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369B1 -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 Google Patents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369B1
KR102052369B1 KR1020190068890A KR20190068890A KR102052369B1 KR 102052369 B1 KR102052369 B1 KR 102052369B1 KR 1020190068890 A KR1020190068890 A KR 1020190068890A KR 20190068890 A KR20190068890 A KR 20190068890A KR 102052369 B1 KR102052369 B1 KR 102052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upled
front fork
main frame
fork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하
Original Assignee
임성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하 filed Critical 임성하
Priority to KR1020190068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2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에 관한 것으로,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으로 제1 구동부재에 의해 서로 엇갈리며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하단부에 발판 및 전방 휠이 결합된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의 회동 각도에 따라 조향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발판에 의해 조향각을 조절하고 전방 휠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후방 휠이 손잡이에 전후 운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중심을 잡기 위해 노력을 하거나 중심을 잃고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주행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발로 조향각을 조절하고 손으로 후방 휠을 구동시킴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지 않은 근육을 사용하여 전신 운동에 탁월하며 보다 역동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이동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STEERING DEVICE AND MOVING MEAN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수단의 조향각을 조절하는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통비 절감, 건강 유지를 위한 운동, 레저나 놀이 등의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이동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고 잇다.
대표적으로 페달을 이용한 일반적인 이륜 또는 삼륜 자전거, 모터를 이용한 전동 자전거, 전동 킥 보드 등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0-0101811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종래의 이동장치는 차체의 전단에 좌우 회전하도록 결합된 핸들을 구비하여, 핸들의 회전 조작을 통해 전륜이 함께 회전하여 차체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핸들 조작을 통해 전륜을 회전시키는 종래의 조향 방식은 차체의 좌우 균형을 잡으면서 쓰러지지 않고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익숙해지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특히 종래의 이륜 이동장치는 조작 미숙과 조향 실수 등으로 초보자들에게 사고 위험성이 높고, 회전 중 급 정지 시 핸들이 틀어지면서 쉽게 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커브에서 빠르게 회전할 때는 관성의 법칙에 의해 탑승자의 무게 중심이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약간의 핸들 조작이 필요한데 이때 핸들 조작이 미숙할 경우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2020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1100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1657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조향 조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향 미숙에 의해 중심을 잃고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중심을 잡기 위해 페달을 밟거나 중심을 잡기 위해 노력을 하지 않아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으로 제1 구동부재에 의해 서로 엇갈리며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하단부에 발판 및 전방 휠이 결합된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의 회동 각도에 따라 조향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재는 베벨기어 방식 또는 링크 방식에 의해 서로 엇갈리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의 각 상단부에는 회동축이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이 서로 이루는 각이 1도 초과 내지 180도 미만의 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의 사이에는 서로를 연결하는 탄성체가 결합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은, 이동수단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향장치의 메인 프레임 후방에 양측으로 일방향 클러치가 결합된 후방 휠이 결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 양측으로 제2 구동부재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회전되며 상기 일방향 클러치를 회전시키고 각 외측면에 손잡이가 결합된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은 각 하단부가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 형상 부분에는 상기 일방향 클러치와 맞물리는 톱니편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톱니편을 통해 상기 후방 휠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재는 베벨기어 방식 또는 링크 방식에 의해 서로 엇갈리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 따르면, 발판에 의해 조향각을 조절하고 전방 휠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후방 휠이 손잡이에 전후 운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중심을 잡기 위해 노력을 하거나 중심을 잃고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주행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발로 조향각을 조절하고 손으로 후방 휠을 구동시킴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지 않은 근육을 사용하여 전신 운동에 탁월하며 보다 역동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이동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 베벨기어의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 휠의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링크 방식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 베벨기어의 확대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 휠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은 중심 잡기가 용이하여 넘어지지 않고 새로운 동작으로 역동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1200)는 메인 프레임(1100) 및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00)은 상단에 안장(1110)이 설치되고, 전방으로 제1 베벨기어(112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은 제1 구동부재 및 제2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재 및 제2 구동부재를 베벨기어 방식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0)의 전방 양측에 베벨기어 방식을 통해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의 각 하단부에는 각 외측면에 발판(121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발판(1211)의 각 외측면에 전방 휠(1212)이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의 각 상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으로 경사면(1213)이 형성된다.
상기 각 경사면(1213)에는 제2 베벨기어(1214)가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 베벨기어(1214)는 각 회동축(1214a)이 상기 경사면(1213)과 직교되도록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베벨기어(1214) 각각은 상기 제1 베벨기어(1120)의 양측에 맞물려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 베벨기어(1214) 각각은 상기 제1 베벨기어(1120)에 의해 연결되어 일측에 위치한 제2 베벨기어(1214)가 일방향으로 회전 시 타측에 위치한 제2 베벨기어(1214)가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베벨기어(1214) 각각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 회동축(1214a)의 이루는 각이 1도 초과 내지 180도 미만의 각을 이루도록 결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엇갈리게 회동됨에 따라 방향성(조향각)을 갖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2 베벨기어(1214)의 각 회동축(1214a)이 이루는 각이 180도 이상의 경우 방향성을 가질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엇갈리게 회동되는 것은 물론, 방향성을 가지게 되어 조향각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 각각은 하방이 상방보다 전방으로 배치되도록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의 하방이 전방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2 베벨기어(1214)에 의해 서로 엇갈리게 회동될 때 상기 전방 휠(1212)로부터 높이 차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 중 일측에 위치한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이 전방에 위치할 때 타측에 위치한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이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전방에 위치한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의 전방 휠(1212)이 상기 후방에 위치한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의 전방 휠(1212)보다 상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일측에 위치한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이 후방에 위치해도 동일하게 높이 차가 발생된다.
물론,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경우 상기 전방 휠(1212) 각각이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의 상방과 하방이 지면으로부터 직교되도록 형성될 경우,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의 회동 시 상기 전방 휠(1212)의 높이 차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의 하방이 상방보다 전방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의 회동 시 상기 전방 휠(1212)의 높이 차가 발생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100)에 기울어짐이 발생되고 기울어짐에 의해 코너링 시 원심력을 상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의 사이에는 상기 전방 휠(1212)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을 연결하는 탄성체(1215)가 결합된다.
상기 탄성체(1215)는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이 서로 엇갈리게 회동되었을 때 원위치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은 각 하방의 사이가 각 상방의 사이보다 더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의 각 하방의 사이가 각 상방의 사이보다 더 이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의 회동 시 상기 전방 휠(1212)이 회전(궤적) 반경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의 각 하방 사이의 간격에 따라 상기 전방 휠(1212)의 회전 반경 및 상기 메인 프레임(1100)의 기울기가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의 각 하방 사이의 간격이 커질수록 상기 전방 휠(1212)의 회전 반경이 짧아져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을 조금만 움직여도 많은 방향성을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1100)의 기울기 또한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발판(1211)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12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시켜 조향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1000)은 상기 조향장치(1200) 및 구동장치(1300)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장치(12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0)의 후방에 양측으로 일방향 클러치(1150)가 결합된 후방 휠(1140)이 결합된다.
상기 후방 휠(114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0) 후방의 중앙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0)의 중심을 잡아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0)의 후방에는 전후방으로 서로 마주보며 서로 이격된 제3 베벨기어(1130)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구동장치(1300)는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131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131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0)의 후방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1310) 각각은 베벨기어 방식에 의해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1310) 각각은 상단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1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상단부에 상기 제3 베벨기어(1130)와 맞물리는 제4 베벨기어(1312)가 결합된다.
상기 제4 베벨기어(1312)는 상기 제3 베벨기어(1130)들과 직교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맞물려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1310)은 일측에 위치한 후방 포크 프레임(1310)이 전방으로 회동될 때 타측에 위치한 후방 포크 프레임(1310)이 후방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1310)의 각 외측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손잡이(1313)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1310)의 각 하단부는 호 형상을 가지며, 호 형상 부분에 톱니편(1311)이 형성된다.
상기 톱니편(1311)은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1310)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일방향 클러치(1150)와 맞물려 상기 후방 휠(114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일방향 클러치(1150)는 상기 후방 휠(1140)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0)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1310)이 상기 손잡이(1313)의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서로 엇갈리며 회동되며 상기 일방향 클러치(1150)를 교차 회전시켜 상기 후방 휠(1140)이 구동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측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링크 방식의 동작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2200)는 메인 프레임(2100) 및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221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은 제1 구동부재 및 제2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재 및 제2 구동부재를 링크 방식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2100)의 전방에는 제1 고정축(2120)이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2210)은 상기 메인 프레임(2100)의 전방 양측으로 제1 회동축(221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회동축(2213)은 서로 이루는 각이 1도 초과 내지 180도 미만의 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2210)의 각 하단부에는 각 외측면에 발판(2211)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발판(2211)의 각 외측면에 전방 휠(2212)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2210)의 서로 마주보는 각 측면 중 상단부에는 제1 링크(2214)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 링크(2214)의 각 양단부에는 로드엔드베어링(2214a)이 결합되고, 각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2210)에 결합되고, 각 타단부가 상기 제1 고정축(2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고정부재(2215)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2210)은 상기 로드엔드베어링(2214a)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제1 고정부재(2215) 및 제1 링크(2214)에 의해 서로 엇갈리며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2210) 각각은 하방이 상방보다 전방으로 배치되도록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2210)은 각 하방의 사이가 각 상방의 사이보다 더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발판(2211)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2210)을 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시켜 조향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2000)은 상기 조향장치(2200) 및 구동장치(2300)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장치(2200)는 상기 메인 프레임(2100)의 후방에 양측으로 일방향 클러치(2150)가 결합된 후방 휠(2140)이 결합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2100)의 후방에는 제2 고정축(2130)이 결합된다.
상기 구동장치(2300)는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231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2310)은 상기 메인 프레임(2100)의 후방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2310)은 각 상단에 형성된 제2 회동축(2315)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21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2310)의 각 상단에는 제2 링크(2312)가 결합된다.
상기 제2 링크(2312)의 각 단부에는 로드엔드베어링(2312a)이 결합되고, 각 단부에는 상기 제2 고정축(2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고정부재(2314)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2310)의 각 외측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손잡이(2313)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2310)의 각 하단부는 호 형상을 가지며, 호 형상 부분에는 톱니편(2311)이 형성된다.
상기 톱니편(2311)은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231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일방향 클러치(2150)와 맞물려 상기 후방 휠(2140)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2310)이 상기 손잡이(2313)의 전후 움직임에 따라 서로 엇갈리도록 회동되며 상기 후방 휠(2140)을 구동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 따르면, 발판에 의해 조향각을 조절하고 전방 휠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후방 휠이 손잡이에 전후 운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중심을 잡기 위해 노력을 하거나 중심을 잃고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주행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발로 조향각을 조절하고 손으로 후방 휠을 구동시킴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지 않은 근육을 사용하여 전신 운동에 탁월하며 보다 역동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이동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이동수단 1100: 메인 프레임
1110: 안장 1120: 제1 베벨기어
1130: 제3 베벨기어 1140: 후방 휠
1150: 일방향 클러치 1200: 조향장치
1210: 전방 포크 프레임 1211: 발판
1212: 전방 휠 1213: 경사면
1214: 제2 베벨기어 1215: 탄성체
1300: 구동장치 1310: 후방 포크 프레임
1311: 톱니편 1312: 제4 베벨기어
1313: 손잡이

Claims (7)

  1.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으로 제1 구동부재에 의해 서로 엇갈리며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하단부에 발판 및 전방 휠이 결합된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향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의 회동 각도에 따라 조향각이 조절되며,
    상기 제1 구동부재는 베벨기어 방식 또는 링크 방식에 의해 서로 엇갈리게 회전되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의 각 상단부에는 회동축이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이 서로 이루는 각이 1도 초과 내지 180도 미만의 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의 사이에는 서로를 연결하는 탄성체가 결합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한 쌍의 전방 포크 프레임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지며;
    이동수단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향장치의 메인 프레임 후방에 양측으로 일방향 클러치가 결합된 후방 휠이 결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 양측으로 제2 구동부재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회전되며 상기 일방향 클러치를 회전시키고 각 외측면에 손잡이가 결합된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후방 포크 프레임은 각 하단부가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 형상 부분에는 상기 일방향 클러치와 맞물리는 톱니편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톱니편을 통해 상기 후방 휠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2 구동부재는 베벨기어 방식 또는 링크 방식에 의해 서로 엇갈리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68890A 2019-06-11 2019-06-11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KR102052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890A KR102052369B1 (ko) 2019-06-11 2019-06-11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890A KR102052369B1 (ko) 2019-06-11 2019-06-11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369B1 true KR102052369B1 (ko) 2019-12-05

Family

ID=6900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890A KR102052369B1 (ko) 2019-06-11 2019-06-11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36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737B1 (ko) 1995-04-27 1999-01-15 김경환 고순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제조방법
KR100385757B1 (ko) * 2001-01-20 2003-05-28 박준신 구동장치
KR20060013304A (ko) * 2004-08-04 2006-02-09 박경희 4절링크 킥스쿠터
KR20090020203A (ko) 2007-08-23 2009-02-26 이해영 연성 인쇄회로 기판
KR100942912B1 (ko) * 2009-07-24 2010-02-16 김용겸 손잡이부의 전후이동에 의해 조향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노젓기식 삼륜 자전거
KR20130128295A (ko) * 2012-05-16 2013-11-26 황우원 녹색 자전거
KR20140027039A (ko) * 2013-12-28 2014-03-06 박경희 스키딩자전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737B1 (ko) 1995-04-27 1999-01-15 김경환 고순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제조방법
KR100385757B1 (ko) * 2001-01-20 2003-05-28 박준신 구동장치
KR20060013304A (ko) * 2004-08-04 2006-02-09 박경희 4절링크 킥스쿠터
KR20090020203A (ko) 2007-08-23 2009-02-26 이해영 연성 인쇄회로 기판
KR100942912B1 (ko) * 2009-07-24 2010-02-16 김용겸 손잡이부의 전후이동에 의해 조향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노젓기식 삼륜 자전거
KR20130128295A (ko) * 2012-05-16 2013-11-26 황우원 녹색 자전거
KR20140027039A (ko) * 2013-12-28 2014-03-06 박경희 스키딩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3929A (en) Low center of gravity cycle
KR20120080193A (ko) 2륜형 왕복운동 페달 구동 스쿠터
US9527546B2 (en) Vehicle having positional control function
KR20170033780A (ko) 자전거 시뮬레이터
US4374548A (en) Playing vehicle with a prime mover
EP3169579B1 (en) Vehicle with spherical wheels
KR102052369B1 (ko)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KR101010117B1 (ko) 후륜 조향식 자전거
CN100448737C (zh) 一种能兼作自行车的运动型滑板车
JP4995999B1 (ja) 三輪型車椅子
US6012732A (en) Combination exercise and land travel device
US3834734A (en) Bicycle
CN109250020A (zh) 一种躺式自行车的摆动控制装置
JP3052156U (ja) 後輪首振り式二輪車
KR102353740B1 (ko) 리컴번트 자전거의 조향장치
JP6151840B1 (ja) キックスケーター
KR20120000593A (ko) 이륜 보드
KR101485761B1 (ko)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KR20150090670A (ko) 네바퀴 자전거
KR200451579Y1 (ko) 후륜 구동 방식의 스텝자전거
CN212047729U (zh) 自力式儿滑车
KR101906669B1 (ko) 운동 겸용 자전거
KR20130029319A (ko) 틸트 기능을 구비한 자전거
CN212332850U (zh) 一种手推型儿童游玩车
KR102295926B1 (ko) 고속주행이 가능한 스텝퍼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