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958B1 - 차량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958B1
KR100191958B1 KR1019960040641A KR19960040641A KR100191958B1 KR 100191958 B1 KR100191958 B1 KR 100191958B1 KR 1019960040641 A KR1019960040641 A KR 1019960040641A KR 19960040641 A KR19960040641 A KR 19960040641A KR 100191958 B1 KR100191958 B1 KR 100191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racket
housing
door
airba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697A (ko
Inventor
박용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40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958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5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reusable, e.g. in case of multiple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aring tabs, legs or the like for holding the lid before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11)이 내장되며 그 측벽면으로 홈(12)과 돌기(13)가 형성되어있는 하우징(14)과, 상기 하우징(14)의 돌기(13)에 체결되기위한 체결홈(15)이 형성되어있고 상측면에는 다수의 홈(16)이 형성되어있는 힌지 브라켓(17)과, 상기 하우징(14)의 후단과 힌지 브라켓(17)의 후단을 연결하여 힌지 브라켓(17)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18)과, 상기 하우징(14)의 측벽면에 형성되어있는 홈(12)에 체결되어 힌지 브라켓(17)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19)가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부분 가공된 테어 심부(20)가 중앙에 형성되어있는 보조 개폐부(21)와, 상기 힌지 브라켓(17)의 상측으로 체결되어 보조 개폐부(21)가 개폐될때 힌지 브라켓(17)과 함께 개폐되는 도어(22)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여 에어백의 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하는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에어백(Air bag)이 토출되도록 하는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 쿠션(Cushion)이 전개되는 힘으로 보조 개폐부의 테어 심(Tear Seam)이 찢겨지면서 힌지 브라켓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제거되도록 하여 에어백 도어가 열리게 하므로서 차량 충돌시 에어백이 보다 빠르게 작동하고, 스토퍼가 하우징으로 부터 분리됨으로서 에어백 도어가 열리는 선회방식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두부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조 개폐부가 작동 이후에도 개방 이전의 도어형상을 유지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에어백(1)이 내장되는 하우징(2)과, 하우징(2)의 전면을 개폐하기위한 도어(3)와, 상기 도어(3)가 하우징(2)의 전면에 체결되도록 하는 힌지부(4)와, 상기 도어(3)의 하측과 하우징(2)의 하측을 체결하여 유사시 도어(3)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그 중앙부에 테어 심부(5)가 부분 가공되어있어 에어백(1)의 동작시 테어심부(5)가 찢어져 도어(3)가 개폐되도록 하는 체결부(6)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는 에어백(1)이 내장된 하우징(2)의 개폐를 위한 도어(3)의 상측이 힌지부(4)에 의해 하우징(2)에 체결되어있고, 도어(3)의 하측이 체결부(6)에 의해 하우징(2)의 하측에 체결되어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여 에어백(1)이 동작하여 부풀어오르게 되면, 에어백(1)의 부풀어오르는 힘에 의해 도어(3)를 지지하고 있는 체결부(6)의 중앙에 부분 가공되어있는 테어심부(5)가 찢어지면서 도어(3)가 힌지부(4)를 중심으로 열리게 되어 에어백(1)이 하우징(2) 밖으로 토출되어 운전자의 두부가 차체에 부딪히는 충격을 완충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는 도어가 하우징 상부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힌지부의 체결 강도에 의해 도어의 열림 속도가 달라져 에어백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게되고, 또한 에어백의 토출시 체결부의 테어심부가 찢어지면서 도어가 열리기 때문에 한번 동작한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를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힘으로 보조 개폐부의 테어 심(Tear Seam)이 찢겨지면서 힌지 브라켓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제거되도록 하여 에어백 도어가 열리게 하므로서 차량 충돌시 에어백이 보다 빠르게 작동하고, 스토퍼가 하우징으로 부터 분리됨으로서 에어백 도어가 열리는 선회방식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두부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조 개폐부가 작동 이후에도 개방 이전의 도어형상을 유지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를 보인 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를 보인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에어백, 12: 홈, 13: 돌기, 14: 하우징, 17: 힌지 브라켓, 18: 스프링, 19: 스토퍼, 20: 테어심부, 21: 보조 개폐부, 22: 도어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는, 에어백이 내장되며 그 측벽면으로 홈과 돌기가 형성되어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돌기에 체결되기위한 체결홈이 형성되어있고 상측면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있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후단과 힌지 브라켓의 후단을 연결하여 힌지 브라켓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면에 형성되어있는 홈에 체결되어 힌지 브라켓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가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부분 가공된 테어심부가 중앙에 형성되어있는 보조 개폐부와, 상기 힌지 브라켓의 상측으로 체결되어 보조 개폐부가 개폐될때 힌지 브라켓과 함께 개폐되는 도어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의 개폐동작은 차량의 충돌에 의해 에어백이 동작하여 보조 개폐부에 힘을 가하면 보조 개폐부의 테어심부가 찢어지면서 하우징의 측벽면에 형성된 홈에 체결되어 힌지 브라켓이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고있던 스토퍼가 홈으로 부터 이탈되므로서, 도어가 체결되어있는 힌지 브라켓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하여 도어가 개폐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2 내지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 는 도어 열림장치의 구조를 보인 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 열림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이며, 도 4 의 (가)는 본 발명의 도어 열림장치가 작동하기 전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4 의 (나)는 본 발명의 도어 열림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에어백(11)이 내장되는 하우징(14)의 양 측벽면에는 홈(12)과 돌기(13)가 형성되어있고, 이 돌기(13)의 끝단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있어 볼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하우징(14)의 후면에는 스프링(18)이 체결되기위한 체결구(14A)가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4)에 체결되는 힌지 브라켓(17)은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그 하단에 상기 돌기(13)에 체결되기위한 홈(15)이 형성되어있고, 힌지 브라켓(17)의 상측면에는 도어(22)가 체결되기위한 다수의 홈(16)이 형성되어있으며, 이 힌지 브라켓(17)의 후단은 하우징(14)의 체결구(14A)에 일측에 결합된 상태의 스프링(18)과 체결되어 스프링(18)의 탄성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4)의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보조 개폐부(21)는 그 양측면에 상기 하우징(14)의 홈(12)에 체결되기위한 스토퍼(19)가 돌출 형성되어있고, 그 중앙부는 부분 가공되어 조그만 충격에도 찢어지도록 형성된 테어심부(20)가 형성되어있어 에어백(11)이 부풀어 오를때 쉽게 찢어지도록 되어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19)는 하우징(14)의 홈(12)에 체결된 상태에서 힌지 브라켓(17)이 스프링(18)의 탄성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하우징(14)의 최외각을 개폐하는 도어(22)의 상측에는 힌지 브라켓(17)의 상측에 형성된 홈(16)과 대향되는 위치에 다수의 홈(22A)이 형성되어있어 이 홈(22A)과 힌지 브라켓(17)의 홈(16)이 일치하도록 도어(22)를 위치시킨 후 별도의 체결구(리벳)로 힌지 브라켓(17)과 도어(22)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일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의 (가)와 같이 보조 개폐부(21)가 열리기 전상태, 즉 에어백(11)이 부풀어 오르기 전상태에서 차량이 충돌하여 에어백(11)이 부풀어 오르게 되면, 에어백(11)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보조 개폐부(21)의 중앙부를 밀게되어 부분 가공된 테어심부(20)가 찢어지면서 보조 개폐부(21)가 그 중앙부로 부터 열리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보조 개폐부(21)가 열리면, 보조 개폐부(21)의 측면에 돌출되어 하우징(14)의 측벽면에 형성된 홈(12)에 체결되어있던 스토퍼(19)가 홈(12)으로 부터 이탈되고, 이에따라 상기 스토퍼(19)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힌지 브라켓(17)이 스프링(18)의 탄성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 힌지 브라켓(17)에 체결되어있던 도어(22)가 연동 회전하여 하우징(14)에 대해 개폐되므로서, 하우징(14)에 내장되어있던 에어백(11)이 전개되어 운전자를 자동차의 충돌로 부터 보호하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힘으로 보조 개폐부의 테어 심이 찢겨지면서 힌지 브라켓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제거되도록 하여 에어백 도어가 열리게 하므로서 차량 충돌시 에어백이 보다 빠르게 작동하고, 스토퍼가 하우징으로 부터 분리됨으로서 에어백 도어가 열리는 선회방식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두부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조 개폐부가 작동 이후에도 개방 이전의 도어형상을 유지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에어백이 내장되며 그 측벽면으로 홈과 돌기가 형성되어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돌기에 체결되기위한 체결홈이 형성되어있고 상측면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있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후단과 힌지 브라켓의 후단을 연결하여 힌지 브라켓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면에 형성되어있는 홈에 체결되어 힌지 브라켓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가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부분 가공된 테어심부가 중앙에 형성되어있는 보조 개폐부와, 상기 힌지 브라켓의 상측으로 체결되어 보조 개폐부가 개폐될때 힌지 브라켓과 함께 개폐되는 도어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
KR1019960040641A 1996-09-18 1996-09-18 차량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 KR100191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641A KR100191958B1 (ko) 1996-09-18 1996-09-18 차량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641A KR100191958B1 (ko) 1996-09-18 1996-09-18 차량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697A KR19980021697A (ko) 1998-06-25
KR100191958B1 true KR100191958B1 (ko) 1999-06-15

Family

ID=1947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641A KR100191958B1 (ko) 1996-09-18 1996-09-18 차량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9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697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9433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CA2119302A1 (en) Closure for air bag installation
JP2643826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弾性カバー
JP2002347565A (ja) 車両乗員保護装置
KR100191958B1 (ko) 차량의 에어백 도어 열림장치
KR200301802Y1 (ko) 루프 에어백 구조
JPH02303949A (ja) エアバックのカバー体
JP3944632B2 (ja) 乗員脚部保護装置の設置構造
JPH0872666A (ja) 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のリッド構造
KR200157124Y1 (ko) 승객용 에어백 하우징
JP4409212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090020307A (ko) 에어백 조립체
KR100410844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200141565Y1 (ko) 차량용 에어 백 도어의 전개장치
KR200144273Y1 (ko) 조수석 에어백장치의 커버
KR200141566Y1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의 전개장치
KR200157643Y1 (ko) 운전자 보호용 에어백
KR20050082722A (ko) 차량의 에어백 도어 어셈블리
KR0129270Y1 (ko) 승객에어백
KR200400959Y1 (ko) 에어백 어셈블리
KR100448755B1 (ko) 에어백장치
KR100203084B1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전개 가스압력 분산 조절장치
KR100420716B1 (ko)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개방장치
KR200148525Y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구조
KR0133309Y1 (ko)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