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039A - 스키딩자전거 - Google Patents

스키딩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039A
KR20140027039A KR1020130166249A KR20130166249A KR20140027039A KR 20140027039 A KR20140027039 A KR 20140027039A KR 1020130166249 A KR1020130166249 A KR 1020130166249A KR 20130166249 A KR20130166249 A KR 20130166249A KR 20140027039 A KR20140027039 A KR 20140027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ing
support plate
wheel
swing
wheel 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희
Original Assignee
박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희 filed Critical 박경희
Priority to KR1020130166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7039A/ko
Publication of KR2014002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02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enabling transverse riding, i.e. with one runner or skate per foot and direction transverse to the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Ⅰ. 본 발명은 스키딩(Skiding) 방식으로 추진하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Ⅱ. 본 발명의 자전거를 틸팅(Tilting)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에 관한 것
Ⅲ. 측면으로 추진하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키딩자전거{A Cycle}
Ⅰ. 본 발명은 스키딩(Skid, Skate) 방식으로 추진하는 자전거에 관한 것
Ⅱ. 본 발명의 자전거를 틸팅(Tilting)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에 관한 것
Ⅲ. 본 발명은 측면으로도 추진하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한편, 기존의 자전거의 경우 추진력을 얻기 위해 크랭크, 스프라킷, 변속기 및 체인의 구성이 요구되므로 번잡하고 중량을 차지하며 자전거의 프레임 또한 중량과 원가의 비중을 높이고, 부피를 줄이기위한 번잡한 절첩수단이 요구된다.
Ⅰ.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한 출원특허 제10-2004-0032424호와 관련하는 것으로서 굴절수단에 의해 굴절하여 요동하는 지면에 입상한 요동수단의 각 하측에 주행수단을 구비한 풋보드를 결합하여 탑승자가 발을 얹고 탑승하여 주행하게 된 것으로, 요동수단의 요동시에 흔들리지않고 가능한 안정된 핸들바수단을 구비하여 몸을 지지받을 수 있게하고, 상기 요동수단 상부에 안장을 구비시켜 탑승자가 앉을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상기 탑승자의 발을 편안케하기 위해 상기 풋보드(또는, 풋패드)를 상기 요동에 상관없이 평행 또는 일정각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요동수단상에는 상기 요동에 영향을 적게 받거나 받지않고 안정되게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지지할 요동상쇄수단이 요구된다. 또한, 커브를 돌때 등 상기 승용물을 좌우로 경사시킬 수 있는 수단이 아울러 요구된다.
Ⅱ. 본 발명은, HPV(human powerd vehicle) 종류의 승용물(vehicle)을 탑승자가 좌우로 틸팅을 하면서 코너링시의 원심력을 이길 수 있고 상기 틸팅시에 지면을 좌우로 박차면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13에서 선출원 10-2004-0032424을 살펴보면, 입상한 복수의 요동수단(10) 상단을 회동하거나 굽힐 수 있도록 회동결합(40)하고 하단에 풋패드(20), 주행수단(30)을 두어서 탑승자의 발을 얹을 수 있게하여 양 발을 저으면서 진행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코너를 돌때 등 체중을 좌우로 이동시켜야할 때 상기 HPV를 좌우로 기울임(Tilting)을 주기가 용이하지 않다.
Ⅲ.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발명된 출원특허 제10-2006-0087777호 및 출원특허 제10-2006-0087778호와 관련을 두고 있다.
Ⅰ. 본 발명은, 상기 승용물의 요동수단의 요동에 영향을 적게 받아 요동하거나 흔들리는 것을 줄이고 또는 되도록 지면과 수평 또는 일정한 각을 유지하여서 상기 풋보드 또는 핸들바 또는 기타 목적으로 사용될 구성요소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수단인 요동상쇄수단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핸들바수단 또는 풋보드 등을 상기 요동상쇄수단에 지지받게 구성하여 편안하게 목적지를 이동하는 승용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Ⅱ. 본 발명은 상기 승용물을 좌우로 경사지워 틸팅(tilting)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코너를 회전하면서 원심력을 이기고, 좌우로 틸팅하면서 리듬을 타고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게하는 수단을 아울러 제공한다. 따라서 탑승자가 좀 더 용이하게 좌우로 경사/틸팅(tilting)을 하면서 코너링시의 원심력을 이길 수 있고 상기 틸팅을 이용하여 체중을 좌우 횡측으로 이동하면서 지면을 좌우로 박차면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Ⅲ. 본 발명은 최대 직경의 차륜을 사용가능 하면서도 차륜 사이의 축거를 축소, 확대 가능케 하여 부피를 최소, 최대화 할 수 있고 중량을 최소화 하며 특히, 좌우 족부 및 차륜을 자유스럽게 각자 동작 가능케 하여 중심유지가 용이하고 다양한 동작과 강력한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비숙련자를 위해서, 방향성 캐스터(Inclined Caster)의 진행원리를 추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탑승자의 중심이 향하는 측으로 방향이 전환되므로 탑승 및 방향전환이 용이하고 추락 가능성이 감소되게 하는 승물을 아울러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을 통하여 저부피; 경량화; 간단 구조;를 달성할 수있으며 그리고 저원가; 절첩을 위한 수단, 절차가 별도로 필요없거나 매우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Ⅰ. 지면에 입상되어 세워진 막대모양 한쌍으로서 좌우측 각 측부를 이루는 요동수단;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 상부를 연결하면서 굴절(회전) 가능한 요동축; 지면에서 구름운동을 하는 휠(바퀴, 롤러)과 탑승자의 발을 얹는 풋패드(풋보드, 발판)가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 각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요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이 전,후,좌,우로 요동동작 가능한 승용물에 있어서,
상기 요동수단상에 상기 요동 영향을 줄이는 요동상쇄수단(130); 상기 요동상쇄수단상 또는, 상기 지지수단상에 구비되는 핸들바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Ⅱ. 입상한 좌우측 요동수단 한쌍;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 상단을 상호 핀조인트시킨 요동축;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 각 하단에 구비되는 풋패드와 주행수단으로 구성되는 승용물에 있어서,
상기 요동수단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를 변동시킬 수 있는 거리변동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Ⅲ. 환형의 차륜외곽부; 상기 차륜외곽부 내경에 개재되는 회동결합부와 지지판이 구비되는 지지판부; 상기 차륜외곽부와 상기 지지판부의 상호 회동 마찰을 줄이는 마찰저감부;로 구성되는 차륜수단과 상기 차륜수단이 한 쌍 구비되고,
상기 차륜외곽부, 상기 마찰저감부 또는 상기 지지판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차륜수단을 상호 교차운동 가능케 하면서 연결하는 교차운동연결부가 구비되도록 한다.
또는, 지면에 접촉하여 회동하는 환형의 차륜외곽부; 상기 차륜외곽부 내경에 개재되어 회동 결합하는 회동결합부와 탑승자의 족부를 얹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은 상기 회동결합부와 지면에 수직으로 축을 두고 회동가능하도록 피봇결합하되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하여 방향성 캐스터(Directional Caster)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하는 지지판부; 상기 차륜외곽부와 상기 지지판부의 상호 회동 마찰을 줄이는 마찰저감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Ⅰ. 요동수단의 요동에 영향을 적게 받아 흔들림이 적은 요동상쇄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요동상쇄수단에 탑승자가 중심을 의지할 수 있는 핸들바수단을 구비하거나 물건을 수납할 선반을 구비하거나 바구니 등의 거취대 등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풋보드에 외륜이 장착된 경우라고 상기 요동상쇄수단 또는 지지수단으로부터 4절링크수단으로 하측지지수단과 풋패드를 수평을 유지케하여 탑승자의 발을 편안하게 수평으로 받쳐줄 수 있게 되고,
Ⅱ. 요동수단의 상단과 하단의 거리 즉, 높이를 상반되게 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므로 상기 승용물을 좌우로 틸팅(tilting)시킬 수 있으며 추진할 수 있게 되고, 탑승자는 좌우로 틸팅을 하면서 코너링시의 원심력을 이길 수 있고 또한, 상기 틸팅시에 지면을 좌우로 박차면서 추진력을 얻을 수 있으며,
Ⅲ. 또한, 탑승자 양 발을 저어서 얻는 추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발휘하기 위하여 측면으로 주행하는 측면주행 자전거를 제공한다. 사람을 발은 보행시에 전후방으로 거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스키딩의 푸싱 방식으로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진행방향에 대하여 횡측으로 발을 저어야 하는데 측면으로 주행을 하도록 설계가 되는 경우 탑승자는 정면으로 발을 저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횡측으로 푸싱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도 4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수단 좌,우측을 횡측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진행방향에 종측으로 요동축(또는 핀결합, 회전축)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자전거와 관련해서는 크랭크, 스프라킷, 변속기 및 체인의 번잡하고 중량을 차지하는 구성을 생략하고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자전거의 프레임 또한 중량과 원가의 비중을 높이고, 부피를 줄이기위한 번잡한 절첩수단이 요구되는바 이를 생략하여 간단하고도 효율적인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자전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 본 출원의 발명자에 의하여 선출원된 승용물
도2 요동에 영향을 받지 않을 요동상쇄수단이 요구됨을 표시하는 간략도
도3 상기 요동상쇄수단(130)
도4 결치기어수단으로서 점선은 축받이프레임 즉 지지수단을 표시 (가)는 평면도와 측면도로서 요동수단 우측이 전방에 위치하여; (나)는 상기 요동수단 우측과 좌측이 근접; (다)는 계속 요동하여 상기 우측이 후방에 위치함을 도시
도5 차동기어수단으로서 점선은 축받이프레임 즉 지지수단을 도시 (가)는 상기 차동기어수단의 정면도와 측면도 (나)는 상기 차동기어수단에 요동수단을 결합하게 하는 사시도; (다)는 정면도와 측면도로 내측 축받이프레임인 지지수단; (라)는 사시도로 상기 내측 축받이프레임의 각을 상향하여 핸들바수단을 연장
도6 (가)는 상기 결치기어수단에 4절링크수단을 구비; (나)는 상기 차동기어수단에 4절링크수단을 구비
도7 (나) 4절링크수단으로 상측 굴절수단측의 지지수단을 수평으로 지지; (다) 하측 지지수단과 풋보드사이에 신축수단을 구비; (라) 상기 신축수단의 확대도; (마) 도6 (가, 나)에 풋보드를 구비한 전체 간략도
도8 (가)는 상기 도7(나, 다)의 상측 지지수단인 링크축받이프레임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나)는 상기 링크축받이프레임에 각 요동수단을 결합하여 4절링크수단을 구성함; 확대도(다)는 상기 4절링크수단을 핀조인트 뿐만이 아니라 유니버셜조인트 수단으로 결합시켜 전후좌우로 요동시킬 수 있음을 도시; (라)는 하측 지지수단으로 즉 하측 링크축받이프레임; (마)는 상기 요동수단 좌측에 풋보드를 결합한 완성도; (바)는 간략도로서 (마)의 4절링크수단 동작
도9 상기 요동상쇄수단/지지수단에 안정되게 지지받아 흔들리거나 요동하지 않고 구비되는 핸들바수단 등으로 (가)는 핸들바수단; (나)는 간략도로서 상기 지지수단에 상기 핸들바수단을 구비시킨 것을 도시; (다)는 간략도로서 상기 핸들바수단을 절첩시킨 것을 도시; (라)는 크게 확대한 절첩수단의 가이드판; (마)는 크게 확대한 상기 절첩수단에 끼워질 가이드회동축과 가이드걸림축; (바)는 전체 분해도/조립도
도10 (가)본 발명에 따른 외형도로서 요동상쇄수단(130)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핸들바수단(120)과 요동상쇄수단, 선택적으로 상부에 얹혀지는 안장(sd), 상기 요동상쇄수단을 중심으로 서로 전후로 교번하여 동작하게 하방으로 구비되는 좌우측 요동수단(100), 상기 요동수단의 각 하단에 구비되는 풋보드(300)로 구성되고 특히 상기 요동수단상에 핀조인트(P1, P2)한 관절을 구성하고, 상기 요동수단상에 피봇(PV)조인트를 하고 또한 상기 풋보드와 핀조인트(P2)를 한 것으로 상기 (나)는 상기 피봇조인트 부위와 상기 풋패드와 핀조인트 한 것을 상세 도시
도11 좌우 각 요동수단(100)의 하단과 상단사이의 거리를 변동시켜 풋보드를 들어올리거나 지면에서 승용물을 경사시킬 수 있는 수단들로서 (가, 라)좌우 각 요동수단상에 하나 이상의 핀조인트(P1)한 관절을 구비, 상기 거리를 신축시킬 수 있는 신축수단을 두는 경우로서 (나)피스톤/실린더 (다)신축가위, (마, 바)는 승용물을 지면에서 틸팅/경사시키는 동작도
도12 반대작용수단이 가요성 케이블수단인 경우 (가)는 전체 측면도 (나)는 부분 확대도 (다)는 켈리퍼브레이크 등에 사용되는 플렉시블와이어를 장착한 가요성 케이블
도13 선출원10-2004-0032424
도14 거리변동수단 중 신축수단으로서 (가)슬라이더, (나)신축가위
도15 (가)거리변동수단 중 관절수단으로서 관절 핀조인트 (나)좌우측 요동수단의 관절 핀조인트를 반대로 회동시켜서 좌우측 요동수단의 요동마디들이 반대로 접혀지고 펴지게 하는 것의 예시도
도16 (가)가요성 케이블 동작도 (나)본 발명에의 적용도
도17 상기 도4(나)의 부분 확대도(좌우측 굴절 방향은 반대)
도18 요동수단(10) 상부 요동축에서 연장되는 핸들바(10h)를 구비한 승용물에 본 발명의 관절 핀조인트를 적용한 간략도
도19 측면 주행 방식으로 주행하는 스키딩 자전거의 사시도
도20 상기 측면 주행방식 자전거에 있어서 지지판(320)에 요입부(T1)를 형성하고 차륜의 내륜측 결합부(310)에 돌출부(T2))를 형성하여 탈착식으로 구성한 것을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21 내지 도24는 본 출원인의 선발명 출원특허 제10-2006-0087777호 중에서 몇몇의 예시도
도21 상기 선행출원의 도1a
도22 상기 선행출원의 도3c
도23 상기 선행출원의 도5
도24 상기 선행출원의 도6
도25 내지 도27는 본 출원인의 다른 선행발명 출원특허 제10-2006-0087778호 중에서 몇몇의 예시도
도25 상기 다른 선행출원의 도1a
도26 상기 다른 선행출원의 도3b
도27 상기 다른 선행출원의 도5
이하, 상기 선행출원들에 교차운동연결부(400)을 장착한 본 발명
도28 본 발명 일 실시례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29 (가)타 실시례의 정면도 (나)다른 타 실시례의 차륜수단(10)을 투시한 정면도
도30 본 발명 실시례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
도31 사용자가 탑승한 것을 도시한 (가)측면도 (나)정면도
도32 (가)도30 실시례에서 피봇결합(P) 부위를 확대한 정면도 (나)차륜(10)부위를 정면에서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
도33 (가)차륜(10)과 지지판(320) 사이에 피봇결합(P)을 하되 경사각(D)을 부여하여 방향성캐스터의 작용을 하도록 하는 실시례의 측면도 (나)상기 (가)의 다른 실시례의 측면도
도34 상기 도33의 타 실시례의 정면도 및 반대측 측면도
도35 (가)몸체에 굴절부(H)를 두는 경우의 동작도 (나)굴절부재를 굴절부(H`)로 사용하는 경우의 예시도 (다)신축수단(E)이 구비된 경우의 부분을 투시한 부분확대 투시도
도36 (가)교차운동연결부(400) 또는 연결봉(410) 상부의 굴절부(H)를 일부 단면하여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나)상기 연결봉(410) 하부와 연장부(111, 311)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으로, 설명의 편리를 위해 상기 연결봉은 측면도로 도시하고 상기 연장부는 평면도로 도시함 (다)상기 연결봉(410) 상부에 추가로 굴절부(H)를 두는 경우의 예시도
도37 (가)탄성부재(T)를 구비한 굴절부(H)의 분해도 (나)자재이음(U)의 일 실시례
도38 (가)차륜(10) 및 교차운동연결부(400)의 분해도 (나)특히, 연결봉(410)을 회동결합부(310)에서 연장(결합 포함)하는 경우의 부분 분해도
도39 (가)파지봉을 형성한 경우의 실시례 측면도 (나)상기 (가)의 굴절부(H)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40 (가)수평수단(500)을 구비하고 파지봉(530)을 연장한 경우 실시례의 정면도 (나)상기 실시례의 수평수단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41은 도40의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수평수단(500)을 차동기어(Differential Gear)를 이용하여 구성; 안장과 상기 파지봉은 도시의 편의상 생략하고 도시한 평면투시도 및 측면투시도
도42 A 진행방향에 대하여 종측으로 회전축(요동축, 좌우전개축)을 구성하는 경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B 핸들바(120)를 맞은편에 부착한 예시의 부분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43 A 자전거 바퀴가 장착되어 조립된 사시도; B 요동축(100A)을 연장하여 핸들바와 거리를 둔 예시의 조립된 부분 사시도
도44 A 좌우 요동수단(100L, 100R)에 요동축(100A)을 각각 별도로 둔 경우를 예시한 부분도; B 핸들부(120)의 형태를 요동축으로부터 꺽어 구성하는 예시도; C 요동축(100A)의 기울기를 달리하는 경우로서 위쪽(up)으로 하는 경우의 예시도; D 요동축(100A)의 기울기를 아래쪽(down)으로 하는 예시도
도45 A 상기 좌우 요동수단의 상단에 상기 요동축을 따로 두고 기어로 결치시켜 핸들바의 좌우 기울임,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요동상쇄수단(130)(즉, 균형유지수단)을 장착하는 예시도; B 상기 도5의 차동기어수단을 인용하여 구성한 균형유지수단(요동상쇄수단)으로 지지수단(131F)으로부터 핸들바가 고정된것을 측면과 정면에서 투시하여 예시함
도46 A 상기 도42 내지 도45 실시의 탑승동작 예시도; B 상기 도1 내지 도41 실시의 탑승시 예시도; C 기존기술의 탑승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개시하기로 한다.
Ⅰ. 스키딩 방식으로 추진하는 자전거
상기 선출원의 것과 같이 도1에 간략히 나타난 것처럼 주행수단과 발을 얹는 풋패드 그리고 상기 주행수단과 풋패드를 아우르는 풋보드(300)와 상기 풋보드는 지면에 입상한 요동수단 좌우측 각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요동수단(100) 좌우측 사이의 굴절수단에 의해 양 하측이 요동 가능한 수단이고, 선택적으로 상기 요동수단의 요동 제한각수단(200)을 구비할 수 있는 승용물에 있어서,
도2에서 상기 요동수단의 요동시(100a 100b)에도 핸들바(hda hdb)와 같은 것이 지면과 수평 또는 일정한 각을 유지하거나 흔들림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요동수단상에 상기 요동 영향을 줄이는 요동상쇄수단을 구비하는데,
도3에서 상기 요동상쇄수단(130)은 동일각요동수단(131)과 그 지지수단(131F)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을 중심으로 상기 동일각요동수단은 상기 요동수단(100) 좌우측(L, R)을 동일각()으로 상호 요동케하는 수단으로,
상기 동일각요동수단은 기어를 이용한 치차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치차수단은 상기 요동수단(100) 좌우측 요동축(100A)--여기서는 요동축이 상기 굴절수단(110)이 되거나 상기 굴절수단에 포함됨--을 상호 역회전케 하는 수단으로 결치기어수단(131G)이나 차동기어수단(131D)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도4에서 상기 결치기어수단(131G)은 양 결치기어(131G', 131G")의 이를 맞물려 상호 역회전하게 구성하고 상기 결치기어수단(131C)의 각 결치기어(또는 결치기어 회동축)에 상기 요동수단의 좌우(R, L) 요동축(100A)을 형성(또는 결합)하여 구비하는데, 도면에서는 (가)상기 요동수단의 양 측이 상기 결치기어를 축으로 상기 우측(R)이 전방으로 좌측(L)이 후방으로 위치하고(도면의 좌측을 전방으로 기준함); (나)와 같이 회동하여 상기 우측(R)과 좌측(L)이 전후로 근접하고; (다)에서 계속 회동하여 상기 좌측(L)이 전방으로 상기 우측(R)이 후방으로 상호 전후위치를 바꾸어 요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양 결치기어 회동축 즉 상기 요동수단 요동축(100A)의 축받이프레임(또는 하우징으로 도면에서 편의상 점선으로 표시) 역할을 하는 상기 지지수단(131F)은 상기 요동에 영향을 받지않고 지면과 일정한 각(지면과 수평)을 유지하게 되고,
도5에서 상기 차동기어수단(131D)은 각 차동사이드기어수단에 상기 요동수단의 좌우 요동축이 구비되는데, (가)에서 통상 차동기어의 동작과 같이 상기 차동기어수단(131D)은 차동피니언기어(DP)에 맞물린 양측의 차동사이드기어(DS)가 역으로 회동하게 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동사이드기어 회동축이 상기 요동축(100A)이 되거나 또는 양자가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차동기어의 축받이프레임(또는 하우징, 도면에선 편의상 점선으로 표시)은 상기 지지수단(131F)이 되고; (나)에서 상기 하우징으로 된 지지수단(131F)에 상기 차동피니언기어 회동축(DPA)와 상기 차동사이드기어 회동축--즉 상기 요동축(100A)--에 상기 요동수단(100)을 요동결합(상기 차동사이드기어 회동축에 고정)하는 것을 도시하고; (다)에서는 상기 차동사이드기어(DS)와 상기 차동피니언기어(DP)를 내측에서 축받이프레임--즉 지지수단(131F)--이 축받이하는 경우의 구성으로 도면에서는 상기 요동수단(100)상에 상기 차동사이드기어(DS)가 형성되어 있고; (라)에서는 상기 (다)의 내측 축받이프레임인 지지수단(131F)을 각도(') 만큼 상향하여 상기 차동피니언기어(DP)로 상기 양 차동사이드(DS)를 결치시켜 구성한 것으로 상기 지지수단(131F)에서 그대로 연장하거나 결합하여 핸들바수단(120)을 구비할 수 있고,
도6은 상기 동일각요동수단에 하기 링크들로 구성한 4절링크수단을 가미하여 결합하고 상기 풋보드(300)의 주행수단이 하기 인라인휠(320I)이 아니고 병렬륜 또는 외륜 일 때에도 탑승자의 발을 편안케 받쳐주기위해 상기 풋패드를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의 실시례로 (가)에서 상기 도4의 결치기어수단(131G)을 이용하고 일 링크(lk)역할을 하는 상기 요동수단(100)과 4절링크수단을 구성하기 위한 타 링크(lk)역할을 하는 보조 요동수단(100')를 추가하여 상대측 요동축(100A/100'A) 측에 각 핀조인트(pn)하는데 이때, 도면과 같이 상기 상대측 요동축을 공유하지만 상기 상대측 요동축의 회동과는 별개로 회동하게 핀조인트 하고 또는 아예 회동축을 별도로 형성하여 핀조인트할 수 있고, 비단 핀조인트에 한하지 않고 유니버셜조인트 등의 굴절관절수단이나 굴절하는 재질의 굴절부재수단을 사용할 수 있고; (나)는 상기 도5 (나)의 차동기어수단(131D)의 하우징 즉 지지수단(131F)을 뒤로 또는 앞으로 길게 확장하여 보조 요동축(100'A)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 요동수단(100')을 끼워 핀조인트하고 상기 풋보드에는 하기 하측지지수단(131F')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수단(131F)과 4절링크수단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도7의 (마)에서 그 일 실시례를 간략표시하고,
도7에서 상기 요동상쇄수단(130)은 4절링크수단과 지지수단(131F)과 하측지지수단(131F')을 포함하고 상기 풋보드는 인라인휠(320I) 즉, 직렬형 륜을 구비하여 장착하고,
상기 지지수단(131F)과 상기 하측지지수단(131F')을 상기 4절링크수단--단지 4절링크에 한정하지 않으며 4절링크와 같이 상기 상하측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각 링크들이 대략 평행사변형 운동을 할 수 있게하는 수단을 말함--으로 결합하고 상기 하측지지수단(131F')은 상기 풋보드(300)상에 구비되는데, (가)는 굴절수단(110)을 요동축(100A)으로 하는 요동수단(100)과 상기 요동수단 양 하측에 피봇조인트(pv)되어 구비된 풋보드(300)와 상기 풋보드는 탑승자의 발을 얹게되는 풋패드(310)와 륜(320) 특히, 인라인휠(320I) 수단이 장착되는 승용물의 일 실시례인데; (나)에서 상측에 굴절수단으로 결합된--도면에서는 핀조인트(pn) 된 실시례--상기 굴절수단(110)측의 지지수단(131F)과 상기 풋보드측의 하측지지수단(131F')을 상기 요동수단(100)의 좌우 각 측을 구성하는 한 쌍의 링크(lk)--도6처럼 주/보조 요동수단(100/100')으로 나눌 수 있으나 쉽게 그냥 요동수단이라할 수도 있음--들로 도면처럼 핀조인트(pn) 또는 유니버셜조인트 등으로 상하측에 굴절수단으로 연결하여 4절링크수단 결합을 하고 상기 풋보드(300)는 상기 하측지지수단(131F')과 피봇조인트(pv)시키는 구성으로; (다)에서 상기 풋보드와 상기 하측지지수단(131F') 피봇조인트(pv)사이의 거리를 좁히고 넓힐수 있는 신축수단(et)으로 연결하여 상기 풋보드(300)를 지면에서 들어올리기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이때, 풋보드의 풋패드에는 발등 커버가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신축수단은 스프링을 내삽하거나 구비하여 탄력을 받는 것이 상기 승용물 자체의 중량을 이겨낼 수 있다; (라)는 주사기피스톤 또는 신축 낚시대와 같은 수단의 상기 신축수단(et) 실시례인데 이때 상기 하측지지수단(131F')과 상기 풋보드(300)사이의 피봇조인트(pv)를 겸할수도 있고; (마)는 상기 결치기어수단(131G) 또는 차동기어수단(131D) 등 상기 동일각요동수단(131)의 지지수단(131F)을 상기 4절링크수단의 상기 상측 지지수단(131F)으로 사용하면 상기 풋보드에 인라인휠(320I)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륜(바퀴) 하나인 외륜수단(320')을 사용하여도 상기 동일각요동의 동일각 전개에 의한 상기 요동수단 양측의 동일각 요동과 상기 요동수단 양 측의 4절링크수단의 평행사변형운동에 의해 상기 풋패드(31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실시례인데 도면을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3과같이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은 동일각으로 상반되게 전개되는 요동운동을 하고 따라서 상기 요동수단 양측을 4절링크수단으로 결합한 상기 4절링크는 동일각으로 상반되게 전개되는 요동을 하게 되는데--도8 (바)는 일 측의 4절링크인데 타 측의 4절링크는 방향이 상반되게 요동함--상기 링크축받이프레임인 상측의 지지수단에 함께 축받이 되므로 상기 좌우측의 요동수단이 (양측이 상기 4절링크수단의 평행사변형운동으로) 동일각 전개하여 상측의 지지수단이 수평이 유지되고 따라서 이에 상기 4절링크된 하측의 지지수단은 수평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도8에서 상기 4절링크수단의 지지수단(131F)과 하측지지수단(131F')과 링크(1k)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에서 상기 지지수단(131F)은 주 요동축(100A)과 보조 요동축(100'A)을 좌우측에 각 형성한 링크축받이프레임(lf)으로 구성되나 사실상 상기 주/보조 요동축(100A/100'A) 들은 링크를 4절링크수단으로 조인트(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같은 작용을 한다고 볼 수 있으며 특별한 경우외에는 구분하지 않고; (나)에서 상기 요동수단(100)과 보조 요동수단(100')이라고 명명하나 사실 공히 상기 4절링크수단의 링크(1k) 수단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역할이 같고, 그 구성을 보면 상기 링크축받이프레임(lf) 좌우측에 각 상기 요동축(100A/100'A)을 전후로 형성한 상기 링크축받이프레임(lf)에 상기 링크들을 각 핀조인트(pn)시키는데 여기선, 상기 링크축받이프레임(lf)이 지지수단(131F)이 되고 하측에도 마찬가지로; (라)에서 상기 지지수단(131F)의 요동축(100A)과 같이 회동축--넓게 해석하여 상기 요동수단의 하측 요동축으로 봄--이 형성된 하측지지수단(131F')으로 상기 링크들을 핀조인트(pn)시키쨉◎ 도면에서는 상기 요동수단 좌측(L)의 풋보드(300)에 결합할 하측지지수단(131F')을 도시하였고 상기 풋보드를 좌우 방향전환하여 조향가능케하기 위해 상기 풋보드와 피봇조인트(pv)를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하측지지수단(131F')이 상기 풋보드(300)에 구비된다는 것은 상기 피봇조인트(pv)적으로 결합되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경우에 따라 고정결합 또는 핀조인트(pn) 또는 유니버셜조인트 또는 기타 공지의 결합수단을 모두 의미하고 또한, 상기 각 링크는 상기 각 지지수단에 상기 핀조인트 외에 유니버셜조인트 등 각종 굴절수단으로 결합을 할 수 있고; (마)에서 상기(나, 라)의 상기 4절링크수단 좌측(L)에 상기 좌측(L) 풋보드(300)를 좌우 회동하여 방향전환 가능케 피봇조인트(pv)하여 결합한 것을 도시하고(편의상 풋패드의 도시는 생략); (바)에서 그 동작을 간략표시로 도시하는데 하측의 상기 하측지지수단(131F')이 실선으로 도시한 전방(F)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후방(B)으로 요동시 또는 그 역동작에도 상측의 상기 지지수단(131F)은 하측의 상기 지지수단과 4절링크수단의 평행사변형 원리로 수평을 유지함을 도시하고; (다)에서는 상기 상하측의 각 지지수단에 상기 핀조인트(pn) 대신에 어깨관절과 같이 여러 방향에 적응할 수 있는 관절을 사용한 유니버셜조인트 등을 사용하여 전후로 요동뿐 아니라 좌우로도 요동할 수 있게 할 수 있음을 제시하는데, 상기 전후로 요동케 핀조인트(pn)된 경우라도 상기 요동수단(100)상에 좌우로 요동할 수 있는 굴절수단을 첨가하여 같은 전후좌우의 요동을 끌어낼 수 있고, 상기 전후좌우 다 방향으로 요동 가능케 구성시에는 상기 4절링크수단의 효과가 약화 될 수 있으므로 특히 좌우 방향의 요동에 요동각 제한수단을 둠이 적당하고,
도9에서 상기 지지수단(131F)상에 탑승자가 손을 얹고 의지할 수 있는 핸들바수단(120)을 연결--연장하여 형성하거나 용접 또는 리벳 등으로 결합--하여 구비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데, 상기 핸들바수단(120)은 탑승자가 손을 얹기 편한 방향과 위치에 상기 핸들바의 일측(a)이 자리하는데 통상 주행방향의 전방 또는 측방 또는 전측방 등에 자리하고 도면에서는 전방에 자리하는 실시례를 도시하고, 타측(b)은 상기 지지수단(131F)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바수단(120)은 킥스쿠터나 자전거 등에 쓰이는 통상의 핸들바(핸들스템이라고도 함) 등으로 상기 핸들바수단의 일측에 구비될 손잡이는 탑승자의 한 손을 얹을 수 있는 국기봉 형태이거나 양손을 얹을 수 있는 통상의 T형 손잡이(120T) 형태이고 신축수단(et)이나 핀조인트(pn) 등으로 절첩할 수 있는 절첩수단을 구비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핸들바수단(120)에는 자전거처럼 브레이크 조작장치나 조향장치 등 승용물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각 조작장치를 장착하여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지지수단(131F)에는 물건을 얹기 위한 바구니 등이나 또는 그 거취대(hk)를 형성하여 구비할 수 있고; (나)에서 상기 지지수단(131F)에 상기 핸들바수단(120)을 안정되게 구비한 승용물을 간략표시로 도시하고, (다)에서는 상기 핸들바수단(120)을 휴대보관상의 이유 등으로 절첩하는 것을 도시하고; 크게 확대한 도면(라, 마)에서 상기 핸들바수단 절첩수단(121)의 구체적인 일 실시례를 제시하는데 절첩각을 조절할 수 있게 가이드홈(121S')이 형성된 반원형 가이드판(121G)과 상기 가이드판 원 중심부에 형성된 가이드축받이(121S)가 구비되고, 상기 요동상쇄수단 또는 지지수단(131F)에 고정(또는 형성)되거나 탈착식으로 결합하는데, 도면에서는 상기 지지수단의 전방에 (킥스쿠터 등의 절첩장치 처럼)한쌍의 상기 가이드판(121G)이 위치하게 하였고, 상기 핸들바수단(120)의 타측(b)은 상기 가이드축받이(121S)에 핀조인트될 가이드회동축(121A)과 그 전방에 상기 가이드홈(121S')에 걸고 걸림을 해제할 수 있게 구성되어 구비되는 가이드걸림축(121A')과 --도면에서는 한쌍의 상기 가이드걸림축(121A')이 상기 핸들바수단(120) 본체 타측에 형성된 구멍(121H)에 대향되게 내삽되어 중간에 스프링(s)의 탄력을 받으면서 돌출되게 되어 있고 사용자는 돌출된 상기 가이드걸림축(121A')을 손으로 눌러서 상기 핸들바수단(120) 본체내로 밀어 넣고 상기 가이드홈(121S')에 걸림을 해제하게 되는 구조로서 이때 상기 가이드걸림축(121A')이 상기 구멍(121H)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걸림축(121A')의 내측의 끝단을 직경을 크게하고 상기 구멍(121H)입구를 직경을 작게하여 빠져나오지 않게하고; (바)에서 상기 핸들바수단(120)과 상기 가이드판(121G)를 분해한 상기 절첩수단(121) 분해도를 제시하고 상기 절첩수단(특히, 가이드판) 후측을 상기 지지수단(131F)의 전측에 용접, 나사 등으로 고정하여 결합할 수 있음을 도시하며 상기 절첩수단은 비단 상기 핸들바수단의 타측(b)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수단(131F)에 결합되거나 형성되는 구성외에 상기 핸들바수단 상에 구성될 수 있고 일 실시례로 상기 핸들바수단을 절단하고 그 사이에 상기 절첩수단을 두는데 이때는 상기 가이드판에 상기 절단된 핸들바수단이 용접 또는 공지의 커플링수단 등으로 결합, 결착, 고정어 구비되고 상기 바퀴 대신 스케이트 스키 등을 구비시킬 수 있다.
도10 (가, 나)는 특히, 상기 요동수단상에 핀조인트(P1, P2)한 관절을 구성하므로써 상기 승용물을 좌우로 경사(tilting)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상기 풋보드(300)의 풋패드(310)가 륜(320)을 전후륜(W1, W2)으로 구비하는 경우 지면에 대하여 상기 경사각에 적응하고 진행방향을 조향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요동수단에 피봇(PV)조인트를 하고, 상기 풋패드 또는 바퀴와 핀조인트(P2)를 하고 이때, 상기 전후륜(W1, W2) 중 하나 이상은 바퀴가 힘의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는 캐스터(Ca) 또는 경사에 따라 방향을 바꾸는 방향성 캐스터 또는 탄성체로 캐스터의 방향전환에 저항을 걸거나 방향전환에 제한각을 두는 캐스터를 구비시켜서 조향을 자유롭게하고 인라인스케이트처럼 횡으로 동작시켜 추진력을 구할 수 있다.
Ⅱ. 틸팅(Tilting)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의 구성
도11에서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의 상단과 하단 거리변동 수단은 상호 반대로 작용시켜서 상기 작용으로 일측의 상하단 거리가 축소될 때 타측의 상하단 거리는 확장되어서 결국, 인라인스케이트처럼 횡측으로 미는 힘을 발생시키며, 상기 보행식 수단이 밑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상기 구성은,
도12에서 상기 좌우측 각 요동수단의 상단과 하단 사이 거리를 변동시킬 수 있는 거리변동수단을 구비하며 특히, 상기 각 좌우측의 거리변동 확장과 축소가 상호 반대로 작용하도록 하는 반대작용수단을 구비하고,
도12에서 상기 반대작용수단은 (다)플렉서블 와이어(W)를 내장한 가요성케이블(Cb)수단으로서, 상기 케이블(Cb)은 켈리퍼브레이크라는 이름으로 자전거의 브레이크수단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일측의 힘을 가요성 와이어와 케이블을 통하여 타측으로 전하고 전달 받을 수 있게 되는데 도면에서는 (sp1, sp1')을 고정하고, (sp2')을 당기면 (sp2)가 당겨지는 것을 보여준다.
도12(가, 나)는 상기 좌측 요동수단(100L) 관절 역할을 하는 핀조인트(P1) 상부측에는 상기 케이블(Cb) 일단을 고정(sp1)하고 하부측에는 와이어(W) 일단을 고정(sp2)하고: 아울러 우측 요동수단(100R) 관절 역할을 하는 핀조인트(P1') 상부측에는 상기 케이블(Cb) 타단을 고정(sp1')하고 하부측에는 와이어(W) 타단을 고정(sp2')하는 실시례이고 이때, 상기 케이블수단은 상기 요동수단에 붙여 거치시키거나 내부에 내장되고 및/또는 상기 요동상쇄수단에 거치(130Cb)시키거나 내부에 내장할 수 있다.
이 외에 상기 풋보드의 륜(320)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는 상기 켈리퍼 브레이크를 장착할 수 있으며 발광바퀴를 사용 가능하고, 상기 풋패드(310)에는 바인더(binder) 등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발이 이탈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정리하면,
요동상쇄수단(130)과; 좌측(100L) 및 우측(100R) 요동수단(100)과; 좌측 및 우측 풋패드(110, 310)와 좌측 및 우측 륜(320) 또는 주행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풋패드와 주행수단은 상기 요동수단 하단에 결합하고, 상기 요동수단은 상기 요동상쇄수단의 하방으로 하향하여 결합되되, 상기 요동수단 상단은 상기 요동상쇄수단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로 회동하도록 하는 수단에 의해 상기 요동상쇄수단에 회동결합하고 여기서, 상기 요동수단 상단이 상기 요동상쇄수단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로 회동하도록 하는 수단에 의해 상기 요동상쇄수단에 회동결합하되, 상기 수단은 차동기어 수단으로서 좌측 요동수단 상단과 우측 요동수단 상단은 각각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수단의 기어에 중개되도록 맞물려 있게 한다.
요동수단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를 변동시킬 수 있는 거리변동수단이 구비하고, 상기 거리변동수단은, 상기 요동수단을 신축시킬 수 있는 피스톤&실린더 또는 신축가위 또는, 상기 요동수단을 굽히거나 회동시킬 수 있게 하는 굽힘/회동수단 등일 수 있고, 이는 가령 핀조인트(P1) 등을 통하여 달성 될 수 있으며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의 거리변동이 반대로 작용하도록 도10, 도11 내지 도12에서,
플렉시블한 와이어를 내장한 가요성 케이블과, 좌측 요동수단(100) 핀조인트(P1) 상부에는 상기 케이블(Cb)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좌측 요동수단 핀조인트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을 고정하고: 우측 요동수단 핀조인트(P1') 상부에는 상기 케이블(Cb)의 타단을 고정하고 상기 우측 요동수단(100') 핀조인트(P1')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W')의 타단을 고정하여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의 관절 핀조인트가 상호 반대로 회동하도록 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핸들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들수단은 상기 요동상쇄수단의 전방으로 상향하도록 연장하고, 상기 요동수단 상부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을 구비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주행수단에 구비되는 바퀴, 차륜, 휠, 롤러는 도면에서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여 진행하도록 구비되지만, 사용자의 측방을 향하여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때에는 본 발명의 요동상쇄수단 보행식승용물의 진행방향은 측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다음, 도13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개시하면,
입상한 좌우측 요동수단(10) 한쌍(10', 10'');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 상단을 상호 핀조인트시킨 요동축(40);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 각 하단에 구비되는 풋패드(20)와 주행수단(30)으로 구성되는 승용물에 있어서, 상기 요동수단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를 변동시킬 수 있는 거리변동수단을 구비;
상기 거리변동수단은 상기 요동수단을 신축시킬 수 있는 신축수단으로서, 상기 요동수단 상에 구비되며 미끄러지면서 신축하는 슬라이더(S) 또는, 다수의 링크를 크로스하여 핀조인트한 신축가위(S')인 경우와;
상기 거리변동수단은 상기 요동수단을 굽히거나 회동시킬 수 있는 관절수단으로서, 도15에서 상기 요동수단 상에 구비되며 상기 요동수단을 한 곳 이상 절분하여 관절 핀조인트(A)를 한다.
여기서,
상기 거리변동수단은 거리변동 시에 일정한 탄성저항을 받게 하고 또는,
상기 신축수단은 신축시에 일정한 탄성저항을 받게 하고 또는,
상기 슬라이더는 미끄러짐 운동시에 일정한 탄성저항을 받게 하고 또는,
상기 신축가위는 펴지고 접혀질 시에 일정한 탄성저항을 받게 하고 또는,
상기 관절수단은 회동/굽힘시에 일정한 탄성저항을 받게 하고 또는,
상기 관절 핀조인트는 회동시에 일정한 탄성저항을 받게 한다.
상기 거리변동수단은 거리변동 시에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거리변동을 하도록 하고 또는,
상기 신축수단은 신축시에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축하게 하고 또는,
상기 슬라이더는 미끄러짐 운동시에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의 슬라이더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고 또는,
상기 신축가위는 펴지고 접혀질 시에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의 신축가위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펴지고 접혀지도록 하고 또는,
상기 관절수단은 회동/굽힘시에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의 관절수단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굽힘을 하도록 하고 또는,
상기 관절 핀조인트는 회동시에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의 관절 핀조인트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을 하도록 한다.
특히, 도16에서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10)의 관절 핀조인트(A)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을 하도록 (가)플렉시블한 와이어(W)를 내장한 가요성 케이블(C)을 구비하며 상기 가요성 케이블은 상기 와이어 일단(we')을 당기면 상기 와이어 타단(we'')이 당겨지겨 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켈리퍼브레이크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16(나) 및 도17을 참조로 본 발명에 적용 실시례를 보면, 좌측 요동수단(10') 관절 핀조인트(A) 상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ce')을 고정(11uf)하고 상기 좌측 요동수단 관절 핀조인트(A)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we')을 고정(11df)하고: 우측 요동수단(10'') 관절 핀조인트(A) 상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타단(ce'')을 고정(11uf)하고 상기 우측 요동수단 관절 핀조인트(A)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we'')을 고정(11df)하여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10)의 관절 핀조인트(A)가 상호 반대로 회동하도록 한다.
상기 한 바를 다시 표현하면,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의 요동마디(11d, 11u)들이 반대로 접혀지고 펴지도록 플렉시블한 와이어(W)를 내장한 가요성 케이블(C)을 구비하되;
좌측 요동수단(10') 일 요동마디(11u)에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ce')을 고정(11uf)하고 상기 좌측 요동수단(10') 타 요동마디(11d)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we')을 고정(11df)하고: 우측 요동수단(10'') 일 요동마디(11u)에는 상기 케이블의 타단(ce'')을 고정(11uf)하고 상기 우측 요동수단(10'') 타 요동마디(11d)에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we'')을 고정(11df)하여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의 요동마디(11d, 11u)들이 상호 반대로 접혀지고 펴지도록 한다.
더하여,
상기 관절 핀조인트가 회동시에 일정한 탄성저항을 받도록 탄성체를 구비하되;
상기 탄성체의 일단을 상기 케이블의 한 곳에 고정하고 상기 탄성체의 타단을 상기 와이어의 한 곳에 고정하고 또는,
상기 탄성체의 일단을 상기 절분한 요동수단 일 요동마디 고정하고 상기 탄성체의 타단을 상기 절분한 요동수단 타 요동마디에 고정하고 또는,
상기 탄성체의 일단을 상기 절분한 요동수단 일 요동마디의 핀조인트부에 고정하고 상기 탄성체의 타단을 상기 절분한 요동수단 타 요동마디의 핀조인트부에 고정한다.
주행 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가요성 케이블을 상기 요동수단에 거치하도록 하거나, 상기 요동수단 내에 삽입하여 거치하도록 할 수 있다.
Ⅲ. 측면주행 방법의 구성
상기 본 출원인의 선발명 출원특허 제10-2006-0087777호의 구성을 보면 상기 출원의 명세서에서,
지면에 접촉하여 회동하는 환형의 차륜외곽부(100); 상기 차륜외곽부(100) 내측에 개재되어 회동 결합하는 회동결합부(310)와 탑승자의 족부를 지지할 지지판(320)을 형성/구비하는 지지판부(300); 상기 차륜외곽부(100)와 상기 지지판부(300)의 상호 회동 마찰을 줄이는 마찰저감부(200);로 구성되는 차륜과 상기 차륜이 한 쌍 구비되고, 도2에서 탑승자는 상기 차륜외곽부(100) 내측에 족부(ft)를 삽입하여 상기 지지판(320)에 족부(ft)를 얹고 상기 양 차륜을 각자 동작하여 추진한다. 상기 마찰저감부(200)는 도1c에서 상기 차륜외곽부(100)와 상기 회동결합부(310)가 상호 대면하는 즉, 결합하는 상기 차륜외곽부(100) 또는 상기 회동결합부(310)의 어느 일측에 회동축(211)을 두고 회동하는 복수 이상의 롤러(210)로 구성하거나; 도3a처럼 상기 차륜외곽부(100)와 상기 지지판부(300)가 결합하는 사이에 마찰을 줄이도록 개재하는 다수의 베어링(br)으로서 특히, 도1b를 참조하면 다수의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하우징하는 호형 또는 환형의 베어링 림(220)을 구성하고 상기 베어링 림(220)를 상기 차륜외곽부(100)와 상기 회동결합부(310) 사이에 개재시켜 결합한다. 이때, 상기 차륜외곽부(100)와 상기 지지판(320)의 결합각이 직각인 경우에는 도2b에서 상기 차륜외곽부(100) 족부(ft)를 삽입하게 되면 도면처럼 상기 차륜외곽부(100)를 경사지게 하여야만 탑승자의 신체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게 되는바 상기 지지판(320) 또한 경사지게 되어 결국, 탑승자의 상기 족부(ft)는 경사진 상태로 주행을 하게되므로 불편을 초래한다. 따라서 상기 불편의 해소하여 도2c처럼 상기 차륜외곽부(100)를 경사지우면서도 상기 지지판(320)을 지면에 수평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 요구되므로, 도3a에서는 상기 지지판부(300)에서 상기 지지판(320)을 상기 차륜외곽부(100)에 대하여 직각이 아닌 소정의 경사각(N)을 보유하게 하여 주행시에 상기 지지판(320) 및 상기 족부(ft)가 지면과 수평하게 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도1d에서 상기 지지판부(300)의 지지판(320)은 족부를 고정할 바인더(Binder)와 같은 족부 고정수단(321)을 구비하여 지면의 요철을 통과하거나 묘기의 공연을 수행할 시에 상기 족부(ft)로 부터의 이탈을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23a와 같이 상기 경사각(N)이 부여된 경우, 도3b처럼 일 지지판부(300)에 복수 이상의 차륜외곽부(100)(100a, 100b)를 구비할 수 있으고, 이 경우 탑승자가 중심을 유지하기 수월한 장점이 있으며 도3c에서와 같이 상호 직경이 다른 차륜외곽부(100)(100a, 100b)를 선택할수도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차륜외곽부(100)에 원추형의 연장부(111)를 또, 지지판부(300) 회동결합부(310)에 원추형의 연장부(311)를 형성/구비하고서, 상기 차륜외곽부(100)의 상기 원추형연장부 꼭지점 단부와 상기 회동결합부(310)의 상기 원추형연장부 꼭지점 단부 사이에 상기 마찰저감부(200)를 구비시키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는바 이 경우, 상기 마찰저감부(200)의 직경이 축소되므로 일반 차륜의 회동축 역할을 수행하여 효율적이다. 특히, 도4d에서 차륜외곽부(100) 및/또는 지지판부(300)는 원추형의 가상공간으로 돌출하는 일 이상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차륜외곽부(100) 연장부의 단부와 상기 지지판부(300) 연장부의 단부 사이에 상기 마찰저감부(200)를 형성/구비하는 방법으로 상기 연장부의 중량을 감소시키거나 상기 연장부에 탄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6에서와 같이 상기 차륜외곽부(100)는 복수 이상의 차륜외곽부(100)(100a, 100b)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부(300)/회동결합부(310) 외곽을 회동하도록 구비시킬 수 있으며 이때, 최외각 직경이 다른 복수 이상의 차륜외곽부(100)(100a, 100b)가 상기 지지판부(300)/회동결합부(310) 외곽을 회동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라는 내용을 밝히고 있다.
또, 본 출원인의 다른 선발명 출원번호10-2006-0087778의 구성을 보면 상기 출원의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도1 및 도3에서, 지면에 접촉하여 회동하는 환형의 차륜외곽부(100); 상기 차륜외곽부(100) 내측에 개재되어 회동 결합하는 회동결합부(310)와 탑승자의 족부를 얹는 지지판(320)과 상기 지지판(320)은 상기 회동결합부(310)와 지면에 수직으로 축을 두고 회동가능하도록 피봇결합(P)하되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D)을 보유하여 방향성 캐스터(Directional Caster)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하는 지지판부(300); 상기 차륜외곽부(100)와 상기 지지판부(300)의 상호 회동 마찰을 줄이는 마찰저감부(200);로 구성되고 특히, 상기 구성을 한 쌍 구비하면 도2에서 탑승자는 상기 차륜외곽부(100) 내측에 좌우 양 족부(ft)를 삽입하여 상기 지지판(320)에 족부(ft)를 얹고 상기 양 차륜을 각자 동작하여 추진할 수 있다. 상기 마찰저감부(200)는 도1d에서 상기 차륜외곽부(100)와 상기 회동결합부(310)가 상호 대면하는 즉, 결합하는 상기 차륜외곽부(100) 또는 상기 회동결합부(310)의 어느 일측에 회동축(211)을 두고 회동하는 복수 이상의 롤러(210)로 구성하거나; 도3a처럼 상기 차륜외곽부(100)와 상기 지지판부(300)가 결합하는 사이에 마찰을 줄이도록 개재하는 다수의 베어링(br)일 수 있므며 특히, 도1b를 참조하면 다수의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하우징하는 호형 또는 환형의 베어링 림(220)을 구성하고 상기 베어링 림(220)를 상기 차륜외곽부(100)와 상기 회동결합부(310) 사이에 개재시켜 결합한다. 이때, 상기 차륜외곽부(100)와 상기 지지판(320)의 결합각이 진행방향의 좌우측으로 직각인 경우에는 도2b에서 상기 차륜외곽부(100) 족부(ft)를 삽입하게 되면 도면처럼 상기 차륜외곽부(100)를 경사지게 하여야만 탑승자의 신체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게 되는바 상기 지지판(320) 또한 경사지게 되어 결국, 탑승자의 상기 족부(ft)는 경사진 상태로 주행을 하게되고 진행방향은 방향성 캐스터(Directional Caster)의 원리에 따라 경사진 곳을 향하므로 불편을 초래한다. 따라서 상기 불편의 해소하여 도2c처럼 상기 차륜외곽부(100)를 경사지우면서도 상기 지지판(320)을 지면에 수평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 요구되므로, 도3a에서는 상기 지지판부(300)에서 상기 지지판(320)을 상기 차륜외곽부(100)에 대하여 진행방향의 좌우측으로 직각이 아닌 소정의 경사각(N)을 보유하게 하여 주행시에 상기 지지판(320) 및 상기 족부(ft)가 지면과 수평하게 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도1e에서 상기 지지판부(300)의 지지판(320)은 족부를 고정할 바인더(Binder)와 같은 족부 고정수단(321)을 구비하여 지면의 요철을 통과하거나 묘기의 공연을 수행할 시에 상기 족부(ft)로 부터의 이탈을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3a와 같이 상기 경사각(N)이 부여된 경우, 도3b처럼 일 지지판부(300)에 복수 이상의 차륜외곽부(100)(100a, 100b)를 구비할 수 있으고, 이 경우 탑승자가 중심을 유지하기 좀 더 수월하고 지면의 요철을 통과하기 더욱 쉬운 장점이 있으며 도3c에서와 같이 상호 직경이 다른 차륜외곽부(100)(100a, 100b)를 선택할수도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차륜외곽부(100)에 원추형의 연장부(111)를 또, 지지판부(300) 회동결합부(310)에 원추형의 연장부(311)를 형성/구비하고서, 상기 차륜외곽부(100)의 상기 원추형연장부 꼭지점 단부와 상기 회동결합부(310)의 상기 원추형연장부 꼭지점 단부 사이에 상기 마찰저감부(200)를 구비시키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는바 이 경우, 상기 마찰저감부(200)의 직경이 축소되므로 일반 차륜의 회동축 역할을 수행하여 효율적이며 상기 방향성 캐스터와 관련해서, 상기 지지판부(300)의 지지판(320)은 상기 차륜외곽부(100)에 결합시에 상기 차륜외곽부(100)와 진행방향의 좌우로 소정의 경사각을 보유하도록, 상기 차륜외곽부(100) 및/또는 상기 지지판부(300)/회동결합부(310)는 원추형연장부를 형성/구비하고, 상기 차륜외곽부(100)의 상기 연장부 꼭지점 측 일 단부와 상기 지지판부(300)/회동결합부(310)의 상기 연장부 꼭지점 측 일 단부 사이에 상기 마찰저감부(200)가 형성/구비되고; 상기 지지판(320) 및 상기 회동결합부(310)의 상기 연장부 타 단부는 지면에 수직으로 축을 두고 회동가능하도록 피봇결합(P)하되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D)을 보유하여 방향성 캐스터(Directional Caster)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가능 하고, 특히, 도4d에서 상기 차륜외곽부(100) 및/또는 상기 지지판부(300)는 원추형의 가상공간으로 돌출하는 일 이상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차륜외곽부(100) 연장부의 일 단부와 상기 지지판부(300) 연장부의 일 단부 사이에 상기 마찰저감부(200)가 형성/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의 타 단부 사이에는 지면에 수직으로 축을 두고 회동가능하도록 피봇결합(P)하되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D)을 보유하여 방향성 캐스터(Directional Caster)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연장부의 중량을 감소시키거나 상기 연장부에 탄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6에서와 같이 상기 차륜외곽부(100)는 복수 이상의 차륜외곽부(100)(100a, 100b)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부(300)/회동결합부(310) 외곽을 회동하도록 구비시킬 수 있으며 이때, 최외각 직경이 다른 복수 이상의 차륜외곽부(100)(100a, 100b)가 상기 지지판부(300)/회동결합부(310) 외곽을 회동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라고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를 기초로,
도28 또는 도29에서, 지면에 접촉하여 회동하는 환형의 차륜외곽부(100);
상기 차륜외곽부(100) 내측에 일부 또는 전부가 개재되어 회동 결합하는 회동결합부(310)와 탑승자의 족부를 지지할 지지판(320)이 구비되는 지지판부(300);
상기 차륜외곽부(100)와 상기 지지판부(300)의 상호 회동 마찰을 줄이는 마찰저감부(200);
로 구성되는 차륜수단(10)과 상기 차륜수단이 한 쌍 구비되고;
사용자가 보행하는 방법으로 측면으로 진행하도록, 상기 차륜외곽부(100), 상기 마찰저감부(200) 또는 상기 지지판부(300)에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차륜수단(10)을 상호 교차운동 가능케 하면서 연결하는 교차운동연결부(400)가 구비된다.
또한 도33에서, 상기 차륜외곽부(100) 내측에 개재되어 회동 결합하는 회동결합부(310)와 탑승자의 족부를 얹는 지지판(320)과 상기 지지판은 상기 회동결합부(310)와 지면에 수직으로 축을 두고 회동가능하도록 피봇결합(P)하되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D)을 부여하여 방향성 캐스터(Directional Caster)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하는 지지판부(300);
상기 차륜외곽부(100)와 상기 지지판부(300)의 상호 회동 마찰을 줄이는 마찰저감부(200);
교차운동연결부(400)가 상기 지지판부(300)에서 위로 연장되는바 가령, 지지판(320) 또는 회동결합부(310) 등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34에서, 상기 차륜외곽부(100) 또는 상기 지지판부(300)/회동결합부(310)는 원추형의 가상공간으로 돌출하는 연장부(111) 또는 원추형연장부(311)를 형성/구비하고, 상기 차륜외곽부(100)의 상기 연장부(111, 311) 또는 그 꼭지점 측 일 단부와 상기 지지판부(300)/회동결합부(310)의 상기 연장부 또는 그 꼭지점 측 일 단부 사이에 상기 마찰저감부(200)가 형성/구비되고;
상기 지지판(320) 및 상기 회동결합부(310)의 상기 연장부 타 단부는 지면에 대략 수직으로 축을 두고 회동가능하도록 피봇결합(P)하되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D)을 보유하여 방향성 캐스터(Directional Caster)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캐스터 스키딩 차륜수단(10)이 한 쌍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스키딩 차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요소 양 단부는 상기 캐스터 스키딩 차륜의 지지판부(300)에 각각 결합하므로써 양 케스터 스키딩 차륜의 간격를 한정하거나 뒤틀림 토션 효과를 부여하거나 핸들바를 연장하여 손잡이 요소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교차운동연결부(400)는 상기 차륜 한 쌍 각각의 상기 마찰저감부(200) 또는 상기 지지판부(300)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연결봉(410)과 상기 연결봉의 상단을 굴절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굴절수단이 구비된다.
도28에서, 상기 교차운동연결부/연결봉(400, 410)는 상기 차륜 한 쌍 각각의 상기 차륜외곽부(100)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연결봉(410)과 상기 연결봉의 상단을 굴절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굴절수단(H)이 구비되고 상기 굴절수단은 힌지(Hinge)와 같은 핀결합(Pin Joint), 자재이음과 같은 유니버셜결합(Universal Joint) 또는 도35(나)와 같이 피이(PE), 강선, 와이어(Wire)와 같은 굴절가능한 굴절부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35(가)에서 처럼, 상기 굴절수단(H, H`)은 상기 교차운동연결부의 연결봉(410) 몸체에 구비시켜서 무릎관절처럼 굴절시켜 상기 차륜수단(10)을 들어올려(U) 지면의 요철을 통과하거나 계단을 통과시에 사용할 수 있다.
도29에서, 상기 차륜외곽부(100)에서 가상의 원추로 연장되는 연장부(111, 311) 또는 원추형연장부(111, 311)와 상기 연장부 또는 원추형연장부에 회전가능케 구성되는 차륜결합부(420)와; 상기 교차운동연결부(400)는 상기 차륜결합부(42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차륜결합부(420)는 상기 마찰저감부(200)에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교차운동연결부(400)는 상기 차륜결합부(420)에 결합된다.
또, 도39에서 상기 차륜결합부(420)는 상기 지지판부(300, 310, 311, 320)에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교차운동연결부(400)는 상기 차륜결합부(420)에 결합된다.
도29(가)에서, 상기 차륜수단(10)과 상기 교차운동연결부(400)가 상호 굴절가능하도록 상기 차륜결합부(420)에도 굴절수단(H, H`)이 구비될 수 있다.
도28 및 도29에서, 상기 교차운동연결부(400)의 연결봉 상에는 상기 굴절수단 외에 추가로 굴절수단이 더 구성되어 복수 이상의 굴절수단(H, H`)이 구성될 수 있다.
도36 및 도37에서, 상기 굴절수단(H, H`)은 공지공용되고 있는 기계요소로서, 굴절가능한 소재/부재는 물론, 어깨 관절과 같은 고관절, 핀결합(Pin Joint)과 같은 힌지결합(H) 또는 유니버셜조인트(Universal Joint)와 같은 자재이음(U)과 같은 수단이 될 수 있고 피봇결합(Pivot Jiont)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32(가)는 피봇결합(P)을 예시하고 있으며, 특히 상기 피봇결합은 도30처럼 차륜수단(10)의 방향을 바꾸어서 방향전환(V1, V2)을 시도하거나 교차운동을 이용하여 측면진행을 행하면서 추진력(Vp)을 부여할 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37(가)에서, 상기 굴절수단에는 굴절후에 원위치 또는 원형이 복원될 수 있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T) 등의 복원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탄성체는 그 각각의 단부(T1, T1`)이 상기 연결봉 몸체간 또는 상기 연결봉과 차륜결합부 사이에 고정(T2, T2`)이 되어 상기 복원능력을 갖출 수 있다.
상기 연결봉 및/또는 하기 파지봉은 절첩할 수 있는 공지의 절첩수단 및/또는 신축가능한 신축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공지의 절첩 또는 신축 가능한 자전거 등에서 적용하는 신축수단, 절첩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35(다)에서 연결봉(410)에 실린더부(411)와 피스톤부(412)를 구비시키고 상기 연결봉(410)의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할 수 있는 신축수단(E)을 구비시킬 수 있으며 이때, 스프링, 탄성체와 같은 복원요소(T)를 포함시켜 구성하므로써 길이변형 후 위치복원을 도울 수 있고 또 변형된 길이를 유지시키기 위해 탄성돌기와 같은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39에서, 본 발명 측면주행 자전거의 상기 교차운동연결부(400)의 각각의 연결봉(410)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고 팔운동을 겸할 수 있는 각각의 파지봉(430)이 구비될 수 있다.
도40에서 상기 측면주행 자전거의 교차운동연결부(400)의 연결봉 상측에 상기 연결봉(410) 한 쌍이 상기 굴절부(H)를 중심으로 교차운동을 하더라도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수평수단(500)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수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단수개 이상의 파지봉(530)이 구비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수평수단(500)의 상부에는 착석할 수 있는 안장(520)이 구비될 수 있다.
도40에서, 수평수단(500)을 구비하고 파지봉(530)을 결합하거나 형성하여 연장한 경우 이며 이때, 선택적으로 안장을 상부에 부착하거나 형성하여 구비시킬 수 있다.
도41에서, 상기 수평수단(500)을 차동기어(Differential Gear)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양측의 상기 연결봉(410)이 교차운동을 할 시에 상기 차동기어의 좌우측 기어(G)의 힌지 또는 굴절부(H) 및 상측 또는 하측 기어(G`)의 힌지 또는 굴절부(H`)가 상기 수평수단의 하우징(510)에 축받이를 하고 있으므로 상기 수평수단은 수평을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지할 상기 파지봉(530)은 상기 교차운동을 행할 시에도 요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안장(520)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상기 측면주행 방식의 자전거에 있어서도 상기 틸팅(Tilting)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측면주행 방식 자전거에서 연결봉, 교차운동연결부는 요동수단과 유사한 수단이며, 파지봉은 핸들바와 유사한 수단이다.
도 42 이하에 특히, 횡측으로(옆으로) 요동수단을 전개하는 것과 관련한 실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에서 요동수단의 좌우측을 횡측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진행방향에 종측으로 요동축(또는 핀결합, 회전축)을 구성한 것이다.
물론 상기 좌우로 전개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모든 기술적 사상 및 그를 달성하기 위한 장치, 수단이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예컨대 요동수단 좌우측을 좌우 횡측으로 전개시에 핸들바/핸들봉/지지봉 등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상기 요동상쇄수단(130), 동일각요동수단(131) 및 그 지지수단(131F) 등이 사용될 수 잇다. 이 때에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이 진행방향의 종측으로 전개되도록 구성된 실시에 있어서의 요동상쇄수단의 측면에 상기 핸들바/핸들봉/지지봉을 부착하는 결과가 된다.
도43 A의 경우는 주행수단(300)에 있어서, 자전거 바퀴 형태의 지름이 큰 바퀴(320)를 풋패드(310)의 외측(out)에 축받이 되도록 장착하는 경우를 예시하며, 상기 형태의 바퀴는 내측(in)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43 B의 경우는 요동수단, 본 발명 전방부분의 본체와 사용자와 거리를 맞추기 위해서 등의 이유로 요동축(100A)을 길게 연장하여 거리를 둔 예시로서 상기 요동축은 도면의 예시와는 반대방향으로(앞쪽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도44 A는 좌우 요동수단(100L, 100R)에 요동축(100A)을 각각 별도로 둔 경우로서 좌우 요동수단을 접을 때(포갤 때) 좌,우 요동수단이 좀 더 서로 평행하게 접힐 수 있다.
또, 도44 B는 핸들부(120)의 형태를 요동축으로부터 꺽어서 파지(Grip)하기 편리하도록 구성하는 경우를 보인 것으로서 도면과 같이 상향(up)하여 꺽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 외에 하향(下向)하도록 혹은 측향(側向)하도록 꺽을 수도 있다.
도44 C의 예시와 같이 요동축(100A)의 기울기를 위쪽(up)으로 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도44 D의 예시와 같이 아래쪽(down)으로 향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요동수단이 좌우로 전개되거나 접힐시에 그 궤적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독특한 동작, 운동효과를 노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동축의 위쪽 혹은 아래쪽으로 기우는 각도는 수평면으로부터 1도 이상 89도 이하로 한다.
도45에 도시된 바는, 좌우 요동수단(100L, 100R)이 항상 동일한 각도로 전개되도록 하므로써 핸들바(120)의 좌우 기울임을 방지하도록 하는 요동상쇄수단(130) 즉, 균형유지수단을 장착하는 예시이다.
도45 A의 경우는 좌우 요동수단(100: 100L, 100R)의 각 상단측에 요동축받이 지지수단(131F)을 통하여 요동축(100A)을 별도로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요동축(100A)을 중심축으로 형성되는 각 기어(131G)를 서로 결치시켜서 상기 균형유지수단을 구성하는 경우이다.
도45 B의 경우는 상기 도5의 차동기어수단(131D)을 인용하여 구성한 균형유지수단 (즉, 요동상쇄수단) 으로서 지지수단(131F)으로부터 핸들바(120)가 연장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46 A에 도시된 바는, 상기 도42 내지 도45에 도시된 것을 탑승할 시에 그 동작을 예시한 것으로서, 탑승자가 자신의 좌우 횡측 즉, 측면방향(s)으로 (옆으로) 발을 전개하고, 요동축(100A)은 사용자의 엉덩이(h)보다 높은 위치에 구성되고, 요동수단(100)의 상측에 직접 핸들바(120)가 장착된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요동수단의 상부에 직접 핸들바를 장착할 수 있는 점 외에도, 요동축(100A)과 주행수단(300) 사이에 거리가 늘어나므로 요동수단(100)의 전개에 따른 그 하단에 설치되는 주행수단(300)의 기울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46 B에 도시된 바는 상기 도1 내지 도41에 도시된 것으로서, 요동축(100A)을 사용자의 엉덩이(h)보다 낮은 위치에 구성하는 경우로서 상기 요동축은 바람직하게는 지면으로부터 1.5m 이하의 위치에 배치한다. 이에 따라서 핸들바가 사용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도록 전방상부로 연장되는 핸들바(120, 430, 530)가 필요한 경우이다.
만일, 요동수단을 전후방(f)으로 전개하고, 상기 요동축(100A)이 탑승자의 엉덩이(h)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되면, 도46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동축(100A)의 위치는 사용자의 몸통 중심으로 위치할 수 밖에 없으므로 탑승하거나 요동수단을 전개하는 것이 전혀 불가능해진다.
또한, 이상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동수단은 상기와 같은 또는 공지의 절첩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19에서와 같이 발판 또는 지지판(320)은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외에 절첩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거리변동수단 또는 틸팅수단은 힌지, 신축가위 또는 피스톤, 슬라이딩 수단이 가능하고, 상기 거리변동수단 또는 틸팅수단은 상기 요동수단 일측이 신장할 때 다른 측은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핸들바수단(120); 주행수단(300); 지지판(320)

Claims (5)

  1. 요동수단;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 상부를 연결하면서 굴절 가능한 요동축; 지면에서 구름운동을 하는 휠과 탑승자의 발을 얹는 풋패드가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 각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요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이 전,후,좌,우로 요동동작 가능한 승용물에 있어서,
    상기 요동수단상에 상기 요동 영향을 줄이는 요동상쇄수단; 상기 요동상쇄수단상 또는, 상기 지지수단상에 구비되는 핸들바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딩자전거
  2. 입상한 좌우측 요동수단 한쌍;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 상단을 상호 핀조인트시킨 요동축; 상기 좌우측 요동수단 각 하단에 구비되는 풋패드와 주행수단으로 구성되는 승용물에 있어서,
    상기 요동수단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를 변동시킬 수 있는 거리변동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딩자전거
  3. 환형의 차륜외곽부; 상기 차륜외곽부 내경에 개재되는 회동결합부와 지지판이 구비되는 지지판부; 상기 차륜외곽부와 상기 지지판부의 상호 회동 마찰을 줄이는 마찰저감부;로 구성되는 차륜수단과 상기 차륜수단이 한 쌍 구비되고,
    상기 차륜외곽부, 상기 마찰저감부 또는 상기 지지판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차륜수단을 상호 교차운동 가능케 하면서 연결하는 교차운동연결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딩자전거
  4. 지면에 접촉하여 회동하는 환형의 차륜외곽부; 상기 차륜외곽부 내경에 개재되어 회동 결합하는 회동결합부와 탑승자의 족부를 얹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은 상기 회동결합부와 지면에 수직으로 축을 두고 회동가능하도록 피봇결합하되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하여 방향성 캐스터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하는 지지판부; 상기 차륜외곽부와 상기 지지판부의 상호 회동 마찰을 줄이는 마찰저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딩자전거
  5. 스키딩자전거
KR1020130166249A 2013-12-28 2013-12-28 스키딩자전거 KR20140027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249A KR20140027039A (ko) 2013-12-28 2013-12-28 스키딩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249A KR20140027039A (ko) 2013-12-28 2013-12-28 스키딩자전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001U Division KR20120004164U (ko) 2011-08-01 2011-08-01 스키딩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039A true KR20140027039A (ko) 2014-03-06

Family

ID=5064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249A KR20140027039A (ko) 2013-12-28 2013-12-28 스키딩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70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369B1 (ko) * 2019-06-11 2019-12-05 임성하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369B1 (ko) * 2019-06-11 2019-12-05 임성하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7687B2 (ja) 自転車
JP5265581B2 (ja) 後輪操舵三輪スクータ
US11279432B2 (en) Self-balancing foot platform devices
US20090045598A1 (en) Skateboard capable of all-direction running
US8584782B2 (en) Two-wheeled self-balancing motorized personal vehicle with tilting wheels
AU2013344834B2 (en) Vehicle stability, steering, ride characteristics and control
US8505935B2 (en) Tricycle kick board
US20130032423A1 (en) Two-wheeled self-balancing motorized personal vehicle with tilting wheels
CN100519322C (zh) 手脚驱动自行车
US20110215546A1 (en) Self-Propelled Vehicle Propelled by an Elliptical Drive Train With Improved Stride Length
KR20020042572A (ko) 흔들어서 나아가는 구름판
US9090313B2 (en) Snowmobile having a front suspension assembly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CN102076553B (zh) 滑行装置
WO2014118504A1 (en) Laid Back Cycle
KR20140027039A (ko) 스키딩자전거
WO2006121257A1 (en) Skateboard capable of all-direction running
KR20120004164U (ko) 스키딩자전거
WO2012102605A1 (en) Human powered vehicle
KR101158422B1 (ko) 롤러 스케이팅 승용기구
CN206606304U (zh) 一种立躺变换自行车
RU19018U1 (ru) Складной самокат
CA2267838C (en) Exercise bicycle
RU2520634C1 (ru) Самокат
CN211364812U (zh) 一种电动车车架,及具有该车架的电动车
TWI810370B (zh) 用於機動車輛之具有兩個前轉向輪、雙轉向桿的前導向架及包括該前導向架的機動車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