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158Y1 -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158Y1
KR200162158Y1 KR2019970043584U KR19970043584U KR200162158Y1 KR 200162158 Y1 KR200162158 Y1 KR 200162158Y1 KR 2019970043584 U KR2019970043584 U KR 2019970043584U KR 19970043584 U KR19970043584 U KR 19970043584U KR 200162158 Y1 KR200162158 Y1 KR 200162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ignal
ecu
engine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887U (ko
Inventor
조기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3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15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08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8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1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2Flow guides, obstructions, deflecto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엔진의 흡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엔진으로 물이 유입될 때 자동으로 정지시켜 엔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에어 덕트(52)와 에어 플로우 센서(54) 사이에 설치되어 흡기 중의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 감지 센서(61)와, 상기 수분 감지 센서(61)의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량 이상의 수분이 감지되면 릴레이 스위치(62)를 오프시켜 점화 플러그(57)의 전원을 차단하고 각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ECU(63)와, 상기 수분 감지 센서(61)와 에어 플로우 센서(5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ECU(63)의 신호에 따라 공기 통로를 차단하는 수분 차단용 밸브(64)와, 상기 수분 차단용 밸브(64)에 설치되어 상기 ECU(63)의 신호에 따라 수분을 증발시키는 히팅 수단(6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
본 고안은 자동차 엔진의 흡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엔진으로 물이 유입될 때 자동으로 정지시켜 엔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 엔진의 흡기 장치 및 점화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차 엔진의 흡기 장치는 연소실(1)의 흡기 부압에 의해 에어 덕트(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이 에어 덕트(2)로 유입된 공기는 에어 클리너(3)를 통과하면서 공기속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된 다음, 스로틀 밸브(5)의 개도량에 따라 엔진의 연소실(1)에 흡입된다.
물론 상기 에어 클리너(3)의 후방측에는 에어 플로우 센서(4)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여기서 감지된 신호는 ECU(제어 유닛)(6)에 입력된다. 그리고 ECU(6)는 점화 코일(8)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면서 점화 플러그(7)를 적절한 시기에 작동시켜 상기 연소실(1)내에 동력 행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흡입 장치 및 점화 장치가 구비된 엔진은 하절기등의 우천시에 도로에 물이 많이 고여 있거나 물이 범람한 상태에서 도로를 주행하게 되면, 흡기 장치의 입구인 에어 덕트(2) 내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물이 연소실(1) 내부까지 유입되면 엔진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된다.
즉, 연소실(1)내에 물이 유입되면 연료와 혼합되고 물분자가 분해되어 연소되므로 순간적으로 흡기 압력이 증대되어 폭발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엔진의 실린더(10)와 피스톤(11) 등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며 엔진 시동이 정지되게 된다.
물론 종래 기술에서도 에어 덕트(1) 내로 물이 유입되면 엔진의 시동을 정지시키거나 유입된 물을 모터를 이용하여 배출시키는 기술은 있으나 이는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흡기 장치 내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순간적으로 엔진을 정지시키고 유입된 수분을 건조시켜 엔진을 보호하는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은, 에어 덕트와 에어 플로우 센서 사이에 설치되어 흡기 중의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 감지 센서와, 상기 수분 감지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량 이상의 수분이 감지되면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켜 점화 플러그의 전원을 차단하고 각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ECU와, 상기 수분 감지 센서와 에어 플로우 센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ECU의 신호에 따라 공기 통로를 차단하는 수분 차단용 밸브와, 상기 수분 차단용 밸브에 설치되어 상기 ECU의 신호에 따라 수분을 증발시키는 히팅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엔진의 흡기 장치가 도시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이 도시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연소실 52 : 에어 덕트
53 : 에어 클리너 54 : 에어 플로우 센서
55 : 스로틀 밸브 57 : 점화 플러그
58 : 점화 코일 61 : 수분 감지 센서
62 : 릴레이 스위치 63 : ECU
64 : 수분 차단용 밸브 65 : 구동 모터
66 : 히팅 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덕트(52)와 에어 플로우 센서(54) 사이에 설치되어 흡기 중의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 감지 센서(61)와, 상기 수분 감지 센서(61)의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량 이상의 수분이 감지되면 릴레이 스위치(62)를 오프시켜 점화 플러그(57)의 전원을 차단하고 각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ECU(63)와, 상기 수분 감지 센서(61)와 에어 플로우 센서(5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ECU(63)의 신호에 따라 공기 통로를 차단하는 수분 차단용 밸브(64)와, 상기 수분 차단용 밸브(64)에 설치되어 상기 ECU(63)의 신호에 따라 수분을 증발시키는 히팅 수단(66)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분 차단용 밸브(64)는 상기 ECU(63)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 모터(65)에 의해 작동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 플로우 센서(54)와 에어 덕트(52) 사이에 수분 감지 센서(6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수분 감지 센서(61)에 일정량의 이상의 수분이 감지되면, 환산된 신호가 ECU(63)에 입력되고, 이 ECU(63)에서는 즉시 엔진 정지로 판단하여 릴레이 스위치(62)를 오프시켜 점화 코일(58) 및 점화 플러그(57)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엔진을 정지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ECU(63)에서는 구동 모터(65)를 작동시켜 수분 차단용 밸브(64)를 닫음으로써 연소실(51) 쪽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이후 상기 ECU(63)에서 히팅 수단(66)을 작동시켜 수분 차단용 밸브(64) 전후에 유입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흡기 장치내에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따라서 더 이상 에어 플로우 센서(54) 및 스로틀 밸브(55)를 통해 연소실(51)쪽으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엔진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흡기 장치에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면 ECU(63)의 제어에 의해 모든 작동이 정상적으로 복귀되어 엔진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은 흡기 통로에 수분이 유입되면 즉시 엔진을 정지시키고 수분의 유입을 방지함은 물론 유입된 수분을 신속히 건조시켜 엔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2)

  1. 에어 덕트와 에어 플로우 센서 사이에 설치되어 흡기 중의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 감지 센서와, 상기 수분 감지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량 이상의 수분이 감지되면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켜 점화 플러그의 전원을 차단하고 각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ECU와, 상기 수분 감지 센서와 에어 플로우 센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ECU의 신호에 따라 공기 통로를 차단하는 수분 차단용 밸브와, 상기 수분 차단용 밸브에 설치되어 상기 ECU의 신호에 따라 수분을 증발시키는 히팅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차단용 밸브는 상기 ECU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
KR2019970043584U 1997-12-30 1997-12-30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 KR200162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584U KR200162158Y1 (ko) 1997-12-30 1997-12-30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584U KR200162158Y1 (ko) 1997-12-30 1997-12-30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887U KR19990030887U (ko) 1999-07-26
KR200162158Y1 true KR200162158Y1 (ko) 1999-12-01

Family

ID=1951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584U KR200162158Y1 (ko) 1997-12-30 1997-12-30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1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105B1 (ko) 2002-12-23 2009-06-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발열체의 복사열에 의하여 공기 중의 액적을 제거하는공기흡입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105B1 (ko) 2002-12-23 2009-06-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발열체의 복사열에 의하여 공기 중의 액적을 제거하는공기흡입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887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446B2 (en) Misfire detector for multi-cylinder engine
US3646764A (en) Air pollution preventive system for motor vehicles
KR940703968A (ko) 아이들링 실린더 기구 부착 엔진의 연료제어장치(Fuel controlling device for an engine with a cylinder idling function)
JP2005307930A (ja) 車両用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US3988890A (en) Overheating protection for an exhaust gas purification block
KR950006651B1 (ko) 내연기관 제어장치 및 방법
WO2006018976A1 (ja) 内燃機関のくすぶり判定方法
KR200162158Y1 (ko)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
KR100368471B1 (ko) 엘피지 차량의 역화발생시 소음 및 압력 해소장치
KR20140037706A (ko) 차량의 진동 저감장치
KR0139018Y1 (ko) 자동차의 연료펌프 차단장치
KR100190881B1 (ko) 엔진 보호 시스템
KR19990060228A (ko) 에어 덕트 물 유입시 엔진 보호 장치
KR980002725A (ko) 자동차의 엔진 역회전 방지장치
KR100353078B1 (ko) 자동차용 흡기계통의 카본 흡착 방지장치
KR0179693B1 (ko) 자동차 연료공급 자동 차단장치
JPS6115206Y2 (ko)
JPH04365965A (ja) エンジンの保護装置
KR900009523Y1 (ko) 엔진제어기기의 배기가스 제어회로
KR100526784B1 (ko) Lpg 차량의 백 파이어 발생시 에어크리너 파손 방지장치
KR0133910Y1 (ko) 자동차의 연료가스 배출장치
JPH03246322A (ja) 過給機付エンジン搭載車の最高速度制限装置
KR19980039453U (ko) 연료누유 경고장치
KR930019999A (ko) 내연기관의 미점화 발생시 연료분사 제어방법 및 장치
JPS5827850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