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389Y1 -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389Y1
KR200153389Y1 KR2019960055150U KR19960055150U KR200153389Y1 KR 200153389 Y1 KR200153389 Y1 KR 200153389Y1 KR 2019960055150 U KR2019960055150 U KR 2019960055150U KR 19960055150 U KR19960055150 U KR 19960055150U KR 200153389 Y1 KR200153389 Y1 KR 200153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rear view
view mirror
base plat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5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054U (ko
Inventor
김세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55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389Y1/ko
Publication of KR199800420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0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3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아웃 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 조절성과 정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리어 뷰 미러를 장착하고 있는 스테이, 이 스테이를 차체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에 스테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를 갖는 회전수단, 상기 회전수단으로 회전시킨 후 결정된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치열과 이 치열에 결합되어 스테이를 고정시키도록 스테이에 장착되는 손잡이를 갖는 멈춤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

Description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리어 뷰 미러(Rear View Mirro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에게 차량의 후방 도로 상황을 인지시켜 주는 공구 리어 뷰 미러의 각각 조절 및 정비를 용이하게 하는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에게 도로 상황, 특히 차량 후미의 도로 상황을 인지시켜 주는 리어 뷰 미러가 사용되고 있다.
이 리어 뷰 미러에는 차실을 형성하는 루프의 전방에 장착된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와 차체의 전방 양측에 장착된 아웃 사이드 리어 뷰 미러가 있다.
상기와 같은 리어 뷰 미러는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는 차실에서 조절하고, 아웃 사이드 리어뷰 미러는 차밖에서 조절해야 한다.
그런데 소형 차량의 아웃 사이드 리어 뷰 미러는 낮은 위치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각도 조절에 별 문제가 없으나, 대형 차량의 아웃 사이드 리어 뷰 미러는 높은 위치에 장착되어 있고 공구를 사용하여 각도를 조절하여야 하기 때문에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성과 정비성이 낮은 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아웃 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 조절성과 정비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는 리어뷰 미러를 장착하고 있는 스테이, 이 스테이를 차체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에 스테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를 갖는 회전수단, 상기 회전수단으로 회전시킨 후 결정된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치열과 이 치열에 결합되어 스테이를 고정시키도록 스테이에 장착되는 손잡이를 갖는 멈춤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는 아웃 사이드 리어 뷰 미러가 장착된 스테이를 회전수단과 멈춤수단으로 선회 및 정지시켜 미러의 각도를 조절케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차체(1)의 한 지점을 증심으로 아웃 사이드 리어 뷰 미러(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미러(3)를 장착하고 있는 스테이(5)가 회전수단과 멈춤수단에 의하여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차에(1)의 전방 한 지점에 베이스 플레이트(7)가 체결수단인 볼트(9)에 의하여 일측을 돌출하여 장착되고, 돌출된 베이스 플레이트(7)에 힌지(11)를 개재하여 스테이(5)의 일측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되는 스테이(5)의 하측과 베이스 플레이트(7)의 상면 사이에는 이들의 상호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와셔(13)가 개재되고, 베이스 플레이트(7)의 하측에는 스냅링(15)으로 힌지(11)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이증 안전수단으로 스냅링(15)의 하측 힌지(11)에 분활핀(17)을 끼운다.
또 힌지(11)의 외주면과 이와 결합되는 스테이(5)를 비롯한 베이스 플레이트(7)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들의 상호 회전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부싱(19, 21)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힌지(11)를 개재하여 결합된 스테이(5)를 고정시키도록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7)의 돌출부 외주면을 원형으로 형성시키고, 이에는 치열(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치열(23)에 결합될 수 있토록 스테이(5)의 일측에는 손잡이(2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손잡이(25)는 일단이 항상 치열과(23)가 체결되려는 작용력을 갖도록 스테이(5)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27)의 지지를 받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가 구비된 차량에 운전자가 승차했을 때 차량 후미 도로 상황이 잘 보이지 않으면, 탄성부재(27)의 탄지력을 극복하도록 손잡이(25)를 움켜 잡는다.
그러면 손잡이(25)의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7)에 형성된 치열(23)로부터 분리되어 스테이(5)가 회전 자유 상태로 된다.
그리고 스테이(5)를 적절한 각도로 선회시켜 미러(3)의 각도를 운전자의 체형에 적절하게 조절한다. 이 때 힌지(11)와 이의 회주에 개재된 부싱(19, 21)은 베이스 플레이트(7)상에서 스테이(5)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미러(3)의 각도를 조절한 후 손잡이(25)에 가하던 파지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27)의 탄지력에 의하여 손잡이(25)의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7)의 치열(23)에 결합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7)에 형성된 치열(23)과 이에 결합된 손잡이(25)의 일단은 스테이(5)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체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리어 뷰 미러(3)의 각도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는 아웃 사이드 리어 뷰 미러가 장착된 스테이를 회전수단과 멈춤수단으로 선회시킨 후 정지시켜 각도를 고정시키므로 미러 각도의 조절성과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리어 뷰 미러를 장착하고 있는 스테이, 이 스테이를 차체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에 스테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를 갖는 회전수단, 상기 회전수단으로 회전시킨 후 결정된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치열과 이 치열에 결합되어 스테이를 고정시키도록 스테이에 장착되는 손잡이를 갖는 멈춤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멈춤수단의 손잡이는 스테이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항상 베이스 플레이트의 치열과 결합하려는 힘을 받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
KR2019960055150U 1996-12-24 1996-12-24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 KR200153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150U KR200153389Y1 (ko) 1996-12-24 1996-12-24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150U KR200153389Y1 (ko) 1996-12-24 1996-12-24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054U KR19980042054U (ko) 1998-09-25
KR200153389Y1 true KR200153389Y1 (ko) 1999-08-02

Family

ID=1948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5150U KR200153389Y1 (ko) 1996-12-24 1996-12-24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3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054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16786A (ja) 自動車用外部ミラー
KR20010021503A (ko) 셀룰러 폰 홀더 장치
KR200153389Y1 (ko) 차량용 리어 뷰 미러 조절장치
FI91227B (fi) Lukituslaite avoauton avattavan katon lukitsemiseksi
JP3195772B2 (ja) 自動車用座席
JPH09164983A (ja) リスト用バックミラー
US5412511A (en) Holding device for interior mirrors in vehicles
JPH09507447A (ja) ルーフに取付けられる荷物運搬台のクランプ装置
JP2000179193A (ja) 握り部回転型取手
JPH0321315Y2 (ko)
JPH0144341Y2 (ko)
EP1424238B1 (en) Seat belt deviation device for infant car seat used with a fixed base
JP3068765B2 (ja) カラーコーン用ミラー
JPH01130849U (ko)
JPS6112989Y2 (ko)
JP4223157B2 (ja) 建設機械
KR200149445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글라스의 고정구조
JPH0642419U (ja) 走行車両のバックミラー取付構造
JPH0162010U (ko)
KR200149304Y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미러
KR200238608Y1 (ko) 착탈이 용이한 택시강도 방지 장치
KR200156006Y1 (ko) 회전 후시경
JPH0919461A (ja) 電動車椅子の操作装置
JP2547182Y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フ−ド用ヒンジ装置
JPH0637148B2 (ja) 自動車用回転シ−トのロツ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