항력을 받는다.
이 저항력에 항거하여 다른 케이스(103)를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면, 다른 케이스(103)와 함께 고정래칫(181)이 회동된다.
즉, 고정래칫(181)의 톱니부(182)가 다른 지지축(144)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제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래칫 구성체(183)의 톱니부(184)가 압축코일 스프링(190)의 스프링력에 항거하여 고정래칫(181)의 톱니부(182)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탈하고, 이후에 압축코일 스프링(190)의 반발력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맞물리게 되어, 제11도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다른 케이스(103)가 다른 지지축(14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된다.
이와 같이, 제15도의 상태에서 다른 케이스(103)를 더욱 개방방향으로 회동할 경우에는 압축코일 스프링(190)의 스프링력에 항거하여 다른 케이스(103)를 개방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다른 케이스(103)의 회동에 소정의 저항력이 부여된다.
이 경우, 고정래칫(181)의 톱니부(182)가 가동래칫 구성체(183)의 톱니부(184)의 홈에 대향하고 있는 위치, 예를 들면, 다른 케이스(103)의 톱니부(184)의 홈에 대향하고 있는 위치, 예를 들면, 다른 케이스(103)가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개방된 위치에서도 양래칫(181, 183)의 맞물림 작용에 의하여 다른 케이스(103)가 이 도면에 도시한 경사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다른 케이스(103)을 더욱 개방하면,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른 케이스(103)의 상부 케이스(103a)의 내면이 상측힌지(118)의 플랜지(120)에 접하고, 다른 케이스(103)도 그 이상의 회동이 저지된다.
다음은 케이스를 폐쇄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른 케이스(103)가 제14도 및 제15도의 경사위치에 있을 경우, 힌지부재(106)에 고정된 한 지지축(143)은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거의 하등의 저항력을 받는 일없이 회전한다.
즉, 이 상태에서는 다른 케이스(103)는 그 자중에 의하여서도 폐쇄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상태에서는 키보드(107)에 대하여 액정표시 패널(109)이 하향으로 되어 있어,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다른 케이스(103)를 폐쇄하는 일은 거의 없다.
있다고 하더라도, 아무 목적도 없이 단순히 케이스 개폐동작을 시험하는 경우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는 케이스(102, 103)는 확실하게 손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다른 케이스(103)가 자중에 의하여 한 케이스(102)에 충격적으로 폐쇄되는 일은 없다.
제16도, 제17도 및 제18도의 상태에서는 다른 케이스(103)도 다른 지지축(144)을 중심으로 회동된 위치에 있다.
즉, 어떠한 상태에서도 경사유지기구(180)가 동작한다.
환언하면, 고정래칫(181)의 톱니부(182)와 가동래칫 구성체(183)의 톱니부(184)가 맞물림 상태로 되어 있고, 또한 맞물림 상태가 압축코일 스프링(190)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유지된다.
이 때문에 다른 지지축(144)을 중심으로 다른 케이스(103)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데에는 압축코일 스프링(190)을 압축하는 힘이 필요하다.
이것에 대하여, 한 케이스(102)는 힌지부재(106)에 고정된 한 지지축(143)에 대하여 거의 저항력을 받는 일없이 회동한다.
이 때문에 제16도의 상태에 있어서, 다른 케이스(103)에 폐쇄방향의 외력을 부여하면, 다른 케이스(103)와 힌지부재(106)는 그 위치 관계가 고정된 채로 일체적으로 한 지지축(143)을 중심으로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제2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힌지부재(106)의 플랜지(119)가 한 케이스(102)의 하부케이스(102b)의 내면에 접하는 위치에서 일단 정지한다.
또는, 그 회전속도가 저감된다.
이 이유는 제20도의 상태가 되면 경사유지기구(180)가 동작하여, 압축코일 스프링(190)이 힌지부재(106)에 대한 다른 케이스(103)의 상대적 회동을 방해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이다.
제20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다른 케이스(103)가 정지하든가, 회동속도를 저감하든가는 압축코일 스프링(190)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서 어떤 것이든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이와같이 다른 케이스(103)가 다른 지지축(144)을 중심으로 하여 힌지부재(106)에 대하여 폐쇄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하는 위치는 개방시에 다른 지지축(144)에 대하여 다른 케이스(103)가 회동된 각도에 대응하는 것은 명백하다.
즉, 힌지부재(106)의 플랜지(123)가 하부케이스(102b)의 내면에 접하는 위치, 즉 브레이크 개시 위치는 제16도, 제17도 및 제18도의 경우에 전부 상이하다.
제20도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다른 케이스(103) 및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다른 케이스(103)는 각기 제17도 및 제18도의 상태에서 다른 케이스(103)를 폐쇄한 경우의 브레이크 개시위치를 나타낸다.
제20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다른 케이스(103)를 더욱 폐쇄할 경우에는, 가동래칫 구성체(183)의 톱니부(184)가 압축코일 스프링(190)의 스프링력에 항거하여 고정래칫(181)의 톱니부(182)에서 이탈되는 것이 필요하고, 따라서, 다른 케이스(103)는 느긋한 조작으로 폐쇄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한 케이스(102)에 대하여 다른 케이스(103)를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략 수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 제18도에 도시하는 최대로 개방한 위치사이에 있어서, 예를들면 제16도 또는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이한 경사위치에 다른 케이스(103)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제16도 내지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위치에 있는 다른 케이스(103)를 폐쇄할 경우에는 폐쇄하는 방향으로 급격하게 조작되어도 후단은 비교적 강한 조작력으로 폐쇄되므로 다른 케이스(103)가 충격적으로 폐쇄되지 않게 할 수가 있어서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래칫(181)을 다른 케이스(103)측에 설치하고, 가동래칫 구성체(183)를 힌지부재(106)측에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은 역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동래칫 구성체(183)와 다른 지지축(144)을 별개체로 하고 있지만 이들을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 2개의 래칫(181, 183)의 어느 한 톱니부(182, 184)는 전체가 아니고, 부분적으로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톱니부(182, 184)대신에 펠트 등의 마찰시트를 사용하여도 되고, 또 압축코일 스프링(190) 대신에 판스프링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기기케이스의 구조에 의하면, 양 케이스내의 내부전자부품을 접속하는 접속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손상을 받게되는 일이 없고, 또 고급감을 부여할 수가 있다.
또, 양 케이스는 힌지부재에 대하여 각기 상이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기 때문에, 양 케이스 개폐동작에 기인한 접속부재의 굴곡각도나 변위량이 반감되고 접속부재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일측부에 힌지수납부(12, 113)를 가진 소정의 전자부품(8, 9, 109)을 간직하기 위한 제1케이스(3, 103)수단과, 상기 제1케이스수단(3, 103)에 대향하는 일측부에 힌지수납부(12, 112)를 가진 소정의 전자부품(54, 55, 56)을 간직하기 위한 제2케이스수단(2, 102)과, 상기 제1케이스수단(3, 103)에 간직된 전자부품(8, 9, 109)과 상기 제2케이스수단(2, 102)에 간직된 전자부품(54, 55, 56) 접속하기 위한 가요성 접속부재수단(10, 110)과, 적어도 한쪽에 상기 가요성 접속부재수단(10, 110)을 삽입하는 홈(28, 128)을 가진 한벌의 힌지를 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수단(3, 103)과 상기 제2케이스수단(2, 102)의 힌지수납부(12, 12, 112, 113)에 배치된 상기 제1케이스수단(3, 103)과 상기 제2케이스수단(2, 102)을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재 수단(6, 106)과, 상기 제1케이스수단(3, 103)의 힌지수납부(13, 113)에 배치되어 상기 제1케이스수단(3, 103)과 상기 힌지부재수단(6, 106)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지지축(44, 62, 144)과, 상기 제2케이스수단(2, 102)의 힌지수납부(12, 112)에 배치되어 상기 제2케이스수단(2, 102)과 상기 힌지 부재수단(6, 106)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지지축(43, 61, 1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케이스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수단(3, 103)은 표시패널(9, 109)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케이스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수단(3)은 회로기판(8)을 보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케이스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수단(2, 102)은 상부 케이스(2a, 102a)와 하부케이스(2b, 102b)를 보유하고, 상기 상, 하부 케이스(2a, 2b, 102a, 102b)간에는 키보드(7, 107)가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케이스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축(44)과 제2지지축(43)을 한개의 축(42)을 굴곡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케이스의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축(62)과 제2지지축(61)은 각각 상기 제1케이스수단(3)과 상기 제2케이스수단(2)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케이스의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수단(103)에는 상기 제1케이스수단(103)에 상기 제1케이스수단(103)이 상기 힌지부재 수단(106)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회동된 경우, 양자가 그 이상 회동되는 것을 정지하여, 상기 제1케이스수단(103)을 상기 제2케이스수단(102)에 대하여 경사진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경사유지기구수단(170, 18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케이스의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유지기구 수단(170)은 상기 제1케이스수단(10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된 캠부재(171)와, 이 캠부재(171)를 상기 힌지부재 수단(106)측으로 향하여 가세하기 위한 탄성수단(17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케이스의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수단(106)은 측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120)가 있고, 상기 캠부재(171)가 상기 플랜지(120)에 접함으로써, 상기 제1케이스수단(103)의 회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케이스의 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유지기구수단(180)은 상기 제1케이스수단(103) 및 상기 힌지부재수단(106)에 각각 설치되는 상호 맞물리거나 이탈가능한 한 벌의 래칫(181, 18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케이스의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벌의 래칫(181, 183)중 하나는 상기 제1지지축(14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고, 탄성수단(190)에 의하여 다른 래칫(181, 183)에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케이스의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181, 183)은 상기 제1케이스수단(103) 또는 상기 힌지부재수단(106)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케이스의 구조.
  13. 표시패널을 수납하기 위한 제1케이스수단(103)과, 키보드(107)를 수납하기 위한 제2케이스수단(102)과, 상기 표시패널(109)과 상기 키보드(10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가요성 접속부재수단(110)과, 상기 접속부재 수단(110)을 삽입하는 홈(128)을 가지며, 상기 제1케이스수단(103)과 상기 제2케이스수단(102)을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재수단(106)과, 상기 제1케이스수단(103)과 상기 힌지부재수단(106)을 회동가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수단(144)과, 상기 제2케이스수단(102)과 상기 힌지부재수단(106)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수단(143)과, 상기 제2케이스수단(102)과 상기 힌지부재 수단(106)이 상대적으로 소정각도로 회동했을 때, 그 이상의 회동을 금지하기 위한 회동금지수단(121)과, 상기 제1케이스수단(103)과 상기 힌지부재 수단(106)과 회동에 부하를 주기 위한 경사유지기구수단(170, 18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2케이스수단(102)에 대하여 상기 힌지부재수단(106)이 소정각도 회동하여 상기 회동금지수단(121)에 의하여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이 금지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재 수단(106)에 대한 상기 제1케이스수단(103)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에 상기 경사유지기구 수단(170, 180)에 의하여 부하가 부여되며, 이것에 의하여 상기 제1케이스수단(103)이 상기 제2케이스수단(102)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케이스의 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유지기구 수단(170)은 상기 제1케이스수단(10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캠부재(171)와, 이 캠부재(171)를 상기 힌지부재수단(106)측으로 향하여 가세하기 위한 탄성수단(17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케이스의 구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유지기구 수단(180)은 상기 제1케이스수단(103) 및 상기 힌지부재수단(106)에 각각 설치되는 서로 맞물리거나 이탈가능한 한벌의 래칫(181, 18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케이스의 구조.
KR9202899U 1988-07-04 1992-02-26 기기 케이스의 구조 KR92000369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88876U JPH087478Y2 (ja) 1988-07-04 1988-07-04 折畳型電子機器
JP88-88876 1988-07-04
KR1019890009260A KR900002675A (ko) 1988-07-04 1989-06-30 기기케이스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260A Division KR900002675A (ko) 1988-07-04 1989-06-30 기기케이스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695Y1 true KR920003695Y1 (ko) 1992-06-08

Family

ID=313134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260A KR900002675A (ko) 1988-07-04 1989-06-30 기기케이스의 구조
KR9202899U KR920003695Y1 (ko) 1988-07-04 1992-02-26 기기 케이스의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260A KR900002675A (ko) 1988-07-04 1989-06-30 기기케이스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7478Y2 (ko)
KR (2) KR9000026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292A (ko) * 2019-09-04 2019-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US11137800B2 (en) 2013-06-03 2021-10-05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130Y2 (ja) * 1991-11-25 1998-05-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3136367A1 (ja) * 2012-03-14 2013-09-1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9718U (ko) * 1977-07-29 1979-02-27
JPS58103165U (ja) * 1981-12-29 1983-07-13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小型電気機器用ケ−ス
US4825395A (en) * 1986-05-29 1989-04-25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with torsionally stressed conductors routed through a hollow articulated hing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7800B2 (en) 2013-06-03 2021-10-05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1625071B2 (en) 2013-06-03 2023-04-1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2032413B2 (en) 2013-06-03 2024-07-09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20190107292A (ko) * 2019-09-04 2019-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9945U (ko) 1990-01-23
JPH087478Y2 (ja) 1996-03-04
KR900002675A (ko) 199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1126A (en) Structure of a device casing
US10488882B2 (en) Electronic device hinge assembly
JP4192024B2 (ja) 携帯端末用取付装置
JP2796275B2 (ja) 携帯用電話機のカバー開閉機構
US8141207B2 (en) Two-axis hin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KR960000155B1 (ko) 힌지 장치
US6618903B2 (en) Hinge device
US7140074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nge device
JP3099102U (ja) コネクタ
US20060021195A1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50235458A1 (e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radiotelephone
WO2007015461A1 (ja) 折畳み機器
JPH0879346A (ja) 携帯用電話機のヒンジ機構
US7401382B2 (en) Hinge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20011078A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JP2000099242A (ja) キースイッチ
JP2010074741A (ja) スライド式小型電子機器
CN113643609B (zh) 显示装置
JP3902439B2 (ja) 2軸ヒンジ装置
KR920003695Y1 (ko) 기기 케이스의 구조
JP2708011B2 (ja) 携帯情報機器
KR100808209B1 (ko) 휴대기기
JP2003262913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JP3088351B2 (ja) ワンタッチ操作可能なヒンジ構造
JP4016503B2 (ja) 開閉蓋を有す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