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976A -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976A
KR20010062976A KR1019990059764A KR19990059764A KR20010062976A KR 20010062976 A KR20010062976 A KR 20010062976A KR 1019990059764 A KR1019990059764 A KR 1019990059764A KR 19990059764 A KR19990059764 A KR 19990059764A KR 20010062976 A KR20010062976 A KR 20010062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bicycle
rod
shaf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웅
Original Assignee
김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웅 filed Critical 김세웅
Priority to KR1019990059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2976A/ko
Publication of KR2001006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97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2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by both hand and foot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unchangeable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28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exible drive members, e.g.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희용 또는 레저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한 상태에서 시이소 타입의 페달을 발로 동작시키거나 힌지 설치된 핸들을 손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주행되도록 하는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탑승한 상태에서 손의 힘과 발의 힘을 사용하여 주행가능하도록 발판프레임(11)의 중앙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이격간(12), 상기 이격간(12)의 끝단에 시이소타입으로 힌지(13) 설치되는 발판(14), 상기 발판(14)의 선단에 호형으로 형성된 홈(15)에 설치되는 안내간(16), 상기 안내간(16)에 축설되는 로드(17), 상기 로드(17)의 끝단에 힌지(18) 연결되는 회전링크(19), 상기 회전링크(19)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자전거의 핸들프레임(20)에 축설되는 회전축(21), 상기 회전축(21)에 설치되는 다단의 회전기어(22), 상기 회전기어(22)에 체인(23)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전륜바퀴축(24)에 설치되는 일방향 회전기어(25), 전륜바퀴(26)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로드(17)롤 안내하도록 핸들프레임(20)에 설치되는 안내구(27), 및 상기 회전기어(22)의 회전축(21)에 설치되는 플라이휠(28)를 포함하는 구성과, 자전거의 핸들프레임(20)에 축설되는 핸들(29'), 상기 핸들(29')상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회동간(31), 상기 회동간(31)에 힌지 연결되는 로드(32), 상기 로드(32)와 힌지 연결되는 회전링크(33) 또는 다수의 축공(34a)이 형성된 회전판(34), 상기 회전링크(33)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자전거의 핸들프레임(20)에축설되는 회전축(21), 상기 회전축(21)에 설치되는 회전기어(22), 상기 회전기어(22)에 체인(23)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전륜바퀴축(24)에 설치되는 일방향 회전기어(25), 및 상기 회전축(21)상에 설치되는 플라이휠(28)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 {BICYCLE USING POWER OF HAND AND FOOT}
본 발명은 유희용 또는 레저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한 상태에서 시이소 타입의 페달을 발로 동작시키거나 힌지 설치된 핸들을 손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주행되도록 하는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명 '씽씽이'라고 하는 유희용 자전거가 도시되어 있다.
주로 어린이들을 위한 유희구로서 폐달의 힘에 의한 자전장치가 없이 한 발을 받판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한 발로 지면을 내딛어 주행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두 발을 모두 탑승시킨 상태에서는 계속적인 주행이 불가능하게 되어있어 계속적인 주행을 위해서는 상당한 힘이 필요하게 되고, 성인이 즐기기에는 부적합하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유희용 자전거가 안고 있는 여러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한 상태에서 시이소 타입의 페달을 발로 동작시키거나 힌지 설치된 핸들을 손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주행되도록 하는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는, 페달방식으로 자전하지 않는 자전거에 있어서 탑승한 상태에서 발의 힘으로 주행가능하도록, 상기 자전거의 발판프레임상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시이소타입으로 힌지 설치되는 발판, 상기 발판의 선단에 형성된 홈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힌지 설치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끝단에 힌지 연결되는 회전링크, 상기 회전링크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자전거의 핸들프레임에 축설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기어, 상기 회전기어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전륜바퀴축에 설치되는 일방향 회전기어, 및 전륜바퀴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로드롤 안내하도록 핸들프레임에 설치되는 안내구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페달방식으로 자전하지 않는 자전거에 있어서 탑승한 상태에서 손의 힘으로 주행가능하도록, 상기 자전거의 핸들프레임에 힌지 설치되는 핸들, 상기 핸들상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회동간, 상기 회동간에 힌지 연결되는 로드, 상기 로드와 힌지 연결되는 회전링크, 상기 회전링크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자전거의 핸들프레임에 축설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전륜바퀴축에 설치되는 일방향 회전기어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페달방식으로 자전하지 않는 자전거에 있어서 탑승한 상태에서 손의 힘과 발의 힘을 동시적으로 사용하여 주행가능하도록, 상기 발의 힘으로 주행가능하게 하는 장치와 손의 힘으로 주행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서로 연계되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의 힘으로 주행가능하게 하는 장치는 기존의 페달 자전거에 적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전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자전거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자전거의 정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평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회전판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자전거의 정면 구성도,
도 8은 도 7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전거(씽씽이) 10,10',10": 자전거
11: 발판프레임 12: 이격간
13,18: 힌지 14: 발판
15: 홈 16: 안내간
17,32: 로드 19,33: 회전링크
20: 핸들프레임 21: 회전축
22: 회전기어 23: 체인
24: (전륜)바퀴축 25: (일방향)회전기어
26: 전륜바퀴 27: 안내구
28: 플라이휠 29,29': 핸들
30: 후륜바퀴 31: 회동간
34: 회전판 34a: 축공
35: 부시 36: 조정볼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자전거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자전거의 정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평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회전판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자전거의 정면 구성도, 도 8은 도 7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10)는 페달방식으로 자전하지 않는 자전거에 있어서 탑승한 상태에서 발의 힘으로 주행가능하도록, 상기 자전거의 발판프레임(11)의 중앙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이격간(12), 상기 이격간(12)의 끝단에 시이소타입으로 힌지(13) 설치되는 발판(14), 상기 발판(14)의 선단에 호형으로 형성된 홈(15)에 설치되는 안내간(16), 상기 안내간(16)에 축설되는 로드(17), 상기 로드(17)의 끝단에 힌지(18) 연결되는 회전링크(19), 상기 회전링크(19)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자전거의 핸들프레임(20)에 축설되는 회전축(21), 상기 회전축(21)에 설치되는 다단의 회전기어(22), 상기 회전기어(22)에 체인(23)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전륜바퀴축(24)에 설치되는 일방향 회전기어(25), 전륜바퀴(26)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로드(17)롤 안내하도록 핸들프레임(20)에 설치되는 안내구(27), 및 상기 회전기어(22)의 회전축(21)에 설치되는 플라이휠(28)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미설명 부호 29는 핸들이며, 30은 후륜바퀴이다.
상기 후륜바퀴(30)는 하나일 수 있고 두 개일 수 있고, 상기 핸들축(20)에 설치된 회전기어(22)와 전륜바퀴(26)에 설치된 회전기어(25)의 기어비는 약 2:1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기어비로 변환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기어(22)(25)을 다단의 기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자전거(10)의 주행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발판(14)상에 탑승한 상태에서 두 발을 이용하여 상기 발판(14)을 전후방향으로 눌려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발판(14)은 힌지(13)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러면 그 회동하는 발판(14)에 연결된 로드(17)는 상하운동을 개시하여 상기 로드(17)에 연결된 링크(19)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링크(19)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에 위치하게 될지라도 플라이휠(28)의관성력에 의해 그 상사점 및 하사점을 극복하게 되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드(17)의 상하운동은 전후방운동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데 이 때에는 핸들프레임(20)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구(27)에 의해 상기 로드(17)의 전후방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회전하는 링크(19)는 그 회전축(21) 및 이에 설치된 회전기어(2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어서 상기 회전기어(22)에 연결된 체인(23)을 통해 전륜바퀴(26)의 회전기어(25)을 회전시킴으로써 마침내 전륜바퀴(26)의 회전에 따른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주행방향을 감안하여 핸들(29)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핸들축(20)상에 설치된 장치 역시 회전방향으로 위치되는 관계로 발판(14)에 연결된 로드(17) 역시 회전방향을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되어져야 한다.
즉, 상기 로드(17)는 발판(14)의 홈(15)에 설치된 안내간(16)을 따라 회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그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전거가 관성력을 얻을 시에는 전륜바퀴(26)에 설치된 회전기어(25)가 일방향기어(레쳇기어)인 까닭에 발판(14)을 동작시키지 않고서도 계속적인 주행이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탑승한 상태에서 손의 힘으로 주행가능하도록하는 자전거(1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자전거(10')는 자전거의 핸들프레임(20)에 축설되는 핸들(29'), 상기핸들(29')상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회동간(31), 상기 회동간(31)에 힌지 연결되는 로드(32), 상기 로드(32)와 힌지 연결되는 회전링크(33) 또는 다수의 축공(34a)이 형성된 회전판(34), 상기 회전링크(33)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자전거의 핸들프레임(20)에 축설되는 회전축(21), 상기 회전축(21)에 설치되는 회전기어(22), 상기 회전기어(22)에 체인(23)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전륜바퀴축(24)에 설치되는 일방향 회전기어(25), 및 상기 회전축(21)상에 설치되는 플라이휠(28)을 포함한 구성이다.
상기 핸들(29')은 그 손잡이부가 'ㄷ'형태로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자전거(10')는 사용자가 발판(14')상에 탑승한 상태에서 핸들(29')을 상하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29')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러면 핸들(29')에 돌출 형성된 회동간(31)의 회동에 의해 이에 연결된 로드(32)가 회전링크(33) 또는 회전판(34)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회전링크(33) 또는 회전판(34)는 회전축(21)에 설치된 회전기어(22)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22)의 회전력은 체인(23)을 통해 회전기어(25)에 전달되고 전륜바퀴(26)가 회전함으로써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회전링크(33)를 회전판(34)으로 대신할 경우에는 그 축공(34a)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핸들(29')의 회동거리 변경을 다양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핸들(29')를 사용하여 주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핸들(29')를 고정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데, 이 때에는 핸들을 축설시키는 부시(35)에 설치된 조정볼트(36)를 사용하여 상기 핸들(29')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핸들(29')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는 기존 폐달방식의 자전거에 적용시킬 경우 기존의 페달을 이용하여 주행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핸들을 이용하여 주행할 수도 있으며, 페달과 핸들을 동시적으로 이용하여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선택의 폭이 크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탑승한 상태에서 손의 힘과 발의 힘을 동시적으로 사용하여 주행가능하도록 하는 자전거(1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자전거(10")는 전술한 발의 힘으로 주행가능하게 하는 자전거(10)의 장치와 손의 힘으로 주행가능하게 하는 자전거(10')의 장치를 서로 연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발판프레임(11)의 중앙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이격간(12), 상기 이격간(12)의 끝단에 시이소타입으로 힌지(13) 설치되는 발판(14), 상기 발판(14)의 선단에 호형으로 형성된 홈(15)에 설치되는 안내간(16), 상기 안내간(16)에 축설되는 로드(17), 상기 로드(17)의 끝단에 힌지(18) 연결되는 회전링크(19), 상기 회전링크(19)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자전거의 핸들프레임(20)에 축설되는 회전축(21), 상기 회전축(21)에 설치되는 다단의 회전기어(22), 상기 회전기어(22)에 체인(23)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전륜바퀴축(24)에 설치되는 일방향 회전기어(25), 전륜바퀴(26)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로드(17)롤 안내하도록 핸들프레임(20)에 설치되는 안내구(27), 및 상기 회전기어(22)의 회전축(21)에 설치되는 플라이휠(28)를 포함하는 구성과, 자전거의 핸들프레임(20)에 축설되는 핸들(29'), 상기 핸들(29')상에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회동간(31), 상기 회동간(31)에 힌지 연결되는 로드(32), 상기 로드(32)와 힌지 연결되는 회전링크(33) 또는 다수의 축공(34a)이 형성된 회전판(34), 상기 회전링크(33)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자전거의 핸들프레임(20)에 축설되는 회전축(21), 상기 회전축(21)에 설치되는 회전기어(22), 상기 회전기어(22)에 체인(23)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전륜바퀴축(24)에 설치되는 일방향 회전기어(25), 및 상기 회전축(21)상에 설치되는 플라이휠(28)을 포함한 구성을 서로 연계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의 자전거(10")는 시이소 타입의 발판(14)을 이용하여 주행이 가능함과 동시에 회동타입의 핸들(29')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것이 모두 가능함에 따라 선택의 폭이 커지게 되고, 모두를 이용할 경우 보다 효율적인 운동의 효과와 원활한 주행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는, 탑승한 상태에서 시이소 타입의 페달을 발로 동작시키거나 힌지 설치된 핸들을 손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주행되도록 하는 구성에 의해, 손발의 힘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운동이나 레저 또는 유희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되며, 기존의 페달을 이용한 자전거에 적용시킬 경우 새로운 경기방식을 얻을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페달방식으로 자전하지 않는 자전거에 있어서,
    탑승한 상태에서 발의 힘으로 주행가능하도록, 상기 자전거의 발판프레임(11)의 중앙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이격간(12), 상기 이격간(12)의 끝단에 시이소타입으로 힌지(13) 설치되는 발판(14), 상기 발판(14)의 선단에 호형으로 형성된 홈(15)에 설치되는 안내간(16), 상기 안내간(16)에 축설되는 로드(17), 상기 로드(17)의 끝단에 힌지(18) 연결되는 회전링크(19), 상기 회전링크(19)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자전거의 핸들프레임(20)에 축설되는 회전축(21), 상기 회전축(21)에 설치되는 다단의 회전기어(22), 상기 회전기어(22)에 체인(23)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전륜바퀴축(24)에 설치되는 일방향 회전기어(25), 전륜바퀴(26)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로드(17)롤 안내하도록 핸들프레임(20)에 설치되는 안내구(27), 및 상기 회전기어(22)의 회전축(21)에 설치되는 플라이휠(28)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
  2. 탑승한 상태에서 손의 힘으로 주행가능하도록 자전거의 핸들프레임(20)에 축설되는 핸들(29'), 상기 핸들(29')상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회동간(31), 상기 회동간(31)에 힌지 연결되는 로드(32), 상기 로드(32)와 힌지 연결되는 회전링크(33) 또는 다수의 축공(34a)이 형성된 회전판(34), 상기 회전링크(33)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자전거의 핸들프레임(20)에 축설되는 회전축(21), 상기 회전축(21)에 설치되는 회전기어(22), 상기 회전기어(22)에 체인(23)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전륜바퀴축(24)에 설치되는 일방향 회전기어(25), 및 상기 회전축(21)상에 설치되는 플라이휠(28)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
  3. 탑승한 상태에서 손의 힘과 발의 힘을 동시적으로 사용하여 주행가능하도록 발판프레임(11)의 중앙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이격간(12), 상기 이격간(12)의 끝단에 시이소타입으로 힌지(13) 설치되는 발판(14), 상기 발판(14)의 선단에 호형으로 형성된 홈(15)에 설치되는 안내간(16), 상기 안내간(16)에 축설되는 로드(17), 상기 로드(17)의 끝단에 힌지(18) 연결되는 회전링크(19), 상기 회전링크(19)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자전거의 핸들프레임(20)에 축설되는 회전축(21), 상기 회전축(21)에 설치되는 다단의 회전기어(22), 상기 회전기어(22)에 체인(23)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전륜바퀴축(24)에 설치되는 일방향 회전기어(25), 전륜바퀴(26)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로드(17)롤 안내하도록 핸들프레임(20)에 설치되는 안내구(27), 및 상기 회전기어(22)의 회전축(21)에 설치되는 플라이휠(28)를 포함하는 구성과, 자전거의 핸들프레임(20)에 축설되는 핸들(29'), 상기 핸들(29')상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회동간(31), 상기 회동간(31)에 힌지 연결되는 로드(32), 상기 로드(32)와 힌지 연결되는 회전링크(33) 또는 다수의 축공(34a)이 형성된 회전판(34), 상기 회전링크(33)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자전거의 핸들프레임(20)에 축설되는 회전축(21), 상기 회전축(21)에 설치되는 회전기어(22), 상기회전기어(22)에 체인(23)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전륜바퀴축(24)에 설치되는 일방향 회전기어(25), 및 상기 회전축(21)상에 설치되는 플라이휠(28)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
KR1019990059764A 1999-12-21 1999-12-21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 KR20010062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764A KR20010062976A (ko) 1999-12-21 1999-12-21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764A KR20010062976A (ko) 1999-12-21 1999-12-21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976A true KR20010062976A (ko) 2001-07-09

Family

ID=19627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764A KR20010062976A (ko) 1999-12-21 1999-12-21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29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373A (ko) * 2000-06-10 2001-12-17 김세웅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
KR100937946B1 (ko) * 2007-12-14 2010-01-21 전홍수 자전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5048A (en) * 1976-09-28 1977-08-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iling arm cambering vehicle with stabilizer linkage having locking means for parking and stowage
US4087104A (en) * 1976-01-19 1978-05-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manually propelling a cambering vehicle
US4186934A (en) * 1978-09-27 1980-02-05 Collings Thomas J Scooter vehicle
US5192089A (en) * 1991-11-22 1993-03-09 Taylor Walter R Pedal-operated scooter
KR970059031A (ko) * 1997-05-21 1997-08-12 이동희 핸들과 발판으로 움직이는 입식 시소형 자전거
KR970058753A (ko) * 1997-05-07 1997-08-12 이동희 핸들과 발판으로 움직이는 승마 자전거
KR19990046739A (ko) * 1999-04-20 1999-07-05 지대원 자전거의핸들크랭크페달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7104A (en) * 1976-01-19 1978-05-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manually propelling a cambering vehicle
US4045048A (en) * 1976-09-28 1977-08-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iling arm cambering vehicle with stabilizer linkage having locking means for parking and stowage
US4186934A (en) * 1978-09-27 1980-02-05 Collings Thomas J Scooter vehicle
US5192089A (en) * 1991-11-22 1993-03-09 Taylor Walter R Pedal-operated scooter
KR970058753A (ko) * 1997-05-07 1997-08-12 이동희 핸들과 발판으로 움직이는 승마 자전거
KR970059031A (ko) * 1997-05-21 1997-08-12 이동희 핸들과 발판으로 움직이는 입식 시소형 자전거
KR19990046739A (ko) * 1999-04-20 1999-07-05 지대원 자전거의핸들크랭크페달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373A (ko) * 2000-06-10 2001-12-17 김세웅 핸들을 이용한 싱싱 자전거의 주행장치
KR100937946B1 (ko) * 2007-12-14 2010-01-21 전홍수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0346A (en) Human powered drive-mechanism with versatile driving modes
EP1491243A2 (en) Electric scooter
JP3101174U (ja) 自転車
US20100044995A1 (en) Quick board with handle to operate driving power of front wheel
US7108638B2 (en) Exercise device
KR100800570B1 (ko) 스텝보드
KR200454698Y1 (ko) 헬스 자전거
KR20010062976A (ko) 손발의 힘을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장치
KR101438904B1 (ko) 트라이 스케이트보드
CN86210936U (zh) 迪斯科健身游乐车
US4584889A (en) Drive mechanism for occupant propelled vehicle and the like
JPH07329863A (ja) スケート
KR100942442B1 (ko) 시소 구동식 킥보드
KR200262680Y1 (ko) 놀이용 보드
KR200271699Y1 (ko) 페달구동형 킥보드
KR200250482Y1 (ko) 슬라이딩 동력에 의한 승강놀이구
KR200249003Y1 (ko) 놀이용 보우트
KR200226194Y1 (ko) 자전거의 페달을 이용한 추진장치
KR200222205Y1 (ko) 승물놀이구용 후륜구동장치
JPS63315Y2 (ko)
KR200324633Y1 (ko) 유희용 이동기구
KR910008000Y1 (ko) 동물형 아동용 승마 놀이구
KR200273966Y1 (ko) 손발 구동용 삼륜자전거
JPH0759898A (ja) 全輪駆動式遊戯走行車
CN2524791Y (zh) 椭圆轨迹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