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1373A -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373A
KR20010111373A KR1020000031988A KR20000031988A KR20010111373A KR 20010111373 A KR20010111373 A KR 20010111373A KR 1020000031988 A KR1020000031988 A KR 1020000031988A KR 20000031988 A KR20000031988 A KR 20000031988A KR 20010111373 A KR20010111373 A KR 20010111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gear
clutch
hand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웅
Original Assignee
김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웅 filed Critical 김세웅
Priority to KR102000003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1373A/ko
Publication of KR20010111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373A/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명 '싱싱이'라고 하는 유희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이나 발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주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희성을 배가시키고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축프레임(4)상에서 핸들(5)이 상하 회전되도록 축설시키는 베어링축(11), 상기 핸들상에 고정설치되는 원동기어(12), 원동기어에 치합되도록 주축프레임(4)상에 설치되는 종동기어(13), 상기 종동기어(13)축에 연설되는 원동풀리(14), 상기 원동풀리와 대향되도록 주축프레임의 하방에 설치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의 클러치풀리(15)(15'), 상기 원동풀리(14)와 클러치풀리(15)(15') 사이의 주축프레임(4)상에 설치되는 안내풀리(16), 상기 원동풀리(14)와 클러치풀리(15)(15') 및 안내풀리(16)를 통해 감아지는 와이어(17), 상기 클러치풀리축에 설치되는 체인기어(18), 앞바퀴(1)축에 설치되는 클러치기어(19), 및 상기 체인기어(18)와 클러치기어(19)를 연결하는 체인(20)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Covering device for bicycle}
본 발명은 일명 '싱싱이'라고 하는 유희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이나 발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주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희성을 배가시키고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명 '싱싱이'라고 하는 유희용 자전거는 주로 어린이들을 위한 유희구로서 폐달의 힘에 의한 주행장치가 없이 한 발을 받판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한 발로 지면을 내딛어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두 발을 모두 탑승시킨 상태에서는 계속적인 주행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 계속적인 주행을 위해서는 상당한 힘이 필요하게 되고, 성인이 즐기기에는 부적합하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이나 발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주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희성을 배가시키고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는 전후 바퀴와, 전후 바퀴 상에 설치되는 발판과, 전방에서 수직 설치된 주축프레임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 핸들을 포함하는 싱싱 자전거에 있어서, 핸들을 축설시키는 베어링, 핸들상에 고정설치되는 원동기어, 원동기어에 치합되도록 주축프레임에 설치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축에 연설되는 원동풀리, 상기 풀리와 대향되도록 주축프레임의 하방에 설치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의 클러치풀리, 상기 원동풀리와 클러치풀리 사이의 주축프레임상에 설치되는 안내풀리, 상기 원동풀리와 클러치풀리 및 안내풀리를 통해 감아지는 와이어, 상기 클러치풀리축에 설치되는 체인기어, 앞바퀴축에 설치되는 클러치기어, 및 상기 체인기어와 클러치기어를 연결시키는 체인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탑승한 상태에서 핸들을 상하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상에 설치된 원동기어가 종동기어 및 원동풀리를 회전시키게 되고, 그 회전력은 와이어를 통해 전해져 클러치풀리 및 체인기어를 회전시키게 되며, 체인기어의 회전력은 체인을 통해 앞바퀴축에 설치된 클러치기어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장치가 적용된 싱싱 자전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행장치가 적용된 싱싱 자전거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앞바퀴 2: 뒷바퀴
3: 발판 4,4': 주축프레임
5: 핸들 6: 브레이크
10: 주행장치 10': 주행장치
11: 베어링축 12: 원동기어
13: 종동기어 14: 원동풀리
15,15': 클러치풀리 16,16': 안내풀리
17: 와이어 18: 체인기어
19: 클러치기어 20: 체인
21,16a: 조임핸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장치가 적용된 싱싱 자전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행장치가 적용된 싱싱 자전거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는 앞바퀴(1) 및 뒷바퀴(2)와, 전후 바퀴 상에 설치되는 발판(3)과, 전방에서 수직 설치된 주축프레임(4)의 수평방향으로 좌우 설치되는 핸들(5)을 포함하는 통상의 싱싱 자전거 상에 구성된다.
즉, 주축프레임(4)상에서 핸들(5)이 상하 회전되도록 축설시키는 베어링축(11), 상기 핸들상에 고정설치되는 원동기어(12), 원동기어에 치합되도록 주축프레임(4)상에 설치되는 종동기어(13), 상기 종동기어(13)축에 연설되는 원동풀리(14), 상기 원동풀리와 대향되도록 주축프레임의 하방에 설치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의 클러치풀리(15)(15'), 상기 원동풀리(14)와 클러치풀리(15)(15') 사이의 주축프레임(4)상에 설치되는 안내풀리(16), 상기 원동풀리(14)와 클러치풀리(15)(15') 및 안내풀리(16)를 통해 감아지는 와이어(17), 상기 클러치풀리축에 설치되는 체인기어(18), 앞바퀴(1)축에 설치되는 클러치기어(19), 및 상기 체인기어(18)와 클러치기어(19)를 연결하는 체인(20)를 포함한다.
상기 클러치풀리(15)(15')는 일방향 회전풀리이고, 서로 반대회전방향이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17)는 원동풀리(14)와 클러치풀리(15)(15') 및 안내풀리(16)를 통해 여러번 감아지도록 하여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발판(3)상에 탑승한 상태에서 핸들(5)을 상하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상에 설치된 원동기어(12)가 종동기어(13) 및 원동풀리(14)를 회전시키게 되고, 그 회전력은 와이어(17)를 통해 전해져 클러치풀리(15)(15') 및 그 풀리축에 설치된 체인기어(18)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체인기어(18)의 회전력은 체인(20)을 통해 앞바퀴축에 설치된 클러치기어(19)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클러치기어(19)는 결국 앞바퀴(1)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주행이 개시된다.
즉, 핸들(5)을 상하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클러치풀리(15)(15')중 어느 하나는 정회전되고 어느 하나는 공회전되는 것에 의해 체인기어(18)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항상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클러치풀리(15)(15')의 회전방향 전환은 안내풀리(16)의 작용에 의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가 핸들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것이 아니고 발로 구루면서 주행시킬 경우에는 앞바퀴(1)에 설치된 클러치기어(19)의 작용에 의해 기존 주행방식이 재현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가 도시된다.
이에 따르면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구성된 체인기어(18), 클러치기어(19), 및 체인(20)을 포함하는 체인구동방식을 배제시킨 대신에 앞바퀴(1)축에 클러치풀리(15)가 설치되고, 주축프레임(4')은 조임핸들(21)을 구비하여 절첩되는 구조이며, 안내풀리(16')가 상기 주축프레임(4')상에서 상하 위치조절되는 구성이다.
즉, 주축프레임(4)상에서 핸들(5)이 상하 회전되도록 축설시키는 베어링축(11), 상기 핸들상에 대향 설치되는 한 쌍의 원동기어(12), 원동기어에 치합되도록 주축프레임(4)상에 대향 설치되는 한 쌍의 종동기어(13), 상기 종동기어(13)축에 연설되는 한 쌍의 원동풀리(14), 상기 원동풀리와 대향되도록 앞바퀴(1)축에 대향 설치되는 한 쌍의 클러치풀리(15), 상기 원동풀리(14)와 클러치풀리(15) 사이의 주축프레임(4)상에 설치되는 안내풀리(16'), 상기 원동풀리(14)와 클러치풀리(15) 및 안내풀리(16')를 통해 감아지는 와이어(17)를 포함하고, 상기 주축프레임(4')은 조임핸들(21)을 구비하여 절첩되는 구조이며, 안내풀리(21)가 상기 주축프레임(4')상에서 상하 위치조절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 역시 상기 앞바퀴(1)축에 대향 설치되는 클러치풀리(15)는 일방향 회전풀리이고, 서로 반대회전방향이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17)는 원동풀리(14)와 클러치풀리(15) 및 안내풀리(16')를 통해 여러번 감아지도록 하여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성으로 사용자가 발판(3)상에 탑승한 상태에서 핸들(5)을 상하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상에 설치된 한 쌍의 원동기어(12)가 회전하면서 종동기어(13) 및 원동풀리(14)를 회전시키게 되고, 그 회전력은 와이어(17)를 통해 전해져 클러치풀리(15)를 회전시키게 되어 결국 앞바퀴(1)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주행이 개시된다.
즉, 핸들(5)을 상하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클러치풀리(15)중 어느 하나는 정회전되고 어느 하나는 공회전되는 것에 의해 앞바퀴(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회전력이 항상 발생하게 되고, 상기 클러치풀리(15)의 회전방향 전환은 안내풀리(16')의 작용에 의해 가능하다.
휴대나 보관시에는 조임핸들(21)을 풀어 주축프레임(4')을 접철시키게 되고, 이 때 안내풀리(16')는 조임핸들(16a)을 풀어 접철되는 길이만큼 주축프레임(4')상에서 위치변경시킴으로써 와이어(17)의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는, 손이나 발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주행이 가능하게 되어 유희성이 배가되는 것과 함께 건강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앞바퀴(1) 및 뒷바퀴(2)와, 전후 바퀴 상에 설치되는 발판(3)과, 전방에서 수직 설치된 주축프레임(4)의 수평방향으로 좌우 설치되는 핸들(5)을 포함하는 싱싱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주축프레임(4)상에서 핸들(5)이 상하 회전되도록 축설시키는 베어링축(11), 상기 핸들상에 고정설치되는 원동기어(12), 원동기어에 치합되도록 주축프레임(4)상에 설치되는 종동기어(13), 상기 종동기어(13)축에 연설되는 원동풀리(14), 상기 원동풀리와 대향되도록 주축프레임의 하방에 설치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의 클러치풀리(15)(15'), 상기 원동풀리(14)와 클러치풀리(15)(15') 사이의 주축프레임(4)상에 설치되는 안내풀리(16), 상기 원동풀리(14)와 클러치풀리(15)(15') 및 안내풀리(16)를 통해 감아지는 와이어(17), 상기 클러치풀리축에 설치되는 체인기어(18), 앞바퀴(1)축에 설치되는 클러치기어(19), 및 상기 체인기어(18)와 클러치기어(19)를 연결하는 체인(20)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
  2. 앞바퀴(1) 및 뒷바퀴(2)와, 전후 바퀴 상에 설치되는 발판(3)과, 전방에서 수직 설치된 주축프레임(4)의 수평방향으로 좌우 설치되는 핸들(5)을 포함하는 싱싱 자전거에 있어서,
    주축프레임(4)상에서 핸들(5)이 상하 회전되도록 축설시키는 베어링축(11),상기 핸들상에 대향 설치되는 한 쌍의 원동기어(12), 원동기어에 치합되도록 주축프레임(4)상에 대향 설치되는 한 쌍의 종동기어(13), 상기 종동기어(13)축에 연설되는 한 쌍의 원동풀리(14), 상기 원동풀리와 대향되도록 앞바퀴(1)축에 대향 설치되는 한 쌍의 클러치풀리(15), 상기 원동풀리(14)와 클러치풀리(15) 사이의 주축프레임(4)상에 설치되는 안내풀리(16'), 상기 원동풀리(14)와 클러치풀리(15) 및 안내풀리(16')를 통해 감아지는 와이어(17)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프레임(4')은 조임핸들(21)을 구비하여 절첩되는 구조이며, 안내풀리(16')가 상기 주축프레임(4')상에서 상하 위치조절되도록 조임핸들(16a)을 구비하여 축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
KR1020000031988A 2000-06-10 2000-06-10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 KR20010111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988A KR20010111373A (ko) 2000-06-10 2000-06-10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988A KR20010111373A (ko) 2000-06-10 2000-06-10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373A true KR20010111373A (ko) 2001-12-17

Family

ID=4593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988A KR20010111373A (ko) 2000-06-10 2000-06-10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13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302B1 (ko) * 2006-04-28 2007-11-23 권오광 운동겸용 삼륜자전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4585U (ko) * 1980-02-26 1981-09-22
US4960286A (en) * 1989-04-17 1990-10-02 Henson Kerry L Self-propelled vehicle
KR200148976Y1 (ko) * 1996-12-30 1999-06-15 강보성 수동 구동형 자전거
KR20010062976A (ko) * 1999-12-21 2001-07-09 김세웅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4585U (ko) * 1980-02-26 1981-09-22
US4960286A (en) * 1989-04-17 1990-10-02 Henson Kerry L Self-propelled vehicle
KR200148976Y1 (ko) * 1996-12-30 1999-06-15 강보성 수동 구동형 자전거
KR20010062976A (ko) * 1999-12-21 2001-07-09 김세웅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302B1 (ko) * 2006-04-28 2007-11-23 권오광 운동겸용 삼륜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4031B2 (ja) スポ−ツ、遊戯用原動機付一輪車
JP2000501359A (ja) 自転車用可逆駆動装置
TWM393460U (en) Improved kick scooter
US20100044995A1 (en) Quick board with handle to operate driving power of front wheel
US4889335A (en) Compound bicycle exercising apparatus
KR20010111373A (ko)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
KR101182210B1 (ko) 발판 구동 주행용 보드
KR100642140B1 (ko) 전후륜 자전운행이 가능한 퀵보드
KR200261770Y1 (ko) 킥보드
KR100927202B1 (ko) 전륜의 구동력을 손잡이에 의해 운행되도록 하는 퀵보드
JP2007044358A (ja) 自走式スケートボード
KR20050029660A (ko) 페달구동형 킥보드
KR200240030Y1 (ko) 킥보드의 동력전달구조
WO2004108231A1 (en) Motorized skateboard
KR200271699Y1 (ko) 페달구동형 킥보드
KR100553134B1 (ko) 자기동력발생장치를 구비한 킥보드
KR200420326Y1 (ko) 전동스케이트보드
JP2004010037A (ja) 駆動輪
KR200230228Y1 (ko) 프로펠러가 부착된 자전거형 유희구
KR200365357Y1 (ko) 자전거 겸용 퀵 보드
KR100927201B1 (ko) 전륜의 구동력을 손잡이에 의해 운행되도록 하는 퀵보드
KR200222205Y1 (ko) 승물놀이구용 후륜구동장치
KR102052369B1 (ko)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KR20020030394A (ko) 킥보드 주행장치
KR200306901Y1 (ko) 구동장치를 구비한 퀵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