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693B1 - 자동차 연료공급 자동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연료공급 자동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693B1
KR0179693B1 KR1019950052971A KR19950052971A KR0179693B1 KR 0179693 B1 KR0179693 B1 KR 0179693B1 KR 1019950052971 A KR1019950052971 A KR 1019950052971A KR 19950052971 A KR19950052971 A KR 19950052971A KR 0179693 B1 KR0179693 B1 KR 0179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upply
fuel
supply pipe
solenoid valv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2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5602A (ko
Inventor
장지덕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2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693B1/ko
Publication of KR97003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5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사고 발생시 연료공급계통의 파손으로 인한 연료의 외부유출을 차단하여 연료의 유출에 따른 화재로부터 운전자, 승객 및 화물을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다수의 충격감지센서와, 연료공급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충격의 유무에 따라 연료공급관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충돌감지센서들의 출력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자동차 충돌시 연료공급을 차단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연료공급 자동 차단장치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연료공급 자동 차단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배터리 12 : 콘트롤러
13 : 연료탱크 14 : 연료 공급관
15 : 솔레노이드 밸브 S1 : 전방 충격감지센서
S2 : 후방 충격감지센서 S3 : 우측방 충격감지센서
S4 : 좌측방 충격감지센서 L : 솔레노이드 코일
SW : 리세트 스위치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공급 자동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충돌사고시 이를 센서로 감지하여 연료가 연료탱크로부터 엔진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충돌사고시 발생할 수 있는 연료의 유출에 따른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연료공급 자동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는 연료공급관을 통해 엔진으로 공급되는데, 자동차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이 연료공급계통이 파손되어 외부로 연료가 유출되고, 이 유출된 연료가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의 합선이나 스파크 등으로 인해 발화되어 충돌사고시 신속하게 대피하지 못한 운전자와 승객이 희생당하거나 화물이 소실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충돌사고 발생시 충돌 감지센서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연료탱크로 부터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공급차단하므로써 자동차 충돌사고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화재로부터 승객 및 화물을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다수의 충격감지센서와, 연료공급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자동차 충돌의 유무에 따라 상기 연료공급관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충돌감지센서들의 출력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충돌사고 발생시 연료탱크로 부터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공급차단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연료공급 자동 차단장치의 구성도이다.
자동차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S1,S2,S3,S4)와, 연료탱크(13)의 연료배출구 주변의 연료공급관(14)에 설치되어 자동차 충돌의 유무에 따라 연료탱크(13)와 엔진 사이를 연결하는 연료공급관(14)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5)와, 상기 충돌감지센서(S1,S2,S3,S4)의 출력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5)를 제어하는 콘트롤러(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충격감지센서(S1,S2,S3,S4)는 자동차의 앞 뒤 범퍼 및 측면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또한 가벼운 충돌사고로 차단된 연료의 공급을 재개하기 위한 리세트 스위치(SW)가 상기 콘트롤러(12)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12)는 베터리(11)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자동차가 정상적으로 주행중이면 자동차의 전후좌우에 설치되어 있는 충격감지센서(S1,S2,S3,S4)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따라서 콘트롤러(12)의 출력단(OUT)은 로우(LOW) 상태를 유지한다. 콘트롤러(12)의 출력단(OUT)이 로우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출력단(OUT)에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15)의 솔레노이드 코일(L)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솔레노이드 밸브(15)는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연료는 연료탱크(13)로부터 연료공급관(14)을 따라 엔진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자동차가 주행중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자동차의 전후좌우에 설치되어 있는 충돌감지센서(S1,S2,S3,S4)중 하나가 이를 검출하여 콘트롤러(12)에 알린다. 이에따라 콘트롤러(12)는 출력단(OUT)을 통해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단(OUT)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코일(L) 주위에는 전류가 흘러 자장이 형성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코일(L) 주위에 형성된 자장은 연료공급관(14)에 설치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15)를 끌어당겨 연료공급관(14)을 폐쇄한다. 따라서 연료는 연료탱크(13)로부터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충격감지센서(S1,S2,S3,S4)는 가벼운 충격에도 충격 검출신호를 출력하여 연료의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리세트 스위치(SW)를 조작하여 차단된 연료의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사고 발생시 이를 센서로 감지하여 연료탱크로부터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공급차단하여 외부로 연료가 유출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화재로부터 승객과 화물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연료탱크(13)와, 상기 연료탱크(13)와 엔진을 연결하는 연료공급관(14)을 구비하는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다수의 충격감지센서(S1,S2,S3,S4); 상기 연료공급관(14)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충격의 유무에 따라 상기 연료공급관(14)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5); 상기 충돌감지센서(S1,S2,S3,S4)의 출력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5)를 제어하는 콘트롤러(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공급 자동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벼운 충돌사고시 차단된 연료공급을 재개하기 위해 상기 콘트롤러(12)를 리세트시키는 리세트 스위치(SW)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공급 자동 차단장치.
KR1019950052971A 1995-12-20 1995-12-20 자동차 연료공급 자동 차단장치 KR0179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2971A KR0179693B1 (ko) 1995-12-20 1995-12-20 자동차 연료공급 자동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2971A KR0179693B1 (ko) 1995-12-20 1995-12-20 자동차 연료공급 자동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602A KR970035602A (ko) 1997-07-22
KR0179693B1 true KR0179693B1 (ko) 1999-04-01

Family

ID=1944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2971A KR0179693B1 (ko) 1995-12-20 1995-12-20 자동차 연료공급 자동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9447A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차량의 추돌 사고시 전원 자동 차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9447A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차량의 추돌 사고시 전원 자동 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602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6702A (ko) 사고 발생시 오작동을 방지하고 고전압 시스템을 차단할 수있는 모터 차량
GB2294201A (en) Anti-fire system for a vehicle
KR0179693B1 (ko) 자동차 연료공급 자동 차단장치
KR0132587Y1 (ko) 자동차의 연료공급 차단장치
KR100211570B1 (ko) 자동차 전원 자동 차단장치
KR19980023219A (ko)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KR100852739B1 (ko) 차량용 전원 차단 장치
KR0162072B1 (ko) 차량충돌시 연료의 자동귀환장치
JPH05254386A (ja)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の駆動電源回路
KR100559624B1 (ko)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 방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04458U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
KR200161436Y1 (ko) 자동차의 가스 자동 차단장치
KR0152612B1 (ko) 자동차 충돌시의 연료 공급차단 시스템
KR100250266B1 (ko) 자동차용 연료 유출 방지시스템
KR100214975B1 (ko) 차량충돌시 화재방지장치
KR20000026147A (ko) 차량의 연료 공급 차단 장치
KR200147894Y1 (ko) 차량 사고시 연료 누출 방지 장치
KR20000007949U (ko) 차량 충돌시의 화재발생 방지장치
KR100210138B1 (ko) 롤스위치를 이용한 차량용 연료차단회로
KR0181454B1 (ko) 연료 펌프 정지형 에어백 작동장치
KR19980021955A (ko) 차량의 충돌사고시 화재발생 차단방법 및 그 장치
KR100201453B1 (ko) 차량 구속장치의 해제장치
KR0161069B1 (ko) 자동차 연료공급 제어장치
JP5078588B2 (ja) 車両用電源装置
KR19980056285A (ko) 자동차의 자동 소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