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990Y1 - 50% 듀티의 홀수분주기 - Google Patents

50% 듀티의 홀수분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990Y1
KR200164990Y1 KR2019940034103U KR19940034103U KR200164990Y1 KR 200164990 Y1 KR200164990 Y1 KR 200164990Y1 KR 2019940034103 U KR2019940034103 U KR 2019940034103U KR 19940034103 U KR19940034103 U KR 19940034103U KR 200164990 Y1 KR200164990 Y1 KR 200164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form
duty
waveforms
odd
f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4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898U (ko
Inventor
김만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40034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990Y1/ko
Publication of KR9600258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8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3/00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 H03K23/40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all stages, i.e. synchronous counters
    • H03K23/48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all stages, i.e. synchronous counters with a base or radix other than a power of two
    • H03K23/483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all stages, i.e. synchronous counters with a base or radix other than a power of two with a base which is an odd numb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1/00Details of pulse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 H03K21/02Input circuits
    • H03K21/026Input circuits comprising logic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6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 H03K5/1565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the output pulses having a constant duty cy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떤 임의의 주파수를 홀수로 분주시킴과 동시에 듀티 50%의 클럭펄스를 구하기 위한 홀수분주기에 관한 것으로서,
기초 파형을 제공하여 주는 카운터와, 그 기초 파형들을 80% 듀티의 두 파형으로 변환시켜 주는 게이트회로부와, 그 두 파형들을 서로 1/2 주기만큼 위상차를 갖게 해주는 D 플립플롭과, 위상차를 갖는 두 파형들을 합성 시키는 NAND 게이트와, NAND 게이트의 출력파형을 1/2분주시키는 플립플롭을 포함하여,
크리스털 오실레이터를 쓰지 않고서도 50% 듀티의 홀수분주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안의 명칭]
50% 듀티의 홀수분주기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50% 듀티의 1/5 분주기에 대한 회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각 부의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각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74163 5진 카운터 2,8 : 인버터
3 : NOR 게이트 4, 6 : AND 게이트
5, 7 : 7474 D플립플롭
[타이밍도의 각 펄스에 대한 부호의 설명]
-홀수 M으로 1/M 분주하는 경우-
A : 입력클럭펄스
B : M진카운터의 최대자리비트(MSB)의 출력을 반전시킨 파형
C : M진키운터의 출력 중에서, 십진수로 M/2-1.5에 해당되는 순서의 클럭주기에만 출력 "0"(Low))을 나타내도록 디코딩(decoding)된 파형
D : 파형 C를 입력파형 A의 1/2 주기만큼 이동시켜서, 파형 B의 정중앙의 위치에서 "0"(Low)이 나타나게 된 파형
E : 파형 B와 D를 NAND로 합성시킨 파형 (입력파형 A를 2/M 분주시킨 파형)
F : 파형 E를 1/2 분주시킨 50% 듀티의 파형 (입력파형 A를 1/M 분주시킨 파형)
[고안의 상세한 설명]
본 고안은 클럭의 주파수 분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던 임의의 주파수를 홀수로 분주시킴과 동시에 듀티(duty. 위상변화율) 50%의 클럭펄스를 구하기 위한 홀수분주기에 관한 것이다.
실제적인 디지탈시스템에서는 50% 듀티를 갖고 주파수가 홀수로 분주되는 클럭펄스를 필요로 하는 경웅가 많다. 종래의 홀수분주기는 일반적인 1/2n분주기에 크리스털오실레이터를 별도로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하게 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1/2n분주기에 비해 제작비용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크리스털오실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몇 갱의 칩(1C)만을 이용하여 50% 듀티의 홀수분주기르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초 파형을 제공하여 주는 카운터와, 그 기초 파형들을 80% 듀티의 두 파형으로 변환시켜 주는 게이트회로부와, 그 두 파형들을 서로 1/2 주기만큼 위상차를 갖게 해주는 D 플립플롭과, 위상차를 갖는 파형들을 합성시키는 NAND게이트와, NAND 게이트의 출력파형을 1/2 분주 시키는 D플립플롭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위한 기본 실시예로서, 50% 듀티의 1/5 분주기에 대한 회로도이다. 이 경우에는 74163 5진카운터 1개, 7474 D플립플롭 2개, NAND게이트 2개, 인버터 2개 그리고 NOR게이트 1개로 구성되어진다. 제2도는 제1도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각부의 타이밍도이다. 본 고안의 기본 원리는 다음고 같다. 먼저 홀수 M으로 분주시키고자 하는 경우, M을 셀 수 있는 카운터를 이용하여 M에 상당하는 최대자리비트(MSB)의 출력을 반전시키면 80% 듀티의 펄스(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도의 파형 B)을 구할 수 있다. 여기에 다시 반주기만큼 이동된 같은 파형(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도의 파형 D)을 NAND로 합성시키면, 2/M 분주된 파형(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도의 파형 E)을 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파형 E를 다시 1/2 분주시키면 입력클럭펄스를 1/M 분주시킨 50% 듀티의 파형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특성은 파형 B와 D를 NAND로 합성시켜서 2/M 분주된 파형을 먼저 구하는 데에 있다. 여기서 파형 D는, M진카운터의 출력 중에서 십진수로 M/2-1.5에 해당되는 순서의 클럭 주기에만 출력"0"(Low)을 나타내도록 디코딩(decoding)된 파형(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도의 파형 C)을 먼저 구한 후, 다시 입력클럭펄스의 1/2 주기만큼 이동시킨 결과이다.
그러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 원리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74163 5진카운터의 C출력(5진수의 단위 MSB)을 인버터(2)에 통과시키면 파형 B를 출력시키고, 또한 A, B, C 세 출력을 조합하여 NOR(3), NAND(4) 게이트를 통과시키면 파형 C를 구할 수 있다.
결국 파형 C는 1/5 주기 에만 "0"(Low)준위를 갖는 듀티 80%의 특성을 갖는다. 7474 D 플립플롭(5)을 기준클럭펄스의 하강부(falling edge)에서 작동하는 소자로 선택하여 파형 C를 입력시키면 입력클럭펄스의 1/2 주기만큼 이동된 파형 D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파형 B와 D를 NAND게이트에 통과시키면 파형 E를 얻게 되는 데, 이것은 입력클럭펄스 A에 대하여 1/2.5 분주된 파형이 된다. 여기서 다시 파형 E를 7474 D플립플롭(7)으로 1/2 분주시키면 되는데, 기존클럭펄스의 상승부(rising edge)에서 작동하는 소자를 선택한다. 그러면 결과적으로 원신호에 대하여 1/5로 분주된 50% 듀티의 출력신호를 구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카운터와 파형 C를 구할 수 있는 디코딩회로만 적절히 변화시킨다면, 1/7, 1/9 등의 홀수분주기로 작동되어진다. 아울러 위와 같은 홀수분주기를 직렬로 조합한다면 높은 비율로 홀수분주를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1/9 분주기 두 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1/81 분주기가 되고, 1/9 분주기와 1/7 분주기를 직렬로 연결하면 1/63 분주기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탈 시스템에서, 종래에는 주파수를 홀수로 분주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1/2n의 분주기에 별도의 크리스탈 오실레이터를 사용하여 구성하였지만, 본 고안에서는 크리스탈 오실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홀수분주기를 제작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디지탈 시스템에 있어서, 기초 파형을 제공하여 주는 카운터와, 그 기초 파형들을 80% 듀티의 두 파형으로 변환시켜 주는 게이트 회로부와, 그 두 파형들을 서로 1/2 주기만큼 위상차를 갖게 해주는 D 플립플롭과, 위상차를 갖는 두 파형들을 합성시키는 NAND 게이트와, NAND 게이트의 출력파형을 1/2 분주 시키는 D 플립플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0% 듀티의 홀수분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회로부가 임의의 홀수 M으로 1/M 분주시키는 경우 M진 카운터의 출력 중에서 십진수로 M/2-1.5에 해당되는 순서의 클럭 주기에만 출력 "0"(Low)을 나타내도록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0% 듀티의 홀수분주기.
KR2019940034103U 1994-12-14 1994-12-14 50% 듀티의 홀수분주기 KR200164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103U KR200164990Y1 (ko) 1994-12-14 1994-12-14 50% 듀티의 홀수분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103U KR200164990Y1 (ko) 1994-12-14 1994-12-14 50% 듀티의 홀수분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898U KR960025898U (ko) 1996-07-22
KR200164990Y1 true KR200164990Y1 (ko) 2000-01-15

Family

ID=1940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4103U KR200164990Y1 (ko) 1994-12-14 1994-12-14 50% 듀티의 홀수분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9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4087B2 (en) 2006-01-05 2008-09-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ck divid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236B1 (ko) * 1998-03-31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2의계승이아닌분주신호발생장치및방법
KR101292767B1 (ko) * 2011-09-06 2013-08-0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패스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50% 듀티 싸이클을 갖는 홀수 주파수 분주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4087B2 (en) 2006-01-05 2008-09-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ck divi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898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7134B2 (ja) プログラム可能な高速分割器
US5361290A (en) Clock generating circuit for use in single chip microcomputer
US6914460B1 (en) Counter-based clock doubler circuits and methods
US4935944A (en) Frequency divider circuit with integer and non-integer divisors
US7034584B2 (en) Apparatus for frequency dividing a master clock signal by a non-integer
JPH0439690B2 (ko)
US3873815A (en) Frequency division by an odd integer factor
KR200164990Y1 (ko) 50% 듀티의 홀수분주기
US6108393A (en) Enhanced prescaler phase interface
US5384816A (en) Frequency divider circuit
JP3649874B2 (ja) 分周回路
US3777277A (en) Discrete step frequency sweep
US4837721A (en) Digital divider with integer and fractional division capability
JPS585540B2 (ja) タジユウカカイロ
US4081755A (en) Baud rate generator utilizing single clock source
JP2689539B2 (ja) 分周器
JPS63227119A (ja) デイジタル可変分周回路
JPH03171820A (ja) 2n―1分周回路
KR100188079B1 (ko) 링 카운터를 이용한 분주회로
KR100278271B1 (ko) 클럭주파수분주장치
JP2594571B2 (ja) 遅延回路
JP2754005B2 (ja) 多相パルス発生回路
KR960000814Y1 (ko) N분주 클록발생 회로
JPH0529924A (ja) 9分周回路
JPH05347555A (ja) 可変分周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