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140B1 - 전후륜 자전운행이 가능한 퀵보드 - Google Patents

전후륜 자전운행이 가능한 퀵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140B1
KR100642140B1 KR1020050011662A KR20050011662A KR100642140B1 KR 100642140 B1 KR100642140 B1 KR 100642140B1 KR 1020050011662 A KR1020050011662 A KR 1020050011662A KR 20050011662 A KR20050011662 A KR 20050011662A KR 100642140 B1 KR100642140 B1 KR 100642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front wheel
quick
gea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1061A (ko
Inventor
황순길
Original Assignee
경림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림코리아(주) filed Critical 경림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50011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140B1/ko
Publication of KR20060091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1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planetary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나 청소년, 성년 등이 여가 활동으로 즐길 수 있는 퀵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퀵보드의 손잡이부를 전후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전륜의 구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후륜측과 연결되어 보드판측으로 연장되는 한조의 페달을 번갈아 밟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후륜측으로도 구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여 허리운동 및 다리 근육 강화 운동을 겸함과 동시에 퀵보드의 스피드감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후륜 자전운동이 가능한 퀵보드에 관한 것이다.
퀵보드, 손잡이부, 유성기어부, 본체후레임, 후륜, 보드, 기어박스부

Description

전후륜 자전운행이 가능한 퀵보드{Quick-Board for possible rotation runn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도를 도시한 사시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전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유성기어를 나타낸 각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퀵보드의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전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후륜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의한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손잡이부를 전후 양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전륜에 구동력이 제공되는 상태의 타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의한 전륜의 분해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의한 전륜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면이고,
도 10은 도 7에 의해 채택된 일시예의 퀴보드 손잡이부를 잡아당길 경우의 전륜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기 전륜 일측의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손잡이부를 밀 경우의 전륜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기 전륜 타측의 도면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퀵보드 110; 손잡이부
111; 브레이크 조작손잡이 112; 지지후레임
113; 가지후레임 120; 유성기어부
121; 유성캐리어 122; 평기어
122a; 평기어축 123; 결합판
123a; 축공 124; 보조브라켓
125; 원판플레이트 130; 전륜
131; 스플라인축 132; 일방향 크러치 베어링
133; 커버 134; 연결플렌지
140; 본체후레임 141; 연결후레임
150; 보드 160; 후륜
161; 축 170; 기어박스부
171; 구동기어 172,172',172"; 종동기어
180; 페달 181; 스프링
본 발명은 청소년이나 성년 등이 여가 활동으로 즐길 수 있는 퀵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퀵보드의 손잡이를 전후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전륜의 구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후륜측과 연결되어 보드판측으로 연장되는 한조의 페달을 번갈아 밟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후륜측으로도 구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여 허리운동 및 다리 근육 강화 운동을 겸함과 동시에 퀵보드의 스피드감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후륜 자전운동이 가능한 퀵보드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소위 퀵보드(Quick board)라 불리우는 스포츠형 소형 운송수단이 인기를 모으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상기 퀵보드는 발판을 갖는 몸체의 앞뒤측에 크기가 작은 전륜 및 후륜을 장착하고 몸체의 전륜측에 위쪽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를 설치한 것으로서, 한쪽 발을 발판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발로 지면을 지치면서 앞으로 전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관성에 의해 퀵보드가 전진 이송할 때에는 두발을 동시에 퀵보드의 보드판에 올려놓아도 되나, 그 관성에 의해 전진 이송되는 거리는 한계가 있으며 속도 또한 일정치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르막길 등에서는 발로 지면을 지치면서 전진 이송하기가 상당히 어려워 사용자가 퀵보드를 끌면서 오르막길을 오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상기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 및 구성 등이 제시되고 있는바 예컨데 자전거와 퀵보드를 접목하여 안장등이 구비되도록 하고 후륜측에 체인등으로 연결되는 페달을 이용하여 구륜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328324 호인 보드형 자전거, 실용신안 등록 제 366099 호인 퀵보드식 자전거, 특허등록출원 제 2002-37275 호나 실용신안등록 제 244364 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44074호 등 다수의 퀵보드 겸용 자전거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같은 선출원 및 등록된 발명(고안)의 경우 주로 자전거의 안장 및 페달 구조를 적용하여 퀵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어, 안장에 사용자가 앉은 자세를 유지하며 오르막길 등에서는 페달을 이용, 전진토록 하고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고 바퀴가 작은 상태의 자전거와 유사한 구성을 갖게 되므로 제품의 크기 또한 상대적으로 커질 수 밖에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페달을 이용하여 작은 직경의 후륜을 속도감을 즐길수 있을 정도의 회전비를 얻기 위해서는 다단기어로 형성하거나 또는 페달측과 연결되는 스프로켓의 직경이 다소 커지게 되는 등 외관상 그 구성이 번잡하게 되는 문제와, 운행 중 자전거와 같이 체인이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주로 안장에 앉아서 발만을 이용하여 운행하게 되므로 전신운동의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퀵보드의 전후륜 구동이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여 스피드감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전후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전신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퀵보드의 이용시 오르막길이나 평지 등 도로면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륜 또는 후륜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퀵보드의 일정속도를 항상 유지하며 즐길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110)와 보드(150) 및 전ㆍ후륜(130,160)이 각각 구비되는 퀵보드(100)에 있어서,
상기 전륜(130)의 스플라인축(131)과 연결되어 손잡이부(110)가 상기 스플라인축(131)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이와 연동하여 상기 전륜(1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유성기어부(120)와,
선단부는 전륜(130)측과 연결되고 양측으로 보드(150)가 구비되는 본체후레 임(140)과,
상기 본체후레임(140) 후단측으로 치차결합되는 2조의 구동(171,171a) 및 종동기어(172,172a)를 수용하는 기어박스부(170)와,
상기 기어박스부(170)의 각 구동기어(171,171a)와 연결되어 상기 후륜(16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페달(1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전륜(130)의 스플라인축(131)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가능하게 되는 손잡이부(110)와, 상기 전륜(130) 스플라인축(131)상으로 축설되되 상기 손잡이부(11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유성기어부(120)와, 후륜(160)측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어박스부(170)와, 상기 전륜(130) 및 후륜(160)간을 연결하는 본체후레임(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10)는 일반적인 퀵보드와 마찬가지로 퀵보드(100)의 운행시 방향을 전환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과 더불어, 후술하게 되는 유성기어부(120)와 연동되도록 하여 손잡이부(110)와 연결되는 지지후레임(112)이 유성기어부(120)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110)의 회동에 따라 전륜(130)이 구륜 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즉, 도 1 또는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손잡이부(110)의 중앙 하단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후레임(112)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후레임(112) 단부측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분기되는 가지후레임(113)을 형성하여, 전륜(130)의 양측으로 각각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유성기어부(120)와 연결되며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성기어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10)의 가지후레임(113)과 연결되어, 손잡이부(110)를 전후로 회동시킬 때 유성기어부(120) 또한 연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앙으로 축설되는 전륜(130)의 스플라인축(131)을 회전시켜 상기 전륜(130)의 전진 구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유성기어부(120)는 도2 내지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바, 손잡이부(110)를 일방향으로만 회동시킬 때 전륜(130)의 구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달리 상기 도 8에서 보는바와 같이 손잡이부(110)를 전후로 각각 회동시킬 때 각각의 회동력에 따른 전륜(130)의 구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먼저 유성기어부(12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내주면으로 치차가 형성되는 유성캐리어(121)를 구비하고 상기 유성캐리어(121) 내주면과 치차결합되기 위한 3개의 평기어(122)가 구비된다.
상기 평기어(122)에는 각각의 평기어축(122a)에 의해 동일 위치에서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통상의 유성기어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3개의 평기어(122)가 접하는 중앙 지점에 내접기어를 형성하여 각 평기어(122)와 치차결합되며 축의 구동에 따라 그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을 갖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은 내접기어 대신에, 상기한 전륜(130)의 스플라인축(131) 각 단부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상기 스플라인축(131)과 상기의 각 평기어(122)가 치차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같이 유성캐리어(121)와 평기어(122)가 치차결합되는 상태에서 중앙으로 베어링 등이 구비되어 양측면을 상기 평기어축(122a)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축공(123a)이 천공되는 결합판(1123)에 의해 각각의 상기 유성캐리어(121)의 양측면을 커버링하며 고정하게 된다.
상기 스플라인축(131)에 결합되는 각각의 유성기어부(120)의 유성캐리어(121)는 손잡이부(110)의 가지후레임(113) 단부와 각각 고정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일방향으로 회동 시킬 때, 상기 유성기어부(120)의 유성캐리어(121)를 연동 회전시키게 되는데, 상기 유성캐리어(121)가 회전됨에 따라 그 내부의 평기어(122)는 각각의 평기어축(122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스플라인축(131)도 동시에 회전되어 결국 전륜(130)을 구동, 퀵보드(100)가 전진 이송될 수 있게 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전륜(130)의 중심으로 상기 스플라인축(131)에 축설되면서 전륜(130)에 일방향으로만 동력이 전달될 수 있는 일방향 크러치 베어링(One-way cluch bearing)(132)을 채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10)를 잡은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일방향(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측으로 회동되도록 구성하였다.)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 손잡이부(110)의 가지후레임(113)과 고정되는 유성캐리어(121)의 회전에 의해 유성캐리어(121) 내부의 평기어(122)가 손잡이부(110)의 회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며 평기어(122) 사이에 치차결합되어 있는 스플라인축(131)이 전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동시에 일방향 크러치 베어링(132)을 연동시켜 상기 전륜(130)을 전진방향으로 회전, 전진 이송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플라인축(131)의 구성은 손잡이부(110)를 일방향으로만 회동시킬 때 전륜(130)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예컨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10)를 전후로 각각 회동시키더라도 동일 회전비에 의한 구동력이 전륜(1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8내지 도 9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스플라인축(131)의 중앙을 분리하고 그 각각 분리되는 일단부측은 전륜(130) 양측 중심에 각각 일방향 크러치 베어링(One-way cluch)(132)과 결합되어 연동되고, 상기 스플라인축(131) 타단측으로 형성되는 스플라인으로 상술한 유성기어부(120) 유닛을 축설하도록 하여, 각각의 유성기어부(120) 유닛의 동작이 상술한 구조와 같이 연동되지 아니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도 8에서 보는바와 같이 유성기어부(120)의 일측으로 보조브라켓(124) 및 원판플레이트(125)를 고정한다.
이와같은 보조브라켓(124)은 상술한 유성기어부(120)의 유성캐리어(121) 외주면과 고정되고, 또한 보조브라켓(124)은 그 외측으로 구비되는 상기의 원판플레이트(125)와 고정되어져, 상기 스플라인축(131)과 연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한조의 가지후레임(113)의 일단이 도 10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원판플레이트(125)에 고정되도록 하면, 퀵보드(100)의 사용자가 손잡이부(100)를 사용자측으로 회동시키는 동작에 따라 가지후레임(113)과 고정되어 있는 원판플레이트(125) 및 이와 고정되는 보조브라켓(124)이 연동 회동되는데, 이 보조브라켓(124)은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유성캐리어(121)와 연동되도록 고정되어 있어 결국, 손잡이부(110)의 회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성캐리어(121)가 회전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유성캐리어(121)의 회전에 따라, 그 내부에 각각 축설되는 평기어(122)는 도 3에서와 같이 동일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평기어(122)와 치차결합되어 있는 스플라인축(131)은 상기 평기어(122)들과의 치차결합에 의해 이와는 정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전륜(130)을 손잡이부(110)의 운동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그 회전력이 전달, 구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관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플라인축(131)이 전륜(130)을 관통하여 구성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한편, 이와같이 손잡이부(110)가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은 방향 즉 사용자측으로 회동될 때의 방향으로 회동운동하게 되면, 반대측 방향(도 9 참조)의 유성기어부(120)는 일방향 크러치 베어링(132)에 의해 헛도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는 달리, 전륜(130)의 타측으로 구비되는 유성기어부(120) 유닛의 경우 상술한 원판플레이트(125)를 유성기어부(120) 유닛의 최외측 결합판(123)과 고정되도록 하고, 그 원판플레이트(125)와 손잡이부(110)의 지지후레임(112)으로부터 분기되어 타측방으로 이어지는 가지후레임(113) 단부와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손잡이부(110)를 사용자측으로 잡아 당기는 동작시에는 전륜(130)에 어떠한 힘도 작용되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외측방으로 밀게 되면,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132)을 전진 이송방향으로 회전시켜 결국 전륜(130)을 전진 이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측으로 잡아당길 때와 잡아당기는 동작 및 미는 동작에서도 전륜(130)의 구동이 각각 가능한 실시예 및 그 구성에 의해 전륜(130)에 사용자의 상체를 이용한 자가운동에 의해 그 전진 구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이와는 달리 후륜(160)측으로도 사용자가 퀵보드(100)를 즐기면서 전진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본체후레임(140) 후단부와 연결 고 정되는 기어박스부(170)와 상기 기어박스부(170)의 기어들을 회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페달(180)이 연결된다.
상기 본체후레임(140)은 그 전단부가 전륜(130)측과 연결 고정되고 그 후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어박스부(170)의 전방측과 연결되고, 본체후레임(140) 양측으로 사용자의 발이 안착될 수 있는 보드(150)가 각각 구비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기어박스부(170)는 후륜(160)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페달(180)을 밟음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기어(171)와 그 구동기어(171)와 치차결합되는 다수의 제1,2종동기어(172,172')를 축설하되 최후의 제3종동기어(172")는 후륜(160)의 축(161)에 축설되어 그 회동력을 후륜(160)이 구름운동할 수 있는 구동력으로 제공된다.
이때,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구동기어(171)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고 이와 치합되는 제1종공기어(172)의 직경은 그 회전비를 고려하여 작게 형성하고, 제1종동기어(172)와 동일축상에 축설되는 제2종동기어(172')는 그 직경을 상기 구동기어(17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제2종동기어(172')와 치합되는 제3종동기어(172")는 제1종동기어(172)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회전비를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페달(180)을 밟은 후 원상회복하기 위해 그 페달(180)에 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181)을 탄설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페달(180)의 중심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방향 크러치 베어링(132)을 축설하여 페달(180)을 밟을 때는 구동기어(171)에 그 회전력이 전달, 후륜(160)을 구동시키게 되고, 페달(180)을 놓았을 때에는 아무런 힘이 작용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후륜(160)의 중심으로도 상기한 일방향 크러치 베어링(132)을 채택, 적용하여 언덕등과 같은 경사진 곳을 지날 때 후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청소년이나 어린이 또는 성인 등이 속도감 있도록 즐기기 위해서, 사용자가 두발을 모두 보드(150)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손잡이부(110)를 이용하여 전륜(130)의 스플라인축(131)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동시키게 되면, 그 작용힘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륜(130)을 전진 이송방향으로 회동시켜 퀵보드(100)가 이송된다.
아울러, 속도감을 더 얻기 위해서 보드(150)측으로 연장되는 페달(180)을 한발 또는 양발을 모두 이용하여 밟게 되면, 상기 페달(180)과 연결되어 있는 기어박스부(170)의 각 기어(171,172,172'172") 치차 결합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후륜(160)을 전진 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체를 이용하여 손잡이부(110)를 노젓듯이 전후 회동시킴과 동시에 양발 또는 한쪽발만을 이용하여 페달(180)을 반복하여 밟게 되면 전륜(130) 및 후륜(160)에 각각 구동력이 발생되어, 사용자는 종전과 같이 지면에 발을 지치지 않고도 스피드감을 만끽하며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퀵보드의 손잡이부를 전후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전륜의 구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이와는 별도로 후륜측과 연결되어 보드판측으로 연장되는 한조의 페달을 번갈아 밟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후륜측으로도 구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여 허리운동 및 다리 근육 강화 운동을 겸함과 동시에 퀵보드의 스피드감을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퀵보드를 즐기는 동안 사용자의 발이 지면에 닿을 필요 없이 즐길 수 있으므로 종전과 같이 자칫 퀵보드가 운행되는 과정에서 지면에 발을 닿을 때 그 마찰력에 의해 사용자가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언덕 등을 올라갈 때에도 손잡이부와 페달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각각 얻게 되어 퀵보드를 종전과 같이 끌고 언덕을 오르는 번거로움 없이,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손잡이부(110)와 보드(150) 및 전ㆍ후륜(130,160)이 각각 구비되는 퀵보드(100)에 있어서,
    외주면으로 스프로켓이 형성되는 일방형 크러치 베어링(132)과 치차내합되는 커버(133)에 의해 커버링 되고, 상기 일방향 크러치 베어링(132)은 상기 전륜(130)을 관통하는 스플라인축(131)에 의해 축설되고, 유성캐리어(121)내 다수개의 평기어(122)가 치합되고 상기 유성캐리어(121) 양측면을 커버하는 결합판(123)으로 각각의 평기어(122)가 평기어축(122a)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결합판(123) 일측으로 상기의 커버(133)가 고정되어 전륜(1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유성기어부(120)와,
    선단부는 전륜(130)측과 연결되고 양측으로 보드(150)가 구비되는 본체후레임(140)과,
    상기 본체후레임(140) 후단측으로 구동(171) 및 종동기어(172,172'172")가 치차결합되도록 수용하고, 상기 종동기어(172")는 후륜(160)의 축(161)에 축설되는 기어박스부(170)와,
    상기 기어박스부(170)의 구동기어(171)와 연결되어 상기 후륜(16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페달(180)이 스프링(181)에 의해 탄지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륜 자전운행이 가능한 퀵보드.
KR1020050011662A 2005-02-11 2005-02-11 전후륜 자전운행이 가능한 퀵보드 KR100642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662A KR100642140B1 (ko) 2005-02-11 2005-02-11 전후륜 자전운행이 가능한 퀵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662A KR100642140B1 (ko) 2005-02-11 2005-02-11 전후륜 자전운행이 가능한 퀵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061A KR20060091061A (ko) 2006-08-18
KR100642140B1 true KR100642140B1 (ko) 2006-11-06

Family

ID=3759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662A KR100642140B1 (ko) 2005-02-11 2005-02-11 전후륜 자전운행이 가능한 퀵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596B1 (ko) 2006-04-27 2008-06-10 송길용 발판 구동 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1286A1 (en) * 2007-10-19 2009-04-23 Kyoung Lim Korea Co., Ltd Bicycle with handle rotatable back and forth
CN102001406B (zh) * 2010-11-20 2016-01-13 太仓市车中宝休闲用品有限公司 立式踏步滑板车
CN104859776A (zh) * 2015-04-22 2015-08-26 温州卓达运动健身器材有限公司 一种新型脚踏车驱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596B1 (ko) 2006-04-27 2008-06-10 송길용 발판 구동 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061A (ko) 200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6897A (en) Manually powered vehicle having a flywheel assisted drive
CN101801778B (zh) 踏板作为发动机的微型踏板车
JP6144199B2 (ja) ペダル駆動型キックボード
US7487987B2 (en) User-propelled riding toys with simultaneous pedal recovery system
US7367569B2 (en) Roll sliding device
US20140251709A1 (en) Vehicle having a pedal drive and a reverse gear mechanism
KR100642140B1 (ko) 전후륜 자전운행이 가능한 퀵보드
JP2002264878A (ja) 車輪昇降用駆動装置
JP2006513923A (ja) 自転車の動力伝達装置
US20100044995A1 (en) Quick board with handle to operate driving power of front wheel
KR101261892B1 (ko) 구동장치
US6916031B1 (en) Frictionless bicycle stopping device
JP2006528582A (ja) 多様なペダリング方法の自転車ドライブユニット
KR101195422B1 (ko) 주행속도 향상을 위한 자전거용 가속장치
KR100907732B1 (ko) 전신 운동 자전거
KR100968689B1 (ko) 인력 구동형 동력전달장치
KR100927202B1 (ko) 전륜의 구동력을 손잡이에 의해 운행되도록 하는 퀵보드
JPH023992Y2 (ko)
KR100825125B1 (ko) 전후 회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자전거
EP1366976A1 (en) Tread-cycle
US20030234507A1 (en) Kinetic energy generating mechanism
KR200255796Y1 (ko) 자전거의 동력구동장치
CN200981631Y (zh) 人力雪地滑车
KR100927201B1 (ko) 전륜의 구동력을 손잡이에 의해 운행되도록 하는 퀵보드
JPH08164234A (ja) 駆動機構付きスケ−トボ−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