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458Y1 -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 - Google Patents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458Y1
KR200157458Y1 KR2019970000615U KR19970000615U KR200157458Y1 KR 200157458 Y1 KR200157458 Y1 KR 200157458Y1 KR 2019970000615 U KR2019970000615 U KR 2019970000615U KR 19970000615 U KR19970000615 U KR 19970000615U KR 200157458 Y1 KR200157458 Y1 KR 200157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inlet
stay rod
sealing devic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593U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정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일 filed Critical 정해일
Priority to KR2019970000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458Y1/ko
Publication of KR199800565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5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4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44/383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using spreading devices mounted in the mould, in front of the feed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8Filling preformed cavities
    • B29C44/182Filling flexible bags not having a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23Head-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기성을 갖는 표피체 내부 공간에 액상의 발포성재료 주입 발포시켜 차량용 좌석의 머리받침 등과 같은 발포성형제품을 만드는데 있어 표피체의 개방된 주입구를 견고하게 봉합시켜 주는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 바,
통기성을 갖는 표피체(20)의 내부공간에 주입구(21)를 통해 스테이로드(30)의 상측부를 삽입하고 상기 주입구를 봉합시켜 주는 봉합장치를 통해 발포액을 상기 표피체내로 주입 발표시켜서 되는 발포성형제품에 있어서, 상기 봉합장치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양단부(31)가 양단내로 관통하게 결합구(41)가 길게 뚫어 설치되고 이 결합구의 내주면을 양단부(31)의 상측 외주면에 용접하여 상기 스테이로드의 상측부에 착설되며 주입구(21)의 내면과 접촉되게 표피체(20)내로 삽입되는 제1봉합부재(40)와, 발포액의 주입안내부재(50)가 관통 결합되는 삽입구(41')가 길게 뚫어 설치되고 양단면은 상기 스테이로드의 양단부(31) 내주면과 밀착되며 내단부가 상기 주입구의 전후단부를 밀고 들어가서 결합구(41)에 결합되는 제2봉합부재(40')로 구성된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
본 고안은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기성을 갖는 표피체 내부 공간에 액상의 발포성재료(이하 발포액이라함)를 주입 발포시켜 차량용 좌석의 머리받침 등과 같은 발포성형제품을 만드는데 있어 표피체의 개방된 주입구를 견고하게 봉합시켜 주는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좌석의 머리받침 등은 통기성을 갖는 직물지등을 원하는 형태로 봉재하여서 되는 표피체내에 주입구를 통해 발포액을 주입 발포시켜 제조함으로써 통기성과 쿠션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렇게 제조할 때에는 상기 표피체의 주입구를 봉해주는 봉합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 발포성형제품의 주입구를 봉해주는 봉합장치의 일예를 보인 것으로서, 이 장치는 판상으로 되는 몸체(10)의 중앙에는 발포액의 주입부재 결합공(11)을, 양단부에는 관통공(12)(12')들을 각각 뚫어 설치하고, 내면의 전후측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적정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지지편(13)(13')들을 길게 돌출하며, 내면의 양단측에는 상기 지지편들의 각 양단과 격리되게 걸이편(14) (14')을 돌출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봉합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스테이로드(도시하지 않음)의 양단부를 각각 몸체(10)의 관통공(12)(12')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게 끼워 상기 몸체를 스테이로드의 상단부측에 위치하게 결합시켜준 다음, 표피체(20)의 주입구를 통해 스테이로드의 상단부를 이 표피체내로 삽입함과 동시에 몸체(10) 내면에 돌출된 지지편(13)(13')들과 걸이편(14)(14')들을 주입구내로 끼워주면서 이 주입구의 내주면 양단을 서로 역방향으로 당겨서 상기 걸이편들에 각각 걸쳐주었다.
이렇게하면, 상기 주입구는 양쪽으로 당겨지는 상태가 되므로 그 내주면의 전.후단부는 지지편(13)(13')의 외면에 각각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결합공(11)에 발포액의 주입부재 선단을 끼워 결합하고, 표피체(20)와 함께 금형내에 안착시켜준 다음, 금형외부로 노출되는 주입부재의 후단을 통해 발포액을 표피체내로 주입 발포시켜 줌으로써 발포성형제품을 얻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봉합장치는 지지편(13)(13')들이 주입구내로 삽입 되면, 이 주입구의 전.후단면부가 비록 상기 지지편들의 외측면들과 서로 면접촉 하게 되지만 그 접촉상태가 밀봉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서로 맞닿는 것에 불과 하며, 또한 표피체(20)는 통상 직물지내면에 스폰지를 겹쳐서 만들어지는 것이고, 그 내부는 발포물(21)이 충만되기 전에는 비어있는 상태이므로 지지편(13)(13')에 접촉되어 있는 전.후단면부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접촉상태가 쉬 벌어지게 되었기 때문에 주입되는 발포액의 발포압력에 의해 발포물의 일부가 상기 지지편과 전.후단면부의 접촉부분 중 일부를 통해 누출되어 불량품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완제품의 경우에도 전.후단면부는 표피체(20)내에 충만되어 있는 발포물(21)의 탄성에 의해 지지편(13)(13')들과의 접촉상태가 단순히 유지되고 있는 것이므로 주입구의 봉합상태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사용시 표피체에 머리를 기대게 되는 등의 외력이 계속 작용되면 접촉상태가 쉬 벌어지게 되었고, 심한 경우 몸체(10)가 표피체(20)로부터 분리되므로 발포성형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표피체의 주입구를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봉합시켜주므로 표피체내의 발포물이 누출되는 것을 배제하는 동시에 불량품의 발생 및 수명단축이 방지되는 발포성형 제품의 봉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주입구를 통해 표피체내로 삽입되게 스테이로드의 양단부를 가로지르는 상태로 이 스테이로드에 결합하여 용접 부착되는 결합구를 갖춘 제1봉합부재와, 상기 표피체의 주입구 외측에서 이 주입구를 통해 내단부가 삽입되면서 이 주입구의 전후 주면부를 밀고 결합구에 결착되며 발포액의 주입안내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갖춘 제2봉합부재로 구성되는 봉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a는 종래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를 보인 사시도,
b는 동 사용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a는 금형내에 안착시킨 본 고안 실시예의 일부절취평면도,
b는 동 발포물충진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가 적용된 발포성형제품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표피체21 : 주입구
30 : 스테이로드31 : 양단부
40 : 제1봉합부재40' : 제2봉합부재
41 : 결합구41' : 삽입구
50 : 주입안내부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발포장치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개된 주입구(21)를 통해 표피체(20)내로 삽입되는 스테이로드(30)의 양단부(31) 상측부에 가로지르게 용접 부착되며 결합구(41)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봉합부재(40)와, 내단부가 상기 주입구의 외측에서 이 주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결합구(31)에 끼워져 결착되는 제2봉합부재(40')로 구성된다.
표피체(20)는 통기성을 갖는 직물지 내면에 스폰지를 겹쳐서 만들어지며, 길게 형성되는 주입구(21)를 제외한 모든 이음부를 봉재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제1봉합부재(40)는 외주면이 빙둘러 상향 절곡되고 상기 표피체의 주입구(21)를 내측에서 봉해줄 수 있도록 전후폭에 비해 좌우길이가 긴 형태의 판상으로되며, 결합구(41)의 좌우길이는 양단 내주면에 상기 스테이로드의 양단부(31) 외주면이 접촉되는 상태로 관통될 수 있는 정도로 되고 전후폭은 양단부(33)의 직경과 같게 된다.
그리고, 결합구(41)의 양단 내주면과 접촉하게 되는 양단부(33)의 외주면은 용접 부착한다.
제2봉합부재(40')는 그 양단면이 상기 스테이로드의 양단부(33) 내주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제1봉합부재의 결합구(41)에 결합되는 정도의 길이로 되며, 발포액의 주입안내부재(50)가 삽입되는 삽입구(41')가 적정길이로 형성되고, 전후 외단측에는 걸림턱(42')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며, 양단에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양단부(33) 내부면과 밀착되게 반원형의 결합홈(43')이 형성된다.
한편, 주입안내부재(50)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유연한 재료로 좌우단은 봉해지고 상하단부는 개방된 봉투형태로 성형되며, 그 좌우폭은 상기 제2봉합부재의 삽입구(41')의 폭과 같게 된다.
또한, 발포액의 주입부재(60)는 관형상으로 되며, 후단에는 발포액의 공급원이 결합되는 결합구(61)가 깔때기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고 선단에는 주입안내부재(50)에 삽입되는 주입부(62)가 외경이 축소되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봉합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도 3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하면 되는데, 그 결합과정은 먼저 제1봉합부재(40)가 용접 부착된 스테이로드(30)의 선단부를 주입구(21)를 통해 표피체(20)내로 삽입시켜 이 주입구의 내면과 상기 제1봉합부재의 저면이 접촉되게 한 다음 제2봉합부재(40')의 내단부를 주입구(21)내로 삽입시켜 내단부가 상기 제1봉합부재의 결합구(41)에 결합시켜 준다.
이렇게 하면, 상기 제2봉합부재의 내단부가 결합구(41)에 결합될 때 상기 주입구(21)의 전후주면부를 밀고 들어가서 삽입되기 때문에 이들 주면부는 상기 제1봉합부재의 결합홈(43)을 스테이로드의 결합구(41) 전후 내주연과 제2봉합부재(40') 내단부 전후면 사이에 끼여서 물려지게 결합되므로 이들은 서로 완강히 결착되며, 동시에 스테이로드(30)의 양단부(31) 내주면은 상기 제2봉합부재 양단의 반원형 결합홈(43')과 밀착된다.
따라서, 주입구(21)는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재들에 의해 보다 확실하고도 완강하게 봉합되며, 또 상기 부재들 역시 서로 견고하게 결착된다.
이와같이 제1·제2봉합부재(40)(40')들을 서로 결착시켜 준 다음에는 삽입구(41')에 주입안내부재(50)의 상단부를 관통하게 삽입하고 이 주입안내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스테이로드의 양단부(31) 하단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게 상하 금형(70)내에 안착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주입안내부재의 노출된 하단부를 중간을 벌려서 주입부재(60)의 주입부(62)를 끼워 결합시켜 준다.
이렇게 하면 발포성형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결합부(61)에 발포액의 공급원을 결합하여 주입부재(60)를 통해 발포액을 표피체내로 주입시켜 주면 되는데, 이때 주입되는 발포책은 관형상의 주입구(62)를 통과하여 납짝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주입안내부재(50)를 통과할 때 넓게 퍼져서 통과하게 되므로, 그 주입시간이 지연된다.
물론, 이 과정에서 지연되는 시간이 극기 짧은 순간일지라도 발포액은 이미 발포가 시작되기 때문에 이 주입안내부재를 거쳐 표피체(20)내로 주입될 때에는 액체상태가 아니므로 이 표피체에 함침되거나 외부로 스며나오게 되는 형상이 방지된다.
이렇게하여 적정량의 발포액을 표피체(20)내에 주입 발포시켜 발포물이 충진되면 발포작업이 완료되는 것으로, 다음에는 금형(70)을 분리하고 주입안내부재(50)와 주입부재(60)를 제거하면 도 4에서와 같은 발포성형제품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는, 표피체의 주입구 내외면을 제1·제2봉합부재가 물어주는 상태로 서로 결착되기 때문에 이들 봉합부재가 서로 완강히 결착됨은 물론 주입구의 봉합상태가 견고하게 되므로 발포액이 누출된 염려가 없고, 또 장기간 사용하여도 봉합부재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제품불량 및 수명단축 현상이 제거되는 등의 효과도 얻게된다.

Claims (2)

  1. 통기성을 갖는 표피체(20)의 내부공간에 주입구(21)를 통해 스테이로드(30)의 상측부를 삽입하고 상기 주입구를 봉합시켜 주는 봉합장치를 통해 발포액을 상기 표피체내로 주입 발표시켜서 되는 발포성형제품에 있어서, 상기 봉합장치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양단부(31)가 양단내로 관통하게 결합구(41)가 길게 뚫어 설치되고 이 결합구의 내주면을 양단부(31)의 상측 외주면에 용접하여 상기 스테이로드의 상측부에 착설되며 주입구(21)의 내면과 접촉되게 표피체(20)내로 삽입되는 제1봉합부재(40)와, 발포액의 주입안내부재(50)가 관통 결합되는 삽입구(41')가 길게 뚫어 설치되고 양단면은 상기 스테이로드의 양단부(31) 내주면과 밀착되며 내단부가 상기 주입구의 전후단부를 밀고 들어가서 결합구(41)에 결합되는 제2봉합부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발포액의 주입안내부재(50)는 좌우폭이 삽입구(41')의 길이와 같게 되며 좌우단은 밀봉되고 상하단은 개봉된 납짝한 봉투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
KR2019970000615U 1997-01-17 1997-01-17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 KR200157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615U KR200157458Y1 (ko) 1997-01-17 1997-01-17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615U KR200157458Y1 (ko) 1997-01-17 1997-01-17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593U KR19980056593U (ko) 1998-10-15
KR200157458Y1 true KR200157458Y1 (ko) 1999-09-15

Family

ID=19494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615U KR200157458Y1 (ko) 1997-01-17 1997-01-17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4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600B1 (ko) * 2005-06-10 2006-10-19 이정해 발포성형품과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387B1 (ko) * 2002-01-15 2005-04-29 주식회사 우보테크 발포성 재료의 발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600B1 (ko) * 2005-06-10 2006-10-19 이정해 발포성형품과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593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722470A3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подушек или сидений из пенопласта с составным чехлом
JPH0243646B2 (ko)
KR200157458Y1 (ko) 발포성형제품의 봉합장치
KR100636600B1 (ko) 발포성형품과 이의 제조방법
CN108215047B (zh) 表皮一体型成形品及其制造方法
KR100204817B1 (ko) 발포성 재료의 발포성형방법 및 발포장치
KR200219830Y1 (ko) 발포성형제품의 표피체 봉합장치
KR100486387B1 (ko) 발포성 재료의 발포장치
JP3670840B2 (ja) ヘッドレストの製造方法
KR100440225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JP4180470B2 (ja) ヘッドレストの製造方法およびヘッドレスト
JP3541428B2 (ja) 表皮一体発泡型ヘッドレス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80142B2 (ja) 表皮一体発泡成形型
KR100807890B1 (ko) 헤드레스트 발포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JPH02307494A (ja) 表皮付き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
JP4454406B2 (ja) 表皮一体発泡成形ヘッドレス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7002127A1 (fr) Procede et appareil pour faire de la mousse
JPH04279307A (ja) 表皮材一体パッド材の成形方法
JPH0353858Y2 (ko)
JP2860679B2 (ja) 表皮一体発泡品の製造方法
JPH11244090A (ja) へッドレスト用表皮
JPS6345008A (ja) 表皮材一体発泡体の成形方法
JPH0418820Y2 (ko)
JPH07241223A (ja) ヘッドレスト
JP2863709B2 (ja) ヘッド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