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301B1 - 턴디시 충격 패드 - Google Patents

턴디시 충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301B1
KR101602301B1 KR1020117015279A KR20117015279A KR101602301B1 KR 101602301 B1 KR101602301 B1 KR 101602301B1 KR 1020117015279 A KR1020117015279 A KR 1020117015279A KR 20117015279 A KR20117015279 A KR 20117015279A KR 101602301 B1 KR101602301 B1 KR 101602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
wall
impact pad
separating wall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637A (ko
Inventor
토마스 바그너
카르스텐 랑그너
Original Assignee
포세코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세코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포세코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00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3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impact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8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for bottom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형 턴디시(10)에서 사용을 위한, 충격 패드(20)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패드(20)는 충격 표면 및 이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있는 외부 측벽(22)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측벽은 용융 금속의 흐름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 개구(24)를 가지는 내부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내부 공간은 용융 금속 스트림을 위한 하나 이상의 경로(27)가 제공된 분리 벽(26)에 의해 두 영역(25a,25b)으로 나뉘어 있다. 이 패드는, 상기 분리 벽(26)이 외부 측벽(22)보다 적어도 3배 더 높고 수직에 대해 기울여져 있음에 특징이 있다. 이 충격 패드는 T-형 턴디시의 상이한 출구로부터 용융 스틸 캐스트의 균일성을 높이고 턴디시의 상이한 출구를 통해 방출된 용융 스틸의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유사한 체류 시간을 제공한다. 이 충격 패드는 또한 래들 변화에서 스틸 품질의 빠른 전이를 가능하게 하며, 한편 통상적 충격 패드의 이점을 유지한다(슬래그 유화의 낮은 수준).

Description

턴디시 충격 패드{tundish impact pa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용융 금속의 연속 캐스팅(주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용융 스틸의 연속 캐스팅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턴디시 용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특별하게는 상기 턴디시 내 용융 금속의 난류 흐름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도록 구성된 턴디시 충격 패드에 관한 것이다.
용융 금속의 연속 캐스팅을 위한 공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이 공정은 본원에서는 스틸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용융 스틸의 연속 캐스팅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이해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또한 다른 합금 또는 용융 금속 예컨대 철 또는 비철 금속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알려진 공정에서, 용융 스틸은 이동 래들로 부어지며, 여기서 상기 래들은 상기 용융 금속을 캐스팅 장치로 보낸다. 상기 래들에는 이의 하부 벽에 있는 방출 오리피스가 제공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방출 오리피스 바로 아래에 배열되어 있는 슬라이딩 게이트는 턴디시로 향하는 용융 스틸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래들로부터 턴디시로 방출된 용융 스틸의 산화를 막기 위해, 래들 측판(ladle shroud)은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게이트와 연결되어 있어서 주위 대기로부터 보호된 용융 스틸을 전달시킨다. 상기 래들 측판의 하부 말단은 일반적으로 턴디시 스틸 용융욕(bath)으로 담겨 진다.
상기 턴디시는 상기 붓는 래들로부터 방출된 용융 스틸을 수용하는 중간 야금학(metallurgical) 용기(vessel)이다. 차례로, 상기 턴디시는 상기 용융 스틸을 턴디시 아래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캐스팅 몰드로 분배시킨다. 턴디시는 슬래그 및 용융 스틸로부터의 다른 오염원을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 용융 스틸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출구를 향해 턴디시를 따라 흐르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캐스팅 몰드로 용융 스틸을 배출한다. 턴디시의 길이는 부유 슬래그 층으로서 함유물의 분리를 가능하기에 충분한 턴디시 내 금속의 체류 시간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턴디시로부터 배출된 용융 스틸의 흐름은 일반적으로 제어되며, 대부분 정지부(stopper)로 종종 제어되고, 래들로부터 배출되는 스틸의 경우에, 턴디시로부터 캐스팅 몰드로 용융 스틸을 나르는 노즐로 일반적으로 덮어진다.
본 발명은 특이적 턴디시 디자인에 특별한 가치가 있는데, 여기서, 용융 스틸 스트림은 턴디시 메인 바디의 측(side) 연장부로 구성되는 붓기 영역에서 턴디시로 도입된다. 이 측 연장부는 턴디시 메인 바디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턴디시는 종종 T-형 턴디시로 불린다(평면에서 볼 때, "T"의 크로스 바 또는 상부는 턴디시의 메인 바디에 해당하고 그래서 "T"의 꼬리부 또는 수직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진다). "T"의 꼬리부의 영역에서 턴디시 내 이 영역(측 연장부)은 일반적으로 붓기 영역이며, 여기서 용융 스틸은 턴디시로 도입된다. 그래서, 이 영역은 일반적으로 바닥 위 특별한 부식-저항 충격 패드를 가진다. T-형 턴디시의 다양한 형태에서(때로는 h-형 턴디시), 꼬리부 또는 붓기 영역은 상기 턴디시 메인 바디에 대해 기울어져(또는 평행) 정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의 이러한 턴디시는 T-형 턴디시일 것이다.
이 타입의 턴디시에는 짝수의 출구가 일반적으로 제공되며, 여기서 이 출구들은 턴디시의 하부 바닥에서 턴디시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다. 예를 들어, 블룸(bloom) 캐스터의 경우에, 4 내지 6개의 출구는 턴디시 바닥에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타입의 턴디시에서 종종 발생하는 하나의 중요한 문제는 상이한 출구로부터 방출된 스트림의 흐름 속도의 차이이다. 다시 말해, 턴디시 내 용융 스틸의 체류 시간은, 턴디시 중심에 더 가까운 출구에 대한 것보다 턴디시 중심으로부터 더 먼 출구에 대해 훨씬 더 길다. 차례로, 이는 스틸 품질 문제를 야기하고, 더욱 특별하게는 상이한 출구로부터 방출된 스틸들 사이의 품질의 큰 차이를 야기한다.
또 다른 문제는 래들 변화에서의 전이 속도(speed of the transition)이다. 실제로, 상이한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스트림들의 상이한 속도들 때문에, 상기 전이는 중심 스트림에 대한 것보다 외부 스트림에 대해서 훨씬 더 길다.
용융 금속의 유입 스트림의 힘에 의한 턴디시의 안전 라이닝 및 작업에 대한 손상을 막기 위해 턴디시 내에 위치한 붓기 패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용융 금속의 유입 스트림의 운동 에너지는 또한 난류를 만들며, 여기서 상기 난류는 용융 금속의 흐름이 적절히 제어되지 않는다면, 턴디시를 통해 퍼질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이 난류는 턴디시로부터 취해진 금속으로부터 형성된 캐스트 생성물의 품질에의 해로운 효과를 가진다. 더욱 특이적으로, 턴디시 내 난류 흐름 및 높은 속도 흐름은 예를 들어, 하기 해로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 1. 지나친 난류는 스틸 표면을 교란할 수 있고 용융 금속이 상대적 낮은 준위인 상태에서 턴디시의 작업 중에 또는 래들 변화에서 슬래그의 유화(emulsification)를 조장할 수 있다;
- 2. 붓기 영역에서 난류 흐름에 의해 만들어진 높은 속도는 충격 패드보다 훨씬 더 낮은 밀도를 가지는 내화성 물질로 일반적으로 이뤄진 턴디시의 작업 라이닝의 부식을 일으킬 수 있다;
- 3. 턴디시 내 높은 난류 흐름은, 이러한 난류 흐름의 변동 특성 때문에, 함유물, 특별히 50 미크론 미만 크기의 함유물의 분리를 방해할 수 있다;
- 4. 높은 속도 흐름은 또한 턴디시 내 용융 금속의 증가된 와류를 통해 슬래그가 몰드내로 향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출구를 향해 아래 방향으로 슬래그를 끌어 당길 수 있다;
- 5. 턴디시 내 난류 흐름은 금속 용융욕의 상부 근처 슬래그/금속 인터페이스의 교란을 일으킬 수 있고 이로써 슬래그 유입(entrainment)뿐만 아니라 용융 금속의 재산화(reoxidation)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슬래그 층 내 "아이(eye)" 또는 공간을 개방할 가능성을 조장할 수 있다;
- 6. 턴디시 내 높은 수준의 난류는 턴디시와 몰드 사이의 붓기 스트림으로 아래로 전달될 수 있다. 이는 붓기 스트림의 "버깅(bugging)" 및 "플레어링(flaring)"을 일으킬 수 있고, 이로써 캐스팅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7. 턴디시 내 높은 속도 흐름은 또한 "짧은 순환(short circuiting)"으로 알려진 조건에 기인한다. 짧은 순환은, 용융 금속의 흐름이 래들로부터 턴디시 내 가장 가까운 출구에 대한 충격 패드까지 취할 수 있는 짧은 경로를 지칭한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는 함유물이 용융욕 내에서 분산되어야 하는 충분한 시간을 줄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높은 속도 흐름은 상대적으로 큰 함유물을 몰드로 쓸어내리며, 이들은 캐스트 생성물의 품질을 낮춘다.
전형적 편평형 충격 패드는 유입 래들 스트림이 패드의 상부를 충격하도록 하고 그리고 턴디시의 끝 벽 또는 측 벽으로 빠르게 이동하도록 한다. 스트림이 측 및/또는 끝 벽에 도달하는 경우에, 이는 턴디시의 표면까지 위쪽으로 되튀게되며, 여기서, 이는 방향을 턴디시의 중심으로 바꾸거나, 다시 말해 유입 래들 스트림을 향해 바꾼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내부 방향으로 안내된 턴디시 내 순환 흐름을 만든다. 턴디시의 측 또는 말단 상의 상기 반대 흐름은 턴디시의 중심을 향해 흐르고 이들과 함께, 부유 되어 있는 슬래그 또는 다른 불순물을 턴디시 내 용융욕의 표면으로 나른다. 결과적으로, 이 불순물들은 유입 래들 스트림을 향해 끌어 당겨지고 그 다음에 턴디시의 출구를 향해 용융욕 아래 방향으로 강제로 이동된다. 이는 더욱 많은 불순물이 턴디시로부터 몰드로 배출되게 하고 이로써 몰드 내 생성된 생성물의 품질을 낮춘다. 추가로, T-형 턴디시에 대해, 편평형 충격 패드가 턴디시 내 용융 스틸의 너무 짧은 체류 시간을 야기하며, 턴디시는 기능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많은 타입의 턴디시 패드가 제안되고 과거에 사용되고 있지만, 어떠한 것도 충분히 T-형 턴디시에 대해 상기 언급된 모든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종래의 턴디시 패드의 예는 하기 유럽 특허 또는 특허 출원에 기재되어 있다: EP-B1-729393, EP-B1-790873, EP-B1-847313, EP-B1-894035, EP-B1-1198315, EP-B1-1490192 및 EP-A1-1397221. 특히, 턴디시 내 스틸의 체류 시간이 훨씬 증가하지만, 짧은-순환이 관찰되고 중심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스틸은 다른 스틸 흐름보다 훨씬 더 빠르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T-형 턴디시로부터 캐스트된 용융 스틸의 품질을 개선하는 것이고, 특히 T-형 턴디시의 서로 다른 출구들로부터 캐스트된 용융 스틸의 균일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정상 상태에서의 품질).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턴디시 내 스틸 흐름 속도의 개선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그래서 T-형 턴디시의 서로 다른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 스틸에 대해서 동일하거나 상대적 유사 체류 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래들 변화시에 스틸 품질의 빠른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스틸 품질 전이가 여러 스트랜드들 중에서 가장 짧은 기간에서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통상적 충격 패드의 이점을 유지하면서 상기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것이다(낮은 수준의 슬래그 유화).
본 발명에 따라, 제 1항에서 정의된 충격 패드가 제공된다.
EP-A1-847820는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충격 패드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이 충격 패드는 양각 부분(raised portion)을 가진 통상적 턴디시에서 사용되는 것이 의도된다. 상기 용융 스틸은 충격 패드의 제 1 영역에 부어지고 두 영역으로 분리시키는 벽에 있는 개구를 통해 상기 패드의 제 2 영역을 향해 흐른다. 그 다음에, 상기 용융 금속은 상기 분리 벽 위로 흐름으로써 상기 제 1 영역을 향해 역류된다. 이로써, 스트림 에너지는 분산된다. 상기 분리 벽은 수직이고 기껏해야 외부 측벽만큼의 높이이다. 이러한 충격 패드가 개선되었거나, T-형 턴디시에서 사용되었다는 어떠한 공지된 내용도 없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가 상기 언급된 문제의 대부분을 해결함이 관찰되었다. 특히, 정상 상태에서 높은 품질, 빠른 전이 및 낮은 슬래그 유화는 이 충격 패드로 관찰되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는 우수한 열 층화(stratification)를 제공한다. 이는, 다른 충격 패드에 비해 외부 스트랜드로 훨씬 더 빠른 흐름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분리 벽은 적어도 3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배 만큼, 상기 충격 패드의 외부 벽의 높이를 넘어 위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분리 벽은 턴디시 내 용융 금속 수준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만큼 적어도 위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에, 분리 벽의 슬래그 저항을 높이기 위해, 턴디시 내 융용 금속의 수준에 대한 두꺼워진 부분이 벽의 상부 부분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두꺼워진 부분은, 분리 벽의 상부의 절반 이내에, 바람직하게는 상부의 1/4 이내에 위치될 것이다.
이 분리 벽은 수직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바람직하게 턴디시의 메인 바디에서 턴디시 벽의 기울어짐에 상응하는 각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턴디시 셋업 중 분리 벽과 턴디시 벽 사이에 타이트한 조인트를 쉽게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인 각은 1 내지 15°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 6°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다른 형태에 따라, 분리 벽은 턴디시의 메인 바디와 꼬리부 사이의 연결 영역에서 턴디시의 꼬리부의 너비에 상응하는 너비를 가진다.
본 발명의 매우 이로운 실시예에 따라, 분리 벽은 턴디시 내 용융 금속 수준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만큼 적어도 위로 연장되어 있고 분리 벽은 턴디시의 메인 바디와 꼬리부 사이의 연결 영역에서 턴디시의 꼬리부의 너비에 상응하는 너비를 가진다. 이로써, 분리 벽은 턴디시를 꼬리부와 메인 바디로 나누고, 분리 벽의 통로를 통해 주로 소통된다.
분리 벽 내의 통로가 꼬리부로부터 턴디시의 메인 바디를 향한 용융 금속의 통과를 위한 메인 통로를 바람직하게 구성하여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분리 벽 위 또는 주위의 용융 금속의 제한된 양(20% 미만)의 통과는 또한 이로운 결과를 제공할 것이다.
베이스, 외부 벽 및 분리 벽은 일체형일 수 있지만, 이동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한 면에서 분리 벽을 그리고 다른 면에서 외부 벽을 별도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롭게는, 외부 벽의 상응하는 부분과 체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슬롯이 분리 벽에 제공된다. 유사하게, 외부 벽에는 분리 벽의 상응하는 부분을 적어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슬롯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외부 벽과 분리 벽 둘 다에는 분리 벽과 외부 벽 각각의 상응하는 부분과의 체결을 위한 슬롯이 제공된다.
한 면에서 분리 벽 및 다른 면에서 베이스 및 외부 벽이 분리되어 제공되는 경우에, 이롭게는, 분리 벽의 상응하는 부분을 적어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울어진 슬롯을 베이스 및 외부 벽 성분에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이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충격 패드와의 메인 바디 및 꼬리부를 포함하는 T-형 턴디시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충격 패드는 분리 벽을 가지고, 상기 분리 벽은 턴디시 내 용융 금속 수준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만큼 적어도 위로 연장되어 있고 턴디시의 메인 바디와 꼬리부 사이의 연결 영역에서 턴디시의 꼬리부의 너비에 상응하는 너비를 가지며, 분리 벽은 상기 턴디시를 꼬리부 및 메인 바디로 나누고 상기 분리 벽의 통로를 통해 주로 소통한다.
본 발명은 지금부터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T-형 턴디시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턴디시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3은 정상 상태에서 각 스트랜드를 위한 턴디시에서 최소 체류 시간을 묘사한다.
도 4는 래들 변화에서 각 스트랜드를 위한 턴디시에서 전이 시간을 묘사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6은 A-A에 따른 도 5의 충격 패드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7은 B-B에 따른 도 5의 충격 패드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8의 조립체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1 및 2는, 메인 바디(11) 및 꼬리부(12)를 포함하는 통상적 T-형상 턴디시(10)를 보여준다. 용융된 스틸 스트림은, 래들 측판(17)을 통해 래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턴디시(10)의 꼬리부(12)로 방출된다. 상기 턴디시(10)에는 4개의 출구(13-16)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출구는 상기 턴디시의 하부 바닥에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출구(14 및 15)는 상기 래들 측판(17)에 더 가까이 있고 따라서, 유입 스트림에 더 가까이 있다. 상기 턴디시(1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용융 금속 흐름은 정지부(stopper)(103-106)로 조절된다.
도 3은, 각 출구(13-16)에 대한, 임의의 충격 패드 없이 정상상태에서 턴디시 상에서 측정된 상기 용융 금속의 최소 체류 시간(초)(▲), 분리 벽 없이 통상적 충격 패드를 가지는 턴디시에 대한 체류 시간(●), 및 본 발명에 따른 턴디시에 대한 체류 시간(■)을 보여준다. 상기 최소 체류 시간이, 충격 패드의 제공으로 이롭게 증가됨을 이 차트는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가 사용되는 경우에, 모든 출구를 통한 상기 용융 스틸 캐스트의 체류 시간은 훨씬 더욱 균일하다는 사실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 출구(13, 16)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스틸의 체류 시간이 중심 출구(14, 15)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스틸의 체류 시간에 비교될 수 있으며, 한편, 동일 조건에서, 상기 외부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스틸의 체류 시간은 충격 패드가 없는 또는 종래의 충격 패드를 가지는 경우 보다 3 내지 6배 더 길다는 사실을 볼 수 있다.
도 4는 각 출구(13-16)에 대한 임의의 충격 패드 없이 턴디시에서 측정된 래들 변화에서 용융 금속의 전이 시간(초)(▲), 임의의 분리 벽 없이 통상적 충격 패드를 가지는 턴디시에 대한 전이 시간(●), 및 본 발명에 따른 턴디시에 대한 전이 시간(■)을 보여준다. 이 차트는 충격 패드 없는 턴디시에 대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를 가진 턴디시의 경우에, 상이한 출구(13-16)의 전이 시간은 비교될 수 있고, 한편 통상적 충격 패드가 제공된 턴디시의 경우에, 중심 출구(14, 15)에 대한 전이 시간은 외부 출구(13, 16)에 대한 전이 시간의 거의 두 배임을 보여준다. 또한, 상이한 출구에 대한 전이 시간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가 제공된 턴디시에 대한 전이 시간보다 일반적으로 더 짧음을 볼 수 있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20)를 보여주며, 여기서 상기 충격 패드는 베이스(21) 및 외부 측벽(22)을 포함하며, 이들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은 상부 개구(24)를 가진다. 이 도면들에서, 상기 외부 측벽(22)에는 돌출부(overhang)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내부 공간 위에서 연장되고 있고, 상기 외부 벽(22)은 무한적이고 연속적이다. 이 특징들은 필수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돌출부는 없을 수도 있고 다른 모양일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벽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오리피스가 용융 스틸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충격 패드(20)의 내부 공간은, 용융 금속 스트림을 위한 경로(27)가 제공된 분리 벽(26)에 의해 두 영역(25a, 25b)으로 나뉘어 있다. 이 도면들에서, 상기 분리 벽은 상기 외부 측벽을 넘어 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약 4배). 상기 분리 벽(26)에는 대략적으로 턴디시 내 용융 금속의 높이에 위치하는(즉, 분리 벽의 상부 1/4 지점) 두꺼운 부분(28)이 있다. 또한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직에 대한 각(α)의 분리 벽(26)의 경사가 있다. 이 도면에서, 각(α)은 약 6°이고 턴디시 벽 경사에 해당한다.
상기 충격 패드(20) 및 턴디시(10) 내의 이의 위치는 또한 도 8 및 9의 조립체에서 볼 수 있다. 이 도면들은 충격 패드(20)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충격 패드는 분리 벽(26)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분리 벽은 턴디시 내 용융 금속 준위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까지 위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벽은 상기 턴디시의 꼬리부(12)와 메인 바디(11) 사이의 연결 영역에서 턴디시의 꼬리부(12)의 너비에 상응하는 너비를 가지며, 그래서 분리 벽(26)은 상기 턴디시를 꼬리부(12) 및 메인 바디(11)로 나누고 주로 경로(27)를 통해 소통한다.
따라서, 용융 금속은 턴디시 꼬리부(12)에 위치한 충격 패드의 영역(25b)으로 래들 측판(17)을 통해 래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배출된다. 용융 스트림은 분리 벽(26)의 경로(27)를 통해 흐르고 턴디시 메인 바디(11)에 위치한 충격 패드(20)의 영역(25a)에 우선 도달되며, 턴디시 메인 바디(11)로 분포된다. 용융 스틸은 그 다음에 출구(13-16)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로 관찰된 슬래그 유화 프로필은 충격 패드가 없는 것보다 훨씬 더욱 바람직하고 종래의 충격 패드를 가진 것보다 더욱 바람직함이 관찰되었다. 이 슬래그 유화는 이른바 다이 주입 시험에 의해 관찰되며, 여기서 상기 시험은 턴디시의 외부 상부 코너에 쐐기(wedge)를 보여주지 않고, - 일반적으로 멀티 스트랜드 턴디시의 경우에 - 상기 외부 상부 코너가 매우 오랜 시간 동안 청정 상태를 유지하였다.

Claims (9)

  1. 용융 금속과의 연속 접촉을 견딜 수 있는 내화성 조성물로 형성된, 메인 바디(11)와 꼬리부(12)를 포함하는 T-형상 턴디시(10)에서 사용을 위한, 충격 패드(20)로서,
    상기 패드(20)는 충격 표면을 가지는 베이스(21) 및 외부 측벽(22)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측벽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고 용융 금속의 스트림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 개구(24)를 가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간은 분리 벽(26)에 의해 두 개의 영역(25a,25b)으로 나뉘어 있고, 여기서 상기 분리 벽에는 상기 용융 금속 스트림을 위한 하나 이상의 경로(27)가 제공되어 있는, 충격 패드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벽(26)은 외부 측벽(22)보다 3배 이상 높고 수직에 대한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패드(2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벽(26)은 분리 벽(26)의 상부 절반 내에 배치된 두꺼운 부분(28)을 포함하는,
    충격 패드(2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벽(26)에는 상기 외부 측벽(22)의 상응하는 부분과의 결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슬롯이 제공되어 있는,
    충격 패드(2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측벽(22)에는 적어도 상기 분리 벽(26)의 상응하는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슬롯이 제공되어 있는,
    충격 패드(20).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1), 외부 측벽(22) 및 분리 벽(26)이 일체형인,
    충격 패드(20).
  6. 충격 표면을 가지는 베이스(21)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용융 금속의 스트림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 개구(24)를 가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측벽(22)을 포함하는 충격 패드 성분에 있어서,
    상기 외부 측벽(22)에는 하나 이상의 기울어진 슬롯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슬롯은 적어도 분리 벽(26)의 상응하는 부분을 수용하도록 그리고 수직에 대한 기울기를 상기 분리 벽(26)에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패드 성분.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충격 패드(20)와 함께 메인 바디(11) 및 꼬리부(12)를 포함하는 T-형 턴디시(10)의 조립체로서,
    상기 충격 패드(20)는 분리 벽(26)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분리 벽(26)은 적어도 상기 턴디시 내 용융 금속 준위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까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분리 벽(26)은 상기 턴디시(10)를, 상기 분리 벽(26)의 경로(27)를 통해 소통하는, 꼬리부(12) 및 메인 바디(11)로 나누는
    충격 패드와 T-형 턴디시의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벽(26)은 턴디시의 꼬리부(12)와 메인 바디(11) 사이의 연결 영역에서 턴디시(10)의 꼬리부(12)의 너비에 상응하는 너비를 가지는,
    충격 패드와 T-형 턴디시의 조립체.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벽(26)은 상기 턴디시의 메인 바디(11)에 턴디시 벽의 기울기에 상응하는 각으로 기울어져 있는,
    충격 패드와 T-형 턴디시의 조립체.
KR1020117015279A 2008-12-02 2009-11-30 턴디시 충격 패드 KR101602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70497A EP2193861A1 (en) 2008-12-02 2008-12-02 Tundish Impact pad.
EP08170497.5 2008-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637A KR20110100637A (ko) 2011-09-14
KR101602301B1 true KR101602301B1 (ko) 2016-03-21

Family

ID=4042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279A KR101602301B1 (ko) 2008-12-02 2009-11-30 턴디시 충격 패드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8746516B2 (ko)
EP (2) EP2193861A1 (ko)
JP (1) JP5249425B2 (ko)
KR (1) KR101602301B1 (ko)
CN (1) CN102300654B (ko)
AU (1) AU2009321773B2 (ko)
BR (1) BRPI0922703B1 (ko)
CA (1) CA2744385C (ko)
EA (1) EA018467B1 (ko)
EG (1) EG26706A (ko)
ES (1) ES2693128T3 (ko)
MA (1) MA32944B1 (ko)
MX (1) MX2011005792A (ko)
MY (1) MY155128A (ko)
NZ (1) NZ593483A (ko)
PL (1) PL2373447T3 (ko)
TR (1) TR201815350T4 (ko)
TW (1) TWI450776B (ko)
UA (1) UA101703C2 (ko)
WO (1) WO2010063431A1 (ko)
ZA (1) ZA20110466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093A (ko)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물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2230A (zh) * 2012-04-27 2012-08-15 宜兴市龙宸炉料有限公司 一种改进的中间包挡墙
KR101981455B1 (ko) 2017-12-11 2019-05-24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물 처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1266A (ja) 1999-06-08 2003-01-14 フォセコ・インターナショナル・リミテッド タンディッシュ緩衝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0096A (en) * 1991-02-15 1992-05-05 Foseco International Limited One-piece tundish lining
JPH06126393A (ja) * 1992-10-16 1994-05-10 Kobe Steel Ltd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
US5358551A (en) 1993-11-16 1994-10-25 Ccpi, Inc. Turbulence inhibiting tundish and impact pad and method of using
EP0790873B1 (en) 1994-11-09 1998-06-03 Foseco International Limited Tundish impact pad
AU699807B2 (en) * 1995-01-26 1998-12-17 Foseco International Limited Tundish
GB9517633D0 (en) * 1995-08-30 1995-11-01 Foseco Int Tundish impact pad
GB9607556D0 (en) * 1996-04-11 1996-06-12 Foseco Int Tundish impact pad
FR2756761B1 (fr) * 1996-12-11 1999-01-08 Ugine Savoie Sa Reservoir d'alimentation destine a retenir un metal fondu et notamment un acier
JP2002248550A (ja) * 2001-02-22 2002-09-03 Sanyo Special Steel Co Ltd 高清浄度鋼連続鋳造用のタンディッシュ及び高清浄度鋼の連続鋳造方法
DE60233132D1 (de) 2001-05-22 2009-09-10 Vesuvius Crucible Co Prallplatte zum trennen und verteilen eines giessstrahls von flüssigem metall
KR100598574B1 (ko) * 2001-12-21 2006-07-13 주식회사 포스코 임팩트 패드를 구비한 t형 턴디쉬
ZA200206261B (en) 2002-03-28 2003-04-07 Foseco Int Metallurgical impact pad.
GB0701878D0 (en) * 2007-02-01 2007-03-14 Foseco Int Mixing chamber
JP5008449B2 (ja) * 2007-04-24 2012-08-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T型タンディッシ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1266A (ja) 1999-06-08 2003-01-14 フォセコ・インターナショナル・リミテッド タンディッシュ緩衝パッ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093A (ko)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물 처리 장치
WO2019117553A1 (ko) 2017-12-11 2019-06-20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물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321773B2 (en) 2014-05-29
TR201815350T4 (tr) 2018-11-21
EA018467B1 (ru) 2013-08-30
US20110240689A1 (en) 2011-10-06
JP5249425B2 (ja) 2013-07-31
BRPI0922703A2 (pt) 2016-01-05
CA2744385C (en) 2017-06-27
ZA201104661B (en) 2012-10-31
MX2011005792A (es) 2011-06-20
US8746516B2 (en) 2014-06-10
AU2009321773A1 (en) 2011-07-07
EP2373447A1 (en) 2011-10-12
TWI450776B (zh) 2014-09-01
BRPI0922703B1 (pt) 2017-10-31
JP2012510373A (ja) 2012-05-10
CN102300654B (zh) 2015-03-18
EA201100784A1 (ru) 2011-12-30
PL2373447T3 (pl) 2019-02-28
UA101703C2 (uk) 2013-04-25
EG26706A (en) 2014-06-12
EP2193861A1 (en) 2010-06-09
EP2373447B1 (en) 2018-08-01
MY155128A (en) 2015-09-15
NZ593483A (en) 2012-12-21
TW201029771A (en) 2010-08-16
WO2010063431A1 (en) 2010-06-10
MA32944B1 (fr) 2012-01-02
KR20110100637A (ko) 2011-09-14
ES2693128T3 (es) 2018-12-07
CN102300654A (zh) 2011-12-28
CA2744385A1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8551A (en) Turbulence inhibiting tundish and impact pad and method of using
JP2004525775A (ja) 液体金属流の分割配分用衝撃パッド
US4671499A (en)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of free cutting steel
EP1198315B1 (en) Impact pad for a tundish
KR101602301B1 (ko) 턴디시 충격 패드
US6467704B2 (en) Nozzle for guiding molten metal
US9643248B2 (en) Impact pad, tundish and apparatus including the impact pad, and method of using same
AU2002212458A1 (en) Submerged entry nozzle and utilisation thereof
KR102242616B1 (ko) 연속 주조 노즐 디플렉터
CA1200384A (en) Ladle slide gate collector nozzle
KR20120051410A (ko) 용강 유동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용 턴디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