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303Y1 - 자동차핸들의 충격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핸들의 충격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303Y1
KR200148303Y1 KR2019930030125U KR930030125U KR200148303Y1 KR 200148303 Y1 KR200148303 Y1 KR 200148303Y1 KR 2019930030125 U KR2019930030125 U KR 2019930030125U KR 930030125 U KR930030125 U KR 930030125U KR 200148303 Y1 KR200148303 Y1 KR 200148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ounting bracket
shock
shock absorb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299U (ko
Inventor
노희동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30030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303Y1/ko
Publication of KR950018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2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3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자동차핸들의 충격 흡수장치의 미흡한점과 불합리한점 등을 개선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에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마운팅 브라켓과 조향컬럼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가이드보울트가 충격 흡수판의 안내공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변형편의 마찰력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핸들의 충격흡수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핸들의 충격 흡수장치의 부분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충격 흡수장치가 조향컬럼의 마운팅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 를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충격 흡수장치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충격 흡수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마운팅 브라켓 12 : 캡슐
13 : 가이드 보울트 14 : 충격흡수판
14' : 장공 15 : 안내공
15' : 경사면 16 : 변형편
17 : 보조공 18 : 플랜지
19 : 너트 20 : 고정보울트
21 : 조향컬럼 21 : 핸들
본 고안은, 자동차 핸들의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격 흡수판을 이용하여 충돌시 핸들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는 조향장치는 운전자의 바로 정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차량충돌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조향축 일단에 고정된 핸들에 운전자가 정면으로 충돌하여 치명적인 상처를 입게 된다. 따라서, 충돌시 조향휠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또한, 키 박스, 핸들 및 조향축 자체의 무게에 의한 처짐 현상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의한 핸들의 충격 흡수 장치에는 조향축에 결합되어 있는 마운팅 브라켓의 스리퍼 플레이트와 변형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충격 흡수장치는 스리퍼 플레이트와 변형 플레이트의 강도 및 연신율 계산을 정확히 하여야 하므로 제작 및 설치가 매우 까다롭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에 충돌이 발생하게 되는 마운팅 브라켓과 조향컬럼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가이드보울트가 충격 흡수판의 안내공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변형편의 마찰력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자동차 핸들의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조향컬럼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마운팅 브라켓의 플랜지 표면으로 양측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있는 충격 흡수판을 가이드 보울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며, 충돌시 가이드보울트의 이동에 의해 마찰력으로 변형되는 변형편과, 상기 가이드보울트를 안내하기 위하여 경사면을 가지고 있는 안내공과, 상기 충격 흡수판을 마운팅 브라셋과 함께 고정 보울트로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공을 포함하는 자동차 핸들의 충격 흡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가이드보울트가 충격흡수판의 중앙에 천공된 경사면에 안내되어 가이드보울트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안내공을 억지로 통과하면서 이들의 마찰력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므로 확실한 충격 흡수 작용을 할 수 있고, 보조공의 폭을 조절함에 따라 마찰력을 받게 되는 변형편의 폭이 넓어지거나 좁아 들게 되므로 차종에 따라 마찰력을 적정선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의 안내공으로 이동되는 가이드 보울트는 안내공의 약 2/3 정도만을 이동하게 되므로 나머지의 안내공에 의해 조향컬럼의 처짐현상을 방지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들의 충격 흡수장치를 도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기 구는 조향컬럼(2)과 상기 조향컬럼(2)내에 장착되는 조향축(6) 그리고, 조향축(6) 끝단의 핸들(1)을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조향컬럼(2)을 유지시켜 주는 마운팅 브라켓(3)의 플랜 지부위에 핸들의 충격 흡수장치가 제공되는바, 이러한 핸들의 충격 흡수장치는, 마운팅 브라켓(3)의 플랜지 부위에 절곡형성되는 스리퍼 플레이트(4)와 차체에 형성되는 변형 플레이트(5)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 따라서, 종래의 자동차 핸들의 충격 흡수장치에 의한 충격 홉수과정은, 자동차의 충돌에 의해 핸들(1)에 소정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조향컬럼(2)을 고정 하고 있는 마운팅 브라켓(3)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어서 마운팅 브라켓(3)의 스리퍼플레이트(4)가 차체에 고정된 변형 플레이트(5)를 밀면서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변형플레이트(5)가 제1도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소정 변형이 되면서 스리퍼플레이트(4)의 이 동을 허용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충격력을 변형 플레이트가 흡수하게 되므로 핸들(L)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충격 흡수장치에 있어서, 스리퍼플레이트와 변형 플레이트의 강도 및 연신율등이 적정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재질의 선택이 중요한 몫을 차지하게 되고, 제조비용등이 상승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충격 흡수장치가 조향컬럼(21)의 마운팅 브라켓(11)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 도시의 목적상 하나의 충격 흡수판(14)만을 도시하였다. 마운팅 브라켓(11)에 고정 보울트(20)의 크기와 동일한 구멍이 천공되어지고 , 캡슐(12)과 충격 흡수판(14)에는 장공(14')이 형성 되어지는 바, 이 장공(14' )과 마운팅브라켓(11)의 구멍을 통해 차체에 고정시킨다 . 가이드보울트(13)를 충격 흡수판(14)의 안내공(15) 일측으로 결합하여 마운팅 브라켓(11)을 관통한 뒤 너트(19)에 의해 체결고정 한다 .
제3도는 본 고안의 충격 흡수판(14)의 구성과 충격 흡수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충격 흡수판(14)의 안내공(15)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보울트(13)는, 핸들(22)과 조향컬럼(21) 그리고 마운팅 브라켓(11)으로 충격이 전달되어지면 상기의 마운팅 브라켓(11)에 고정된 이유에 의해 마운팅 브라켓(11)과 동일하게 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가이드보울트(13)는 안내공(15)일측의 경사면(15')에 의해 안내되어 안내공(15)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안내공(15)은 가이드보울트(13)의 축경 보다 약간 작게 형성이 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의 안내공(15)을 확장시키면서 강제적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안내공(15)을 형성하고 있는 양측에 변형편(16)이 보조공(17)내에서 변형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충격 흡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충격 흡수판(14)의 장공(14')과 캡슐(12)에 결합되어 있는 마운팅 브라켓(11)의 고정 보울트(20)도 상기의 장공내에서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충격 흡수판(14)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8)는 충격 흡수판(14)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려된 수단인 것이다. 또한, 변형편(16)의 폭을 조절하면 충격력 흡수의 강약을 조절 할 수 있는 것인 바, 상기의 보조공(17)의 폭을 줄이거나 키우는 수단에 의해 해결될 수 있게 된다.
제4도는 본 고안 충격 흡수판(14)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였다. 즉, 마운팅 브라켓(11)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보울트(13)와 고정 보울트(20)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마운팅브라켓(11)에 고정 되어 있고, 다만 고정 보울트(20)는 차체에도 고정되어진다. 그리고, 상기의 가이드 보울트(13)의 축은 충격 흡수판(14)의 입구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 하고 있게 되며 , 충격이 발생시에는 안내공(15)을 따라 이동되면서 그 마찰력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가이드보울트(13)가 이동된 후에도 여분의 안내공(15)이 남아 있게 되므로 조향컬럼(21)의 처짐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조향컬럼(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마운팅 브라켓(11)의 플랜지표면으로, 양측에 플랜지(18)를 형성하고 있는 충격 흡수판(14)을 가이드보울트(13)와 너트(19)를 이용하여 결합하며, 충돌시 가이드보울트(1)의 이동에 의해 마찰력으로 변형되는 변형편(16)과, 상기 가이드보울트(13)를 안내하기 위하여 경사면(15')을 가지고 있는 안내공(15)과 , 상기 충격 흡수판(14)을 마운팅 브라켓(11)과 함께 고정 보울트(20)로 차체에 고정 시키기 위한 장공(14')을 포함하는 자동차 핸들의 충격흡수장치.
KR2019930030125U 1993-12-28 1993-12-28 자동차핸들의 충격 흡수장치 KR200148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125U KR200148303Y1 (ko) 1993-12-28 1993-12-28 자동차핸들의 충격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125U KR200148303Y1 (ko) 1993-12-28 1993-12-28 자동차핸들의 충격 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299U KR950018299U (ko) 1995-07-22
KR200148303Y1 true KR200148303Y1 (ko) 1999-06-15

Family

ID=1937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125U KR200148303Y1 (ko) 1993-12-28 1993-12-28 자동차핸들의 충격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3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99B1 (ko) * 2006-01-09 2007-10-05 주식회사 만도 충격에너지 흡수 조향컬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975A (ko) * 2000-10-06 2002-04-15 밍 루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99B1 (ko) * 2006-01-09 2007-10-05 주식회사 만도 충격에너지 흡수 조향컬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299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6709B1 (en) System for absorbing impacts in motor vehicles
KR200148303Y1 (ko) 자동차핸들의 충격 흡수장치
JPH0725357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100349395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820007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KR100837105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KR100747282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지지구조
KR100188158B1 (ko) 자동차 조향축의 충격흡수장치
KR200301922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900002661Y1 (ko) 자동차범퍼 보강재구조
KR200171108Y1 (ko)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0136951Y1 (ko) 자동차의 정면 충격 흡수 구조
KR19980074854A (ko) 자동차 조향축의 중간샤프트 충격흡수구조
KR200153016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100580038B1 (ko)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19980021828U (ko)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KR960003462Y1 (ko) 조향축 충격흡수장치
KR100231529B1 (ko) 충격흡수용 조향장치의 취부구조
KR19990005339U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구조
KR100199621B1 (ko) 충격 흡수용 스티어링 기어 박스 고정 구조
KR960005620B1 (ko)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
KR100241715B1 (ko) 하부 조향컬럼의 마운팅브라켓
JPH06227407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取付構造
KR19980029543A (ko) 차량의 충격흡수용 스티어링브라켓 구조
KR20000045842A (ko) 조향 컬럼의 충격흡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