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990Y1 -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990Y1
KR200156990Y1 KR2019950056017U KR19950056017U KR200156990Y1 KR 200156990 Y1 KR200156990 Y1 KR 200156990Y1 KR 2019950056017 U KR2019950056017 U KR 2019950056017U KR 19950056017 U KR19950056017 U KR 19950056017U KR 200156990 Y1 KR200156990 Y1 KR 200156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floor fan
joined
mounting structure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6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0562U (ko
Inventor
이성호
권오성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56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990Y1/ko
Publication of KR9700305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05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에서는 연료 탱크가 브리지와 플로어 팬의 결합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차량이 험로 등을 주행하는 경우나 충돌시에 결합부가 파손되어 차량의 화재가 발생하여 차량 및 인명 피해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이를 해결할 목적으로, 플로어 팬(1)과, 상기 플러어 팬(1)의 하부에 접합되는 크로스 멤버(7)과, 상기 크로스 멤버(7)의 개구부 위치에서 상기 플로어 팬(1)과 체결되는 탱크 브리지(13)를 포함하는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7)의 개구부에 지지 브래킷(30)이 삽입 접합되고, 상기 탱크 브리지(13)는 상기 플로어 팬(1) 및 상기 지지 브래킷(3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제1도는 종래의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를 나타낸 일부 결합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지지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일부 결합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료탱크의 취부구조를 나타낸 일부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로어 팬 7 : 크로스 멤버
13 : 탱크 브리지 30 : 지지 브래킷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연료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석유가스(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를 보호하여 차량의 화재 및 인명 피해를 방지하는 연료탱크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자동차의 중요 부분을 이루게 되는 섀시와, 상기 섀시 위에 설치되어 운전석이나 객실 등을 구성하는 보디로 구성되고, 보디와 프레임을 분리한 프레임식 보디와 보디와 프레임이 일체로 된 일체구조식 보디로 분류할 수 있으며, 현재 승용차의 대부분이 일체구조식 보디를 사용한다.
상기한 섀시는 엔진과, 상기한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장치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장치와, 주행중 노면의 충격이 자동차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현가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보디는 사람이 타튼 부분이 주체이며 이것에 도어, 휀더 등의 외장부분이 장착되어 자동차의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는 시트 등의 내장부분을 장착되며, 운전자 및 승차원에 필요한 안전성, 공간, 쾌적함 등의 요소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상기 보디를 크게 분류하면 프런트 보디, 언더 보디, 사이드 보디, 리어 보디가 있으며, 상기 언더 보디는 현가장치, 구동장치에 따라 그 형상이 크게 영향을 받게되며 또 공작성, 보수 서비스성, 방음효과와 상부 구조의 강성에 따라 각각의 구조가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프런트 플로어 팬, 센터 플로어 팬, 리어 플로어 팬으로 구성된다.
한편, 자동차에는 사용 연료를 보관하는 연료 탱크가 장착되며, 일반적으로 가솔린, 경유를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는 연료 탱크가 플로어 팬의 저면에 위치하여 스트램으로써 장착되며, 액화석유가스를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는 연료 탱크가 리어 플로어 팬의 상면 즉 트렁크 룸에 위치한다.
액화석유가스를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에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를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로어 팬(1)의 저면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좌우측에 사이드 프레임(5)이 접합되며, 횡방향으로는 크로스 멤버(7)가 접합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5)의 저면과 상기 크로스 멤버(7)의 저면 사이에는 연결부재(11)가 접합된다.
상기 크로스 멤버(7)는 대략 "ㄷ"형 단면으로 구성되어 상부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 좌우가 절곡되어 좌우에 절곡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절곡부가 상기 플로어 팬(1)에 접합된다.
그리고, 연료 탱크(T)는 탱크 브리지(13)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탱크 브리지(13)는 상기 크로스 멤버(7)의 개구부 위치에서 플로어 팬(1)과 볼트로써 체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는 연료 탱크가 탱크 브리지와 플로어 팬의 결합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차량의 험로 등을 주행하는 경우나 충돌시에 결합부가 파손되어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여 차량 피해 및 인명 피해가 방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안의 요안]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험로 등을 주행하는 경우나 충돌시에 연료 탱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 탱크의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플로어 팬과, 상기 플로어 팬의 하부에 접합되는 크로스 멤버와, 상기 플로어 팬과 체결되는 탱크 브리지를 포함하는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의 개구부에 지지 브래킷이 삽입 접합되고, 상기 탱크 브리지는 상기 플로어 팬 및 상기 지지 브래킷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는 탱크 브리지가 플로어 팬 및 지지 브래킷과 함께 체결되므로 차량이 험로 주행시나 충돌시에도 연료 탱크를 보호할 수 있으서 차량 피해 및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병기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지지 브래킷(30)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면부(30a)는 추부공(30b)이 형성되고, 양단은 절곡되어 댜략 "ㄷ"형을 이루어 좌우 측면부(30c)가 형성되며, 전단은 "ㄴ"형으로 절곡되어 하면부(30d)가 형성된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 결합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지 브래킷(30)의 측면부(30c)는 크로스 멤버(7)의 개구부의 양쪽 내측면(7a)에 접합되며, 하면부(30d)는 크로스 멤버(7)의 하면부(7b)에 접합되며, 상면부(30a)는 플로어 팬(1)의 저면부에 접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 브래킷(30)이 삽입 접합된 크로스 멤버(7)가 플로어 팬(1)의 저면에 결합되고, 탱크 브리지(13)는 상기 플로어 팬(1)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플로어 팬(1) 및 상기 지지 브래킷(30)과 볼트로써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 브리지(13)는 플로어 팬(1) 뿐만 아니라 지지 브래킷(30)에 함께 지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플로어 팬 및 지지 브래킷이 외력을 분산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이 험로 주행시나 충돌시에도 연료 탱크를 보호할 수 있어서 차량 피해 및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하나의 실시예만을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

  1. 플로어 팬(1)과; 상기 플로어 팬(1)의 하부에 접합되는 크로스 멤버(7)와; 측면부(30c)가 상기 크로스 멤버(7)의 개구부의 양측내측면(7a)에 접합되며, 하면부(30d)는 상기 크로스 멤버(7)의 하면부(7b)에 접합되며, 상면부(30a)는 상기 플로어 팬(1)의 저면부에 접합되는 지지브래킷(30)과; 상기 플로어 팬(1)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플로어 팬(1) 및 상기지지 브래킷(30)과 체결되는 탱크 브릿지(1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취부 구조.
KR2019950056017U 1995-12-28 1995-12-28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KR200156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6017U KR200156990Y1 (ko) 1995-12-28 1995-12-28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6017U KR200156990Y1 (ko) 1995-12-28 1995-12-28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562U KR970030562U (ko) 1997-07-24
KR200156990Y1 true KR200156990Y1 (ko) 1999-09-15

Family

ID=1944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6017U KR200156990Y1 (ko) 1995-12-28 1995-12-28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9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562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953B1 (ko) 자동차의 차체전부구조
US20010004160A1 (en) Vehicle frame reinforcement
US6213245B1 (en) Cross member structure for transmission
KR200156990Y1 (ko)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JP2000108949A (ja) 自動車の車体フロア構造
KR200156350Y1 (ko) 연료 주입 파이프의 취부구조
KR200216709Y1 (ko)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패널
KR100364270B1 (ko) 자동차용 프런트플로워의 결합구조
KR200152922Y1 (ko) 상용차의 플로어패널
KR200147061Y1 (ko) 차량의 후부 차체 구조
KR200235371Y1 (ko) 왜건형 자동차의 화물실 보강 구조
KR0125720Y1 (ko) 자동차용 범퍼의 취부구조
KR100218180B1 (ko) 지지바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차체 결합구조
KR0119414Y1 (ko)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KR200170963Y1 (ko) 자동차의 리어 휠 하우스 인너패널과 리어 스커트패널의 연결부 보강구조
KR0160042B1 (ko) 자동차용 센터필러의 결합구조
KR19980018092U (ko) 자동차의 차체 보강구조
KR100309840B1 (ko) 트럭 캡용 베드의 벨트 장착 구조
KR200147046Y1 (ko) 센터필러어퍼 보강구조
KR100189559B1 (ko) 자동차의 로어프런트 필라와 사이드 라커의 접합부보강구조
KR100189560B1 (ko) 자동차의 로어프런트 필라와 사이드 라커의 접합부보강구조
KR200187372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보강재
KR20020036491A (ko)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KR0183175B1 (ko) 자동차의 안전강화용 브래킷
KR19990002894U (ko) 자동차용 시트 마운팅 브라켓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