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550Y1 -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인라인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인라인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550Y1
KR200381550Y1 KR20-2005-0000914U KR20050000914U KR200381550Y1 KR 200381550 Y1 KR200381550 Y1 KR 200381550Y1 KR 20050000914 U KR20050000914 U KR 20050000914U KR 200381550 Y1 KR200381550 Y1 KR 200381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wheel
inline
brak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창 연 윤
Original Assignee
창 연 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 연 윤 filed Critical 창 연 윤
Priority to KR20-2005-0000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5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5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09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one or more of the wheels
    • A63C17/141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one or more of the wheels with radial movement against the roll surface of the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또는 바퀴)의 마찰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과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직선 운동하는 핸들부와, 브레이크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휠에 대한 마찰을 조절하는 브레이크부와, 상기 핸들부와 상기 브레이크부가 결합되며,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라인 스케이트{APPARATUS FOR ADJUSTING FRICTION OF THE WHEELS IN AN INLINE-SKATE, AND INLINE-SKATE WITH THE APPARATUS}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휠과 휠 사이에 브레이크 패드를 삽입하여 핸들 회전시 이와 연동된 슬라이더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브레이크 패드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휠에 마찰을 가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인라인 스케이트는 많은 대중으로부터 각광받는 생활 스포츠 중에 하나이다. 그리고, 인라인 스케이트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보통 피트니스 스케이트(Fitness Skate), 어그레시브 스케이트(Aggressive Skate), 레이싱 스케이트(Racing Skate), 하키용 스케이트(Hockey Skate) 등이 있다.
피트니스 스케이트는 기본적인 스케이트로서, 초급자와 중급자에게 적당하며 교통수단으로 스케이트를 타려고 할 때에도 적합하다. 피트니스 스케이트는 유연하고 편안해서 장거리 스케이팅에 좋다.
어그레시브 스케이트는 거칠고, 체력소모가 많고 위험한 스케이팅에 적합한 스케이트로서, 튼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어그레시브 스케이트는 피트니스 스케이트에 비해 값이 비싸고 스케이트 뼈대를 보호하기 위해 미끄럼 판(grind plate)가 부착되어 있다.
레이싱 스케이트는 속도감을 즐기는 사람에게 적합한 스케이트로서, 매우 고가이며 경기용 스케이트로서 사용된다. 보통 휠은 4륜 보다는 5륜인 경우가 많고 휠의 지름은 80mm ~ 100mm 이며 경도가 강한 편이다.
하키용 스케이트는 빙판에서 즐기는 아이스하키를 일반 지상에서 즐길 수 있도록 변형한 스케이트로서, 방향전환 및 민첩성등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휠의 지름도 다른 스케이트에 비해 작은편이다.
이와 같은 인라인스케이트는 부츠와, 4개 또는 5개의 휠과, 상기 부츠와 휠을 지지 및 연결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제동시 사용하는 브레이크 장치(스케이트의 특성에 따라 구비되지 않은 것도 있음)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동장치는 대부분 스케이트 후미에 부착되어 있으며 바닥과 큰 마찰력을 갖도록 보통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는 주행 및 제동에 미숙한 초보자가 사용하는 경우 비록 상기 제동장치 및 보호장구가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처음 신고 일어설 때 또는 다 타고 난 후에 벗으려 할 때 중심이 뒤쪽으로 쏠리면서 넘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행시 휠에 결합된 베어링의 회전에 의해 속도가 빠르게 상승하여 초보자의 경우 빠른 속도에 적응할 수 없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그리고,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고 계단 또는 언덕을 올라갈 때나 또는 내려갈 때 휠에 결합된 베어링의 갑작스런 회전에 의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휠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인라인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인라인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의 마찰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핸들과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직선운동하는 핸들부와, 브레이크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휠에 대한 마찰을 조절하는 브레이크부와, 상기 핸들부와 상기 브레이크부가 결합되며,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5)에 결합되는 스크루(10)와, 상기 스크루(10)를 상기 핸들(5) 및 몸체부(30)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스크루(10)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새겨진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루(10)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고정시키는 패드 홀더(40)와, 상기 몸체부(30)와 상기 패드 홀더(40)의 사이에 결려져 상기 휠에 대한 마찰을 경감하는 방향으로 상기 패드 홀더(40)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55)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아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는 핸들(5), 스크루(10), 복수의 너트(15a, 15b, 15c, 15d, 15e), 링(20), 스크루 연결핀(25) 및 슬라이더(35)로 이루어진 핸들부(100)와, 브레이크 패드(50), 패드 고정나사(45), 패드 홀더(40), 홀더 지지핀(60) 및 스프링(55)으로 이루어진 브레이크부(200)와, 몸체부(3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상기에서 핸들부(100)에 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핸들부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슬라이더의 측면도이다.
핸들부(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들(5), 스크루(10), 복수의 너트(15a, 15b, 15c, 15d, 15e), 링(20), 스크루 연결핀(25) 및 슬라이더(35)로 이루어져 있다. 핸들(5)은 스크루(10)와 두개의 너트(15a, 15b)로 결합되어 있고, 핸들(5) 회전시 스크루(10)가 동일한 회전속도와 방향으로 회전한다. 핸들(5)의 중심은 스크루(1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스크루(10)가 결합되고 핸들(5)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한개씩의 너트(15a, 15b)가 스크루(10) 및 너트(15a, 15b)의 나사산을 통해 결합되어 핸들(5) 회전시 스크루(10)가 동일 방향 및 동일 속도로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스크루(10)가 몸체부(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두개의 너트(15c, 15d)가 연속으로 결합되고 여기에 황동으로 이루어진 링(20)이 결합된다. 그리고, 링(20) 밖으로 돌출된 스크루(10)가 몸체부(30)의 격벽(30a)의 체결구를 통과하여 몸체부(30) 내부로 진입하고 이후 너트(15e)가 결합되고, 스크루 연결핀(25)을 통해 너트(15e)는 스크루(10)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핸들(5) 회전시 너트(15a, 15b, 15c, 15d, 15e), 스크루 연결핀(25) 및 스크루(10)는 좌우로 이동없이 그 자리에서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그다음, 스크루(10) 우측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슬라이더(35)가 결합된 후, 몸체부(30) 최종 체결구에 상기 스크루(10)의 끝단(10a)이 결합된다. 스크루(10)는 몸체부(30)의 끝단(10a)에 결합되는데 스크루(10)의 끝단(10a)에는 회전시 좌우 이동이 없도록 나사산이 제거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35)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스크루(10)가 결합되는 나사산이 새겨진 통로가 있으며, 핸들(5) 회전시 스크루(1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더(35)가 좌 우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부에 관하여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도 1의 브레이크부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1의 브레이크부의 측면도이고, 도 5a는 도 1의 스프링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도 1의 스프링의 측면도이다.
브레이크부(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패드(50), 패드 고정나사(45), 패드 홀더(40), 홀더 지지핀(60) 및 스프링(55)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브레이크 패드(50)는 패드 고정나사(45)를 통해 패드 홀더(40)에 결합 및 고정되고, 패드 홀더(40)에는 두개의 결합홈(40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사이에 스프링(55)이 삽입되고 홀더 지지핀(60)을 통해 몸체부(30)와 결합된다. 상기에서 스프링(55)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걸림핀(55a, 55b)을 가지며, 하나의 걸림핀(55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의 격벽(30a)의 소정 부분에 걸려지고, 다른 걸림핀(55b)은 패드 홀더(40)에 걸려져 항상 일정 탄성으로 패드 홀더(40)를 상향으로 밀어낸다.
상기의 구성을 바탕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의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두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첫번째 동작은 휠에 마찰을 가하는 동작이다. 사용자가 핸들부(100)의 핸들(5)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와 연결된 스크루(10)가 동시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몸체부(30)의 격벽(30a)을 중심으로 좌측에 있는 두개의 너트(15c, 15d) 및 링(20)이 회전하고 우측에 있는 연결핀(25)에 의해 고정된 너트(15e)도 같이 회전하며, 핸들(5)의 회전에 따른 스크루의 좌우 이동은 없다. 이 때 스크루(10)가 회전하면, 스크루(10)에 결합된 슬라이더(35)는 회전에 따라 나사산의 경로를 통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35)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슬라이더(35)가 빗각을 통해 패드 홀더(40)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브레이크 패드(50)는 휠(65)에 마찰을 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인라인스케이트를 사용하여 이동시 기존보다 더 큰 마찰을 받기 때문에 갑작스런 속도의 증가나 미끄러짐이 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두번째 동작은 휠의 마찰을 줄이는 동작이다. 상기 첫번째 동작 상태에서 사용자가 좀더 높은 속도를 즐기고 싶으면, 사용자가 핸들부(100)의 핸들(5)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와 연결된 스크루(10)가 동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몸체부(30)의 격벽(30a)을 중심으로 좌측에 있는 두개의 너트(15c, 15d) 및 링(20)이 회전하고 우측에 있는 연결핀(25)에 의해 고정된 너트(15e)도 같이 회전하면서, 스크루(10)에 결합된 슬라이더(35)는 회전에 따라 나사산의 경로를 통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35)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프링(55)의 복원력에 의해 패드 홀더(40)가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브레이크 패드(50)가 기존에 휠(65)에 가한 마찰이 없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인라인 스케이트가 기존보다 더 적은 마찰을 받기 때문에 더 높은 속도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모든 동작을 거치게 되면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휠과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마찰을 조절 할 수 있어서 주행 상태에 따라 인라인 스케이트의 속도를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하기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주행하는 지역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대로 휠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저속이 필요한 지역에서는 안전하게 저속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속도가 필요한 지역에서는 자유롭게 속도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핸들부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슬라이더의 측면도.
도 4a는 도 1의 브레이크부의 정면도.
도 4b는 도 1의 브레이크부의 측면도.
도 5a는 도 1의 스프링의 정면도.
도 5b는 도 1의 스프링의 측면도.

Claims (4)

  1.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의 마찰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핸들과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직선 운동하는 핸들부와,
    브레이크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휠에 대한 마찰을 조절하는 브레이크부와,
    상기 핸들부와 상기 브레이크부가 결합되며,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5)에 결합되는 스크루(10)와,
    상기 스크루(10)를 상기 핸들(5) 및 몸체부(30)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스크루(10)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새겨진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루(10)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고정시키는 패드 홀더(40)와,
    상기 몸체부(30)와 상기 패드 홀더(40)의 사이에 결려져 상기 휠에 대한 마찰을 경감하는 방향으로 상기 패드 홀더(40)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55)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4. 휠의 마찰을 조절할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핸들과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직선운동하는 핸들부와,
    브레이크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휠에 대한 마찰을 조절하는 브레이크부와,
    상기 핸들부와 상기 브레이크부가 결합되며,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2005-0000914U 2005-01-12 2005-01-12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인라인 스케이트 KR200381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914U KR200381550Y1 (ko) 2005-01-12 2005-01-12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인라인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914U KR200381550Y1 (ko) 2005-01-12 2005-01-12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인라인 스케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550Y1 true KR200381550Y1 (ko) 2005-04-14

Family

ID=4368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914U KR200381550Y1 (ko) 2005-01-12 2005-01-12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인라인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5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491B1 (ko) 2011-03-21 2012-11-01 권승자 저속을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초급자용 인라인 스케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491B1 (ko) 2011-03-21 2012-11-01 권승자 저속을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초급자용 인라인 스케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4328A (en) Two-wheeled skateboard
EP2593196B1 (en) Wearable device
US5303940A (en) Skate having angularly mounted wheels
US8708354B2 (en) Caster skateboard
US5411276A (en) Roller skate brake
US20120126523A1 (en) Laterally sliding roller ski
US5397138A (en) Braking mechanism for in-line skate
WO1998011960A1 (en) Lateral sliding roller board
CA2117732A1 (en) Composite wheels for in-line roller skates
US7621541B2 (en) Swiveling and pivoting chassis for skates
US20110272903A1 (en) Skateboard Wheel and Method of Maneuvering Therewith
US9844720B2 (en) In-line skate braking device
US8544854B2 (en) Wearable device with attachment system
US6173975B1 (en) V-line skate with expandable axle
US5791665A (en) Roller skate with brake
KR200381550Y1 (ko)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인라인 스케이트
KR20090003996U (ko) 균형이 쉽게 잡히는 에스보드
US20040232633A1 (en) Low profile roller skate
KR200328491Y1 (ko) 인라인 스케이트의 회전바퀴 속도제어장치
KR200400880Y1 (ko) 이중 브레이크 구조를 가진 인라인스케이트
KR200316657Y1 (ko) 인라인스키
WO1998029168A1 (en) Brake device for a roller skate
CN110227252A (zh) 防崴脚及摔伤轮滑鞋
KR200205787Y1 (ko) 킥 브레이드
CN116850568A (zh) 一种(轮式)陆地双板滑雪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