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372Y1 -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 - Google Patents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372Y1
KR200141372Y1 KR2019950039368U KR19950039368U KR200141372Y1 KR 200141372 Y1 KR200141372 Y1 KR 200141372Y1 KR 2019950039368 U KR2019950039368 U KR 2019950039368U KR 19950039368 U KR19950039368 U KR 19950039368U KR 200141372 Y1 KR200141372 Y1 KR 200141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roller
sliding door
roller arm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9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792U (ko
Inventor
이용삼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50039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372Y1/ko
Publication of KR9700397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7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3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하단부를 지지해주는 롤러암에 관한 것으로서, 롤러암의 외측암을 단판 형태로 개선하여 무게를 줄이는 한편, 이것이 차지하는 공간 점유율을 낮춤으로써, 무게 감소에 따른 원가 절감과 낮은 공간 점유율로 인한 주변 부품의 설치 자유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한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
제1도는 종래의 롤러암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롤러암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롤러암 11 : 내측암
12 : 외측암 13 : 핀
14 : 롤러 15 : 스페이서
16 : 단차부
본 고안은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하단부를 지지해주는 롤러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측과 연결되는 외측암의 단면을 개선하여 자체 중량 감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 채택 차량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해 주는 롤러암 특히, 하단부를 지지해 주는 롤러암(10)은,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레일 내에 슬라이드 결속되는 내측암(11)과, 도어측에 고정되는 외측암(12)이 핀(13)을 통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핀결합부위의 구조는 외측암(12)의 ㄷ자형 단면이 내측암(11)의 상하판 사이에 꼭맞게 끼워지면서 핀(13)으로 함께 관통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4는 롤러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롤러암은 외측암의 무게가 상당하여 롤러암의 전체 무게를 상승시키는 주 요인이 되어 왔으며, 외측암의 상하폭 예컨대, 단면폭이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 그 주변 부품의 설치 자유도를 저해하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롤러암의 외측암을 단판 형태로 개선하여 무게를 줄이는 한편, 이것이 차지하는 공간 점유율을 낮춤으로써, 무게 감소에 따른 원가 절감과 낮은 공간 점유율로 인한 주변 부품의 설치 자유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한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차체측의 내측암(11)과, 이 내측암(11)에 핀결합되는 도어측의 외측암(12)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10)에 있어서, 상기 외측암(12)은 단판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외측암(12)의 핀결합부위에는 부시형 스페이서(15)가 함께 조합되어 내측암(11)과의 위아래 간격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외측암(12)의 길이 중간은 단차부(16)로 이루어져 있어서, 내측암(11)의 자체강성이 강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5)는 이단구조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단 경계부에 외측암(12)이 받쳐지면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암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1은 내측암을 나타낸다.
상기 내측암(11)은 ㄴ자 형상의 기본 판체를 중심으로 하여 앞쪽과 뒷쪽으로 각각 다수의 지지판이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각각의 지지판에는 차체 레일상에서 구름운동 가능한 롤러(14)가 장착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외측암(12)의 핀결합부위가 지지된다.
즉, 기본판체의 뒷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지지판에는 수평형 롤러(14a)가 장착되고, 앞쪽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에는 외측암(12)의 핀결합부위에 체결되는 핀(13)의 상단이 끼워져 지지된다. 이때의 핀(13) 하단은 상기 기본판체의 수평판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기본판체의 수직판에는 상기 수평형 롤러(14a)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형 롤러(14b)가 장착된다.
또한, 도면부호 12는 외측암을 나타낸다.
상기 외측암(12)은 길이 중간에 한번의 절곡부위 즉, 단차부(16)를 갖는 단판구조의 판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외측암(12)의 일측 끝단부에는 도어 프레임에 체결되기 위해 다수의 체결 구멍을 갖는 수직판이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일측 끝단부는 상기 내측판(11)과 핀결합을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된 핀결합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외측암(12)은 상기 핀결합부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스페이서와 함께 내측암(11)에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5는 스페이서를 나타낸다.
상기 스페이서(15)는 이단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심축선을 따라 관통되는 핀 끼움구멍을 갖고 있다.
이때의 스페이서(15)는 상기 내측암(11)이 갖는 앞쪽의 지지판과 기본판체의 수평판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지지판과 수평판 사이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페이서(15)의 단경계부는 여기에 삽입 결합되는 상기 외측판(12)의 핀결합부위를 받쳐줄 수 있게 되며, 외측판(12)의 회전 유동시 핀(13)을 중심으로 하여 핀결합부위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내측암(11)과 외측암(12)은 스페이서(15)를 매개로 하는 동시에 핀(13)을 통해 일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측암(12)의 핀결합부위에 형성된 구멍에는 상기 스페이서(15)의 소직경부가 윗쪽에서 아래쪽으로 끼워지고, 이렇게 끼워지는 스페이서(15)는 단경계부 예컨대, 대직경부의 받침면이 외측암(12)의 윗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그 위치에서 압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15)를 갖는 외측암(12)의 핀결합부위는 내측판(11)의 앞쪽의 지지판과 기본판체의 수평판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공간부 안쪽으로 위치되고, 이렇게 위치된 상태에서 일치되는 각각의 핀 끼움구멍으로 핀(13)이 관통체결되므로서, 내측암(11)과 외측암(12)은 일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스페이서(15)의 상하단과 지지판 및 수평판 사이의 틈새에는 간격 조절용 와셔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ㄷ자형 단면을 갖는 기존의 외측암을 단판 구조로 개선하여 무게와 공간점유율을 줄임으로써, 무게 감소에 따른 원가절감의 효과와 주변 부품들의 설치 자유도 향상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차체측의 내측암(11)과, 이 내측암(11)에 핀결합되는 도어측의 외측암(12)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10)에 있어서, 상기 외측암(1)은 단판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외측암(12)의 핀결합부위에는 부시형 스페이서(15)가 함께 조합되어 내측암(11)과의 위아래 간격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암(12)의 길이 중간은 단차부(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15)는 이단구조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단 경계부에 외측암(12)이 받쳐지면서 지지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
KR2019950039368U 1995-12-08 1995-12-08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 KR200141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368U KR200141372Y1 (ko) 1995-12-08 1995-12-08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368U KR200141372Y1 (ko) 1995-12-08 1995-12-08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792U KR970039792U (ko) 1997-07-29
KR200141372Y1 true KR200141372Y1 (ko) 1999-04-01

Family

ID=1943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9368U KR200141372Y1 (ko) 1995-12-08 1995-12-08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3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473A (ko) 2019-09-04 2021-03-12 김현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 롤러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473A (ko) 2019-09-04 2021-03-12 김현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 롤러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792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9171A (en) Supporting structure for vehicular suspension
CA2399894A1 (en) In-vehicle monitor support structure
US4559740A (en) Slider assembly for automotive sliding door
KR101316827B1 (ko) 차량용 롤 로드 마운팅 장치
KR920021368A (ko) 좌석 미끄럼 장치
KR200141372Y1 (ko)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암
CN1886328B (zh) 一种限制自动扶梯的台阶滚轴上升的机构
CN220009542U (zh) 横梁结构及车辆
CN220410355U (zh) 一种后排靠背旋转机构
KR100332589B1 (ko) 자동차용 럼버 서포터 장치
KR100203513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장치
KR100312564B1 (ko) 차축식 현가 장치
KR200162328Y1 (ko) 카 오디오 지지브래킷
KR19990024482U (ko) 버스용 시트 장착 구조
KR100267661B1 (ko) 자동차의 캡 틸팅장치
KR200142241Y1 (ko) 자동차의 쿼터인너패널 구조
KR200155528Y1 (ko) 자동차용 룸램프의 회전방지용 브라켓트 구조
KR200149691Y1 (ko) 상용차 테일게이트의 지지구조
KR0134642Y1 (ko) 자동차의 차체구조
KR0136892Y1 (ko) 버스의 사이드 패널에 설치되는 중간 도어의 어퍼 아웃터 패널 구조
KR19980049028U (ko) 자동차 슬라이드도어용 중앙레일의 쿼터글래스 지지구조
KR19980033361U (ko) 자동차용 도어의 벤틸 글래스 웨더스트립 취부구조
KR19980045436U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로워 서포트 센터 멤버 형상구조
KR19980038144A (ko)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KR20010005056A (ko)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