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914Y1 - 복수프린트기판간의 리드선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복수프린트기판간의 리드선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914Y1
KR200154914Y1 KR2019960014254U KR19960014254U KR200154914Y1 KR 200154914 Y1 KR200154914 Y1 KR 200154914Y1 KR 2019960014254 U KR2019960014254 U KR 2019960014254U KR 19960014254 U KR19960014254 U KR 19960014254U KR 200154914 Y1 KR200154914 Y1 KR 200154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substrate
printed
cutout portion
connec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4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059U (ko
Inventor
정영학
Original Assignee
김영
신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 신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
Priority to KR2019960014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914Y1/ko
Publication of KR9700610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0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9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목적]
리드선의 길이단축이 가능한 복수 프린트기판간의 리드선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성]
기능이 다르나 서로 연관되는 두 개 이상의 회로를 단일 기판(10)상에 인쇄하여 기판부(11,12)로 함과 동시에 이들 기판부(11,12)사이에 절취선(15)으로 소정의 폭을 가진 절취부(13)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부(11)와(12)는 절취부(13)의 폭보다는 약간 긴 점프리드선(14)으로 연결한 복수 프린트기판간의 리드선 연결 구조이다.

Description

복수 프린트 기판간의 리드선 연결구조
제 1도는 종래 복수 프린트 기판간의 리드선 연결구조 평면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복수 프린트 기판간의 리드선 연결구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기판 11, 12 : 기판부
13 : 절취부 14 : 점프 리드선
15 : 절취선
본 고안은 복수 프린트 기판간의 리드선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기능은 다르나 서로 연관성을 가지는 프린트 기판과 프린트 기판사이의 간격을 좁게 연결하여 리드선의 낭비를 줄이고, 기기내부의 협소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리드선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 프린트 기판(a)과 콘트롤 프린트 기판(b)을 약 100mm이상 먼거리로 이격시켜 연결하고 있거나, 그 이하의 근거리에서 리드선(c)으로 기판상호간을 연결할 경우에는 하네스 가공상의 최소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연결용 리드선은 적어도 80mm이상 유지 시키고 있다. 도면중 d는 콘넥터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기판과 기판을 연결시킴에 있어서는 기기내부의 공간을 염두에 두지않고 미리 임의 길이를 가진 리드선으로 기판과 기판상호간을 연결시키는 것이어서, 기판과 기판을 연결하는 리드선의 낭비가 심하고, 이러한 리드선 연결에 의한 기판과 기판은 협소한 기기내부에서의 장착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일본국 소화 52-12897호 공개공보에 프린트 기판의 연결구성이 소개되고 있으나, 이는 1매의 프린트 기판에 배치된 전극상호간을 리드선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이어서, 본 고안에 있어서 2매의 프린트 기판 상호간을 연결시키는 구성과는 다르며, 이러한 연결구성은 근접거리에 위치한 소자들을 가깝게 연결시키는 극히 관용적인 수단이다.
본 고안은 2매이상의 프린트 기판과 기판 상호간을 극히 짧은 거리에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리드선의 낭비를 줄이고, 기기내부에 기판장착시 기기내부의 공간을 극력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능은 다르고 서로 연관되는 2개 이상의 회로를 단일 기판상에 인쇄하여 이루어진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와 기판부 사이에 절취선에 의해 형성시킨 절취부와, 상기 기판부와 기판부를 연결시키는 절취부의 폭 보다 긴 공지의 점프 리드선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능이 다르지만 서로 연관되는 2개이상의 회로를 단일 기판(10)상에 인쇄하여 기판부(11), (12)로 형성하고, 상기 기판부(11)와 기판부(12)사이에 절취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취부(13) 양측에 다수의 다공선으로 이루어진 절취선(15)을 형성하여 절취부(13)가 수월하게 떼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기판부(11)와 기판부(12)는 상기 절취부(13)의 폭보다 약간 긴 점프리드선(14)으로 연결시킨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절취부(13)를 절취선(15)을 따라 떼어내면 기능이 다르지만 서로 연관성을 가지는 두개의 기판부(11), (12)가 지근 거리에서 리드선(14)에 의해 연결되어져 리드선의 낭비방지는 물론 협소한 기기내부의 공간에서 상기 기판부(11), (12)의 장착이 매우 수월해지게 된다.
본 고안은 2매이상의 기판을 짧은 거리에서 연결될 수 있도록 2매이상의 기판에 회로를 동시에 인쇄하는 것이어서, 기판의 제조공정이 수월하고 기판과 기판을 절취부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리드선을 연결시키므로 리드선의 길이를 극히 짧게하여 리드선에 드는 비용을 극력절감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을 가지는 기기의 내부에 2매이상의 기판을 극히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경박단소를 지향하는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기능은 다르고 서로 연관되는 2개 이상의 회로를 단일 기판(10)상에 인쇄하여 이루어진 기판부(11), (12)와, 상기 기판부(11)와 기판부(12) 사이에 절취선(15)에 의해 형성시킨 절취부(13)와, 상기 기판부(11)와 기판부(12)를 연결시키는 절취부(13)의 폭 보다 긴 공지의 점프리드선(14)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프린트 기판간의 리드선 연결구조.
KR2019960014254U 1996-05-31 1996-05-31 복수프린트기판간의 리드선 연결구조 KR200154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254U KR200154914Y1 (ko) 1996-05-31 1996-05-31 복수프린트기판간의 리드선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254U KR200154914Y1 (ko) 1996-05-31 1996-05-31 복수프린트기판간의 리드선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059U KR970061059U (ko) 1997-12-10
KR200154914Y1 true KR200154914Y1 (ko) 1999-08-16

Family

ID=1945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4254U KR200154914Y1 (ko) 1996-05-31 1996-05-31 복수프린트기판간의 리드선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9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059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16779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MY113889A (en) Dual substrate package assembly for being electrically coupled to a conducting member
JPH0453195A (ja) 電子回路モジュール
JPH01157588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EP0737025A4 (en) PRINTED CIRCUIT BOARD
CA2219761A1 (en) Printed circuit board with selectable routing configuration
KR200154914Y1 (ko) 복수프린트기판간의 리드선 연결구조
GB2160366A (en) A printed circuit board
US4385213A (en) Switch and component attachment to flexible printed circuitry
KR970025320A (ko) 회로기판
JPH10173299A (ja) プリント配線基板
EP0763843A3 (de) Elektrisches Bauelement, insbesondere relais, und Verfahren zu dessen Einbau in eine Leiterplatte
US5170330A (en) Circuit board structure for at least two different component types
JPS59230279A (ja) 端子装置の製造方法
JP2835505B2 (ja) 回路実装型パネル及びそれを使用した給電分離式回路接続構造体
JPH05343137A (ja) パッケージコネクタ装置
SE9203533D0 (sv) Anordning foer kylning av skivformiga kraftelektronikelement jaemte skivformigt kraftelektronikelement avsett att monteras i saadan kylanordning
KR20020054900A (ko) 메모리모듈용 인쇄회로기판
ES1004610U (es) Placa conductora para una llave plana con componentes electronicos.
CA2283181A1 (en) Electric subassembly
KR940000743Y1 (ko) 전기, 전자제품의 배선단자 설치구조
JPH0325993A (ja) プリント配線基板
DE59915211D1 (de) Abgeschirmter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H0294689A (ja) 印刷配線基板
JPH1075032A (ja) プリント配線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