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543Y1 - 무릎보호용 에어 백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릎보호용 에어 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543Y1
KR200142543Y1 KR2019950034360U KR19950034360U KR200142543Y1 KR 200142543 Y1 KR200142543 Y1 KR 200142543Y1 KR 2019950034360 U KR2019950034360 U KR 2019950034360U KR 19950034360 U KR19950034360 U KR 19950034360U KR 200142543 Y1 KR200142543 Y1 KR 2001425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sion
sensor
knee
module
steer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4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657U (ko
Inventor
김찬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34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543Y1/ko
Publication of KR9700226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6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5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5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60R21/013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by frequency or waveform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향컬럼 주위에 설치되어 경사충돌시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는 에어 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의 경사충돌시에 충돌방향에 상응하여 조향컬럼과 충돌하려는 무릎쪽으로 에어 백을 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좌측 프런트 G 센서(9)와 우측 프런트 G센서(10) 및 센터 G센서(11)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조향컬럼(2) 외부에는 연질의 무릎보호대(1)를 이격되게 설치하고, 이 무릎보호대(1) 내부에는 경사충돌방향에 상응하는 무릎의 충돌방향으로 에어 백(7, 7')을 전개시킬 수 있는 A 모듈(6)과 B 모듈(6')을 설치하며, 상기 각 센서(9, 10, 11)의 감속도 파형을 연산처리하여 충돌유형을 분석하고 경사충돌 판정시 당해 프런트 G 센서(9 또는 10)와 연계되는 당해 모듈(6 또는 6')에 선택적으로 전기점화신호를 보낼 수 있는 ECU(8)을 구비시킨 것이다.

Description

무릎보호용 에어 백 시스템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무릎보호대 설치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컬럼부 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모듈점화를 위한 ECU의 신호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릎보호대 2 : 조향컬럼
6 : A 모듈 6' : B 모듈
7, 7' : 에어 백 8 : ECU
9 : 좌측 프런트 G 센서 10 : 우측 프런트 G 센서
11 : 센터 G 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향컬럼 주위에 설치되어 경사충돌시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는 에어 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 또는 승객을 정면충돌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에어 백 시스템은, 자동차 실내의 전방 중앙부의 플로워 패널상에 에어 백 ECU(electronical control unit)가 설치되며, 충격가속도 검출용의 센터 G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좌우의 프런트 에이프런 어퍼 멤버의 전방 끝부분에는 각각 1개의 프런트 G 센서가 설치되어 저속충돌시 발생 감속도를 날카롭게 검지하여 신호를 ECU로 보낸다. 그리고 조향 휠 내에는 인플레이터와 에어 백으로 된 모듈이 내장되어 있으며, 조향접속케이블에 의해 ECU의 전기점화신호가 인플레이터로 전달된다.
상기에서 차량의 전방 좌우에 설치되는 프런트 G 센서는 차량의 전방 좌측 또는 우측이 충돌하는 경사충돌을 감지할 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센터 G 센서와 프런트 G 센서가 거의 동시에 감속도가 일어나는 고속충돌이 아니면 조향 휠의 에어 백이 전개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경사충돌시 인체상해치 중 무릎상해치가 가장 위험한 요소이다.
그래서 종래에는 무릎이 충돌할 수 있는 조향컬럼의 커버 등에 완충성을 갖는 무릎보호패드등을 대어 주는 경우도 있으나 별다른 유효성을 갖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경사충돌시에 충돌방향에 상응하여 조향컬럼과 충돌하려는 무릎쪽으로 에어 백을 전개시킬 수 있는 무릎보호용 에어 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좌측 프런트 G 센서와 우측 프런트 G 센서 및 센터 G 센서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조향컬럼 외부에는 연질의 무릎보호대를 이격되게 설치하고, 이 무릎보호대 내부에는 경사충돌방향에 상응하는 무릎의 충돌방향으로 에어 백을 전개시킬 수 있는 A모듈과 B모듈을 설치하며, 상기 각 센서의 감속도 파형을 연산처리하여 충돌유형을 분석하고 경사충돌 판정시 당해 프런트 G 센서와 연계되는 당해 모듈에 선택적으로 전기점화신호를 보낼 수 있는 ECU를 구비시킨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의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무릎보호대(1)가 조향컬럼 주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무릎보호대(1)는 충격시 가요성을 갖는 연질로서, 제2도와 같이 조향컬럼(2)의 컬럼커버(3) 외부와 이격되게 호형으로 감싸져 그 양단이 고정 브래킷(4, 4')으로 고정되고, 고정 브래킷(4, 4')은 카을 패널(5)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무릎보호대(1) 내부의 컬럼커버(3) 양측에 해당하는 카을 패널(5)면에는 A 모듈(6)과 B 모듈(6')이 에어백(7, 7')을 전방으로 전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A 모듈(6)과 B 모듈(6')은 각각 컬럼커버(3)와 무릎보호대(1) 사이의 공간내로 전개시킬 수 있는 소형의 에어 백(7, 7')과, ECU(8)의 전기점화신호에 의하여 점화되고 폭발(연소)하여 가스를 방출시킬 수 있는 인플레이터로 구성된 것이다.
ECU(8)는 자동차 실내 전방 중앙부의 플로워 패널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좌측 프런트 G센서(9)와 우측 프런트 G센서(10) 및 센터 G센서(11)의 입력신호를 근거로 상기 A 모듈(6) 또는 B 모듈(6')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이 ECU(8)의 제어로직을 보면, 제3도와 같이 충돌이 일어났을 때(S31), 각 센서(9, 10, 11)의 감속도 파형을 연산처리하여 충돌유형을 분석하고(S32), 경사충돌 판정시(S33), 좌측 경사충돌이면(S34) A 모듈(6)에 전기점화신호를 보내 점화하고(S35), 우측 경사충돌이면(S36) B 모듈(6')에 전기점화신호를 보내 점화(S37)하도록 한 것이다.
우측 프런트 G 센서(9)와 좌측 프런트 G 센서(10) 및 센터 G 센서(11)는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것으로서, 다만 ECU(8)의 제어로직이 본 고안의 실행을 위해 추가된 것일 뿐 기본적으로는 조향 휠에 설치되는 에어 백 등을 정면충돌시에 전개시키기 위한 제어로직은 별도로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좌측 경사충돌이 일어나면 A 모듈(6)에 전기점화신호가 들어와 A 모듈(6)의 에어 백(7)이 제2도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전개되기 때문에 좌측 경사충돌시 우측무릎이 P1방향으로 회전하며 충돌하는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고, 우측 경사충돌이 일어나면 B 모듈(6')에 전기점화신호가 들어와 B 모듈(6')의 에어 백(7)이 제2도의 우측으로 좌측으로 전개되기 때문에 우측 경사충돌시 좌측무릎이 P2방향으로 회전하며 충돌하는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경사충돌시 당해 충돌방향에 따라 상대적으로 조향컬럼에 부딪치려는 당해 무릎쪽을 에어 백의 전개에 의하여 부드럽게 완충시켜 주기 때문에 차량의 경사충돌시 운전자에게 가장 위험한 무릎상해를 극소화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좌측 프런트 G센서와 우측 프런트 G센서 및 센터 G센서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조향컬럼 외부에는 연질의 무릎보호대를 이격되게 설치하고, 이 무릎보호대 내부에는 경사충돌방향에 상응하는 무릎의 충돌방향으로 에어 백을 전개시킬 수 있는 A 모듈과 B 모듈을 설치하며, 상기 각 센서의 감속도 파형을 연산처리하여 충돌유형을 분석하고 경사층을 판정시 당해 프런트 G센서와 연계되는 당해 모듈에 선택적으로 전기점화신호를 보낼 수 있는 ECU를 구비한 무릎보호용 에어 백 시스템.
KR2019950034360U 1995-11-20 1995-11-20 무릎보호용 에어 백 시스템 KR2001425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360U KR200142543Y1 (ko) 1995-11-20 1995-11-20 무릎보호용 에어 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360U KR200142543Y1 (ko) 1995-11-20 1995-11-20 무릎보호용 에어 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657U KR970022657U (ko) 1997-06-18
KR200142543Y1 true KR200142543Y1 (ko) 1999-06-01

Family

ID=1942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4360U KR200142543Y1 (ko) 1995-11-20 1995-11-20 무릎보호용 에어 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5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057B1 (ko) * 2001-12-19 200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의 무릎보호용 에어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657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549B1 (ko)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치
JPH0664491A (ja) 側方からの衝突に対して乗員を保護するエアバッグ装置
JPH05188077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衝突センサ配置構造
KR200142543Y1 (ko) 무릎보호용 에어 백 시스템
JP3127683B2 (ja) エアバッグシステム
JP3003484B2 (ja) 車両衝突検知装置
KR100517705B1 (ko) 무릎보호용 에어백 시스템
GB2356075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 control system within a vehicle
KR0116030Y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KR100217637B1 (ko) 자동차의 에어 백용 가변형 인플레이터
KR200157334Y1 (ko) 자동차의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KR100505879B1 (ko) 무릎보호용 에어백 설치구조
KR19980029415A (ko) 차량용 에어백 충격 감지장치
KR100210143B1 (ko) 차량용 에어백의 하이브리드구조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200148279Y1 (ko) 무릅보호용에어백
JPH03157242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9980047761U (ko) 에어백이 부착된 안전밸트
KR19980048826U (ko)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KR19990052706A (ko) 자동차의 에어백 제어장치
KR19980053037U (ko) 차체용 에어백
KR19980028516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9980023711U (ko) 사이드에어백이 겸용된 자동차의 에어백
KR19980049939U (ko) 엔진보기류 차내 침입 방지용 에어백 시스템
KR19980023611U (ko) 차량의 에어백용 sdm 보호를 위한 프로텍터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