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547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 보드.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547B1
KR100949547B1 KR1020090040437A KR20090040437A KR100949547B1 KR 100949547 B1 KR100949547 B1 KR 100949547B1 KR 1020090040437 A KR1020090040437 A KR 1020090040437A KR 20090040437 A KR20090040437 A KR 20090040437A KR 100949547 B1 KR100949547 B1 KR 100949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kateboard
plate
spring devic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주
Original Assignee
전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주 filed Critical 전현주
Priority to KR102009004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4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hock absorption or suspension system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트(1), 상기 플레이트(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퀴 조립체(2)를 포함하는 스케이트 보드에 형성되는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3)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바퀴조립체(2)의 상단에 위치하여 바퀴조립체(2)를 지지하는 충격흡수 장치(3)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높이 및 균형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플레이트(1), 상기 플레이트(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퀴 조립체(2)를 포함하는 스케이트 보드에 형성되는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3)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 저면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숫나사산(11)이 형성되는 조절부재(10), 상기 조절부재(10)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21)이 형성된 중공이 상단면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탄성체(22)가 구비되는 실린더(20), 상기 바퀴 조립체(2)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20)로 삽입되어 체결되며, 실린더(20) 내측의 탄성체(22)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피스톤(30);을 포함하여 높이 및 균형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1), 상기 플레이트(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퀴 조립체(2)를 포함하는 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바퀴조립체(2)의 상단에 위치하여 바퀴조립체(2)를 지지하는 충격흡수 장치(3)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높이 및 균형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 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가 구비된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스케이트 보드, 탄성체, 스프링, 실린더, 충격흡수, 서스펜션, 나사산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 보드.{Height control possible spring device and skateboard using the same spring device}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의 충격흡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스케이트 보드의 플레이트와 바퀴 사이에 형성되어 충격흡수 작용을 하며, 스케이트 보드와 지면간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케이트 보드는 사용자의 양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일체형의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저면으로 하나 이상의 바퀴들이 구성되며, 각종 묘기를 구현할 수 있는 레저스포츠 기구이다.
이때에, 사용자는 양발을 플레이트에 올리고 선 상태에서 양발 중 진행방향에 있는 한쪽 발을 지그재그로 움직이도록 하여 추진력을 얻어서 주행하거나, 한쪽 발만 플레이트에 올린 상태에서 다른쪽 발로 지면을 차는 동작을 반복하여 추진력을 얻음으로 주행하게 된다.
그러나, 스케이트 보드를 주행함에 있어서, 양 발을 플레이트에 올린 상태에 서 한 발을 지그재그로 움직이도록 하여 추진력을 얻는 동작은 숙련자가 아닌 경우에는 쉽지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한쪽 발을 플레이트에 올린 상태에서 다른쪽 발을 이용하여 지면을 차서 추진력을 얻는 경우에는 동작에 힘이 들고, 지속적으로 지면을 차주어야 주행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스케이트 보드의 바퀴는 스케이트의 저면에 고정되어 형성되므로,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0470766호는 십자형으로 그 좌우측에 양발이 놓여지는 발판이 형성된 일체형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 끝단에 하나 이상을 각각 부착시켜 방향성을 제공하는 앞 방향성 캐스터,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 발판의 후단에서 회동하게 마련되되 인위적인 가압력에 의해 지면에 접촉하여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부를 구성하여, 발판에 운전자가 두 발을 올려놓고 좌우로 비트는 동작에 의해 플레이트와 발판에 구비된 캐스터들이 움직이면서 생기는 추진력으로 앞으로 진행하게 되고 발판에 구비된 브레이크로 쉽게 제동하거나 속도를 조절할수 있는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고 있다.
더불어, 등록특허 제10-0394848호는 앞보드와 뒷보드를 이격상태로 고정시키는 연결요소를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두개의 보드중 적어도 하나는 플레이트의 저면에 부착되는 1이상의 방향성캐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요소는 비틀림 또는 굽힘시 탄성복원할 수 있는 탄성체를 구비하도록 하여, 스케이트보드의 주행 중 작은 회전반경으로 회전이 용이하게 하며, 주행시 추진력을 얻기위해 발로 지면을 구르는 대신 몸의 비틀림 운동만으로도 추진할 수 있는 스케이 트보드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건들은 주행 시 추진력을 얻기위해 발로 지면을 차는 대신 사용자의 몸을 좌우로 비틀도록 하여 추진력을 용이하게 얻도록 하였으나, 다양한 각종 묘기의 구현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야기되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고, 스케이트 보드의 플레이트가 좌,우로 용이하게 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사용자에 따라서 스케이트 보드와 지면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 보드는, 플레이트(1), 상기 플레이트(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퀴 조립체(2)를 포함하는 스케이트 보드에 형성되는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3)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바퀴조립체(2)의 상단에 위치하여 바퀴조립체(2)를 지지하는 충격흡수 장치(3)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높이 및 균형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에, 본 발명의 충격흡수 장치(3)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는, 상기 플레이트(1)의 저면과 결합되는 일단과, 상기 바퀴 조립체(2)에 고정되는 타단을 가진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는, 상기 플레이트(1)의 저면에 결합되는 일단과, 상기 바퀴 조립체(2)에 고정되는 타단을 가진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1), 상기 플레이트(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퀴 조립체(2)를 포함하는 스케이트 보드에 형성되는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3)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 저면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숫나사산(11)이 형성되는 조절부재(10), 상기 조절부재(10)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21)이 형성된 중공이 상단면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탄성체(22)가 구비되는 실린더(20), 상기 바퀴 조립체(2)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20)로 삽입되어 체결되며, 실린더(20) 내측의 탄성체(22)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피스톤(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린더(20)의 암나사산(21)은, 상기 조절부재(10)의 숫나사산(11)을 따라 실린더(20)를 회동시켜 상기 실린더(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절부재(10)는, 실린더(20)의 내측과 체결되는 끝단은 실린더(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실린더(20)의 중공보다 큰 원주를 가지는 원판 형태의 실린더 고정부재(12)가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조절부재(10)는,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12)의 하단면에 탄성체(22)가 고정되는 탄성체 고정부재(13)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조절부재(10)는, 상기 조절부재(10)가 플레이트(1)와 고정되도록 하는 플레이트 고정부재가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플레이트 고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1)의 상단면으로 상기 조절부재(10)의 나사산(11)과 나사결합되는 제 1너트(14a)와, 상기 플레이트(1)의 하단면으로 상기 조절부재(10)의 나사산(11)과 나사결합되는 제 2너트(14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스톤(30)은, 바퀴 조립체(2)에 고정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축부재(31)와, 상기 축부재(31)의 끝단에 피스톤 헤드(32)가 형성되어, 실린더(20)의 내측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에, 상기 피스톤(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 링(33)이 상기 피스톤 헤드(32)의 외주면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탄성체(22)는 코일 스프링(4a), 판 스프링(4b)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 상기 플레이트(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퀴 조립체(2)를 포함하는 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바퀴조립체(2)의 상단에 위치하여 바퀴조립체(2)를 지지하는 충격흡수 장치(3)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높이 및 균형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가 구비된 스케이트 보드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케이트 보드를 타고 주행할 시,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의 플레이트가 좌,우로 운동되도록 하여 추진력을 얻기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숙련된 정도에 따라 스케이트 보드의 플레이트와 지면과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주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 보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 상기 플레이트(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퀴 조립체(2)를 포함하는 스케이트 보드에 형성되는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3)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바퀴조립체(2)의 상단에 위치하여 바퀴조립체(2)를 지지하는 충격흡수 장치(3)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높이 및 균형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에, 상기 충격흡수 장치(3)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레이트(1)와 바퀴 조립체(2)를 탄성체만으로 지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할 경우에는 볼트와 너트를 탄성체 내측으로 형성하여 플레이트(1)와 바퀴 조립체(2)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는 상기 플레이트(1)의 저면과 결합되는 일단과, 상기 바퀴 조립체(2)에 고정되는 타단을 가진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는 상기 플레이트(1)의 저면에 결합되는 일단과, 상기 바퀴 조립체(2)에 고정되는 타단을 가진 판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플레이트(1), 상기 플레이트(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퀴 조립체(2)를 포함하는 스케이트 보드에 형성되는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3)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 저면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숫나사산(11)이 형성되는 조절부재(10), 상기 조절부재(10)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21)이 형성된 중공이 상단면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탄성체(22)가 구비되는 실린더(20), 상기 바퀴 조립체(2)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20)로 삽입되어 체결되며, 실린더(20) 내측의 탄성체(22)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피스톤(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실린더(20)의 암나사산(21)은, 상기 조절부재(10)의 숫나사산(11)을 따라 실린더(20)를 회동시켜 상기 실린더(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린더(20)는 상, 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플레이트(1)와 지면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조절부재(10)는, 실린더(20)의 내측과 체결되는 끝단은 실린더(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실린더(20)의 중공보다 큰 원주를 가지는 원판 형태의 실린더 고정부재(12)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10)는,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12)의 하단면에 탄성체(22)가 고정되는 탄성체 고정부재(13)가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조절부재(10)는, 상기 조절부재(10)가 플레이트(1)와 고정되도록 하는 플레이트 고정부재가 더 형성된다.
이때에,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1)의 상단면으로 상기 조절부재(10)의 나사산(11)과 나사결합되는 제 1너트(14a)와, 상기 플레이트(1)의 하단면으로 상기 조절부재(10)의 나사산(11)과 나사결합되는 제 2너트(14b)로 구성된 다.
이러한, 플레이트 고정부재는 상기 조절부재(10)를 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피스톤(30)은, 바퀴 조립체(2)에 고정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축부재(31)와, 상기 축부재(31)의 끝단에 피스톤 헤드(32)가 형성되어, 실린더(20)의 내측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에, 상기 피스톤(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 링(33)이 상기 피스톤 헤드(32)의 외주면에 더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22)는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라 탄성체를 판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실린더(20) 내측의 탄성체를 판 스프링으로 구비하여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고, 지면과의 거리 조절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플레이트(1), 상기 플레이트(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퀴 조립체(2)를 포함하는 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바퀴조립체(2)의 상단에 위치하여 바퀴조립체(2)를 지지하는 충격흡수 장치(3)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높이 및 균형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가 구비된 스케이트 보드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플레이트(1), 상기 플레이트(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퀴 조립체(2)를 포함하는 스케이트 보드, 상기 플레이트(1) 저면에 충격흡수 장치(3)를 형성함으로 달성된다.
이때에, 상기 충격흡수 장치(3)는 바퀴 조립체(2)와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플레이트(1)와 고정되며, 바퀴 조립체(2)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충격흡수 장치는 탄성체로 구성하여, 충격을 흡수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이거나, 판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체는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탄성체의 탄성 및 복원 작용으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다.
본 발명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부재(10)는 실린더 고정부재(12)가 실린더(20) 내측의 상단면에 위치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플레이트(1)와 고정되어 진다.
이때에, 조절부재(10)의 고정을 위하여, 플레이트(1)의 상단면으로 상기 조절부재(10)의 나사산(11)과 제 1너트(14a)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1)의 하단면으로 상기 조절부재(10)의 나사산(11)과 제 2너트(14b)가 나사결합되어지며, 이러한 조절부재(10)의 플레이트(1) 내에 고정을 위하여 플레이트(1)에는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재(10)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너트(14a)와 제 2너트(14b)는 상,하 방향의 길이를 짧은 것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실린더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하도록 함이다.
따라서, 제 1너트(14a)와 제 2너트(14b)는 상기 조정부재가 고정될 수 있을만큼의 고정력을 가지며, 실린더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하 길이가 짧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조절부재(10)에 체결되는 실린더(20)는 상단면에 실린더 고정 부재(12)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12)의 하단면에는 탄성체(22)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체 고정부재(13)를 형성하여 탄성체(22)를 고정시킨다.
이때에,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12)는 실린더(20)가 상기 조절부재(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실린더(20) 내측의 상단면에 형성되되, 실린더(20)의 암나사산(21)이 형성된 중공보다 큰 원주를 가지는 원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실린더(20) 내측의 탄성체(22) 하단에는 피스톤(30)이 위치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린더 내부의 탄성체가 압력을 받았을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피스톤(30)은 바퀴 조립체(2)와 고정되는 원통형의 축부재(31)의 끝단에 피스톤 헤드(32)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헤드(32)는 상기 탄성체(22)와 맞닿아 바퀴 조립체(2)로부터 압력이 가해졌을 경우, 피스톤(30)이 실린더(20) 내측에서 상, 하방향으로 운동되도록 작용한다.
이때에, 상기 피스톤(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 링(33)이 상기 피스톤 헤드(32)의 외주면에 더 형성되므로, 실린더(20) 내에서 상, 하방향으로 운동을 하는 피스톤(30)의 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린더(20) 내측의 탄성체(22)가 피스톤(30)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상, 하방향으로 운동되도록 하여,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이 플레이트(1)와 플레이트(1)에 서서 주행을 하는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고, 탄성체(22)와 피스톤(30)으로부터 흡수되도록 작용한다.
더불어, 사용자가 플레이트(1)에 선 상태에서 주행을 하는 경우,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몸을 흔들거나 발에 힘을 주어 플레이트(1)가 좌, 우측으로 용이하게 흔들리도록 작용하여 쉽게 추진력이 발생되도록 작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린더를 나사산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린더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실린더 내부의 탄성체가 압력을 받았을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플레이트(1)와 지면과의 높낮이의 조절을 상기 조절부재(10)의 숫나사산(11)과, 실린더(20)의 상단면에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에 상기 조절부재(10)의 숫나사산(11)과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21)을 형성함으로 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본 발명은 조절부재(10)에 숫나사산(11)을 형성하고, 상기 숫나사산(11)과 나사결합될수 있도록 암나사산(21)을 상기 실린더(20)의 중공 내주 면에 형성하여, 실린더(2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20)는 조절부재(10)의 숫나사산(11)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에, 상기 실린더(20)를 조절부재의 숫나사산(11)을 따라서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시켰을 경우, 상기 조절부재(10)의 끝단에 형성된 실린더 고정부재(12)는 상기 실린더(2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지는 이동거리만큼 상기 실린더(20) 내측의 탄성체(22)를 압박하여 상기 탄성체(22)가 탄성력과 복원력을 가지고 작용할 수 있는 공간을 축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레이트(1)에 선 채 주행하게 되면,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덜 흡수하게 되지만, 플레이트(1)의 흔들림은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실린더(2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진 이동거리만큼 플레이트(1)와 지면이 가까워지므로, 사용자가 주행 시 보다 안정적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후술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라 탄성체를 판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린더 내부의 탄성체가 압력을 받았을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린더를 나사산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린더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실린더 내부의 탄성체가 압력을 받았을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레이트 2 : 바퀴 조립체
10 : 조절부재 11 : 숫나사산
12 : 실린더 고정부재 13 : 탄성체 고정부재
14a : 제 1너트 14b : 제 2너트
20 : 실린더 21 : 암나사산
22 : 탄성체 30 : 피스톤
31 : 축부재 32 : 피스톤 헤드
33 : 피스톤 링

Claims (14)

  1. 플레이트(1), 상기 플레이트(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퀴 조립체(2)를 포함하는 스케이트 보드에 형성되는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3)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 저면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숫나사산(11)이 형성되는 조절부재(10);
    상기 조절부재(10)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21)이 형성된 중공이 상단면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탄성체(22)가 구비되는 실린더(20);
    상기 바퀴 조립체(2)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20)로 삽입되어 체결되며, 실린더(20) 내측의 탄성체(22)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피스톤(30);을 포함하여 높이 및 균형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0)의 암나사산(21)은,
    상기 조절부재(10)의 숫나사산(11)을 따라 실린더(20)를 회동시켜 상기 실린더(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실린더(20)의 내측과 체결되는 상기 조절부재(10)의 끝단에는 실린더(20)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원판 형태의 실린더 고정부재(12)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10)는,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12)의 하단면에 탄성체(22)가 고정되는 탄성체 고정부재(13)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10)는,
    상기 조절부재(10)가 플레이트(1)와 고정되도록 하는 플레이트 고정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1)의 상단면으로 상기 조절부재(10)의 나사산(11)과 나사결합되는 제 1너트(14a)와;
    상기 플레이트(1)의 하단면으로 상기 조절부재(10)의 나사산(11)과 나사결합되는 제 2너트(14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0)은,
    바퀴 조립체(2)에 고정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축부재(31)와;
    상기 축부재(31)의 끝단에 피스톤 헤드(32);가 형성되어, 실린더(20)의 내측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 링(33)이 상기 피스톤 헤드(32)의 외주면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2)는 코일 스프링(4a), 판 스프링(4b)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90040437A 2009-05-08 2009-05-0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 보드. KR100949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437A KR100949547B1 (ko) 2009-05-08 2009-05-0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437A KR100949547B1 (ko) 2009-05-08 2009-05-0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547B1 true KR100949547B1 (ko) 2010-03-25

Family

ID=4218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437A KR100949547B1 (ko) 2009-05-08 2009-05-0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5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206B1 (ko) * 2016-06-02 2016-11-09 구자도 도로표지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203A (ko) * 2003-03-18 2004-09-24 배승범 롤러블레이드
KR200412204Y1 (ko) * 2005-12-02 2006-03-23 이응시 완충장치 인라인스케이트
KR100576270B1 (ko) 2004-06-30 2006-05-08 박성현 인라인스케이트의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203A (ko) * 2003-03-18 2004-09-24 배승범 롤러블레이드
KR100576270B1 (ko) 2004-06-30 2006-05-08 박성현 인라인스케이트의 완충장치
KR200412204Y1 (ko) * 2005-12-02 2006-03-23 이응시 완충장치 인라인스케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206B1 (ko) * 2016-06-02 2016-11-09 구자도 도로표지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33133A (ja) 自発的前進が可能なボード
JP2007532278A (ja) 足推進式車輪付きホビー用具及び/又はスポーツ用具
EP2209540A2 (en) Cam action caster assembly for ride-on devices
US7980573B1 (en) Spring board
US11033800B2 (en) Board apparatus with a pivot wheel for traversing inclines
US20090174163A1 (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for supporting a user&#39;s foot
US10039955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60001166A1 (en) Self-propelled skateboard
US20150042054A1 (en) Nezha cycle
KR10094954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 보드.
RU2004130434A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передвиженн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активного отдыха
US4515382A (en) Occupant propelled wheeled device
KR101444299B1 (ko) 원 휠 보드
KR100844620B1 (ko) 썰매형 롤러보드
US20140221129A1 (en) Adjustable Batting Apparatus
KR20060115984A (ko) 스케이트보드
KR101336662B1 (ko) 스케이팅 운동기구
KR200380850Y1 (ko) 트라이씨클
US11745086B1 (en) Onewheel support systems and apparatus
KR20090081888A (ko) 전진력 제공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KR200382173Y1 (ko) 엔진이 장착된 무핸들 자전거
KR200381550Y1 (ko)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인라인 스케이트
KR200325131Y1 (ko) 충격 흡수 및 순조로운 속도 진행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 쿠션장치
AU2015271629B2 (en) Wheeled transportation device
JP3179393U (ja) スケ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