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5879B1 - 무릎보호용 에어백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무릎보호용 에어백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5879B1
KR100505879B1 KR10-2003-0009193A KR20030009193A KR100505879B1 KR 100505879 B1 KR100505879 B1 KR 100505879B1 KR 20030009193 A KR20030009193 A KR 20030009193A KR 100505879 B1 KR100505879 B1 KR 100505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airbags
airbag
collision
right fro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3197A (ko
Inventor
박성룡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9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879B1/ko
Publication of KR20040073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릎보호용 에어백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경사충돌시에 차량의 충돌 상태를 감지하는 좌측프런트센서, 우측프런트센서 및 센터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그 충돌신호를 ECU에서 판단하여 좌측 혹은 우측 무릎을 각각 보호하는 제1에어백과 제2에어백을 선택적으로 전개하여 보호하는 무릎 보호용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무릎보호대 내측에 이탈방지턱 및 격벽을 형성하여 제1,제2에어백을 분리하여 설치하므로 제1,제2에어백의 작동시에 서로 엉키게 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릎보호용 에어백 설치구조{A Air Bag Installing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Kne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무릎보호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경사충돌시에 차량의 충돌 상태를 감지하는 좌측프런트센서, 우측프런트센서 및 센터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그 충돌신호를 ECU에서 판단하여 좌측 혹은 우측 무릎을 각각 보호하는 제1에어백과 제2에어백을 선택적으로 전개하여 보호하는 무릎 보호용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무릎보호대 내측에 이탈방지턱 및 격벽을 형성하여 제1,제2에어백을 분리하여 설치하므로 제1,제2에어백의 작동시에 서로 엉키게 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무릎보호용 에어백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 또는 승객을 정면충돌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시스템은, 자동차 내의 전방중앙부의 플로워패널 상에 에어백 ECU(Electric Control Unit)가 설치되며 충격가속도 검출용의 센터센서가 내장되어져 있다.
그리고, 좌우의 프런트 에이프런 멤버의 전방 끝부분에는 각각 1개의 프런트센서가 설치되어 저속충돌시 발생감속도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신호를 ECU로 보낸다.
그리고, 조향휠 내에서는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으로 된 모듈이 내장되어 있으며, 조향접속케이블에 의하여 ECU의 전지점화신호가 인플레이터로 전달된다.
한편, 최근에는 자동차 충돌시에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하여 무릎보호용에어백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발명이 제안되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자동차의 좌,우측방향 충돌을 감지하는 좌,우측프런트센서(90)(100)와; 상기 좌,우측프런트센서(90)(100)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중심으로 부터의 충돌을 감지하는 센터센서(11)와; 상기 좌,우측프런트센서(90)(100) 및 센터센서(11)의 감지신호를 받아서 작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판단하는 ECU(8)와; 상기 ECU(8)의 판단에 의하여 작동신호를 받아서 인플레이터를 폭발시켜 가스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1,제2모듈(6a)(6b)와; 상기 제1,제2모듈(6a)(6b)의 작동으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하여 팽창하여 무릎보호대(1)를 통하여 개방되어져서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도록 하는 제1,제2에어백(7)(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제2모듈(6a)(6b)는, 조향컬럼(2)를 감싸는 컬럼커버(3)의 외측부분의 카울패널(5)에 형성되어진다.
상기 무릎보호대(1)는, 상기 카울패널(5)에서 돌출된 부분에 체결나사에 의하여 고정되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무릎보호대의 내부에 내장되는 제1,제2에어백은, 무릎보호대의 내부에서 서로 겹치는 상태로 내장되므로 제1,제2모듈의 작동에 의하여 팽창하는 경우,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여 엉키거나 무릎보호대가 제대로 절개되어지지 않아서 제1,제2에어백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경사충돌시에 차량의 충돌 상태를 감지하는 좌측프런트센서, 우측프런트센서 및 센터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그 충돌신호를 ECU에서 판단하여 좌측 혹은 우측 무릎을 각각 보호하는 제1에어백과 제2에어백을 선택적으로 전개하여 보호하는 무릎 보호용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무릎보호대 내측에 이탈방지턱 및 격벽을 형성하여 제1,제2에어백을 분리하여 설치하므로 제1,제2에어백의 작동시에 서로 엉키게 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좌,우측방향 충돌을 감지하는 좌,우측프런트센서와; 상기 좌,우측프런트센서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중심으로 부터의 충돌을 감지하는 센터센서와; 상기 좌,우측프런트센서 및 센터센서의 감지신호를 받아서 작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판단하는 ECU와; 상기 ECU의 판단에 의하여 작동신호를 받아서 인플레이터를 폭발시켜 가스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1,제2모듈와; 상기 제1,제2모듈의 외측에 설치되어 조향컬럼을 감싸는 컬럼커버의 외측부분을 보호하는 카울커버와; 상기 제1,제2모듈의 작동을 발생되는 가스에 의하여 팽창하여 무릎보호대를 통하여 개방되어져서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도록 하는 제1,제2에어백으로 이루어진 에어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릎보호대의 내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카울패널 의 모서리에 끼워져서 위치를 잡아주는 제1,제2걸림턱과; 상기 제1,제2걸림턱의 내측으로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제2에어백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과; 상기 무릎보호대의 내측벽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제2에어백을 분리하도록 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릎보호용 에어백설치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 보호용 에어백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 보호용 에어백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좌,우측방향 충돌을 감지하는 좌,우측프런트센서(90)(100)와; 상기 좌,우측프런트센서(90)(100)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중심으로 부터의 충돌을 감지하는 센터센서(11)와; 상기 좌,우측프런트센서(90)(100) 및 센터센서(11)의 감지신호를 받아서 작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판단하는 ECU(8)와; 상기 ECU(8)의 판단에 의하여 작동신호를 받아서 인플레이터를 폭발시켜 가스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1,제2모듈(6a)(6b)와; 상기 제1,제2모듈(6a)(6b)의 외측에 설치되어 조향컬럼(2)을 감싸는 컬럼커버(3)의 외측부분을 보호하는 카울커버(5)와; 상기 제1,제2모듈(6a)(6b)의 작동을 발생되는 가스에 의하여 팽창하여 무릎보호대(20)를 통하여 개방되어져서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도록 하는 제1,제2에어백(7a)(7b)으로 이루어진 에어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릎보호대(20)의 내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카울패널(5)의 모서리에 끼워져서 위치를 잡아주는 제1,제2걸림턱(21)(22)과; 상기 제1,제2걸림턱(21)(22)의 내측으로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제2에어백(7a)(7b)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7)(28)과; 상기 무릎보호대(7a)(7b)의 내측벽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제2에어백(7a)(7b)을 분리하도록 하는 격벽(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무릎보호대(20)의 내측면에 상기 제1,제2에어백(7a)(7b)의 팽창시 절개를 용이하도록 하는 제1,제2절개홈(24)(25)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무릎보호대(20)는, 연질이고 탄성력이 풍부한 재질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릎보호대(20)를 조립하는 상태를 살펴 보면, 무릎보호대(2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턱(27)(28)과 격벽(23) 사이에 제1,에어백(7a) 및 제2에어백(7b)을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무릎보호대(2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제2걸림턱(21)(22)을 카울패널(5)의 모서리 부분에 밀착시키고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조립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 좌측프런트센서(9), 센터센서(11) 및 우측프런트센서(10)에서 충돌신호를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차량 충돌신호를 ECU(8)에서 받아들여서 분석 및 판단한 후에 경사 충돌 방향에 따라 제1,제2모듈(6a)(6b)을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제2모듈(6a)(6b)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면, 인플레이터가 폭발하고 이 때, 발생된 가스가 제1,제2에어백(7a)(7b)으로 유입되면서, 팽창되어진다.
상기 가스에 의하여 팽창된 제1,제2에어백(7a)(7b)은, 제1절개홈(24) 혹은 제2절개홈(25)을 팽창압력으로 절개하면서, 무릎보호대(20)의 외측으로 팽창되어져서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제2에어백(7a)(7b)는, 상기 무릎보호대(20)의 이탈방지턱(27)(28)과 격벽(23)사이에 설치되어져서 서로 엉키거나 다른 부분으로 팽창압력을 불필요하게 가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용 에어백 설치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자동차의 경사충돌시, 차량의 충돌 상태를 감지하는 좌측프런트센서, 우측프런트센서 및 센터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그 충돌신호를 ECU에서 판단하여 좌측 혹은 우측 무릎을 각각 보호하는 제1에어백과 제2에어백을 선택적으로 전개하여 보호하는 무릎 보호용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무릎보호대 내측에 이탈방지턱 및 격벽을 형성하여 제1,제2에어백을 분리하여 설치하므로 제1,제2에어백의 작동시에 서로 엉키게 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 보호용 에어백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 보호용 에어백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릎보호대 2 : 조향컬럼
3 : 컬럼커버 4a,4b : 고정브래킷
5 : 카울패널 6a : 제1모듈
6b : 제2모듈 7a : 제1에어백
7b : 제2에어백 8 : ECU
9 : 좌측프런트센서 10 : 우측프런트센서
11 : 센터센서 20 : 무릎보호대
21 : 제1걸림턱 22 : 제2걸림턱
23 : 격벽 24 : 제1절개홈
25 : 제2절개홈 30 : 무릎

Claims (2)

  1. 좌,우측방향 충돌을 감지하는 좌,우측프런트센서와; 상기 좌,우측프런트센서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중심으로 부터의 충돌을 감지하는 센터센서와; 상기 좌,우측프런트센서 및 센터센서의 감지신호를 받아서 작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판단하는 ECU와; 상기 ECU의 판단에 의하여 작동신호를 받아서 인플레이터를 폭발시켜 가스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1,제2모듈과; 상기 제1,제2모듈의 외측에 설치되어 조향컬럼을 감싸는 컬럼커버의 외측부분을 보호하는 카울커버와; 상기 제1,제2모듈의 작동으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하여 팽창하여 무릎보호대를 통하여 개방되어져서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도록 하는 제1,제2에어백으로 이루어진 에어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릎보호대의 내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카울패널의 모서리에 끼워져서 위치를 잡아주는 제1,제2걸림턱과;
    상기 제1,제2걸림턱의 내측으로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제2에어백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과;
    상기 무릎보호대의 내측벽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제2에어백을 분리하도록 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용 에어백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보호대의 내측면에 상기 제1,제2에어백의 팽창시 절개를 용이하도록 하는 제1,제2절개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용 에어백 설치구조.
KR10-2003-0009193A 2003-02-13 2003-02-13 무릎보호용 에어백 설치구조 KR100505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193A KR100505879B1 (ko) 2003-02-13 2003-02-13 무릎보호용 에어백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193A KR100505879B1 (ko) 2003-02-13 2003-02-13 무릎보호용 에어백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197A KR20040073197A (ko) 2004-08-19
KR100505879B1 true KR100505879B1 (ko) 2005-08-03

Family

ID=3736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193A KR100505879B1 (ko) 2003-02-13 2003-02-13 무릎보호용 에어백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58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197A (ko) 200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7352B1 (en) Airbag module
EP0531989B2 (en) Side collision sensor system for side airbag apparatus
EP2022684B1 (en) Air bag device for protection of knee, method of developing air bag device for protection of knee, and vehicle
JP2008508147A (ja) 引裂き継目および展開速度センサを有するエアバッグ
KR102131448B1 (ko)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JP4395172B2 (ja)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H05188077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衝突センサ配置構造
KR100505879B1 (ko) 무릎보호용 에어백 설치구조
KR100482057B1 (ko) 운전자의 무릎보호용 에어백장치
JPH11278196A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JPH07132793A (ja) 車両衝突検知装置
KR100580015B1 (ko) 커튼 에어백의 가이드 장치
US20240140343A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100892817B1 (ko) Tpms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방법
KR100599573B1 (ko)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KR100788189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및 그 폴딩방법
KR20080008107A (ko) 에어백 장치와 그 제어방법
JP4051155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KR200142543Y1 (ko) 무릎보호용 에어 백 시스템
JPH09315262A (ja) 乗員保護装置
KR100521023B1 (ko) 광역 혼 작동 영역을 갖는 에어백 모듈 커버
KR100938531B1 (ko)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 및 그 조립방법
KR100228103B1 (ko) 이중 전개가능한 에어 백
KR100622119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517705B1 (ko) 무릎보호용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