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326Y1 - 전동스케이트보드 - Google Patents

전동스케이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326Y1
KR200420326Y1 KR2020060005176U KR20060005176U KR200420326Y1 KR 200420326 Y1 KR200420326 Y1 KR 200420326Y1 KR 2020060005176 U KR2020060005176 U KR 2020060005176U KR 20060005176 U KR20060005176 U KR 20060005176U KR 200420326 Y1 KR200420326 Y1 KR 200420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haft
skateboard
brak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광
Original Assignee
김진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광 filed Critical 김진광
Priority to KR2020060005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3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3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2017/1472Hand operated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을 장착한 전동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기존의 스케이트보드에 엔진을 장착하고 브레이크레버와 엔진연료레버가 장착된 속도조절장치를 설치하여 평지에서의 스릴과 속도감을 오르막길에서도 그대로 속도를 유지시켜 주는 엔진을 장착한 전동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동스케이트보드는 발을 통한 몸의 중심이동으로 방향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기존 스케이트보드의 기능을 유지시킴으로써 몸의 평형감각을 발달시키고 신체를 단련하게 하며, 속도감과 스릴을 즐길 수 있는 엔진을 장착한 전동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브레이크레버와 엔진레버가 장착된 속도조절장치를 손잡이에 의해 쉽게 제동 및 변속이 가능하도록 전동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전동스케이트보드

Description

전동스케이트보드{A electromotion skateboard}
도 1은 종래의 전동스케이트보드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스케이트보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스케이트보드의 상태도(1)
도 4는 도 3의 본 고안에 따른 전동스케이트보드의 "A"부위의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스케이트보드의 정면상태도
도 6은 도 5의 본 고안에 따른 전동스케이트보드의 "B"부위의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스케이트보드의 배면상태도
도 8은 도 7의 본 고안에 따른 전동스케이트보드의 "C"부위의 확대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스케이트보드의 상태도(2)
도 10은 도 9의 본 고안에 따른 전동스케이트보드의 "D"부위의 확대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스케이트보드의 상태도(3)
도 12는 도 11의 본 고안에 따른 전동스케이트보드의 "E"부위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전동스케이트보드 100
발판 200
앞바퀴 300
뒷바퀴 400
바퀴축 410
제2감속기어 420
제2벨트 430
브레이크 440
브레이크케이블 450
브레이크레버 460
엔진 500
엔진축 510
엔진기어 520
동력전달축 530
구동기어 540
제1벨트 550
제1감속기어 560
엔진시동줄 570
커버 580
연료통 600
엔진연료레버 700
엔진연료케이블 710
손잡이 800
케이블보호대 850
본 고안은 엔진을 장착한 전동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기존의 스케이트보드에 엔진을 장착하고 브레이크레버와 엔진연료레버가 장착된 속도조절장치를 설치하여 평지에서의 스릴과 속도감을 오르막길에서도 그대로 속도를 유지시켜 주는 엔진을 장착한 전동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기존의 스케이트보드는 한발은 스케이트 발판 위에 위치시키고 다른 한발은 지면에 위치하여 지면에 있는 발을 굴러 스케이트보드를 전진하게 한 후, 몸의 중심을 앞뒤로 움직여 전진 방향 운동력을 발생시키는 방법이었으나, 초보자의 경우 상당한 연습이 필요하고 운동량이 과다하여 스케이트보드의 활용도가 넓은 층으로 확대되지 않았으며, 언덕을 오르기가 어렵고, 속도가 느려 속도감과 스릴이 떨어지며, 별도의 제동장치가 없어 내리막길에서는 주행시 사고의 위험성이 큰 문제가 있어 왔다.
또한, 기존의 엔진을 장착한 스케이트보드에 있어서 종래에 따른 일예를 나타낸 도 1로서 도시된 그 구성은 탑승자의 양발이 안착되고, 긴 널빤지 형태로 이루어진 발판(1)과, 상기 발판(1)의 길이방향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며, 전·후방 휠축(2a)(3a)이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휠축브라켓트(2b)(3b)의 상측에 발판브라 켓트(2c)(3c)를 조향힌지(2d)(3d)로 결합시킨 전,후 트럭(2)(3)과, 일단은 상기 발판(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전·후 트럭(2)(3)에 각각 고정되는 트럭장착부(4)와, 상기 전·후방 휠축(2a)(3a)에 각각 결합되어진 전·후륜(5)(6)과, 상기 후 트럭(3)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후륜(6)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엔진(7)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륜(6)의 일측에 스프라켓(6c)을 설치하여 엔진(7)의 구동력을 전달받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터 보드는 엔진(7)에 시동을 걸고, 모터 보드의 발판(1) 상면에 탑승자가 올라 탄 상태에서 가속레버를 당기게 되면 엔진(7)의 구동력은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후륜(6)의 스프라켓(6c)을 회전시키게 되는 원리로 되어 있어 상기 모터 보드에 사용되는 엔진을 가속레버를 당겨 사용되는 것으로 엔진의 구동력은 변속없이 일정한 동력으로 상기 스프라켓에 전달되어 속도조절이 불가능하며, 언덕이나 오르막길을 주행시 엔진의 힘을 가속화하는 장치가 불가능하여 속도를 즐기는 사용자에게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케이트보드에 있어 발판에 가속 및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되는 것이 있으나, 스케이트보드 사용자는 주행시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힘과 작동에 의해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방 또는 후방 장애물 등이 있을시 순간적인 제동이 어려우며, 또한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에 가속을 동시에 사용자의 발에 의해 작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발을 통한 몸의 중심이동으로 방향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기존 스케이트보드의 기능을 유지시킴으로써 몸의 평형감각을 발달시키고 신체를 단련하게 하며, 속도감과 스릴을 즐길 수 있는 엔진을 장착한 전동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브레이크레버와 엔진연료레버가 장착된 속도조절장치를 손잡이에 의해 쉽게 제동 및 변속이 가능하도록 전동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500)을 장착한 전동스케이트보드(100)에 있어서, 발판(200)의 하부에 전후로 형성된 2개의 앞·뒷바퀴(300, 400)와, 상기 발판(200)의 후면 뒷바퀴(400)의 상부에 장착시킨 엔진(500)과, 상기 엔진(500)의 상부에 장착시킨 연료통(600)과, 상기 엔진(500)의 상부 일측면에 엔진(500)을 가동시키기 위하여 형성한 엔진시동줄(570)과, 상기 엔진(500)의 상부 일측면에 엔진(500)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연결된 엔진연료케이블(750)과, 상기 엔진연료케이블(750) 끝단에 구비된 엔진연료레버(700)와,
상기 엔진(500)의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축(510) 끝단에 구비된 엔진기어(520)와, 상기 엔진축(510)과 이격되어 엔진축(51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축(530)과, 상기 동력전달축(530) 끝단부에 구비된 구동기어(540)와, 상기 구동기어(540)와 엔진기어(520)를 연동시키기 위한 제1벨트(550)와, 상기 동력전달축(530) 다른 일측 끝단부에 구비된 제1감속기어(560)와,
상기 뒷바퀴(400) 일측면에 구비된 바퀴축(410)과, 상기 바퀴축(410)에 형성된 제2감속기어(420)와, 상기 동력전달축(530)의 제1감속기어(560)와 바퀴축(410)의 제2감속기어(420)를 연동시키기 위한 제2벨트(430)와, 상기 뒷바퀴(400) 다른 일측면에 동력을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440)와, 상기 브레이크(440)와 연결된 브레이크케이블(450)과, 상기 브레이크케이블(450) 끝단에 브레이크레버(46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을 장착한 전동스케이트보드(100)를 제공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엔진연료레버(700)와 브레이크레버(460)를 분리되어 사용자의 양손에 제어되도록 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한손에 의해 엔진연료레버(700)와 브레이크레버(46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손잡이(800)를 구비하여 손잡이(800) 양끝단에 엔진연료레버(700)와 브레이크레버(460)를 장착하여 구성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엔진연료케이블(750)과 브레이크케이블(450)을 원통형의 케이블보호대(850)에 함께 삽입시키고, 상기 케이블보호대(850)와 손잡이(800)가 분리조립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800)를 케이블보호대(850)에 결속시켜 일체화를 이루어 구성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A”부위의 확대도를 나타낸 도 4에서 상기 엔진(500)의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축(510) 끝단에 구비된 엔진기어(520)와, 상기 엔진축(51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엔진축(51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축(530)과, 상기 동력전달 축(530) 끝단부에 구비된 구동기어(540)와, 상기 구동기어(540)와 엔진기어(520)를 연동시키기 위한 제1벨트(550)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는 것으로 엔진(500)에 시동을 걸어 엔진축(5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엔진축(510)에 구비된 엔진기어(520)에 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엔진축(510)과 이격된 동력전달축(530)에 구비된 구동기어(540)와 엔진축(510)의 엔진기어(520)를 연동하기 위해 제1벨트(550)에 의해 엔지축(510)의 동력이 동력전달축(530)에 전달되고, 상기 동력전달축(530)에 전달된 동력은 다시 동력전달축(530)의 다른 일측 끝단부에 구비된 제1감속기어(560)에 의해 도 6의 도 5에 대한 “B”부위의 확대도에 도시된 뒷바퀴(400)에 구비된 바퀴축(410)의 제2감속기어(420)로 제2벨트(430)에 의해 연동되어 바퀴축(410)의 회전으로 뒷바퀴(400)가 회전을 일으켜 전동스케이트보드(100)가 주행을 하게 된다. 상기 뒷바퀴(400)의 동력전달 구조는 도 5의 “B”부위의 확대도인 도 6, 도 7의 “C”부위의 확대도인 도 8, 도 9의 “D”부위의 확대도인 도 10에 나타낸 각각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전동스케이트보드(100)의 시각적인 각도에 따라 도시된 것으로 뒷바퀴(400) 부분의 구조적인 상세함을 전달하고자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엔진축(510)의 엔진기어(520)와 동력전달축(530)의 구동기어(540)는 제1벨트(550)에 의해 연동되는데, 변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축(510)의 엔진기어(520)와 동력전달축(530)의 구동기어(540) 사이에 제1벨트(550)로 인한 연동방식이 아닌 엔진기어(520)와 구동기어(540)가 맞물리는 치차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2는 도 11에 대한 “E”부위의 확대도로서 상기 뒷바퀴(400) 일측면은 바퀴축(410)이 구비되고, 다른 일측면에는 브레이크(440)가 구비되어 자동차의 앞바퀴에 구비된 브레이크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것으로 브레이크레버(460)를 누르면 브레이크(440)가 뒷바퀴(400)의 측면을 가압하여 동시에 브레이크(440)가 뒷바퀴(400)의 측면을 밀착되어 뒷바퀴(400)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한 브레이크레버(460)는 설계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자전거의 브레이크장치와 같이 작동원리는 손잡이(800)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레버(460)와, 상기 브레이크레버(460)와 연동되어 뒷바퀴(400)를 마찰력으로 제동시키는 마찰패드가 구비되는 브레이크(440)를 말한다.
상기한 전동스케이트보드의 작동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판(200)의 후면 뒷바퀴(400)의 상부에 장착시킨 엔진(500)의 상부 일측면에 엔진을 가동시키기 위하여 형성한 엔진시동줄(570)을 당겨 엔진(500)을 가동시키고, 상기 발판(200)위에 사용자가 엔진연료레버(700)를 누르면 엔진(500)에 연료가 공급되어 엔진축(510)이 회전을 하고, 상기 엔진축(510) 끝단부에 구비된 엔진기어(520)로 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엔진축(51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동력전달축(530)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동력전달축(530) 일측 끝단부에 구비된 구동기어(540)와 엔진축(510)의 엔진기어(520)를 연동시키기 위한 제1벨트(550)에 의해 동력이 동력전달축(530)으로 전달되고, 상기 동력전달축(530)에 전달된 동력은 상기 동력전달축(530) 다른 일측 끝단부에 구비된 제1감속기어(560)에 의해 뒷바퀴(400) 일측면에 구비된 바퀴축(410)의 제2감속기어(420)로 제2벨트(430)에 의해 연동되어 바퀴축(410)에 동력이 전달되어 뒷바퀴(400)의 회전을 일으켜 전동스케이트보드(400)가 주행을 하게 된다. 또한, 전동스케이트보드(400)를 정지를 할 때 손잡이(800)에 구비된 브레이크레버(460)를 누르면 브레이크케이블(450)에 의해 연동된 뒷바퀴(400) 다른 일측면에 구비된 브레이크(440)가 작동되어 뒷바퀴(400) 일측면을 가압하면서 밀착되어 뒷바퀴(40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엔진을 장착한 전동스케이트보드는 엔진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어 주행성능을 높일 수 있고, 제동장치를 장착하여 안전사고에 대비하였으며,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평지에서나 오르막길에서나 속력을 높여 속도감과 스릴을 만끽할 수 있으며, 또한 몸의 평형감각을 발달시키고 신체를 단련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엔진(500)을 장착한 전동스케이트보드(100)에 있어서,
    발판(200)의 하부에 전후로 형성된 2개의 앞· 뒷바퀴(300, 400)와, 상기 발판(200)의 후면 뒷바퀴(400)의 상부에 장착시킨 엔진(500)과, 상기 엔진(500)의 상부에 장착시킨 연료통(600)과, 상기 엔진(500)의 상부 일측면에 엔진(500)을 가동시키기 위하여 형성한 엔진시동줄(570)과, 상기 엔진(500)의 상부 일측면에 엔진(500)에 연료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해 연결된 엔진연료케이블(750)과, 상기 엔진연료케이블(750) 끝단에 구비된 엔진연료레버(700)와,
    상기 엔진(500)의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축(510) 끝단에 구비된 엔진기어(520)와, 상기 엔진축(510)과 이격되어 엔진축(51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축(530)과,
    상기 동력전달축(530) 끝단부에 구비된 구동기어(540)와, 상기 구동기어(540)와 엔진기어(520)를 연동시키기 위한 제1벨트(550)와,
    상기 동력전달축(530) 다른 일측 끝단부에 구비된 제1감속기어(560)와, 상기 뒷바퀴(400) 일측면에 구비된 바퀴축(410)에 형성된 제2감속기어(420)와, 상기 동력전달축(530)의 제1감속기어(560)와 바퀴축(410)의 제2감속기어(420)를 연동시키기 위한 제2벨트(430)와,
    상기 뒷바퀴(400) 다른 일측면에 동력을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440)와 연결된 브레이크케이블(450)과, 상기 브레이크케이블(450) 끝단에 브레이크레버(46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케이트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연료레버(700)와 브레이크레버(460)는 손잡이(800)를 구비하여 손잡이(800) 양끝단에 엔진연료레버(700)와 브레이크레버(460)를 장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케이트 보드
KR2020060005176U 2005-11-04 2006-02-24 전동스케이트보드 KR200420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176U KR200420326Y1 (ko) 2005-11-04 2006-02-24 전동스케이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600 2005-11-04
KR2020060005176U KR200420326Y1 (ko) 2005-11-04 2006-02-24 전동스케이트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326Y1 true KR200420326Y1 (ko) 2006-06-30

Family

ID=4176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176U KR200420326Y1 (ko) 2005-11-04 2006-02-24 전동스케이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3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955A (ko) 2017-01-20 2018-07-30 김호현 전동 보드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955A (ko) 2017-01-20 2018-07-30 김호현 전동 보드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6152B (zh) 改进的踏板车和踏板驱动组件
US7204330B1 (en) Battery-powered, remote-controlled, motor-driven, steerable roller skates
US7487987B2 (en) User-propelled riding toys with simultaneous pedal recovery system
CN101801778B (zh) 踏板作为发动机的微型踏板车
US4456089A (en) Motorized device for pushing or pulling a roller skate
US20160121957A1 (en) Powered personal mobility vehicle with rotating wheels
US20100044995A1 (en) Quick board with handle to operate driving power of front wheel
KR200420326Y1 (ko) 전동스케이트보드
KR100776854B1 (ko) 일륜 전동스쿠터
KR100950028B1 (ko) 승물용 전륜조립체
KR100642140B1 (ko) 전후륜 자전운행이 가능한 퀵보드
US8857840B2 (en) Drive system with contoured cavity
JP2007044358A (ja) 自走式スケートボード
GB2246751A (en) Rider-supported motor vehicle
US20050023793A1 (en) Pedal scooter
JP4815550B2 (ja) 二輪操舵のスケートボード
KR20100005964A (ko) 탑승용 기구
KR200384506Y1 (ko) 롤러 썰매
KR200468832Y1 (ko) 자동 브레이크기능을 가지는 유아용 롤러썰매
KR200230228Y1 (ko) 프로펠러가 부착된 자전거형 유희구
WO2004108231A1 (en) Motorized skateboard
KR200222777Y1 (ko) 동력전달이 가능한 킥보드
KR200255796Y1 (ko) 자전거의 동력구동장치
KR200353056Y1 (ko) 모터 보드의 동력전달 구조
JP2006021693A (ja) リヤカー自転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