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643Y1 - 운전자 보호용 에어백 - Google Patents

운전자 보호용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643Y1
KR200157643Y1 KR2019950033063U KR19950033063U KR200157643Y1 KR 200157643 Y1 KR200157643 Y1 KR 200157643Y1 KR 2019950033063 U KR2019950033063 U KR 2019950033063U KR 19950033063 U KR19950033063 U KR 19950033063U KR 200157643 Y1 KR200157643 Y1 KR 200157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driver
airbag
fuse
vent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3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659U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33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643Y1/ko
Publication of KR9700226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6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6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4Ch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자보호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백의 하부에 복수의 밴트 홀이 단순히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배기량조절시 운전자의 에너지 흡수형상이 사인곡선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차체감속도가 높은 차량에서는 운전자상해치의 개선이 어렵게 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백의 밴트홀에 휴즈를 부착함으로써 충돌초기에는 백이 단단하게 되도록 밴트홀을 막아 백의 전개시간이 단축되며 승객이 받는 힘이 걸렸을 때 휴즈에 의해 밴트홀이 개방됨에 따라 승객의 순간거동량 증대로 흉부상해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운전자 보호용 에어백
본 고안은 운전자보호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백의 밴트홀에 휴즈를 부착함으로써 백의 전개시간이 단축되며 승객이 받는 힘이 걸렸을 때 휴즈에 의해 밴트홀이 개방됨에 따라 승객의 순간거동량 증대로 흉부상해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운전자보호용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면충돌시 자동차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휘일에 설치된 운전자보호용 에어백은, 일측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인플레이터에 일체화되어 있는 백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면에 결합되어 백의 전개에 따라 개방되는 에어백도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백(10)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휘일(12)의 에어백모듈(14)상부로 전개되도록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측에 복수의 밴트홀(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의 운전자보호용 에어백에 있어서, 하우징내의 인플레이터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백(10)이 순간적으로 부풀어 오르게되고 상기 백(10)내의 가스압력에 의해서 에어백 도어가 개방되면서 백(10)이 전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운전자보호용 에어백에 있어서는 백(10)의 하부에 복수의 밴트홀(16)이 단순히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배기량조절시 운전자의 에너지 흡수형상이 사인곡선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차체감속도가 높은 차량에서는 운전자상해치의 개선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백의 밴트홀에 휴즈를 부착함으로써 충돌초기에는 백이 단단하게 되도록 밴트홀을 막아 백의 전개시간이 단축되며 승객이 받는 힘이 걸렸을 때 휴즈에 의해 밴트홀이 개방됨에 따라 승객의 순간거동량 증대로 흉부상해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운전자보호용 에어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선행기술에 따른 운전자 보호용 에어백의 전개시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 보호용 에어백만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a)는 초기전개시,
(b)는 운전자거동시,
제4도는 흉부상해치와 시간에 대한 본 고안과 선행기술의 비교그라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백 12 : 스티어링휘일
14 : 에어백모듈 16 : 밴트홀
18 : 휴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스티어링 휘일의 에어백모듈 상부로 전개되도록 구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측에 복수의 벤트홀이 형성된 백을 포함하는 운전자보호용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내부를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띠형 휴즈의 각 단부가, 상기 각 밴트홀을 차단시키는 상태로 에어백 내면에 부착되되, 충돌초기에는 상기 각 밴트홀을 차단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전개된 에어백에 운전자가 충돌됨에 따라 상기 밴트홀을 차단하고 있던 상기 휴즈의 각 단부가 에어백으로부터 분리되는 결합력을 갖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보호용 에어백을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보호용 에어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여기에서, 백(10a)은 스티어링 휘일(12)의 에어백모듈(14)상부로 전개되도록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측에 복수의 밴트홀(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밴트홀(16)에는 충돌초기엔 백(10a)이 단단하게 되도록 막고 승객이 받는 힘이 걸렸을 때 개방되도록 휴즈(18)가 부착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휴즈(18)는 띠형의 부재로서, 상기 백(10a) 내부를 가로질러서 설치되는데, 휴즈(18)의 각 단부가 상기 밴트홀(16)을 차단한 상태로 백(10a) 내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휴즈(18)의 각 단부와 상기 백(10a)과의 결합력은, 차량의 충돌 초기에는 상기 휴즈(18)의 각 단부가 상기 각 밴트홀(16)을 가로막은 상태를 유지하고, 전개된 백(10a)과 운전자의 충돌시 그 충돌력에 의하여 상기 휴즈(18)의 각 단부가 상기 백(10a)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각 밴트홀(16)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보호용 에어백은, 정면충돌시 에어백모듈(14)내의 인플레이터(도시되지 않았음)로부터 순간적으로 가스가 발생됨에 따라 백(10a)이 제3(a)도와 전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백(10a)의 하부에 밴트홀(16)이 휴즈(18)에 의해 폐쇄되어 있어 백(10a)의 전개시간이 단축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거동시, 운전자의 상체가 백(10a)의 상단을 가격하게 되면, 백(10a)이 제3(b)도와 같이 측방으로 팽창함에 따라 휴즈(18)가 떨어져 밴트홀(16)이 개방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운전자의 순간거동량이 증대되게 된다.
제4도는 흉부상해치와 시간에 대한 본 고안과 선행기술의 비교그라프로서, 감속도가 많이 일어나는 시점(운전자 상해치가 높아지는 시점)에서 휴즈(18)가 휴즈 브레이크 시간(t1)에서 떨어짐에 따라 운전자의 순간거동량을 증대시켜 흉부상해감소치(△g)만큼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보호용 에어백은 충돌초기에는 백(10a)이 단단하게 되도록 백(10a)하부의 밴트홀(16)을 막아 백(10a)의 전개시간이 단축되고 승객이 받는 힘이 걸렸을 때 밴트홀(16) 상의 휴즈(18)가 분리됨에 의해 밴트홀(16)이 개방됨에 따라 운전자의 순간거동량이 증대되어 흉부상해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보호용 에어백에 의하면, 백의 밴트홀에 휴즈를 부착함으로써, 충돌초기에는 백이 단단하게 되도록 밴트홀을 막아 백의 전개시간이 단축되며 승객이 받는 힘이 걸렸을 때 상기 백의 밴트홀을 차단하고 있던 휴즈가 분리되어 밴트홀이 개방됨에 따라 승객의 순간거동량 증대로 흉부상해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스티어랑 휘일의 에어백모듈 상부로 전개되도록 구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측에 복수의 밴트홀이 형성된 백을 포함하는 운전자보호용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내부를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띠형 휴즈의 각 단부가, 상기 각 밴트홀을 차단시키는 상태로 에어백 내면에 부착되되, 충돌초기에는 상기 각 밴트홀을 차단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전개된 에어백에 운전자가 충돌됨에 따라 상기 밴트홀을 차단하고 있던 상기 휴즈의 각 단부가 에어백으로부터 분리되는 결합력을 갖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보호용 에어백.
KR2019950033063U 1995-11-10 1995-11-10 운전자 보호용 에어백 KR200157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063U KR200157643Y1 (ko) 1995-11-10 1995-11-10 운전자 보호용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063U KR200157643Y1 (ko) 1995-11-10 1995-11-10 운전자 보호용 에어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659U KR970022659U (ko) 1997-06-18
KR200157643Y1 true KR200157643Y1 (ko) 1999-10-01

Family

ID=1942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3063U KR200157643Y1 (ko) 1995-11-10 1995-11-10 운전자 보호용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6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659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8060A (en) Energy dissipation features in air bag closures
JP5099619B2 (ja) 助手席エアバックハウジング構造
KR101561468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030003267A (ko) 차량용 탑승자 보호장치
JPH1067292A (ja) 車両乗員用の膝拘束装置
EP0615888B1 (en) Cover for airbag
KR200157643Y1 (ko) 운전자 보호용 에어백
KR100527779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분리장치
KR100529145B1 (ko) 조수석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튜브의 구조
KR100512427B1 (ko)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KR20050082716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쿠션
KR20060024971A (ko) 에어백장치
KR100599573B1 (ko)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CN217532791U (zh) 安全气囊和车辆中的布置结构
KR100622119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420716B1 (ko)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개방장치
KR100521023B1 (ko) 광역 혼 작동 영역을 갖는 에어백 모듈 커버
KR0129270Y1 (ko) 승객에어백
KR100203084B1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전개 가스압력 분산 조절장치
KR100410844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200400959Y1 (ko) 에어백 어셈블리
KR200193453Y1 (ko) 조수석용 에어 백 하우징
KR200141560Y1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00191958B1 (ko) 차량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
KR0138833Y1 (ko) 격판이 설치된 자동차의 에어 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