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593A - 이륜 보드 - Google Patents

이륜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593A
KR20120000593A KR1020100060916A KR20100060916A KR20120000593A KR 20120000593 A KR20120000593 A KR 20120000593A KR 1020100060916 A KR1020100060916 A KR 1020100060916A KR 20100060916 A KR20100060916 A KR 20100060916A KR 20120000593 A KR20120000593 A KR 20120000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oard
scaffold
footrest
wheel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호
Original Assignee
전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호 filed Critical 전정호
Priority to KR1020100060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593A/ko
Publication of KR2012000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반경이 좁아 협소한 공간에서도 주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균형감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전진 주행과, 빠른 방향전환 및, 제자리 회전 등의 다양한 응용 동작이 가능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지속적인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이륜 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는, 탑승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110); 상기 발판(110)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발판(110)의 일측방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발판(110)과의 결합부위에서 소정각도 경사져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발판 지지대(120); 및 상부의 일측단에는 손잡이부(131)가 구비되고, 하부의 타측은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절곡 부위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바퀴(14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하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져 상기 발판 지지대(120)의 타측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바퀴 조향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륜 보드 {The Board with two wheel}
본 발명은 이륜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반경이 좁아 협소한 공간에서도 주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균형감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전진 주행과, 빠른 방향전환 및, 제자리 회전 등의 다양한 응용 동작이 가능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지속적인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이륜 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저에 관심을 가지는 인구의 증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여가를 선용하고자 하는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다양한 놀이 기구 및 방법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놀이 기구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킥보드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킥보드는 전·후방에 각각 휠(4, 5)이 장착된 발판(1)의 전방측에 경사각 조절구(6)와 결합되어 탑승자가 손으로 파지 가능한 손잡이(3)를 구비한 지지대(2)로 이루어지며, 탑승자의 일측 발을 상기 발판(1)에 올린 채 타측 발로 땅을 지치면서 주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킥보드는 그 주행 방법이 지극히 단순하여 탑승자가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며, 노면 상태가 고르지 못한 도로에서는 주행이 힘들고, 회전 반경이 커 급격한 방향 선회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힘들며, 주행을 위한 넓은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주행 흥미의 반감이나, 주행 공간의 제약성을 극복하기 위해 특허출원 제10-2003-0024307호에서는 "삼륜 비클"이 게시되어 있으며, 도 2는 상기 "삼륜 비클"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상기 삼륜 비클은 조향휠이 형성되는 전방 기둥(103)과, 후방으로 한 쌍의 후륜(701, 702)이 구비되는 좌·우 후미 암(104, 105)을 가지는 삼륜 골조로 구성되며, 탑승자가 전방 기둥 상단부의 핸들을 파지하고, 좌·우 후미 암 후방 측에 장착된 발판에 양발을 각각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좌·우 후미 암을 상호 인접시키고 이격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추진력을 얻어 구동하게 된다.
상기 삼륜 비클의 경우에도, 전방의 조향휠(505)과, 후방의 한 쌍의 후륜(701, 702)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어 선회 반경이 길고, 주행을 위한 넓은 공간이 요구되며, 단순한 전진 주행과 조향으로 주행이 단조로우며, 탑승자가 쉽게 지루함을 느끼게 되고, 지면에 대해 삼각형 형태의 지지구조를 이루어 안정적인 주행은 가능하나, 반면에 주행 흥미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선회 반경을 짧게 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원활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전진 주행과 더불어, 빠른 방향전환 및, 제자리 회전 등의 다양한 응용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지속적인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지속적인 사용을 통해 균형감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하체 운동을 통한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탑승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110); 상기 발판(110)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발판(110)의 일측방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발판(110)과의 결합부위에서 소정각도 경사져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발판 지지대(120); 및, 상부의 일측단에는 손잡이부(131)가 구비되고, 하부의 타측은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절곡 부위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바퀴(14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하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져 상기 발판 지지대(120)의 타측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바퀴 조향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 보드(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이륜 보드(100)에서, 상기 발판 지지대(120)와 바퀴 조향대(130)는, 서로 결합되는 축방향으로 비틀림을 허용하는 탄성 복원수단(15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복원수단(150)은, 상기 발판 지지대(120)의 타측단과 상기 바퀴 조향대(130)의 타측단을 코일 스프링(151)으로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복원수단(150)은, 상기 발판 지지대(120)의 타측단과 상기 바퀴 조향대(130)의 타측단을, 금속재의 플레이트를 다수개 적층시켜 형성되는 토션바(152)로,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판(110)의 하측면으로는 전방 또는 후방에 소정높이의 제동부(111)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110)의 하측면으로는 전방 또는 후방에 보조 롤러(112)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퀴(140)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제한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는, 그 구조가 단순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운반이 용이하며, 남녀 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고, 선회 반경을 짧아 좁은 공간에서도 원활한 주행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전진 주행은 물론, 빠른 방향전환 및, 제자리 회전 등의 다양한 응용 동작이 가능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지속적인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하고, 장시간 사용을 통해 균형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하체 운동을 통한 운동효과를 누릴 수 있다.
도 1은 종래 킥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삼륜 비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발판(110)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의 탄성 복원 수단(150)에 대한 일 실시예로 코일 스프링(151)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의 탄성 복원 수단(150)에 대한 일 실시예로 토션바(152)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의 발판(110)에 제동부(111)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의 발판(110)에 보조롤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의 바퀴 조향대(130)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8a는 바퀴 조향대(130)에 회전 제한부(160)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및,
도 8b는 도 8a의 측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발판(1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의 탄성 복원 수단(150)에 대한 일 실시예로 코일 스프링(151)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의 탄성 복원 수단(150)에 대한 일 실시예로 토션바(152)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의 발판(110)에 제동부(111)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의 발판(110)에 보조롤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의 바퀴 조향대(130)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8a는 바퀴 조향대(130)에 회전 제한부(160)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탑승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110)과, 상기 발판(110)의 좌·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발판(110)을 지지하게 되는 한 쌍의 발판 지지대(120)와, 일측에는 손잡이부(13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바퀴(14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타측단은 상기 발판 지지대(120)의 타측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바퀴 조향대(130)로 구성된다.
상기 발판(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한 발 또는, 양발이 함께 올려질 수 있도록 평면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올려진 발이 발판(11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방지 패드를 상기 발판(110)의 상면에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발판(110)의 좌·우 양측으로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1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발판 지지대(120)가 구비되며, 상기 발판 지지대(120)의 일측은 상기 발판(110)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발판(110)과의 결합부위에서 소정각도 경사지게 상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10)의 저면에서 각각의 일측이 결합되는 상기 한 쌍의 발판 지지대(120)의 상기 일측단을 서로 연결하여 좌·우대칭되게 일체로 형성시켜 하나의 발판 지지대(120)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바퀴 조향대(130)는, 도 3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일측단에는 탑승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31)가 형성되고, 하부는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위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바퀴(140)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하부의 타측단은 하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져 상기 발판 지지대(120)의 타측단과 회전가능하게 서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 제조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구조적으로 탑승자의 발이 올려져 탑승하는 발판(110)의 위치와, 좌·우 한 쌍의 바퀴(140)의 이격 거리가 종래의 킥보드나 삼륜 비클에 비해 짧게 형성가능함으로써, 선회 반경이 줄어들고, 다양한 형태의 스릴 있는 주행을 즐길 수가 있으며, 또한, 상기 바퀴 조향대(130)가 상기 발판 지지대(120)와 소정각도 경사진 부위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퀴 조향대(130)의 전·후 이동에 따른 상기 결합부위에서의 회전으로, 바퀴 조향대(130)의 하부에서 구름운동 가능하게 결합 형성된 상기 바퀴(140)에 대한 조향을, 빠르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110) 하부면의 전방 또는 후방에 소정높이로 형성되는 제동부(111)를 마련하여 발판(110)이 일체로 결합 되는 발판 지지대(120)와 바퀴 조향대(130)의 결합부위에서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동부(111)가 지면에 닳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발판(110)의 양방향에서 구름운동하는 한 쌍의 바퀴(140)의 결합으로 균형감각이 다소 떨어지는 어린아이 등과 같은 탑승자가 안정적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륜 보드(100)의 주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술한 제동부(111) 대신 지면에 대해 구름운동 가능한 보조 롤러(112)를 상기 발판(110) 하부면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시킴으로써, 균형감각이 다소 없는 탑승자들이 안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를 즐길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주행 속도의 저하 없이 스릴 있고 빠른 주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동부(111) 및 보조 롤러(112)를 상기 발판(110) 하부면의 전방 또는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상기 제동부(111)와 보조 롤러(112)를 선택적으로 상기 발판(1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발판(110)의 전·후방으로 제동부(111)나, 보조 롤러(112)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판 지지대(120)가 상기 발판(110)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 지지대(120)와 바퀴 조향대(130)를, 서로 결합 되는 축방향으로 비틀림을 허용하는 탄성 복원수단(150)에 의해 결합 되도록 하여 바퀴 조향대(130)를 전·후 이동시켜 조향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원래의 직진 상태로 바퀴(140)가 용이하게 정렬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복원수단(15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 지지대(120)의 타측단과 상기 바퀴 조향대(130)의 타측단을 코일 스프링(151)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발판 지지대(120)와 일체로 연결되는 발판(110)과, 상기 손잡이가 형성되고 바퀴(14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는 바퀴 조향대(130)가 상대적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자유로운 조향이나 원상태 복귀 및, 상기 제동부(111)나 보조 롤러(112)를 통한 균형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탄성 복원수단(150)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의 플레이트를 다수개 서로 적층시켜 토션바(152)를 형성하고, 상기 토션바(152)의 일측은 상기 발판 지지대(120)의 타측단과 고정 결합시키고, 타측은 상기 바퀴 조향대(130)의 타측단과 서로 고정 결합시켜 상기 토션바(152)를 통해 바퀴 조향대(130)와 발판 지지대(120)의 상대적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 조향대(130) 절곡부위의 상부에는 일방향으로만 소정각도로 회전하는 기어걸림고리(161)를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바퀴(140)의 외측면에는 일방향 기어(162)를 일체로 형성시켜 상기 바퀴 조향대(130)를 바퀴(140)의 전방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만 회전이동 시킬 수 있도록 하여 어느 정도의 속도로 균형을 잡으면서 상기 이륜 보드(100)가 앞으로 주행시에는 상기 바퀴 조향대(130)를 뒤쪽으로 당겼다가 앞으로 전진 시켜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배가시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바퀴 조향대(130)는, 바퀴(140)의 상기 일방향 기어(162)와 기어걸림고리(161)에 의해, 바퀴(140)의 회전방향과 반대인 후방으로만 자유롭게 회전 이동가능하고, 후방으로 회전이동시킨 후에는, 상기 기어걸림고리(161)가 상기 일방향 기어(162)에 걸리게 되며 탑승자는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마치 배의 노를 저어 나가는 것과 유사하게, 바퀴 조향대(130)를 전방으로 힘껏 밀면서 구동력을 발생시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륜 보드(100)는, 발판(110)의 좌·우 양방향으로 가까운 거리에 구비되어 종래의 킥보드 등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이격거리를 통해 선회반경이 짧아 좁은 공간에서도 주행이 가능하며, 전진 주행뿐만 아니라 빠른 방향전환 및, 제자리 회전 등의 다양한 응용 동작이 가능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하고, 장시간 사용을 통해 균형감각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지면을 박차는 하체 운동과 아울러 바퀴 조향대(130)를 통한 상체 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져 운동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100 : 이륜 보드
110 : 발판 111 : 제동부
112 : 보조 롤러
120 : 발판 지지대 130 : 바퀴 조향대
131 : 손잡이부 140 : 바퀴
150 : 탄성 복원수단 151 : 코일 스프링
152 : 토션바 160 : 회전 제한부
161 : 기어걸림고리 162 : 일방향 기어

Claims (7)

  1. 탑승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110);
    상기 발판(110)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발판(110)의 일측방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발판(110)과의 결합부위에서 소정각도 경사져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발판 지지대(120); 및
    상부의 일측단에는 손잡이부(131)가 구비되고, 하부의 타측은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절곡 부위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바퀴(14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하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져 상기 발판 지지대(120)의 타측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바퀴 조향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 보드(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지지대(120)와 바퀴 조향대(130)는, 서로 결합되는 축방향으로 비틀림을 허용하는 탄성 복원수단(15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 보드(10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수단(150)은,
    상기 발판 지지대(120)의 타측단과 상기 바퀴 조향대(130)의 타측단을 코일 스프링(151)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 보드(100).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수단(150)은,
    상기 발판 지지대(120)의 타측단과 상기 바퀴 조향대(130)의 타측단을, 금속재의 플레이트를 다수개 적층시켜 형성되는 토션바(152)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 보드(100).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10)의 하측면으로는 전방 또는 후방에 소정높이의 제동부(111)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 보드(100).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10)의 하측면으로는 전방 또는 후방에 보조 롤러(112)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 보드(100).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140)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제한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 보드(100).
KR1020100060916A 2010-06-27 2010-06-27 이륜 보드 KR20120000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916A KR20120000593A (ko) 2010-06-27 2010-06-27 이륜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916A KR20120000593A (ko) 2010-06-27 2010-06-27 이륜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593A true KR20120000593A (ko) 2012-01-04

Family

ID=4560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916A KR20120000593A (ko) 2010-06-27 2010-06-27 이륜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5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299B1 (ko) * 2014-03-07 2014-09-26 김영석 원 휠 보드
US10230956B2 (en) 2012-09-26 2019-03-12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optimizing rate-distortion of syntax elem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0956B2 (en) 2012-09-26 2019-03-12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optimizing rate-distortion of syntax elements
KR101444299B1 (ko) * 2014-03-07 2014-09-26 김영석 원 휠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2087B2 (en) Vehicle drivable in use by a person walking or running whilst seated and the use of such vehicle
KR100832558B1 (ko) 발판동력 발생장치를 갖는 미니 바이크
US8998232B2 (en) Recumbant style powered unicycle
US7416197B2 (en) Personal recreational vehicle with rotatable seat
KR101564841B1 (ko) 수영 연습 및 수영 동작 자전거
CN105209332B (zh) 撑杆推进的脚踏车
CN101678870A (zh) 并骑式脚踏车
US20150197311A1 (en) Foot-sliding quad vehicle with tilt-grip steering
JP5213597B2 (ja) 三輪車
US10435107B2 (en) Pole propelled velocipede
US6247714B1 (en) Recumbent cycle with improved suspension
US10040502B2 (en) Vehicle with spherical wheels
KR20120000593A (ko) 이륜 보드
US20030052471A1 (en) Three-wheeled scooter apparatus
US20210316810A1 (en) Human-powered vehicle upon which users can ride
CN103482002B (zh) 手驱动式燕尾形踏板车
US20010026056A1 (en) Ride-on toy
KR20120126604A (ko) 운동 기구
CN107487401B (zh) 撑杆推进的脚踏车
KR200461426Y1 (ko) 서서 타는 자전거
KR101002715B1 (ko) 테트라 보드
KR101560078B1 (ko) 캐스터 롤러 자전거
CN202180896U (zh) 一种风火轮式自动滑板车
JP2003199980A (ja) 手漕ぎスクーター
BR102013019270A2 (pt) plataforma mecânica articulada para propulsão muscular de movimento aplicado em patinentes, bicicletas ou hibridos de patinetes com biciclet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