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604Y1 - 완충형 검사 접촉기 - Google Patents

완충형 검사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604Y1
KR200145604Y1 KR2019960039507U KR19960039507U KR200145604Y1 KR 200145604 Y1 KR200145604 Y1 KR 200145604Y1 KR 2019960039507 U KR2019960039507 U KR 2019960039507U KR 19960039507 U KR19960039507 U KR 19960039507U KR 200145604 Y1 KR200145604 Y1 KR 200145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contactor
pressing
predetermined number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611U (ko
Inventor
김경률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2019960039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60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66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6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6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7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involving moving the probe head or the IC under test;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검사 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켓 패드와 디바이스의 리드선을 강하게 접촉시키기 위한 소정 개수의 압박부재와, 압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소정 개수의 탄성부재와, 소정 개수의 요홈이 배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이 요홈에 고정되어 있는 압박부재 지지부, 및 압박부재 지지부를 진행시켜 압박부재가 디바이스의 리드선을 강압할 수 있도록하는 푸쉬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검사 접촉기를 제공하면, 디바이스의 리드선과 검사용 소켓 패드간의 접촉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과 푸쉬암의 진행거리가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발생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손상과 비접촉에 따른 검사 능율의 저하를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완충형 검사 접촉기
제1도는 종래 검사 접촉기의 구성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검사 접촉기의 구성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푸쉬암 2 : 압박부재 지지부
3 : 탄성부재 4 : 압박부재
5 : 디바이스 6 : 소켓 패드
7 : 검사용 소켓
본 고안은 검사 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푸쉬 암 타입의 핸들러를 사용하는 경우 검사 대상인 디바이스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한 완충형 검사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검사 접촉기는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패키지 화 되어진 디바이스(C)를 검사용 장치의 소켓(E)에 안착하여 검사 과정을 진행하여야 하는데, 이때 상기 소켓(E)에 구비되어 있는 검사용 소켓 패드(D)와 상기 디바이스(C)의 리드선을 강하게 접속시켜야하기 때문에 참조번호 A와 B로 구성되는 강제 접촉 기구를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검사 접촉기에서는 참조번호 B에 대응하는 접촉보디가 직접적으로 디바이스의 리드선과 닿게 됨으로 오랜시간 계속적인 사용을 통해 부분적인 마모현상이 생길수 있어 디바이스의 리드선과 검사용 소켓 패드(D)간의 접촉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푸쉬암의 진행거리가 너무 짧은 경우에도 정확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너무 길어지는 경우 디바이스나 검사용 소켓에 무리를 줄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접촉 보디가 푸쉬암과 고정되어 있고 푸쉬암의 푸쉬동작의 진행거리가 고정되어 있어 발생한다는 점에 창안하여 접촉 보디 부분에서 실제적으로 검사용 소켓 패드(D)와 상기 디바이스(C)의 리드선을 강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압력 제공 부분을 탄성소재로 완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부분적인 마모현상이 생겼다 하더라도 일정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하는 완충형 검사 접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페키지 화 되어진 디바이스의 리드선을 검사용 소켓에 구비되어 있는 소켓 패드에 강제 접촉 시키기 위한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소켓 패드와 상기 디바이스의 리드선을 강하게 접촉시키기 위한 소정 개수의 압박부재와, 상기 압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소정 개수의 탄성부재와, 소정 개수의 요홈이 배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이 요홈에 고정되어 있는 압박부재 지지부, 및 상기 압박부재 지지부를 진행시켜 상기 압박부재가 상기 디바이스의 리드선을 강압할 수 있도록하는 푸쉬암을 포함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검사 접촉기의 구성 예시도로서, 패키지화 되어진 디바이스(5)와, 상기 디바이스(5)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용 소켓(7)과, 상기 디바이스(5)의 리드선과 상기 검사용 소켓(7)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 패드(6)와, 상기 소켓 패드(6)와 상기 디바이스(5)의 리드선을 강하게 접촉시키기 위한 소정 개수의 압박부재(4)와, 상기 압박부재(4)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소정 개수의 탄성부재(3)와, 소정 개수의 요홈이 배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의 다른 일단이 요홈에 고정되어 있는 압박부재 지지부(2), 및 상기 압박부재 지지부(2)를 진행시켜 상기 압박부재(4)가 상기 디바이스(5)의 리드선을 강압할 수 있도록하는 푸쉬암(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박부재(4)에는 디바이스(5)의 리드선을 압박하는 구성 이외에 디바이스 자체를 일정하게 압박할 수 있는 압박부재도 구비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형 검사 접촉기의 바람직한 동작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검사용 소켓(7)에 검사하고자 하는 디바이스(5)가 안착된 상태에서 푸쉬암(1)이 아래로 진행한다.
상기 푸쉬암(1)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푸쉬암(1)에 고정되어 있는 압박부재 지지부(2) 역시 하강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압박부재(4)는 디바이스(5)를 압박하게 된다.
상기 압박부재(4)가 상기 디바이스(5)를 압박하는 강도는 상기 압박부재(4)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재(3)의 탄성력과 상기 푸쉬암(1)의 하강거리에 따라 좌우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을 사용하게 된다.
그에따라, 압박부재(4)가 디바이스(5)의 리드선에 의해 부분적인 마모가 발생되었다 하더라도 탄성부재(3)에 의해 리드선과 소켓 패드간에는 일정한 압력의 접촉이 유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형 검사 접촉기를 제공하면, 디바이스의 리드선과 검사용 소켓 패드간의 접촉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과 푸쉬암의 진행거리가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발생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손상과 비접촉에 따른 검사 능율의 저하를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페키지 화 되어진 디바이스의 리드선을 검사용 소켓에 구비되어 있는 소켓 패드에 강제 접촉 시키기 위한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소켓 패드와 상기 디바이스의 리드선을 강하게 접촉시키기 위한 소정 개수의 압박부재와; 상기 압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소저 개수의 탄성부재와; 소정 개수의 요홈이 배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이 요홈에 고정되어 있는 압박부재 지지부; 및 상기 압박부재 지지부를 진행시켜 상기 압박부재가 상기 디바이스의 리드선을 강압할 수 있도록하는 푸쉬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검사 접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검사 접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재들 중에는 디바이스 자체를 압박하는 압박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검사 접촉기.
KR2019960039507U 1996-11-12 1996-11-12 완충형 검사 접촉기 KR200145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507U KR200145604Y1 (ko) 1996-11-12 1996-11-12 완충형 검사 접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507U KR200145604Y1 (ko) 1996-11-12 1996-11-12 완충형 검사 접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611U KR19980026611U (ko) 1998-08-05
KR200145604Y1 true KR200145604Y1 (ko) 1999-06-15

Family

ID=1947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507U KR200145604Y1 (ko) 1996-11-12 1996-11-12 완충형 검사 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6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766B1 (ko) * 2009-12-11 2012-03-13 주식회사 아이에스시테크놀러지 반도체 테스트용 푸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747B1 (ko) * 2000-12-09 2003-08-27 내일시스템주식회사 수직식 핸들러의 디바이스 콘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766B1 (ko) * 2009-12-11 2012-03-13 주식회사 아이에스시테크놀러지 반도체 테스트용 푸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611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8456A (ko) 프로브장치에 이용되는 프로브카드디바이스
JP5180445B2 (ja) テストソケット
US5641945A (en) Contacting structure with respect to spherical bump
KR920019018A (ko) 무도선 ic 패키지용 커넥터
GB2274212A (en) Sockets for testing I.C. packages
KR890016406A (ko) 안경테용 스프링작용힌지
TW429319B (en) IC test apparatus
JP5134805B2 (ja) 電気的接続装置
KR200145604Y1 (ko) 완충형 검사 접촉기
US20070272924A1 (en) Integrated circuit (ic) testing device with conduction interface
WO2002019471B1 (en) Ic test socket
US5395260A (en) IC socket
KR200201331Y1 (ko) 포고 핀
KR950009612Y1 (ko) 반도체 소자 검사기의 핑거
JPH09242935A (ja) パイプ固定治具
JPH0526904A (ja) スプリングコンタクト及びその接触方法
JP5719933B2 (ja)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SU1033907A1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испытани материалов при раст жении
US3409749A (en) Toggle drive mechanism
JPH0691577A (ja) 吸着ヘッド
US20030068908A1 (en) Electrical contact for improved wiping action
JP2577284Y2 (ja) ベルトテンション装置のテンション構造
KR200177290Y1 (ko) 반도체 패키지용 테스트장치
CN117178192A (zh) 探针接点
JPH03123048A (ja) プローブコンタ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