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453U - 연료누유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연료누유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453U
KR19980039453U KR2019960052523U KR19960052523U KR19980039453U KR 19980039453 U KR19980039453 U KR 19980039453U KR 2019960052523 U KR2019960052523 U KR 2019960052523U KR 19960052523 U KR19960052523 U KR 19960052523U KR 19980039453 U KR19980039453 U KR 199800394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warning
leakage
control unit
fuel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2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2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453U/ko
Publication of KR19980039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45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8Flow-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료계통의 연료누유여부를 파악하여 연료누유시 자동으로 경고해 줌으로써 연료누유로 인한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연료누유 경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연료공급통로에 설치된 제 1 및 제 2유량센서(10,12)로부터의 신호의 차를 출력하는 차동증폭기(14)와, 상기 차동증폭기(14)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연료누유를 판단하고 연료누유판단시 경고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 및, 상기 제어부(16)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부재(20,22)를 동작시키는 스위칭소자(18)로 구성되어, 차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연료누유 경고장치
본 고안은 연료누유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의 누유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경고해 주도록 된 연료누유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여 각 실린더에 공급하는 연료장치가 갖추어지는데, 그 일반적인 연료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1)와, 연료통로 역할을 하는 연료파이프(2), 연료속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또는 수분 등을 여과하는 연료필터(3), 연료탱크(1)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빨아들여 기화기(5)에 압송하는 연료펌프(4)로 구성되고, 그 기화기(5)는 가솔린과 공기를 혼합시켜 미립화하여 연소실에 공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일반적인 연료장치계통은 차밑바닥에 설치되어 있어서 비포장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덜컹거림에 의해 차밑바닥이 도로와 부딪혀서 손상을 입게 된다. 그 경우 연료파이프(2)에 손상이 가해져서 틈이 생기게 되어 연료가 새게 되므로 차량화재를 불러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연료계통의 연료누유여부를 파악하여 연료누유시 자동으로 경고해 줌으로써 연료누유로 인한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연료누유 경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공급통로에 설치된 제 1 및 제 2유량센서로부터의 신호의 차를 출력하는 차동증폭기와, 그 차동증폭기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연료누유를 판단하고 연료누유판단시 경고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그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부재를 동작시키는 스위칭소자로 구성된 연료누유 경고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연료장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누유 경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유량센서12: 제 2유량센서
14: 비교기16: 제어부
18: 스위칭소자20: 경고등
22: 경고부저24: 타이머
26: ABS모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누유 경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제 1 및 제 2유량센서(10,12), 차동증폭기(14), 제어부(16), 스위칭소자(18), 경고부재(20,22), 타이머(24), ABS모듈(26)로 구성된다.
제 1유량센서(10)는 연료펌프(4)의 시작부위에 설치되어 그 연료펌프(4)에서의 유량을 센싱한다.
제 2유량센서(12)는 연료레일의 주입구(도시 생략)에 설치되어 그 연료레일의 주입구측으로의 유량을 센싱하게 된다.
차동증폭기(14)는 입력단이 각각 제 1 및 제 2유량센서(10,1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그 제 1 및 제 2유량센서(10,12)로부터의 신호의 차를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16)는 그 차동증폭기(14)에서 인가되는 신호와 기저장된 일정치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현재 인가된 신호가 그 기준신호를 초과하게 되면 경고동작이 행해지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그 제어부(16)는 경고동작후 일정시간내에 차량제동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자동으로 제동이 걸리도록 제어한다.
스위칭소자(18)는 그 제어부(16)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부재(경고등(20) 및 경고부저(22))를 동작시키게 되는 바, 그 스위칭소자(18)는 베이스가 저항을 매개로 제어부(16)의 일출력단에 접속되고 컬렉터에는 경고등(20)과 경고부저(22)가 상호 직렬로 접속된 트랜지스터이다.
타이머(24)는 그 제어부(16)에 제어계시데이터를 제공한다.
ABS모듈(26)은 그 제어부(16)의 다른 출력단에 접속되어 그 제어부(16)로부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차량에 제동을 가하게 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누유 경고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제 1유량센서(10)와 제 2유량센서(12)는 각각의 설치위치에 흐르는 연료의 유량을 감지하게 되고, 그 감지된 신호는 차동증폭기(14)로 인가되며, 그 차동증폭기(14)에서는 현재 입력된 그 제 1 및 제 2유량센서(10,12)로부터의 감지신호의 상호간의 차를 제어부(16)로 출력하게 된다.
그에 따라, 그 제어부(16)는 현재 입력된 차이값이 기저장된 기준신호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게 되고, 그 판단결과 현재 입력된 차이값이 기저장된 기준신호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고동작이 행해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한편, 그 입력된 헌재의 차이값이 기저장된 기준신호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위칭소자(18)를 도통시켜 경고등(20)이 점등되도록 함과 더불어 경고부저(22)가 울리도록 한다.
그 후, 제어부(16)는 타이머(24)로부터의 계시데이터를 기초로 그 경고동작이 얼마정도의 시간동안 진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예컨대, 30초 정도안에 브레이크스위치(SW)가 온(ON)되지 않으면 ABS모듈(26)을 제어하여 차량제동이 자동으로 걸리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연료누유시 경고등 및 경고부저를 자동으로 동작시킴과 더불어 경고동작후 일정시간내에 차량제동이 걸리지 않으면 자동으로 제동을 걸어 줌으로써, 차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연료공급통로에 설치된 제 1 및 제 2유량센서(10,12)로부터의 신호의 차를 출력하는 차동증폭기(14)와, 상기 차동증폭기(14)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연료누유를 판단하고 연료누유판단시 경고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 및, 상기 제어부(16)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부재(20,22)를 동작시키는 스위칭소자(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누유 경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는 연류누유판단시 상기 경고부재(20,22)의 동작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차량이 정지되도록 ABS모듈(26)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누유 경고장치.
KR2019960052523U 1996-12-20 1996-12-20 연료누유 경고장치 KR199800394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523U KR19980039453U (ko) 1996-12-20 1996-12-20 연료누유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523U KR19980039453U (ko) 1996-12-20 1996-12-20 연료누유 경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453U true KR19980039453U (ko) 1998-09-15

Family

ID=5399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2523U KR19980039453U (ko) 1996-12-20 1996-12-20 연료누유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45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563A (ko) * 2014-04-15 2015-10-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압브레이커의 고장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563A (ko) * 2014-04-15 2015-10-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압브레이커의 고장진단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9285B2 (ko)
JPS61182450A (ja) 排気ガス還流装置の警報装置
KR19980039453U (ko) 연료누유 경고장치
KR20140113019A (ko) 자동차용 egr 밸브 보호장치
KR100219207B1 (ko) 흡기관 압력센서의 고장진단방법
KR100187116B1 (ko) 연료탱크내의 불순물 감지장치
KR960007895Y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 교환시기 경보장치
KR200162158Y1 (ko) 흡기 장치의 물 유입 방지 시스템
KR100520559B1 (ko)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24360B1 (ko) 엔진 역화 감지 방법
KR0161177B1 (ko) 자동차의 노면 검출 제어방법
KR19980049729A (ko) 연료량 지시장치
KR970044426A (ko) 엔진의 배기 정화 장치와 제어방법
KR100411159B1 (ko) 디젤차량 연료탱크와 연료펌프 사이의 공기 자동제거장치
KR19980046571U (ko) 자동차 연료분배관의 연료압력 경고장치
KR100337525B1 (ko) 2차공기도입장치에 있어서 2차공기밸브에러진단시스템
KR20010002937A (ko) 자동차의 연료 유출 경고 장치
KR100231862B1 (ko) 자동차 연료파이프의 연료유출 방지장치
KR19980016911A (ko) 엔진의 과열 방지장치
KR19980052765U (ko) 보조 연료공급 에러 감지 방지장치
KR970037685A (ko) 비상등 자동 작동 장치 및 그 방법
JPS6118543A (ja) 車両用ウインドウオツシヤ液減量警告装置
JPS6027805B2 (ja) 内燃機関の触媒過熱防止装置
KR19980023411U (ko) 자동차의 연료 경보장치
JPS63235658A (ja) 燃料ポンプの過熱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