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580Y1 -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 - Google Patents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580Y1
KR200152580Y1 KR2019970007501U KR19970007501U KR200152580Y1 KR 200152580 Y1 KR200152580 Y1 KR 200152580Y1 KR 2019970007501 U KR2019970007501 U KR 2019970007501U KR 19970007501 U KR19970007501 U KR 19970007501U KR 200152580 Y1 KR200152580 Y1 KR 200152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lamp
bracket
bevel gear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060U (ko
Inventor
노병태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70007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58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0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 B66B9/0807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테어 리프트의 운전시 램프(7)를 탑승 직후에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지지대(2)의 소정 위치에는 걸림용 작동핀(19)을 형성한 브래킷(18)이 고정되고, 상기 승강대(E)에는 램프(7)와; 상기 승강대(E) 몸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수직 고정되고 일단부에는 베벨기어(23)가 결합된 스크류 축(21)과; 이 스크류 축(21)에 나사결합식으로 끼워져 상하 이동하는 윙 브래킷(9)과; 이 윙 브래킷(9)의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 후크(10)와; 상기 양 후크(10)의 선단과 양 램프(7)를 각각 연결하는 램프 암(11)과; 상기 스크류 축(21)의 베벨기어(23)와 직각으로 맞물려지는 베벨기어(24)가 결합되고 승강대(E)의 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구동축(25)과; 이 구동축(25)의 돌출단에 결합되어 기기 작동시 상기 작동핀(19)과의 접촉에 의해 구동되는 스프라킷(26)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승강제어 스위치(16)를 작동하면 상기 승강대(E)가 승·하강하면서 이 승강대(E)의 스프라킷(26)이 지지대(2) 브래킷(18)의 작동핀(19)에 의해 소정각도 만큼 회전하게 되므로써 램프(7)를 자동으로 승·하강되도록 하여 추락 등의 안전사고에 만전을 기할 수 있으며, 기구적 구동방식이므로 전력손실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보수 유지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는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
본 고안은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테어 리프트의 운전시 탑승 휠체어를 승강대 밖으로 이탈되지 않게 해주는 램프가 탑승 직후에 자동으로 작동되므로써 탑승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테어 리프트는 계단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없는 장애자 및 노약자를 위하여 정해진 궤도를 따라 자동 승강될 수 있도록 계단 난간에 설치하는 이동 수단으로서, 종래의 스테어 리프트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난간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 튜브(1)와, 이 가이드 튜브(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와, 상기 가이드 튜브(1)를 따라 순환 형태로 내장된 견인 로우프(3)와, 이 견인 로우프(3)에 현수된 승강대(E)와, 상기 견인 로우프(3)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구동원(4)과, 이 구동원(4)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박스(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테어 리프트에 적용된 램프 작동기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E)의 바닥판(6)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 램프(ramp;7)와, 상기 승강대(E)의 중앙부에 고정된 래크 암(8) 및 윙 브래킷(9)과, 이 윙 브래킷(9)의 양단에 대칭되도록 각각 힌지 결합되고 수평 위치로 복원시켜주기 위한 스프링(10a)과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10b)가 부착된 후크(10)와, 상기 양 후크(10)의 선단과 양 램프(7)를 각각 연결하는 램프 암(11)과, 이 램프 암(11)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12)와, 상기 래크 암(8)을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모우터(13)와 연결된 축(14) 및 피니언(15)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6은 승강제어 스위치, 17은 램프작동 스위치를 나타낸다.
상기의 스테어 리프트는 승강제어 스위치(16)를 눌러 콘트롤 박스(5) 내의 구동원(4)을 작동하면 이 구동원(4)의 회전운동에 의해 견인 로우프(3)가 가이드 튜브(1)를 따라 구동되고, 이와 함께 상기 견인 로우프(3)에 현수된 승강대(E)가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탑승자가 승강대(E)에 오른 직후에 휠체어 등이 상기 승강대(E)의 바닥판(6)으로부터 이탈하여 추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램프작동 스위치(16)를 눌러주면, 모우터(13)가 구동하여 축(14) 및 피니언(15)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상기 피니언(15)은 래크 암(8)을 수직 상승시켜 후크(10)가 내측으로 소정각도 만큼 선회되도록 하며, 상기 후크(10)는 램프 암(11)을 매개로 램프(7)를 상승 선회시키므로써 작동된다. 이때, 상기 모우터(13)는 리미트 스위치(10b)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램프 암(11)이 지나치게 이완되었거나 파단되어 램프(7)가 움직이지 않으면 리미트 스위치(12)에 의해 승강대(E)의 작동 상태가 제어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승강대(E)가 계단의 상단부에 도달하면 다시 램프작동 스위치(17)를 조작하여 상기 램프(7)가 수평 상태로 전환된 후 내려오게 된다.
상기의 스테어 리프트는 하강시에도 동일한 조작을 하여 램프(7)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램프 작동기구에 있어서 램프(7)가 작동되려면 램프작동 스위치(16)를 눌러 모우터(13)를 구동시킨 후, 그 회전력에 의해 피니언(15)이 구동되어 상기 피니언(15)과 맞물려 구동되는 래크 암(8)을 상방향으로 움직이므로써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동작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반드시 램프작동 스위치(17)를 눌러야 하나, 미처 상기 램프작동 스위치(17)를 누르지 못했을 때는 추락의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승강대(E)가 원하는 지점에 도달하여 내리고자 할 때에도 상기 램프작동 스위치(17)를 다시 눌러 램프(7)를 수평 상태로 전환하여야 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램프(7)는 전동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른 전력손실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승강 직후에 램프가 자동 승강되고, 전력손실이 전혀 없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보수 유지가 용이한 기구적 구동방식의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테어 리프트의 작동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스테어 리프트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테어 리프트의 승강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테어 리프트의 설치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테어 리프트의 승강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테어 리프트의 승강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램프작동부 구조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램프가 자동조작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 ; 승강대 1 ; 가이드 튜브
2 ; 지지대3 ; 견인 로우프
4 ; 구동원5 ; 콘트롤 박스
6 ; 바닥판7 ; 램프
8 ; 래크 암9 ; 윙 브래킷
10 ; 후크10a; 스프링
10b, 12 ; 리미트 스위치11 ; 램프 암
13 ; 모우터14 ; 축
15 ; 피니언16 ; 승강제어 스위치
17 ; 램프작동 스위치18 ; 브래킷
19 ; 작동핀20 ; 베어링
21 ; 스크류 축22 ; 슬리브형 너트
23, 24 ; 베벨기어25 ; 구동축
26 ; 스프라킷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는 지지대의 소정 위치에는 걸림용 작동핀을 형성한 브래킷이 고정되고, 승강대에는 램프와; 상기 승강대 몸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수직 고정되고 일단부에는 베벨기어가 결합된 스크류 축과; 이 스크류 축에 끼워져 상하 이동하는 윙 브래킷과; 이 윙 브래킷의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 후크와; 상기 양 후크와 양 램프를 각각 연결하는 램프 암과; 상기 스크류 축의 베벨기어와 직각으로 맞물려지는 베벨기어가 결합되고 승강대의 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구동축과; 이 구동축의 돌출단에 결합되어 기기 작동시 상기 작동핀과의 접촉에 의해 구동되는 스프라킷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테어 리프트는 계단 난간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 튜브(1)와, 이 가이드 튜브(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와, 이들 중 최상·하단부 지지대(2)의 소정 위치에 각각 고정된 브래킷(18)과, 이 브래킷(18)에 직교되도록 돌출된 작동핀(19)과, 상기 가이드 튜브(1)를 따라 순환 형태로 내장된 견인 로우프(3)와, 이 견인 로우프(3)에 현수된 승강대(E)와, 상기 견인 로우프(3)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구동원(4)과, 이 구동원(4)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박스(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스테어 리프트에 적용된 램프 작동기구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E)의 바닥판(6)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 램프(7)와, 상기 승강대(E)의 중앙부 상에서 하단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20)으로 수직 고정되고 상단부에는 베벨기어(23)가 결합된 스크류 축(21)과, 이 스크류 축(21)에 나사결합식으로 끼워져 상하 이동하는 슬리브형 너트(22)를 구비한 윙 브래킷(9)과, 이 윙 브래킷(9)의 양단에 대칭되도록 각각 힌지 결합된 후크(10)와, 상기 양 후크(10)의 선단과 양 램프(7)를 각각 연결하는 램프 암(11)과, 이 램프 암(11)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12)와, 상기 스크류 축(21)의 베벨기어(23)와 직각으로 맞물려지는 베벨기어(24)가 결합되고 승강대(E)의 몸체 중앙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구동축(25)과, 이 구동축(25)의 돌출단에 결합되어 상기 최상·하단부 지지대(2)의 작동핀(19)에 의해 구동되는 스프라킷(26)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6은 승강제어 스위치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스테어 리프트는 승강제어 스위치(16)를 눌러 콘트롤 박스(5) 내의 구동원(4)을 작동하면 이 구동원(4)의 회전운동에 의해 견인 로우프(3)가 가이드 튜브(1)를 따라 구동되고, 이와 함께 상기 견인 로우프(3)에 현수된 승강대(E)가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탑승자가 승강대(E)에 오른 후, 상기 승강대(E) 배면쪽의 스프라킷(26)이 최하단부 지지대(2) 브래킷(18)의 작동핀(19)에 걸린 상태로 계속 상승하면 상기 스프라킷(26)은 소정 각도 만큼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구동축(25)을 통해 베벨기어(24)(23)에 전달되어 스크류 축(21)을 회전시킨다. 상기 스크류 축(21)의 회전에 의해 슬리브형 너트(22)가 스크류 축(21)을 따라 회전 상승하면 이와 동시에 윙 브래킷(9)이 상승하면서 후크(10)를 내측으로 소정각도 만큼 선회되도록 하며, 상기 후크(10)는 램프 암(11)을 매개로 램프(7)를 상승 선회시키므로써 작동된다. 이때, 상기 램프 암(11)이 지나치게 이완되었거나 파단되어 램프(7)가 움직이지 않으면 리미트 스위치(12)에 의해 승강대(E)의 작동 상태가 제어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승강대(E)가 계단의 상단부에 도달하면 다시 상기 승강대(E) 배면쪽의 스프라킷(26)이 최상단부 지지대(2) 브래킷(18)의 작동핀(19)에 걸린 상태로 계속 상승하면서 소정 각도 만큼 역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상기 윙 브래킷(9)를 하강시켜 후크(10)를 외측으로 선회시키므로써, 상기 램프(7)가 수평 상태로 다시 전환되어 탑승자가 내려올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상기의 스테어 리프트는 하강시에도 동일한 조작이 이루어져 램프(7)를 자동적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스프라킷(26)과 작동핀(19) 간의 기구적인 접촉에 의해 램프(7)를 승강시키므로써 탑재된 휠체어 등이 상기 승강대(E)의 바닥판(6)으로부터 이탈하여 추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는 승강대(E)에 탑승한 사람이 승강제어 스위치(16)를 작동하면 상기 승강대(E)가 승·하강하면서 이 승강대(E)의 배면에 구비된 스프라킷(26)이 지지대(2)의 브래킷(18)에 돌출 형성된 작동핀(19)에 의해 소정각도 만큼 회전하게 되므로써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램프(7)를 자동으로 승·하강되도록 하여 추락 등의 안전사고에 만전을 기할 수 있으며, 기구적 구동방식이므로 전력손실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보수 유지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계단 난간을 따라 승강대가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튜브를 설치하고 이 가이드 튜브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스테어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소정 위치에는 걸림용 작동핀을 형성한 브래킷이 고정되고, 상기 승강대에는 램프와; 상기 승강대 몸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수직 고정되고 일단부에는 베벨기어가 결합된 스크류 축과; 이 스크류 축에 끼워져 상하 이동하는 윙 브래킷과; 이 윙 브래킷의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 후크와; 상기 양 후크와 양 램프를 각각 연결하는 램프 암과; 상기 스크류 축의 베벨기어와 직각으로 맞물려지는 베벨기어가 결합되고 승강대의 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구동축과; 이 구동축의 돌출단에 결합되어 기기 작동시 상기 작동핀과의 접촉에 의해 구동되는 스프라킷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
KR2019970007501U 1997-04-11 1997-04-11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 KR200152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501U KR200152580Y1 (ko) 1997-04-11 1997-04-11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501U KR200152580Y1 (ko) 1997-04-11 1997-04-11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060U KR19980063060U (ko) 1998-11-16
KR200152580Y1 true KR200152580Y1 (ko) 1999-07-15

Family

ID=1949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501U KR200152580Y1 (ko) 1997-04-11 1997-04-11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5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060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0708A (en) Wheelchair transfer mechanism
KR100694306B1 (ko)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KR102277051B1 (ko)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KR100968741B1 (ko) 슬라이딩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KR200152580Y1 (ko) 스테어 리프트의 램프 작동기구
KR20100089675A (ko) 버스용 휠체어 리프트
JP2008137756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338788B1 (ko) 휠체어 리프트 장치
CN213057419U (zh) 一种适用于升船机人员疏散高度自动调节扶梯
KR20090124125A (ko) 휠체어용 계단 승강장비
JPH1160110A (ja) 簡易階段昇降装置
JP2007126286A (ja) ホーム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4238097A (ja) リフト装置
JP2022007421A (ja) リフター装置。
KR100415624B1 (ko) 전동차 출입구 보조발판의 구동장치
JP2004238098A (ja) リフト装置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JP2003252549A (ja) 車椅子用階段昇降機
CN214906351U (zh) 一种老年如厕起身助力装置
JPH07315723A (ja) 階段昇降装置
JP2984237B2 (ja) 階段用昇降装置
JP4121597B2 (ja) 浴槽内段差解消機
JPH10212081A (ja) 非常停止時の乗員による手動緩降エレベーター
JP2600851B2 (ja) エスカレータ
JPH09108268A (ja) 車椅子の段差解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