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564Y1 -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564Y1
KR200162564Y1 KR2019970023386U KR19970023386U KR200162564Y1 KR 200162564 Y1 KR200162564 Y1 KR 200162564Y1 KR 2019970023386 U KR2019970023386 U KR 2019970023386U KR 19970023386 U KR19970023386 U KR 19970023386U KR 200162564 Y1 KR200162564 Y1 KR 200162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oil supply
supply device
lubricat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077U (ko
Inventor
김재관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3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564Y1/ko
Publication of KR199900100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0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5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7Oil pickup tube to oil pump, e.g. str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경사길 운전시 차량본체가 기울어져도 오일 팬에 저장된 엔진 오일량이 일정량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엔진(11)의 하부에 오일 펜 커버(14)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원통체로 주오일관(13) 및 흡입파이프(24)를 형성하고, 전기 흡입파이프는 두가닥으로 양분하여 오일펜의 저부까지 연장하고, 그 단부에는 각각 이를 개폐하는 제1, 2흡입구(16)(17)가 형성하며, 상기 제1, 2흡입구(16)(17)는 동일한 형상으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제1, 2밸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반구형 형상으로된 밸브 카바(25)(27)가 형성되고, 상부는 회전힌지(22)(23)으로 연계되며, 그 하부에는 무게추(20)(21)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차량이 경사길 주행시에 오일이 한쪽으로 모이면서 공기가 오일 펌퍼내로 유입되는 오일 공급량이 부족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해소하여 엔진의 손상을 막아, 엔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경사길 운전시 차량본체가 기울어져도 오일 팬에 저장된 엔진 오일량이 일정량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구동시, 피스톤, 크랭크 축 등과 같은 엔진의 구동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각 부품에는 필연적으로 기계적인 마찰이 수반된다.
이러한 마찰은 엔진에 대하여 부하로 작용하여 엔진의 성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마모나 마찰열에 의한 열변성으로 부품의 수명을 단축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계적 마찰이 있는 엔진의 구동부품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면서 열을 빼앗아 냉각시키는 오일을 공급하여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윤활시킨다.
엔진의 오일 윤활방식으로는 압송식과 비산식의 두가지 방식이 있으며, 이 중에 현재의 자동차 엔진에는 주로 압송식이 쓰이고 있다.
압송식의 오일 윤활방식은 오일을 오일 팬에 저장하여 두고, 여기서 엔진의 구동과 함께 작동되는 오일 펌프로 기관의 각 부분에 오일을 강제적으로 압송하는 방식이다.
한편, 엔진의 구동시 오일의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 작동이 불량해질 뿐만 아니라 마찰요소간의 마모와 열변성으로 엔진의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운전자는 수시로 엔진의 오일량을 점검하여 부족한 경우에는 바로 오일을 보충해주어야 한다.
종래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엔진 실린더 블록(1)의 아래부분에 오일 펜 커버(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오일 흡입단부(6)를 형성한 오일 흡입구(3)가 내장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5는 통상의 오일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량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측부의 케이스에 꽂혀있는 오일 레벨 게이지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오일 팬에 저장된 오일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예로서 앞서 설명된 오일 흡입구(3)의 구성은 차량이 경사길 주행시에는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오일이 한쪽으로 모이면서 공기가 오일 펌퍼내로 유입되는 오일 공급량이 부족한 현상이 나타나 엔진이 손상되어 그 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문제점을 야기시켜 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엔진의 오일 팬에 저장된 오일양이 일정이하일 경우에 차량이 경사진 도로에서도 원활한 오일의 공급이 가능하여 에진의 마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의 경사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밸브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1 : 엔진 14 : 오일펜 카바
16, 17 : 제1, 2흡입구 18, 19 : 제1, 2밸브
20, 21 : 무게추 22, 23 : 힌지
25, 27 : 밸브 카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엔진 윤활유 공급 장치는, 엔진의 하부에는 오일 펜 커버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주오일관을 형성하되, 전기 주오일관을 양분하여 오일펜의 저부까지 연장하고, 그 단부에는 각각 이를 개폐하는 힌지에 연동되고 무게추에 의하여 작동되는 밸브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오일 팬에 저장된 오일의 양이 한쪽 단부 이하로 내려올 정도로 적은 경우, 즉 차량이 경사면을 주행할 경우에도 개방되는 한쪽 단부가 폐쇄되어 오일 흡입구내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으로, 엔진에 원활한 윤활유가 공급되어 엔진의 마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의 경사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밸브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는 엔진(11)의 하부에 오일 펜 커버(14)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원통체로 주오일관(13)을 형성한다.
전기 주오일관(13)은 오일 펌퍼 케이스(12)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단부에는 스트레이너(26)로 흡입파이프(24)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 흡입파이프는 두가닥으로 양분하여 오일펜의 저부까지 연장하고, 그 단부에는 각각 이를 개폐하는 제1, 2흡입구(16)(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2흡입구(16)(17)는 동일한 형상으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제1, 2밸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반구형 형상으로된 밸브 카바(25)(27)가 형성되고, 상부는 회전힌지(22)(23)으로 연계되며, 그 하부에는 무게추(20)(21)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밸브(19)는 회전힌지(23)에 연동되고 무게추에 의하여 작동되어 개폐되어지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24는 밸브시트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차량이 평탄한 길을 주행할 경우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 주오일관(13)에 연결된 흡입파이프(24)는 두가닥으로 양분하여 대칭적으로 오일펜의 저부까지 연장하고, 그 단부에는 각각 이를 개폐하는 제1, 2흡입구(16)(1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모두가 오일 부분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오일의 공급이 원활하여 공급이 된다.
그러나, 차량이 경사진 도로를 주행시에는 오일 팬의 오일 저장량이 기울어지게 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 주오일관(13)에 연결된 흡입파이프(24)는 두가닥으로 양분하여 오일펜의 저부까지 연장하고, 그 단부에는 각각 이를 개폐하는 제1, 2흡입구(16)(1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한쪽이 오일 부분에 접하게 된다.
즉, 상기 제1흡입구(16)는 제1밸브가 닫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반구형 형상으로된 밸브 카바(27)가 형성되고, 상부는 회전힌지(22)으로 연계되며, 그 하부에는 무게추(20)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밸브(18)는 회전힌지(22)에 연동되고 무게추에 의하여 작동되어 폐쇄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쪽이 무게추(20)에 의하여 폐쇄되므로 인하여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다른 쪽의 밸브(19)가 무게추(21)에 의하여 개방되므로서 여기서 오일이 흡입되어 진다.
다시 평탄한 길로 주행시에는 이들의 제1, 2밸브(18)(1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되어 오일공급을 정상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엔진의 오일 팬에 저장된 오일양이 일정이하일 경우, 차량이 경사길 주행시에 오일이 한쪽으로 모이면서 공기가 오일 펌퍼내로 유입되는 오일 공급량이 부족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해소하여 엔진의 손상을 막아, 엔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2)

  1. 엔진(11)의 하부에 오일 펜 커버(14)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원통체로 주오일관(13)을 형성하며, 전기 주오일관(13)은 오일 펌퍼 케이스(12)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단부에는 스트레이너(26)로 흡입파이프(24)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 흡입파이프는 두가닥으로 양분하여 오일펜의 저부까지 연장하고, 그 단부에는 각각 이를 개폐하는 제1, 2흡입구(16)(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흡입구(16)(17)는 동일한 형상으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제1, 2밸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반구형 형상으로된 밸브 카바(25)(27)가 형성되고, 상부는 회전힌지(22)(23)으로 연계되며, 그 하부에는 무게추(20)(21)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
KR2019970023386U 1997-08-27 1997-08-27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 KR2001625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386U KR200162564Y1 (ko) 1997-08-27 1997-08-27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386U KR200162564Y1 (ko) 1997-08-27 1997-08-27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077U KR19990010077U (ko) 1999-03-15
KR200162564Y1 true KR200162564Y1 (ko) 1999-12-15

Family

ID=1950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386U KR200162564Y1 (ko) 1997-08-27 1997-08-27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5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020B1 (ko) * 2001-08-21 2004-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오일공급장치
KR102109480B1 (ko) * 2018-12-12 2020-05-12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오일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077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7043Y2 (ja) ダブルオーバヘッドカム型動弁機構の潤滑装置
US5441457A (en) Tensioner having reservoir cover plate
KR200162564Y1 (ko)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
US5662080A (en) Engine crankcase
JP3462771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CN101586488B (zh) 发动机的气缸盖润滑结构
JP2003278519A (ja) オイルパンの構造
US6135082A (en) Cylinder head of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US6237719B1 (en) Lubricating oil discharge system
JPS6040806Y2 (ja) 内燃機関用潤滑装置
JP2717292B2 (ja) 4サイクルバーチカルシャフトエンジン
JPS608089Y2 (ja) エンジンの弁腕室油戻し装置
JPH0137128Y2 (ko)
JP2529104Y2 (ja) 内燃機関の潤滑油供給装置
JP3506049B2 (ja) 動弁装置
JPS6038014Y2 (ja) 側弁式エンジンの吸,排気弁潤滑装置
JPS6220656Y2 (ko)
JPS61175209A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4142509B2 (ja) 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H0335895Y2 (ko)
JPS58113531A (ja) 四サイクリルエンジン
JP2526129Y2 (ja) 4サイクルバーチカルシャフトエンジン
JPS6033287Y2 (ja) 内燃機関の潤滑装置
JPH0213719Y2 (ko)
CN2721889Y (zh) 一种能够充分润滑的汽油机下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