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299B1 - 원 휠 보드 - Google Patents

원 휠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299B1
KR101444299B1 KR1020140027117A KR20140027117A KR101444299B1 KR 101444299 B1 KR101444299 B1 KR 101444299B1 KR 1020140027117 A KR1020140027117 A KR 1020140027117A KR 20140027117 A KR20140027117 A KR 20140027117A KR 101444299 B1 KR101444299 B1 KR 101444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haft
center
way bearing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김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석 filed Critical 김영석
Priority to KR1020140027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single-wheel type with single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6Wheel mounting, i.e. arrangement connecting wheel and axle mou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중의 가감이나 체중의 무게 중심의 변화를 이용하여 자체 추진력을 얻을 수 있고, 도로의 낮은 턱에도 걸리지 않아 통학 또는 출퇴근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 휠 보드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원 휠 보드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는 바퀴; 상기 중심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 상기 중심축과 상기 축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중심축을 한 방향으로만 회동시키는 원웨이 베어링; 상기 축 지지부의 일단에 연장되되 상기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발 받침부; 및 상기 축 지지부의 타단에 연장되되 상기 제1 발 받침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발 받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 휠 보드{One wheel board}
본 발명은 하나의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원 휠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케이트보드는 얇고 긴 널빤지에 롤러스케이트와 같은 바퀴를 연결한 탈 것의 하나로, 두 발을 널빤지에 올려놓고 몸을 기울여 체중을 옮겨 가면서 방향을 전환한다.
이러한 스케이트보드는, 발판의 역할을 하는 널빤지인 데크(deck)와, 상기 데크의 저면에 구비되는 4개의 휠(wheel)과, 상기 4개의 휠을 데크의 저면에 각각 연결하는 트럭(truck)을 포함한다. 특히, 2개의 휠은 데크 앞부분에 구비되고 나머지 2개의 휠은 데크 뒷부분에 구비된다.
이렇게 이루어진 스케이트보드는, 발판의 역할을 하는 데크에 사용자의 한 발을 올려놓고 사용자의 다른 발로 땅을 밀어 제치는 동작을 몇 차례 반복하고 추진력을 발생시킨 다음 사용자의 양 발을 모두 데크에 올려놓고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스케이트보드는 추진력이 줄어들게 되면 사용자가 한 발로 땅을 밀어 제치는 동작을 반복하여야만 다시 이동할 수 있는 등, 별도의 동력원 없이 진행 동작을 계속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스케이트보드는 4개의 휠을 가지고 있고 그 휠의 사이즈가 또한 작아서 도로의 낮은 턱에도 쉽게 걸리는 문제가 있어, 자전거와 같이 통학 또는 출퇴근용 등으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체중의 가감이나 체중의 무게 중심의 변화를 이용하여 자체 추진력을 얻을 수 있고, 도로의 낮은 턱에도 걸리지 않아 통학 또는 출퇴근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 휠 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 휠 보드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는 바퀴; 상기 중심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 상기 중심축과 상기 축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중심축을 한 방향으로만 회동시키는 원웨이 베어링; 상기 축 지지부의 일단에 연장되되 상기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발 받침부; 및 상기 축 지지부의 타단에 연장되되 상기 제1 발 받침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발 받침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축은, 상기 바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퀴 고정부; 상기 원웨이 베어링의 내주면이 체결되는 베어링 체결부; 및 상기 바퀴 고정부와 상기 베어링 체결부 사이에 돌출되어 상기 바퀴와 상기 원웨이 베어링과의 간섭을 차단하는 간섭 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축은, 상기 바퀴 고정부의 삽입단에 구비되어 상기 바퀴의 이탈을 막는 이탈 방지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 지지부는, 상기 원웨이 베어링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고정되는 중심 지지판; 상기 중심 지지판의 일면을 고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발 받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를 가지는 제1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중심 지지판의 타면을 고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발 받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3 및 제4 연결부를 가지는 제2 고정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웨이 베어링의 상기 외주면에는 상기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산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심 지지판의 상기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산에 계합(engagement)되어 고정되도록 복수의 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지지부는, 상기 중심 지지판과 상기 제1 고정 브라켓 사이에 구비되어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는, 상기 제1 및 제2 발 받침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발 받침부의 평면 및 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발 받침부 각각은, 상기 축 지지부의 상기 일단에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가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절곡부에 구비되는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 휠 보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발 받침부와 상기 제2 발 받침부 사이에 하나의 바퀴를 제공하고, 바퀴가 원웨이 베어링에 의해 축 지지부와 결합되는 기술구성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체중을 바퀴를 기준으로 원웨이 베어링의 회전 방향으로 옮기면 자체 추진력을 얻을 수 있고, 자체 추진력이 약해지면 사용자의 체중을 바퀴를 기준으로 원웨이 베어링의 회전 정지 방향으로 옮긴 후(이 때, 원웨이 베어링에 의해 뒤로 후진하지 않음) 다시 위의 동작을 반복하면서 자체 추진력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바퀴가 제공되므로 공간상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갖는 바퀴를 사용할 수 있어, 도로의 낮은 턱에도 걸리지 않아 통학 또는 출퇴근용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휠 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 휠 보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원웨이 베어링과 중심 지지판이 산과 골에 의해 계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원 휠 보드에 자체 추진력을 가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휠 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원 휠 보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원웨이 베어링과 중심 지지판이 산과 골에 의해 계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휠 보드(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110)과, 바퀴(120)와, 축 지지부(130)와, 원웨이 베어링(140)과, 제1 발 받침부(150)와, 그리고 제2 발 받침부(160)를 포함한다.
중심축(110)은 바퀴(120)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심축(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 고정부(111), 베어링 체결부(112), 그리고 간섭 방지턱(113)을 포함할 수 있다. 바퀴 고정부(111)는, 바퀴(12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곳으로, 바퀴(120)의 중심 체결공(121)이 이에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베어링 체결부(112)는, 원웨이 베어링(140)의 내주면이 체결되는 곳으로, 원웨이 베어링(140)의 내주면이 이에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며, 원웨이 베어링(140)의 내주면과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산(112a)을 가질 수 있다. 간섭 방지턱(113)은 바퀴 고정부(111)와 베어링 체결부(112) 사이에 돌출되어 바퀴(120)와 원웨이 베어링(140)과의 간섭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중심축(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캡(114)을 더 포함함 할 수 있다. 이탈 방지캡(114)은 바퀴 고정부(111)의 삽입단(111a)에 체결되어 바퀴(120)의 이탈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탈 방지캡(114)은 상술한 바퀴 고정부(111)의 삽입단(111a)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바퀴(120)는 중심축(110)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바퀴(120)의 중심 체결공(121)과 중심축(110)의 바퀴 고정부(111)는 키 결합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바퀴(12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발 받침부(150)(160)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발 받침부(150)(160)의 평면 및 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바퀴(120)가 제1 및 제2 발 받침부(150)(160) 사이에 놓이고 제1 및 제2 발 받침부(150)(160)의 평면 아래로 속박되지 않고 평면과 저면으로 각각 돌출된 상태를 가지므로, 바퀴(120)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는 충분히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축 지지부(130)는 중심축(1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축 지지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지지판(131), 제1 고정 브라켓(132), 그리고 제2 고정 브라켓(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중심 지지판(131), 제1 고정 브라켓(132), 그리고 제2 고정 브라켓(133)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중심 지지판(131)은 그 내주면이 원웨이 베어링(140)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중심 지지판(131)과 원웨이 베어링(140)의 외주면이 고정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웨이 베어링(140)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외부 커버(141)에는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산(141a)이 형성될 수 있고, 중심 지지판(131)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산(141a)에 계합되어 고정되도록 복수의 골(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 브라켓(132)은 중심 지지판(131)의 일면을 고정하고 제1 및 제2 발 받침부(150)(160)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132a)(132b)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 브라켓(132)에 의해 중심 지지판(131)이 그 일면을 향해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제1 및 제2 연결부(132a)(132b)를 통해 제1 및 제2 발 받침부(150)(160)와 연결되므로 사용자의 발의 힘을 바퀴(1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고정 브라켓(133)은 중심 지지판(131)의 타면을 고정하고 제1 및 제2 발 받침부(150)(160)에 각각 연결되는 제3 및 제4 연결부(133a)(133b)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고정 브라켓(133)에 의해 중심 지지판(131)이 그 타면을 향해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제3 및 제4 연결부(133a)(133b)를 통해 제1 및 제2 발 받침부(150)(160)와 연결되므로 상술한 제1 및 제2 연결부(132a)(132b)와 함께 사용자의 발의 힘을 완벽하게 바퀴(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축 지지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조절 와셔(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조절 와셔(134)는 중심 지지판(131)과 제1 고정 브라켓(132) 사이에 구비되어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간격 조절 와셔(134)는 간격을 조절 하기 위해 중심 지지판(131)과 제2 고정 브라켓(133) 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부호 "137"은 체결 볼트를 가리키고, 이러한 체결 볼트(137)는 제1 고정 브라켓(132)과, 중심 지지판(131)과, 제2 고정 브라켓(133)을 체결시키는 것과, 제1 고정 브라켓(132)과, 제1 발 받침부(150)와, 제2 고정 브라켓(133)을 체결시키는 것과, 그리고 제1 고정 브라켓(132)과, 제2 발 받침부(160)와, 제2 고정 브라켓(133)을 체결시키는 것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원웨이 베어링(140)은 중심축(110)과 축 지지부(130) 사이에 구비되어 중심축(110)을 한 방향으로만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원웨이 베어링(140)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볼(ball)과 볼 사이에 리테이너(retainer) 등이 구비되어 이 리테이너 등에 의해 한 방향으로만 볼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기술구성을 가진다. 또한, 원웨이 베어링(140)의 외주면과 중심 지지판(131)이 고정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웨이 베어링(140)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외부 커버(141)에는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산(141a)이 형성될 수 있고, 중심 지지판(131)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산(141a)에 계합되어 고정되도록 복수의 골(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발 받침부(150)는 축 지지부(130)의 일단에 연장되되 중심축(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발 받침부(150)는 축 지지부(130) 중 상술한 제1 고정 브라켓(132)의 제1 연결부(132a)와, 제2 고정 브라켓(133)의 제3 연결부(133a)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발 받침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S)과 발판(F)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S)은 축 지지부(130)의 일단[예를 들어, 제1 고정 브라켓(132)의 제1 연결부(132a)와 제2 고정 브라켓(133)의 제2 연결부(132b)]에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절곡부(B)를 가질 수 있고, 발판(F)은 프레임(S)의 절곡부(B)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S)의 절곡부(B)와 발판(F)을 통해 사용자의 발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발 받침부(160)는 축 지지부(130)의 타단에 연장되되 상술한 제1 발 받침부(150)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발 받침부(160)는 축 지지부(130) 중 상술한 제1 고정 브라켓(132)의 제2 연결부(132b)와, 제2 고정 브라켓(133)의 제4 연결부(133b)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발 받침부(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S)과 발판(F)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S)은 축 지지부(130)의 타단[예를 들어, 제1 고정 브라켓(133)의 제2 연결부(132b)와 제2 고정 브라켓(133)의 제4 연결부(133b)]에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절곡부(B)를 가질 수 있고, 발판(F)은 프레임(S)의 절곡부(B)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 발 받침부(150)와 함께 절곡부(B)와 발판(F)을 통해 사용자의 발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휠 보드(100)의 사용 방법, 즉 원 휠 보드(100)를 통해 자체 추진력을 얻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원 휠 보드에 자체 추진력을 가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먼저, 제1 및 제2 발 받침부(150)(160)에 사용자의 양 발을 각각 올려 놓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중을 바퀴(120)를 기준으로 원웨이 베어링(140)의 회전 방향으로 옮기면, 제1 발 받침부(150)(도면상 좌측부)에 체중이 쏠리면서 바퀴(120)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원 휠 보드(100)는 자체 추진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후, 원 휠 보드(100)의 자체 추진력이 약해지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중을 바퀴(120)를 기준으로 원웨이 베어링(140)의 회전 정지 방향으로 옮기면, 제2 발 받침부(160)(도면상 우측부)에 체중이 쏠린다. 이 때, 원웨이 베어링(140)에 의해 원 휠 보드(100)는 뒤로 후진하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바로 사용자의 체중을 바퀴(120)를 기준으로 원웨이 베어링(140)의 회전 방향으로 다시 옮기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 받침부(150)(도면상 좌측부)에 체중이 쏠리면서 바퀴(120)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원 휠 보드(100)는 자체 추진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원 휠 보드(100)의 자체 추진력을 지속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휠 보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발 받침부(150)와 상기 제2 발 받침부(160) 사이에 하나의 바퀴(120)를 제공하고, 바퀴(120)가 원웨이 베어링(140)에 의해 축 지지부(130)와 결합되는 기술구성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체중을 바퀴(120)를 기준으로 원웨이 베어링(140)의 회전 방향으로 옮기면 자체 추진력을 얻을 수 있고, 자체 추진력이 약해지면 사용자의 체중을 바퀴(120)를 기준으로 원웨이 베어링(140)의 회전 정지 방향으로 옮긴 후[이 때, 원웨이 베어링(140)에 의해 뒤로 후진하지 않음] 다시 위의 동작을 반복하면서 자체 추진력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바퀴(120)가 제공되므로 공간상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갖는 바퀴(120)를 사용할 수 있어, 도로의 낮은 턱에도 걸리지 않아 통학 또는 출퇴근용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원 휠 보드 110: 중심축
111: 바퀴 고정부 111a: 삽입단
112: 베어링 체결부 112a: 나사산
113: 간섭 방지턱 114: 이탈 방지캡
120: 바퀴 121: 중심 체결공
130: 축 지지부 131: 중심 지지판
131a: 골 132: 제1 고정 브라켓
132a: 제2 연결부 132b: 제2 연결부
133: 제2 고정 브라켓 133a: 제3 연결부
133b: 제4 연결부 134: 간결 조절 와셔
140: 원웨이 베어링 141: 외부 커버
141a: 산 150: 제1 발 받침부
160: 제2 발 받침부 B: 절곡부
P: 프레임 F: 발판

Claims (8)

  1. 중심축;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는 바퀴;
    상기 중심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
    상기 중심축과 상기 축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중심축을 한 방향으로만 회동시키는 원웨이 베어링;
    상기 축 지지부의 일단에 연장되되 상기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발 받침부; 및
    상기 축 지지부의 타단에 연장되되 상기 제1 발 받침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발 받침부
    를 포함하는 원 휠 보드.
  2. 제1항에서,
    상기 중심축은,
    상기 바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퀴 고정부;
    상기 원웨이 베어링의 내주면이 체결되는 베어링 체결부; 및
    상기 바퀴 고정부와 상기 베어링 체결부 사이에 돌출되어 상기 바퀴와 상기 원웨이 베어링과의 간섭을 차단하는 간섭 방지턱을 포함하는 원 휠 보드.
  3. 제2항에서,
    상기 중심축은
    상기 바퀴 고정부의 삽입단에 구비되어 상기 바퀴의 이탈을 막는 이탈 방지캡을 더 포함하는 원 휠 보드.
  4. 제1항에서,
    상기 축 지지부는,
    상기 원웨이 베어링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고정되는 중심 지지판;
    상기 중심 지지판의 일면을 고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발 받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를 가지는 제1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중심 지지판의 타면을 고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발 받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3 및 제4 연결부를 가지는 제2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원 휠 보드.
  5. 제4항에서,
    상기 원웨이 베어링의 상기 외주면에는 상기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산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 지지판의 상기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산에 계합되어 고정되도록 복수의 골이 형성되는 원 휠 보드.
  6. 제4항에서,
    상기 축 지지부는,
    상기 중심 지지판과 상기 제1 고정 브라켓 사이에 구비되어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와셔를 더 포함하는 원 휠 보드.
  7. 제1항에서,
    상기 바퀴는,
    상기 제1 및 제2 발 받침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발 받침부의 평면 및 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는 원 휠 보드.
  8. 제1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발 받침부 각각은,
    상기 축 지지부의 상기 일단에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가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절곡부에 구비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원 휠 보드.
KR1020140027117A 2014-03-07 2014-03-07 원 휠 보드 KR101444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117A KR101444299B1 (ko) 2014-03-07 2014-03-07 원 휠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117A KR101444299B1 (ko) 2014-03-07 2014-03-07 원 휠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299B1 true KR101444299B1 (ko) 2014-09-26

Family

ID=5176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117A KR101444299B1 (ko) 2014-03-07 2014-03-07 원 휠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2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7362A1 (en) * 2015-11-03 2017-05-11 Koofy Development Limited Self balancing single wheel board with shock absorber
CN107213620A (zh) * 2017-06-27 2017-09-29 杭州轮语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平衡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593A (ko) * 2010-06-27 2012-01-04 전정호 이륜 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593A (ko) * 2010-06-27 2012-01-04 전정호 이륜 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7362A1 (en) * 2015-11-03 2017-05-11 Koofy Development Limited Self balancing single wheel board with shock absorber
CN107213620A (zh) * 2017-06-27 2017-09-29 杭州轮语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平衡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2641B2 (en) Recreational vehicle
JP2009533133A (ja) 自発的前進が可能なボード
EP2186553A1 (en) Three-wheeled skateboard system and method
JP2006224960A (ja) 組立式走行体
JP3212384U (ja) キックバイク・自転車両用車
US8403342B1 (en) Bicycle ski attachment assembly
US8925937B2 (en) Toddler walker
KR101444299B1 (ko) 원 휠 보드
US9533727B2 (en) Unicycle with inner leg supports
US20070278758A1 (en) Avalanche skateboard
KR200436102Y1 (ko) 킥보드
US8696001B1 (en) Skateboard bindings
US20130270807A1 (en) Stand
KR20220163705A (ko) 보조바퀴가 구비된 전동 킥보드
KR10161196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1336662B1 (ko) 스케이팅 운동기구
KR10094954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 보드.
KR200228469Y1 (ko) 자전거
KR101689504B1 (ko) 페달
KR100402552B1 (ko) 자전거
KR200301206Y1 (ko) 롤러보드
KR101724891B1 (ko) 핸들스틱 탈부착식 스케이트보드
KR20120017168A (ko) 자가구동식 스케이트보드
KR200479245Y1 (ko) 휠스케이트
JP2521799B2 (ja) 一輪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