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096Y1 -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096Y1
KR200162096Y1 KR2019960039381U KR19960039381U KR200162096Y1 KR 200162096 Y1 KR200162096 Y1 KR 200162096Y1 KR 2019960039381 U KR2019960039381 U KR 2019960039381U KR 19960039381 U KR19960039381 U KR 19960039381U KR 200162096 Y1 KR200162096 Y1 KR 200162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shock absorber
hole
bumper body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510U (ko
Inventor
최석정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39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096Y1/ko
Publication of KR199800265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5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0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완충기능이 양호하고 설치가 용이한 반면에 고정력을 증대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대략 원기둥형으로 된 범퍼본체(1)의 중앙에 공동부(3)가 형성된 제1완충돌기(2)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주위에 일정간극을 두고 제1완충돌기(2) 보다 길이가 짧은 제2완충돌기(4)를 형성하며, 범퍼본체(1)의 하부에 지지면(5)을 형성함과 동시에 중앙부에 후술하는 구멍(10)과 동일 직경 내지 약간 큰 직경의 지지봉(6)을 형성하여 지지홈(7)을 남겨두고 지지봉(6)의 선단부에서 지지면(5) 측으로 그 직경이 큰 나선형의 고정돌기(8)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
본 고안은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어, 트렁크 리드 등에는 오버 슬램 범퍼를 설치하여 도어 등이 닫칠 때의 충격력의 완충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바, 종래의 오버 슬램 범퍼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추기둥형 고무제 범퍼본체(20)의 하부에 지지면(21)을 형성함과 동시에 지지면(21)에 상기 범퍼본체(20)와 그 테이퍼면이 반대인 원추기둥형 고정돌기(23)를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면(21)과 고정돌기(23)사이에 지지홈(24)을 설치하여서 상기 고정돌기(23)를 패널(25)에 뚫은 구멍(26)에 돌려 끼워서 지지홈(24)을 구멍(26)에 삽입하면 고정돌기(23)가 구멍(26)의 주위에 걸려 고정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오버 슬램 범퍼는 범퍼본체(20)가 원추기둥형으로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이 양호하지 못하기 때문에 완충기능이 미약하여 도어 등이 닫칠 때 소음이 발생하고, 구멍(26)에 고정돌기(23)를 돌려 끼울 때 고정돌기(23)의 탄성변형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구멍(26)과 고정돌기(23)의 직경차를 크게할 수 없기 때문에 고정돌기(23)의 구멍(26) 주위의 고정력이 크지 못하여 도어 등이 닫칠 때 범퍼본체(20)가 회전되고 열 때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고정돌기(23)가 구멍(26)에서 이탈되어 오버 슬램 범퍼가 탈락되며, 상기한 이탈을 억제하기 위하여 고정돌기(23)의 직경을 크게하면 고정력은 증대되나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완충기능이 양호하고, 설치가 용이한 반면에 고정력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범퍼본체에 제2완충돌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중앙에 일정간극을 두고 상기 제2완충돌기보다 길이가 길며 공동부를 형성한 제1완충돌기를 형성하고, 범퍼본체의 하부에 지지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중앙에 지지봉을 형성하여 지지홈을 남겨두고 나선형 고정돌기를 선단부에서 지지면 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3은 종래의 것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범퍼본체 2 : 제1완충돌기
3 : 공동부 4 : 제2완충돌기
5 : 지지면 6 : 지지봉
7 : 지지홈 8 : 고정돌기
본 고안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기둥형으로 된 범퍼본체(1)에 제2완충돌기(4)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중앙에 일정간극을 두고 상기 제2완충돌기(4)보다 길이가 길며 공동부(3)가 형성된 제2완충돌기(4)를 형성하며, 범퍼본체(1)의 하부에 지지면 (5)을 형성함과 동시에 중앙부에 후술하는 구멍(10)과 동일 직경 내지 약간 큰 직경의 지지봉(6)을 형성하여 지지홈(7)을 남겨두고 나선형 고정돌기(8)를 지지봉(6)의 선단부에서 지지면(5) 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는 9는 패널이고, 10은 구멍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패널(9)에 형성된 구멍(10)에 고정돌기(8)를 돌려 끼우면 구멍(10)과 지지봉(6)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지지봉(6)의 직경이 구멍보다 약간 크므로 지지봉(6)은 적은 힘으로 구멍(10)을 통화함과 동시에 나선형 고정돌기(8)는 구멍(10)에 안내되면서 지지홈(7)이 구멍(10)에 삽입되고 지지면(5)과 고정돌기(8)는 구멍(10)의 양측 주위에 지지 고정되는 것이며, 도어 등을 닫을 때 그 인너 패널이 제1완충돌기(2)에 접촉되면서 공동부(3)와 함께 1차 완충되고 다음에 제1완충돌기(2)의 주위에 형성된 제2완충돌기(4)에 접촉되면서 재차 완충되는 것이다.
또한 범퍼본체(1)가 패널(9)에 고정될 때 구멍(10)의 주위는 구멍(10)보다 직경이 큰 고정돌기(8)가 지지하므로서 도어 등을 닫을 때의 충격력에 의하여 범퍼본체(1)가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범퍼본체에 공동부가 형성된 제1완충돌기와 그 주위에 2차 완충돌기를 형성하여 종래의 단일체 범퍼보다 스프링 정수를 작게 하였으므로 완충기능이 양호하여 도어 등이 닫칠 때 소음의 발생이 없고, 범퍼본체의 하부에 구멍과 동일한 지지봉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주위에 선단부에서 지지면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큰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설치가 용이한 반면에 고정력을 견고하게 하였으므로 설치가 편리하고 탈락이 방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범퍼본체에 제2완충돌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중앙에 일정간극을 두고 상기 제2완충돌기보다 길이가 길며 공동부를 형성한 제1완충돌기를 형성하며, 범퍼본체의 하부에 지지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중앙에 지지봉을 형성하여 지지홈을 남겨두고 나선형 고정돌기를 선단부에서 지지면 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서 된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
KR2019960039381U 1996-11-11 1996-11-11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 KR200162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381U KR200162096Y1 (ko) 1996-11-11 1996-11-11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381U KR200162096Y1 (ko) 1996-11-11 1996-11-11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510U KR19980026510U (ko) 1998-08-05
KR200162096Y1 true KR200162096Y1 (ko) 1999-12-01

Family

ID=1947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381U KR200162096Y1 (ko) 1996-11-11 1996-11-11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0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510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9388A (en) Hood overslam bumper for automobiles
KR200162096Y1 (ko)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
KR950017323A (ko) 자동차 엔진의 롤 스톱퍼 마운팅 구조
KR0139727Y1 (ko) 차량용 완충 범퍼의 결합 구조
KR0136895Y1 (ko) 버스 리어프레임의 쿠션러버
KR100216040B1 (ko)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
KR19990017995A (ko) 자동차의 후드 로크
KR100387835B1 (ko) 트렁크 리드의 토션바 지지 장치
KR100623761B1 (ko) 자동차의 단품 패널 조립구조
KR100189491B1 (ko) 차량의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JPS5828139Y2 (ja) 自動車用ドアチエツク装置
KR19980011081U (ko)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핸들 범퍼
KR0122048Y1 (ko) 자동차 리어 판스프링용 스톱퍼
KR200143819Y1 (ko) 자동차용 완충부재
JP2005188583A (ja) ラバーブッシュ
KR100422880B1 (ko) 버스의 플랩도어용 스테이댐퍼 장착구조
KR200150762Y1 (ko)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 고정구조
KR0140298Y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흡수구
KR19980035756U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완충용 스토퍼
KR0125664Y1 (ko) 차량용 범퍼 스테이
KR0131742Y1 (ko) 자동차 룸밀러의 스테이 고정구조
KR970002541Y1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구조
KR19980025308U (ko) 쇽업소버용 러버 부시
KR100318075B1 (ko) 자동차의 노이즈 저감용 스프링 시트 구조
KR20020049511A (ko) 차량용 룸미러의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