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834A -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 Google Patents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834A
KR20010113834A KR1020017014872A KR20017014872A KR20010113834A KR 20010113834 A KR20010113834 A KR 20010113834A KR 1020017014872 A KR1020017014872 A KR 1020017014872A KR 20017014872 A KR20017014872 A KR 20017014872A KR 20010113834 A KR20010113834 A KR 20010113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hang
impact
tundish
impact surface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9318B1 (ko
Inventor
로돌포 디. 모래일스
조르쥐 파라폭스-라모스
사이몬 로페즈-라미레즈
Original Assignee
와이 에스 첸
포세코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 에스 첸, 포세코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와이 에스 첸
Publication of KR20010113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3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impact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ad Repai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adder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 재료로 형성된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1)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 패드는 사용중 임팩트 패드에 부어지는 용융 금속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상방향으로 향한 임팩트 표면(5)을 가지는 베이스(3), 및 임팩트 표면 주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벽(7)을 포함하며, 상기 벽은 임팩트 표면(5)의 주변 영역(11)위로 돌출된 오버행(9)을 가지고, 상기 오버행(9)은 임팩트 표면(5)위에서 오버행의 나머지(5)보다 한층 더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13)를 포함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IMPACT PAD FOR A TUNDISH}
국제특허출원 No. WO 96/14951(FOSECO)는 턴디쉬내에서 용융 강철과의 접촉을 견딜 수 있는 내화 재료 몸체를 포함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를 개시한다. 상기 임팩트 패드 몸체는 임팩트 표면을 가지는 베이스, 상기 임팩트 표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외부 측벽, 및 상기 측벽에 연결되고 그곳에 개구부를 한정하는 상부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표면은 임팩트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내부 환상 부분을 가지며, 측벽과 임팩트 표면 사이, 및 또한 측벽과 상부 표면의 내부 환상 부분 사이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코너가 있다. 이러한 임팩트 패드는 턴디쉬 내에서 용융 강철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는데, 이것은 원하지 않는 함유물이 강철의 표면위로 부유하고 제거되기 위하여 충분한 시간을 가지도록 보장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국제특허출원 No. WO 97/37799(FOSECO)는 턴디쉬 내에서 용융 강철과의 접촉을 견딜 수 있는 내화 재료 몸체를 포함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를 개시한다. 상기 임팩트 패드는 용융 강철을 위한 임팩트 표면과, 이러한 임팩트 표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그것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베이스 주위로 연장되어 있는 외부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에 연결되어 있는 환상 몸체 부분은 임팩트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부 표면을 제공하고, 용융 강철이 부어질 수 있는 개구부를 한정하며, 환상 몸체 부분의 낮은 표면 및 측벽의 내부면은 임팩트 표면 위와 주위에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언더컷(undercut)부분을 가지는 리세스(recess)를 한정한다. 상부 표면의 일부분은 상부 표면의 나머지보다 낮은 레벨에 있으며, 상부 표면의 일부분 아래의 리세스는 상기 리세스의 나머지보다 작은 단면이다. 이러한 임팩트 패드는 연장되어 있는 턴디쉬 내에서 유동 특성을 개선시키는데 특히 유용하고, 상기 턴디쉬 내에서 용융 강철은 턴디쉬 단부에서 턴디쉬 내로 부어지고, 강철의 상기 또는 각각의 배출구는 턴디쉬 단부의 반대편에 있다. 상기 임팩트 패드는 단부벽의 하단 부분이 용융 강철의 유입 흐름 옆의 단부벽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패드로부터 되튀는 강철이 우선적으로 상기 단부벽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것은 턴디쉬에서 생성되는 표면 난류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며, 일반적으로 유동 경로를 개선시켜 더욱 순도 높은 강철을 생산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융용 금속, 특히 강철의 취급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즉 레이들로부터 턴디쉬로 부어지는 용융 금속의 유입 흐름을 받아들이는 턴디쉬의 바닥에 놓이는 내화재료로부터 형성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철의 연속적인 주조에서 특히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의 등각 투상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턴디쉬 임팩트 패트의 등각 투상 종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중앙에서 벗어난 레이들-보호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턴디쉬내의 용융 금속의 비대칭 유동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패드 및 신규한 댐을 사용한 중앙에서 벗어난 레이들-보호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턴디쉬내의 용융 금속의 대칭 흐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댐을 도시한다.
임팩트 패드 디자인의 일측면의 변경은 일반적으로 전체 턴디쉬 시스템의 유동 역학에 관한 의외의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특별히 소정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새로운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설계 과정은 극도로 복잡하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본 발명자는 임팩트 표면으로부터 되튀기는 용융 금속이 턴디쉬의 세로축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대칭적으로 향하게 하는 새로운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이것은 예를 들어, 상기 또는 각각의 배출구가 턴디쉬의 세로축 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2 또는 그 이상의 배출구가 상기 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턴디쉬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또한, 용융 금속의 유입 흐름("레이들 흐름")이 "중심에서 벗어난(off-center)", 즉 턴디쉬의 세로축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레이들 보호판(shroud)(유입 금속이 레이들로부터 턴디쉬내로 관통하여 유동하는 파이프)가 레이들로부터 금속 유동을 제어하는 활주 통로 밸브와 함께 일반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일어나며, 상기 밸브가 유동 속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자주 부분적으로만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레이들 보호판은 자주 턴디쉬에 대하여 중심에서 벗어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첫번째 측면에 따르면, 내화 재료로 형성된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가 제공되고, 상기 임팩트 패드는 사용중 임팩트 패드에 부어지는 용융 금속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상방향으로 향한 임팩트 표면을 가지는 베이스, 및 임팩트 표면 주변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서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벽을 포함하며, 상기 벽은 임팩트 표면의 주변 영역위로 돌출된 오버행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행은 오버행의 나머지보다 임팩트 표면위로 한층 더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벽은 임팩트 표면의 전체 주변 둘레로 연장되어 임팩트 표면을 완전히 에워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번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에 따른 임팩트 패드를 포함하는 턴디쉬를 제공한다. 상기 턴디쉬는 형상(즉, 평면도에 있어서)에 있어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은 용융 금속의 유입 흐름의 사용에 있어서 각각의 세로 단부근처에 배출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기 임팩트 패드는 실질적으로 턴디쉬의 세로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턴디쉬는 상기 임팩트 패드와 배출구 사이에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의 상부 표면은 각각의 측면상의 주변부보다 낮은 중앙부(즉, 턴디쉬의 세로축에 대해서 중앙)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턴디쉬의 세로축을 향하여 용융 금속의 유동 방향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주변 벽의 오버행 나머지보다 임팩트 표면위로 한층 더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임팩트 표면으로부터 되튀기는 용융 금속이 실질적으로 임팩트 패드의 중앙으로 향하도록 한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임팩트 표면위에서 패드내로 유동하는 금속이 중앙에서 벗어나더라도, 즉 상기 패드의 중앙으로 부터 간격을 둔다하더라도, 이것은 일반적으로 임팩트 패드 외부로 용융 금속의 대칭적 유동을 실질적으로 야기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임팩트 패드 외부로의 실질적으로 대칭인 유동은 턴디쉬를 관통하는 대칭 유동을 일반적으로 야기하며, 용융 금속의 유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소위 "데드존(dead zones)"(새로운 금속의 불량한 보충 및 금속의 응고 가능성을 야기함)을 감소시키고, 용융 금속에 의해 경험되는 턴디쉬내 체류 시간의 항상성을 일반적으로 개선시킨다.
상기 패드의 임팩트 표면은 각각의 돌출부가 돌출되는 적어도 2개의 코너(예를 들어 4개의 코너)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코너의 적어도 하나(및 바람직하게는 모두)는 임팩트 표면의 실질적으로 곧은 측에 수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팩트 표면은 실질적으로 다각형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대체적으로 4각형, 특히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돌출부는 다각형 임팩트 표면의 각각의 코너위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바람직하게는 2개의 돌출부 또는 그 이상)는 임팩트 표면 각각의 측면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고, 임팩트 표면의 실질적으로 각각의 측면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개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오버행이 임팩트 표면위에서 돌출되는 길이는 이것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2개의 돌출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오버행은 유리하게는 이것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대체적으로 직선일 수 있다. 하지만,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2개의 돌출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오버행에 있어서, 상기 오버행이 임팩트 표면 위에서 돌출되는 거리는 이것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실질적으로 불균일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개의 돌출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는 평면도에 있어서 구부러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또는 각각의 오버행은 각각의 단부에서 그러한 것보다 그것의 길이 중앙에서 임팩트 표면위에서 한층 더 돌출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것의 중앙에서 그러한 것보다 각각의 단부에서 한층 더 돌출된다. 돌출부 사이에서의각각의 오버행의 형상과 크기, 및/또는 각각의 돌출부의 형상과 크기는 각각의 특정 환경, 예를 들어 턴디쉬의 형상, 및/또는 크기, 및/또는 용융 금속의 유입 흐름이 중심에서 벗어난 정도, 또는 사용자의 또 다른 특정 요구사항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이 인식될 수 있다.
임팩트 패드의 상기 또는 각각의 돌출부가 임팩트 표면위로 돌출되는 최대 거리는 오버행의 나머지가 임팩트 표면위로 돌출하는 최대거리의 적어도 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40%, 특히 적어도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임팩트 패드의 상기 또는 각각의 돌출부는 임팩트 표면위에 바람직하게는 600%를 넘지않는 최대거리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를 넘지않는, 특히 오버행의 나머지가 임팩트 표면위로 돌출하는 최대 거리가 450%를 넘지 않도록 돌출한다.
유리하게는, 임팩트 표면위의 오버행 높이는 길이를 따라서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돌출부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2개의 돌출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오버행의 높이는 상기 2개의 돌출부 중 하나와 다른 돌출부, 또는 2개의 다른 돌출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오버행의 높이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오버행의 다른 부분보다 낮은 오버행의 적어도 일부분은 오버행의 다른 높은 부분보다 임팩트 표면위로 더 큰 거리로 돌출될 수 있다. 이것은 임팩트 표면에서 되튀기며 그러한 낮은 오버행과 충돌하는 용융 금속을 임팩트 패드의 중앙부로 더 높은 오버행에 충돌하는 금속보다 일반적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되돌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금속이 임팩트 패드로부터 대칭적으로 유동하도록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 발명의 해석에서 어떤 제한도 여러 측면의 작용에 관해 언급된 가정된 설명으로부터 추론되어서는 안된다.)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임팩트 표면의 주변 영역은 임팩트 표면의 중앙 영역의 적어도 일부 주위로 연장되어 있는 트로프(trough)를 포함한다. 임팩트 표면이 코너를 가지는 실시예에서, 상기 트로프는 나머지 부분보다 코너에서 더욱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트로프의 모양(평면도에서)은 벽의 오버행 모양을 실질적으로 반영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1)를 도시하며, 상기 턴디쉬용임팩트 패드는 사용중 상기 임팩트 패드 상으로 부어지는 융용 금속을 받기 위해 상방향으로 향하는 임팩트 표면(5)을 가지는 베이스(3), 및 상기 임팩트 표면 주변 둘레의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벽(7)을 포함하고, 상기 벽은 임팩트 표면의 주변 영역(11)위로 돌출된 오버행(9)을 포함하며, 상기 오버행은 임팩트 표면위에서 오버행의 나머지보다 한층 더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임팩트 패드(1)는 평면도에 있어서 직사각형이며, 베이스(3) 및 임팩트 표면(5) 모두 형상에 있어서 직사각형이다. 각각의 돌출부(13)는 상기 패드의 네 코너 중 한 곳에 위치한다. 상기 돌출부(13) 사이의 직사각형 패드의 각각의 긴 측을 따라, 오버행(9a)은 상대적으로 작고, 대체적으로 곧으며 균일하다. 상기 돌출부(13)사이의 상기 패드의 각각의 짧은 측면을 따라, 오버행(9b)은 상대적으로 크고, 평면도에서 곡선모양이다. 또한, 상기 오버행(9b)은 상기 오버행(9a)보다 임팩트 표면 위에서 더 낮은 레벨에 있다.
상기 임팩트 표면의 주변 영역(11)은 트로프를 포함하며, 이것의 형상은 전체 오버행(9a, 9b, 13)의 형상을 실질적으로 반영한다.
도 2는 도 1의 임팩트 패드의 종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오버행(9b)의 연장부가 명확하게 도시되며, 트로프(11)의 깊이 또한 명확하게 도시된다. 또한 짧은 벽(7b)이 임팩트 표면(5)에 수직이며, 오버행(9b)이 상기 벽(7b)에 수직힌 것도 명확하다. 하지만, 긴 벽(7a)은 수직에서 기울어져 있으며, 즉 그것은 임팩트 표면으로부터 오버행(9a)까지 바깥으로 경사져있다.
도 3은 중앙에서 벗어난 레이들-보호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턴디쉬내의용융 금속의 비대칭 유동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의 각각에서, 상기 턴디쉬는 평면도로 도시되며, 턴디쉬의 종방향으로는 중심이지만 횡방향으로는 중심에서 벗어난, 즉 턴디쉬의 다른 쪽 측벽보다 한 쪽 측벽에 더 가까운 원으로 도시되는, 용융 금속의 유입되는 레이들 유동을 가진다. 또한, 상기 턴디쉬는 턴디쉬의 각각의 세로 측면에 한 쌍의 댐(15)(용융 금속의 유동통과를 허용하는 구멍을 포함), 및 턴디쉬 각각의 단부에 원으로 표시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화살표는 용융 금속의 유동 경로를 표시한다; 도 3a에, 턴디쉬로 들어오는 금속의 최초 유동 경로가 도시된다. (정상적인 작업 실행에서, 상기 턴디쉬는 이미 그것을 관통하여 흐르는 용융 금속 유동으로 가득찬다 - 도시된 흐름 경로는 단지 턴디쉬로부터 다양한 거리에서 현저한 유동 경로를 나타낸다.) 초기 단계에서도, 상기 레이들-흐름은 중심에서 벗어나 있으므로, 상기 유동은 턴디쉬의 세로 축에 대해 비대칭임을 볼 수 있다. 도 3b에서, 용융 금속은 댐을 관통하여 흐르기 시작하며, 유동 경로의 비대칭은 더욱 명백하다. 도 3c에서, 용융 금속은 배출구에 도달한다. 도면 부호 17로 표시되는 것은 소위 "데드존"을 나타내는데, 여기서는 정상상태 동안에 용융 금속의 유동은 없거나 거의 없다. 금속이 이 영역에서 냉각되어 응고되기 시작하므로, 턴디쉬내 데드존의 존재는 큰 문제점이다; 또한 이것은 턴디쉬 외부로 유동하는 금속 조직의 변화를 야기한다.
도 4는 용융 금속의 유동 경로가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패드(1)의 사용에 의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도시한다. 또한 도 4의 턴디쉬에는 도 3의 댐보다 배출구에 더 가까이 위치한 댐(19)이 존재한다. 이 댐은 상부 표면의 중앙 부분(21)을가지며, 이것은 댐의 어느 쪽 주변 부분(23)보다도 더 낮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유입되는 레이들 흐름은 다시 중앙에서 더욱 벗어나지만, 이 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패드가 상기 임팩트 패드를 벗어나는 용융 금속의 유동 경로를 더욱 비대칭으로 만든다. 상기 용융 금속이 배출구에 도착할 때까지는, 상기 유동 경로는 실질적으로 비대칭이고, 데드존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 5는 댐(19)(도 4에 개략적으로만 도시)의 정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댐은 하부 표면(25) 및 측부 표면(27)이 폭을 가로질러 턴디쉬내에 타이트하게 맞추어지도록 형상되고 치수를 가진다. 이것의 상부 표면은 그것의 어느 측 상의 주변 부분(23)보다도 더 낮은 중앙 부분(21)을 가진다. 이것은 턴디쉬 내에 일반적으로 축 유동 경로를 따라 댐을 넘어 유동하는 용융 금속을 채널링 (channelling)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이것은 턴디쉬내에 용융 금속의 대칭적인 및/또는 축 유동을 유발함에 있어서, 임팩트 패드에 대해 보충적이다. 상기 댐은 또한 댐 위로 유동가능한 용융 금속과 더불어 용융 금속이 댐을 관통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댐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구멍(29)을 가진다. 상기 구멍(29)은 상방향으로 향하는 유동 경로를 구멍을 통하여 유동하는 금속에 전달하기 위하여, 용융 금속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 상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구멍의 경사각은 낮은 구멍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며, 댐을 따라 올라갈수록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낮은 구멍은 40°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높은 구멍에 대해서는 각각 30°, 그 다음엔 20°로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차원은 밀리미터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는 되튀기는 용융 금속의 유동을 턴디쉬의 중앙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강철의 연속적인 주조를 가능하게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내화 재료로 형성된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 패드는 사용중 임팩트 패드에 부어지는 용융 금속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상방향으로 향하는 임팩트 표면을 가지는 베이스, 및 임팩트 표면 주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벽을 포함하며,
    상기 벽은 임팩트 표면의 주변 영역 위로 돌출된 오버행을 포함하며,
    상기 오버행은 임팩트 표면 위에서 오버행의 나머지보다 한층 더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 표면은 각각의 돌출부가 돌출되는 적어도 2개의 코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의 적어도 하나는 임팩트 표면의 실질적으로 직선측의 수렴점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 표면은 실질적으로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 표면은 실질적으로 사각형,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다각형 임팩트 표면의 각각의 코너위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7. 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오버행이 상기 임팩트 표면위로 돌출하는 거리는 오버행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8. 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오버행은 오버행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실질적으로 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9.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오버행이 임팩트 표면위로 돌출하는 거리는 오버행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오버행은 평면도로 볼 때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11. 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돌출부가 상기 임팩트 표면위로 돌출하는 최대 거리는 오버행의 나머지가 상기 임팩트 표면위로 돌출하는 최대 거리의 적어도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12. 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돌출부가 상기 임팩트 표면위로 돌출하는 최대 거리는 오버행의 나머지가 상기 임팩트 표면위로 돌출하는 최대 거리의 600%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13. 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 패드위의 오버행의 높이는 오버행의 길이를 따라서 균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돌출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오버행의 높이는 2개의 돌출부 중 하나와 다른 돌출부, 또는 2개의 다른 돌출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오버행의 높이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행의 다른 부분보다 낮은 상기 오버행의 적어도 일부분은 다른 오버행의 부분보다 임팩트 표면위에서 더 큰 거리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16. 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 표면의 주변영역은 상기 임팩트 표면의 중앙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트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17. 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임팩트 패드를 포함하는 턴디쉬.
  18. 제 17 항에 있어서,
    너비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댐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또는 각각의 댐은 높이에 있어서 그것의 각각의 사이드에 측 상에서 측면 주변 부분보다 더 낮은 중앙 부분을 가진 상부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KR1020017014872A 1999-06-08 2000-06-07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KR100619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913241.7A GB9913241D0 (en) 1999-06-08 1999-06-08 Impact pad for tundish
GB9913241.7 1999-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834A true KR20010113834A (ko) 2001-12-28
KR100619318B1 KR100619318B1 (ko) 2006-09-05

Family

ID=1085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872A KR100619318B1 (ko) 1999-06-08 2000-06-07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2) US20020033567A1 (ko)
EP (1) EP1198315B1 (ko)
JP (1) JP4344107B2 (ko)
KR (1) KR100619318B1 (ko)
CN (1) CN1170647C (ko)
AR (1) AR024294A1 (ko)
AT (1) ATE251000T1 (ko)
AU (1) AU770032B2 (ko)
BG (1) BG64341B1 (ko)
BR (1) BR0011386A (ko)
CA (1) CA2375134A1 (ko)
CZ (1) CZ299614B6 (ko)
DE (1) DE60005674T2 (ko)
DK (1) DK1198315T3 (ko)
ES (1) ES2209900T3 (ko)
GB (1) GB9913241D0 (ko)
HU (1) HU223442B1 (ko)
MX (1) MXPA01012073A (ko)
MY (1) MY125091A (ko)
PL (1) PL193912B1 (ko)
PT (1) PT1198315E (ko)
RS (1) RS49851B (ko)
SK (1) SK286467B6 (ko)
TR (1) TR200103534T2 (ko)
TW (1) TW509601B (ko)
WO (1) WO2000074879A1 (ko)
ZA (1) ZA20010919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960B1 (ko) * 2002-03-28 2011-10-12 포세코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야금용 충격 패드
KR20140037869A (ko) * 2011-06-14 2014-03-27 비수비우스 크루서블 컴패니 충격 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5867B3 (de) * 2002-08-05 2004-04-08 Refractory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Kg Feuerfestes keramisches Bauteil
US6929775B2 (en) * 2002-09-04 2005-08-16 Magneco/Metrel, Inc. Tundish impact pad
US7468157B2 (en) * 2005-12-14 2008-12-23 North American Refractories Co. Impact pad for metallurgical vessels
EP2193861A1 (en) 2008-12-02 2010-06-09 Foseco International Limited Tundish Impact pad.
JP5556421B2 (ja) * 2010-06-23 2014-07-2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による高清浄度鋼鋳片の製造方法
JP5556465B2 (ja) * 2010-07-15 2014-07-2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による高清浄度鋼鋳片の製造方法
EP2418032B2 (de) * 2010-07-19 2016-04-06 Refractory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Feuerfester keramischer Pralltopf
BRPI1002628A2 (pt) * 2010-07-27 2012-03-27 Magnesita Refratarios S A redutor de turbulência para uso em distribuidores de aço de lingotamento contìnuo
EP2537609A1 (en) * 2011-06-23 2012-12-26 Calderys Ukraine Ltd. Metal-flow impact pad and diffuser for tundish
CN103252465B (zh) * 2013-05-10 2015-07-29 东北大学 一种用于非对称连铸中间包的湍流控制器
DE102016214236A1 (de) * 2016-08-02 2018-02-08 Thyssenkrupp Ag Pralltopf, Vorrichtung zum Vergießen einer metallischen Schmelze sowie Verfahren zum Vergießen einer metallischen Schmelze
TWI739877B (zh) * 2016-08-08 2021-09-21 美商維蘇威美國公司 衝擊墊及減少進入耐火容器的熔融鋼衝擊流之不對準的影響之方法
CN110814330A (zh) * 2019-12-25 2020-02-21 武汉科技大学 一种连铸中间包顶旋型湍流控制器
CN111570777B (zh) * 2020-06-30 2022-01-11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中间包稳流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1353A (ja) * 1983-02-02 1984-08-14 Aikoo Kk 鋼鋳造用タンデイツシユ
US4776570A (en) * 1987-07-08 1988-10-11 Sidbec Dosco Inc. Ladle stream breaker
US5169591A (en) * 1992-02-07 1992-12-08 Bethlehem Steel Corporation Impact pad for a continuous caster tundish
US5358551A (en) * 1993-11-16 1994-10-25 Ccpi, Inc. Turbulence inhibiting tundish and impact pad and method of using
WO1996014951A1 (en) * 1994-11-09 1996-05-23 Foseco International Limited Tundish impact pad
US5518153A (en) * 1994-11-09 1996-05-21 Foseco International Limited Tundish impact pad
US5662823A (en) * 1996-01-04 1997-09-02 A. P. Green Industries, Inc. Impact pad
GB9607556D0 (en) * 1996-04-11 1996-06-12 Foseco Int Tundish impact pad
US5861121A (en) * 1996-11-21 1999-01-19 Psc Technologies, Inc. Chamber for reception, Lateral division and redirection of liquid metal flow
US6102260A (en) * 1996-11-21 2000-08-15 Psc Technologies, Inc. Impact pad
FR2756762B1 (fr) * 1996-12-11 1998-12-31 Ugine Savoie Sa Reservoir d'alimentation destine a retenir un metal fondu et notamment un aci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960B1 (ko) * 2002-03-28 2011-10-12 포세코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야금용 충격 패드
KR20140037869A (ko) * 2011-06-14 2014-03-27 비수비우스 크루서블 컴패니 충격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54703A (zh) 2002-06-19
US20040070123A1 (en) 2004-04-15
GB9913241D0 (en) 1999-08-04
DE60005674T2 (de) 2004-07-29
DE60005674D1 (de) 2003-11-06
US20020033567A1 (en) 2002-03-21
CZ299614B6 (cs) 2008-09-24
YU86201A (sh) 2003-04-30
PL351868A1 (en) 2003-06-30
ATE251000T1 (de) 2003-10-15
RS49851B (sr) 2008-08-07
BG64341B1 (bg) 2004-10-29
AU5230900A (en) 2000-12-28
KR100619318B1 (ko) 2006-09-05
MXPA01012073A (es) 2002-06-04
TR200103534T2 (tr) 2002-04-22
HU223442B1 (hu) 2004-07-28
EP1198315B1 (en) 2003-10-01
AU770032B2 (en) 2004-02-12
WO2000074879A1 (en) 2000-12-14
HUP0201462A2 (en) 2002-08-28
EP1198315A1 (en) 2002-04-24
BG106187A (en) 2002-08-30
CA2375134A1 (en) 2000-12-14
JP4344107B2 (ja) 2009-10-14
CN1170647C (zh) 2004-10-13
BR0011386A (pt) 2002-03-05
TW509601B (en) 2002-11-11
PL193912B1 (pl) 2007-03-30
ZA200109194B (en) 2003-01-29
MY125091A (en) 2006-07-31
AR024294A1 (es) 2002-09-25
CZ20014350A3 (cs) 2002-08-14
DK1198315T3 (da) 2004-01-12
SK286467B6 (sk) 2008-11-06
PT1198315E (pt) 2004-01-30
ES2209900T3 (es) 2004-07-01
JP2003501266A (ja) 2003-01-14
SK16832001A3 (sk) 200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318B1 (ko) 턴디쉬용 임팩트 패드
EP0729393B1 (en) Turbulence inhibiting tundish and impact pad
AU2002310036B2 (en) Impact pad for dividing and distributing liquid metal flow
US5518153A (en) Tundish impact pad
AU2002310036A1 (en) Impact pad for dividing and distributing liquid metal flow
US6533992B1 (en) Tundish
US6156260A (en) Chamber for reception, lateral division and redirection of liquid metal flow
JP2000508245A (ja) タンディッシュ緩衝パッド
US6102260A (en) Impact pad
EP0587759A1 (en) SHOCK ABSORBER SUPPORT ELIMINATES TURBULENCE IN THE CASTING FUNNEL.
US6554167B1 (en) Impact pad
KR101602301B1 (ko) 턴디시 충격 패드
CA2243398C (en) Impact pad
KR200267443Y1 (ko) 제강공정에서의용강중슬래그혼입저감구조
AU703372B3 (en) Turbulence inhibiting tundish and impact pad
MXPA97008940A (en) Chamber for the reception, side division and redirection of a metal liquid 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