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559B1 -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559B1
KR100520559B1 KR10-2003-0077718A KR20030077718A KR100520559B1 KR 100520559 B1 KR100520559 B1 KR 100520559B1 KR 20030077718 A KR20030077718 A KR 20030077718A KR 100520559 B1 KR100520559 B1 KR 100520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il
vehicle speed
warning lamp
oil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2668A (ko
Inventor
이동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7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559B1/ko
Publication of KR20050042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11/12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lubricant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20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 F01M2011/1453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by considering oil qua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엔진 오일량을 검출하는 장치로, 엔진 오일량 부족이 검출되는 상태에서 차량의 선회가 검출되면 오일량 부족에 대한 경고램프의 점등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여 경고램프의 오작동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엔진 시동 온에 따른 전원 공급으로 좌우측 휠의 차속과 오일 쳄버내 오일 레벨을 검출하는 과정과, 오일 레벨의 부족이 검출되면 소프트웨어에 의한 카운터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오일 레벨의 부족이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면 좌우측 휠의 차속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좌우측 휠의 차속이 일치하면 경고램프를 점등시켜 오일 보충을 유도하는 과정 및 좌우측 휠의 차속이 일치하지 않으면 곡선로 선회에 따른 일시적인 유동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램프의 점등을 차단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ENGINE OIL LEVEL DETECTION SYSTEM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엔진 오일량을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엔진 오일량 부족이 검출되는 상태에서 차량의 선회가 검출되면 오일량 부족에 대한 경고램프의 점등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 오일은 엔진의 각 섭동부에 대한 윤활작용과 실린더 압축 압력의 기밀 유지 작용, 연소실내의 방청 작용 및 엔진의 온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냉각 작용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엔진 오일이 피스톤 가스킷의 마모나 연소실의 확장으로 인하여 혼합기와 같이 연소되거나 오일 팬 리테이너(retainer)의 열화 및 경화에 의해 오일이 누출되어 오일량 감소하는 경우 엔진 각부의 내구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차량에서는 오일 챔버 내의 오일량이 설정된 레벨 이하로 검출되는 경우 경고램프를 점등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오일의 보충을 유도하는 오일량 감지장치가 구비되고 있다.
상기한 오일량 감지장치는 차량의 급선회시나 경사로의 운전시 엔진 오일이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침에 따라 오일량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경고램프가 점등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와 경고램프 사이의 회로에 콘덴서 유닛을 더 포함하여 센서의 출력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만 경고램프가 점등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오일량 감지장치는 회로내에서 별도의 콘덴서 유닛을 포함함에 따라 원가의 상승이 유발되고, 이에 따른 회로의 레이 아웃(Layout)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센서신호의 유지시간 측정을 콘덴서의 정전 용량에 의지하게 되므로 콘덴서의 제품 특성이 일정하지 않아 제어의 정밀도가 저하되고, 시간의 튜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엔진 제어수단인 ECU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오일 센서 신호의 유지시간을 카운터하고, 오일 쳄버내에 장착되는 오일 센서로부터 엔진 오일량 부족이 검출되는 상태에서 차량의 선회가 검출되면 오일량 부족에 대한 경고램프의 점등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여 경고램프의 오작동 발생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 오일 경고램프가 구비되는 차량에 있어서, 우측 휠의 차속정보를 검출하는 제1차속센서와; 좌측 휠의 차속정보를 검출하는 제2차속센서와; 오일 쳄버내의 엔진 오일 레벨을 검출하는 유량센서와; 상기 엔진 오일의 레벨이 설정된 기준 레벨 이하이면 설정된 기준시간(To) 이상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며,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좌우측 휠의 차속값을 비교하여 차량의 선회이면 경고램프의 점등을 차단하고, 직선로의 주행이면 경고램프를 점등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엔진 시동 온에 따른 전원 공급으로 좌우측 휠의 차속과 오일 쳄버내 오일 레벨을 검출하는 과정과; 오일 레벨의 부족이 검출되면 소프트웨어에 의한 카운터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오일 레벨의 부족이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면 좌우측 휠의 차속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좌우측 휠의 차속이 일치하면 경고램프를 점등시켜 오일 보충을 유도하는 과정 및; 좌우측 휠의 차속이 일치하지 않으면 곡선로 선회에 따른 일시적인 유동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램프의 점등을 차단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는 제1차속센서(10)와 제2차속센서(20), 유량센서(30), 제어부(40) 및 경고램프(50)로 이루어진다.
제1차속센서(10)는 차량의 전륜 우측 휠에 장착되는 차속센서로, 전륜 우측 휠의 차속정보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제2차속센서(20)는 차량의 전륜 좌측 휠에 장착되는 차속센서로, 전륜 좌측 휠의 차속정보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유량센서(30)는 오일 쳄버내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쳄버내의 엔진 오일 레벨을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40)는 유량센서(30)에서 엔진 오일의 레벨이 경고램프(50)의 점등이 요구되는 설정된 기준 레벨 이하인 상태로 검출되는 경우 소프트웨어에 의한 타이머 작동으로 설정된 기준시간(To) 이상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며, 엔진 오일의 레벨이 설정된 기준 레벨 이사의 상태로 설정된 기준시간(To) 이상 검출되는 과정에서 전륜 좌우측 휠의 차속값을 비교하여 차량의 선회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경고램프(50)의 점등을 차단하고, 전륜 좌우측 휠의 차속값이 일치하는 경우 경고램프(50)를 점등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오일 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경고램프(50)는 클러스터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엔진 오일의 부족을 지시한다.
전술한 구성 이외에 차량에는 더 많은 다양한 구성 요소가 포함되나,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통상의 기능이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서 엔진 오일량을 검출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엔진 시동 온에 따라 각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40)는 오일 쳄버내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유량센서(30)와 차량의 전륜 좌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제2차속센서(10)(20)의 신호를 판독 분석한다(S101).
이때, 유량센서(30)에서 검출되는 엔진 오일의 레벨이 경고램프(50)의 점등이 요구되는 설정된 기준 레벨 이하의 상태로 검출되는 엔진 오일의 부족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02).
상기에서 엔진 오일이 정상적인 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면 상기 S101의 과정으로 리턴하고, 엔진 오일이 기준 레벨 이하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주행 조건에 의한 엔진 오일의 유동으로 발생되는 일시적인 부족 현상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타이머를 작동시켜 설정된 시간의 카운터를 진행하며, 설정된 일정시간이 유지되는지를 판단한다(S103).
이때, 타이머로 설정된 유지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이면, 타이머 카운터를 지속하고(S104), 설정된 유지시간 경과한 상태에서도 엔진 오일의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의 상태로 검출되면 제1차속센서(10)에서 검출되는 전륜 우측휠의 차속과 제2차속센서(20)에서 검출되는 전륜 좌측휠의 차속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105).
상기 S105의 판단에서 전륜 좌우측 휠의 차속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커브길의 선회로 인한 엔진 오일의 유동으로 일시적인 부족 현상이 검출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램프(50)의 점등을 차단하고 상기 S101의 과정으로 리턴한다.
그러나, S105의 판단에서 전륜 좌우측 휠의 차속이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일 유동을 발생시키는 원인 상황에 없는 상태에서의 엔진 오일 레벨의 부족 검출이므로, 실질적인 엔진 오일의 부족으로 판단하여 경고램프(50)를 점등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신속한 엔진 오일의 보충 혹은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106).
상기에서 엔진 오일 레벨의 부족에 대한 경고는 경고램프 이외에 부저를 통한 경고음의 송출과 차량에 장착되는 네비게이션의 표시수단을 통한 지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 오일의 레벨 검출에 따라 경고 램프를 점등함에 있어, 엔진 오일의 부족에 대한 신호가 차량의 주행 여건에 의한 오일 유동으로 검출되는 현상인지를 확인하여 경고램프의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경고램프의 점등이 배제되어 차량의 운행에 있어 신뢰성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을 실행하는 실시예의 흐름도.

Claims (4)

  1. 엔진 오일 경고램프가 구비되는 차량에 있어서,
    우측 휠의 차속정보를 검출하는 제1차속센서와;
    좌측 휠의 차속정보를 검출하는 제2차속센서와;
    오일 쳄버내의 엔진 오일 레벨을 검출하는 유량센서와;
    상기 엔진 오일의 레벨이 설정된 기준 레벨 이하이면 설정된 기준시간(To) 이상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며,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좌우측 휠의 차속값을 비교하여 차량의 선회이면 경고램프의 점등을 차단하고, 직선로의 주행이면 경고램프를 점등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좌우측 휠의 차속값 비교에서 서로 일치하면 직선로의 주행으로 판단하고, 서로 다른 상태이면 곡선로의 선회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일 레벨 부족에 대한 지연시간을 소프트웨어 타이머를 통해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
  4. 엔진 시동 온에 따른 전원 공급으로 좌우측 휠의 차속과 오일 쳄버내 오일 레벨을 검출하는 과정과;
    오일 레벨의 부족이 검출되면 소프트웨어에 의한 카운터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오일 레벨의 부족이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면 좌우측 휠의 차속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좌우측 휠의 차속이 일치하면 경고램프를 점등시켜 오일 보충을 유도하는 과정 및;
    좌우측 휠의 차속이 일치하지 않으면 곡선로 선회에 따른 일시적인 유동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램프의 점등을 차단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방법.
KR10-2003-0077718A 2003-11-04 2003-11-04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20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718A KR100520559B1 (ko) 2003-11-04 2003-11-04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718A KR100520559B1 (ko) 2003-11-04 2003-11-04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668A KR20050042668A (ko) 2005-05-10
KR100520559B1 true KR100520559B1 (ko) 2005-10-11

Family

ID=3724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718A KR100520559B1 (ko) 2003-11-04 2003-11-04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2619B2 (en) 2012-12-17 2015-12-1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preventing misdiagnosis of oil level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039B1 (ko) * 2015-07-23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오일 부족 진단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2619B2 (en) 2012-12-17 2015-12-1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preventing misdiagnosis of oil level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668A (ko) 2005-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7865B2 (en) Engine oil, degradation-determining system and method, and engine control unit
US8904855B2 (en) Device and method for oil pressure sensor fault sensing for vehicle
KR100520559B1 (ko) 차량에서 오일량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401789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gnition and engine conditions
KR20170010634A (ko) 엔진오일레벨센서 미적용 엔진오일레벨 경고방법 및 이를 위한 엔진오일레벨 경고시스템
KR100783958B1 (ko) Tpms 시스템의 스페어 타이어 검출 경고 방법
JPS61272410A (ja) 車両用潤滑油交換時期警告装置
KR20040037397A (ko) 연료 탱크 레벨 센서의 고장판정방법
KR20020042136A (ko) 자동차의 에어필터의 교체시점을 알려주는 시스템 및방법
KR980002765A (ko) 차량용 에어필터 교환시기 안내 시스템 및 그 안내방법
KR100219207B1 (ko) 흡기관 압력센서의 고장진단방법
KR100418767B1 (ko) 차량의 오일부족 경고장치 그 제어방법
KR101189223B1 (ko) 차량의 요철로 주행 판단장치 및 방법
KR100195991B1 (ko) 자동차의 연료 소모량 측정 방법
KR20020095985A (ko) 차량용 엔진의 냉각수 부족 검출방법
KR19990050668A (ko) 자동차의 타이어 공기압 점검 방법
KR200183025Y1 (ko) 계기판 경고 장치
KR100440124B1 (ko) 자동차의 연료 레벨센서 모니터링 방법
KR20030048856A (ko) 이씨유의 차속센서 진단방법
KR20040043776A (ko) 엔진오일 내의 공기흡입량 경고방법 및 경고 시스템
KR100514391B1 (ko) 연료캡의 장착상태 검출방법
KR100507204B1 (ko) 차속 제한 시스템의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405729B1 (ko) 차량의 연료 누출 모니터링 제어방법
KR19980039260U (ko) 엔진오일 잔량 체크장치
KR100251358B1 (ko) 자동차의 차고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