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850B1 - 페달구동형 킥보드 - Google Patents

페달구동형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850B1
KR100597850B1 KR1020030067105A KR20030067105A KR100597850B1 KR 100597850 B1 KR100597850 B1 KR 100597850B1 KR 1020030067105 A KR1020030067105 A KR 1020030067105A KR 20030067105 A KR20030067105 A KR 20030067105A KR 100597850 B1 KR100597850 B1 KR 100597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driving
shaft
pow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9660A (ko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김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환 filed Critical 김기환
Priority to KR1020030067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850B1/ko
Publication of KR20050029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spur g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unchangeable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달에 의해 구동되는 킥보드에 관한 사항으로서, 프레임 측부에 발을 올려놓을수 있는 페달을 서로 대칭되게 좌,우로 설치하여 페달을 정,역방향에 관계없이 회전 구동함으로서 킥보드를 주행할수 있게 하며, 특히 역방향구동시와 정방향구동시의 속도를 달리 구성할수 있어 2단변속기를 부착한 효과를 가질수 있으며, 평형크랭크기구로 구성된 페달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할수 있고, 또한 정방향 페달 구동시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용이한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전단에 설치되어 방향조절이 가능하고 하단부에 회전하는 전륜(11)이 구비되는 핸들(10)과, 상기 프레임(20)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륜과 함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후륜(30)과 상기 후륜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멈춤장치 역할을 하는 흙받이(80)로 구성되어 있는 통상의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측부에 좌,우로 대칭되게 설치되고 페달(60) 및 크랭크아암(61)으로 구성되어져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동력의 회전수를 증속하기 위해 기어로 형성된 속도증속부와: 동력발생부의 정,역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일방향으로 회전방향을 변환하기 위해 래치장치 및 체인기어, 체인으로 구성된 방향 변환부와: 상기 속도증속부와 방향 변환부의 감싸고 있는 기어케이스(40)와: 상기 방향변환부의 동력을 후륜(30) 전달하는 체인기어 및 체인으로 구성된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구성요소를 결합하게 되는 체결기구(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킥보드, 일방향동력전달장치, 페달

Description

페달구동형 킥보드{PEDAL-DRIVED KICKBOARD}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개략적인 외관도.
도 2는 도1의 요부 상세 측면 구성도
도 3은 도2의 단면상태의 평면구성도.
도 4는 페달장치중 힌지부의 상세 분해 사시도.
도5A는 페달장치중 힌지부 구성도.
도5B는 도5A의 A-A부 단면 구성도.
도5C는 도5A의 B-B부 단면 구성도.
도6A는 페달의 정,역방향구동시 구동장치의 동력전달 계통도이며.
도6B는 도6A의 A-A부 단면도로서
페달구동시의 래치장치 및 기어의 회전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6C는 도6A의 B-B부 단면도로서
페달구동시의 스플라켓의 회전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정방향 구동시의 페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이며
도 8은 역방향 구동시의 페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핸들 11 : 전륜
20 : 프레임 30 : 후륜
31 : 후륜축 32 : 일방향기어
40 : 기어케이스 41 : 구동제1축
42 : 제1평기어 43 : 제2증속기어
44 : 제1체인기어 44a : 스플라켓
45 : 제1래치장치 45a : 래치홈부
45b : 래치돌기부 45c : 래치복귀스프링
49 : 체인
51 : 구동제2축 52: 제1증속기어
53 : 제2평기어
54 : 제2체인기어 54a : 스플라켓
55 : 제2래치장치 55a : 래치홈부
55b : 래치돌기부 55c : 래치복귀스프링
60 : 페달 61 : 크랭크아암
62 : 아이들 크랭크아암 63 : 회전스토퍼
64 : 회전핀 65 : 복귀스프링
66 : 크랭크아암 홀더 67 : 고정와셔
68 : 고정너트
70 : 원동체인기어 71: 구동체인
72 : 종동체인기어 73: 키이
80 : 흙받이 90: 베어링
본 발명은 킥보드에 관한 사항으로서, 프레임 양측 좌,우 측부에 발을 올려놓을수 있는 페달을 서로 대칭되게 설치하여 페달을 정,역방향에 관계없이 회전 구동함으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전진주행할 수가 있는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방향 구동때와 역방향구동일때의 기어비를 달리 구성하여 2단변속기의 역할을 할 수가 있으며, 평형크랭크기구로 구성된 페달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정방향으로 페달구동시 일정각도 까지는 한 발을 페달에 얹어 몸의 균형을 유지한채로 다른 페달의 회전으로 킥보드를 주행시킬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한쪽 발을 몸체에 얹고 한 쪽 발로 땅을 찰때 발생하는 추진력으로 주행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지면을 차는 과정에 있어 탑승상태가 불안정하고 운동량에 비해 충분한 추진력을 얻지 못할뿐 아니라, 지면을 찰때 깡충깡충 뛰는 형상으로 인해 젊은이들만의 놀이기구로 인식되어져 이동수단이나 운동수단으로서는 거의 이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발명가들에 의해 탑승상태에서도 주행이 가능한 킥보드가 개발되어 왔으나, 대부분 한쪽발은 킥보드 프레임에 얹고 다른 한쪽발만으로 페달을 회전시켜 구동력을 얻는 구조로서 이는 한쪽발만의 구동 으로 인하여 균형적인 다리근육의 발달을 저해하게 되며, 일부 양쪽 측부에 통상의 자전거용 페달을 형성하여 회전 구동하는 킥보드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좌,우 페달이 항상 180도 각도를 이루고 있어서 페달구동시 좌 또는 우측발을 누름과 동시에 우 또는 좌측발을 떼어야 하기 때문에 선채로 페달링을 하게되는 킥보드에 있어서는 몸의 균형을 잡기가 힘들어 탑승상태가 불안해지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게 되어 통상의 킥보드에 적용하기에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또한 페달의 정방향구동에 의해서만 킥보드를 전진주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탑승자가 쉽게 실증을 내게 되고, 인간신체의 균형적인 발달을 기대할 수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통상의 킥보드의 양쪽 측부 좌,우에 대칭되게 페달을 설치하여 정,역방향에 관계없이 회전구동하여 전진주행할수 있게 함으로서 신체의 균형적인 발달을 도모할수 있으며, 또한 페달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정방향 구동시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용이하여 안전성과 더불어 유희성을 배가시켜 사용자의 저변확대를 도모할수 있으며, 특히 연속적인 동력전달과 함께 정방향 구동시와 역방향 구동시의 속도비를 달리 구성할수 있음으로서 실질적인 이단변속기 역할을 수행하는 킥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구동형 킥보드는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전단에 설치되어 방향조절이 가능하고 하단부에 회전하는 전륜(11)이 구비되는 핸들(10)과: 상기 프레임(20)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륜(11)과함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후륜(30)과: 상기 후륜(30)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흙받이(80):를 구비하는 통상의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 좌우에 설치되는 페달(60) 및 크랭크아암(61)의 회전운동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며, 속도증속부의 구동제1축(41)과 각각 제한적으로 구속 회전하도록 결속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의 크랭크아암(61)과 연결되는 구동제1축(41)과, 이와 평형하게 설치되는 방향변환부의 구동제2축(51)에 각각 축설되는 제1,2평기어(42,53) , 제1,2증속기어(43, 52) 의 기어결속에 의해 동력의 속도를 증속하는 속도증속부와:
상기 속도증속부에서 증속된 동력을 항상 일방향으로 출력하기 위해서,
상기속도증속부의 말단에 형성되는 제2증속기어(43) 및 제2평기어(53)와는 일방향동력장치에 의해 결속되는 제1.2체인기어(44,54)와, 제1,2체인기어(44.54)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를 연결하는 체인(49)과, 제2체인기어(54)와 키이결속되어 하기 동력전달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제2축(51)으로 구성되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변환부와:
상기 속도증속부와 방향변환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어케이스와:
상기 방향변환부의 구동제2축(51)과 키이 결속되는 원동체인기어(70) 및 후륜축(31)과 키이 결속되는 종동체인기어(72)가 구동체인(71)에 의해 연결되어지며, 또한 후륜축(31)과 후륜(30) 사이에 결속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일방향 베어링(32)에 의해 구동제2축(51)의 동력을 후륜(30)에 전달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수단:이 추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구동형 킥보드
상기 동력발생부는 도1 및 도3에서 보는바와 같이 기어케이스(40)의 좌,우 측부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게 되며, 구동제1축(41) 양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랭크 아암(61)과: 기어케이스(40) 후부 돌출부에 크랭크아암(61)과 동일한 크기로 회전가능하게 결속되는 아이들 크랭크아암(62)과; 상기 2개의 아암 돌출부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페달(60)로: 구성되며, 페 달(60)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구동제1축(41)을 회전할수 있도록 평형 크랭크기구로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아암(61)은 도4에 나타난 바와같이 구동제1축(41)에 고정설치된 크랭크암 홀더(66)에 의해 일정각도까지만 회전할수 있도록 구속되게 축결합되며, 도5A와 같이 일단은 크랭크아암(61)과 연결되고 타단은 크랭크아암 홀더(66)와 연결된 복귀스프링(65))에 의해 항상 크랭크아암(61)이 전진방향(도면상 시계회전방향)으로 크랭크 아암 홀더(66)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크랭크 아암(61)에는 걸림턱을 갖는 회전스토퍼(63)가 회전핀(6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지며, 페달(60)이 상부에 위치할때 회전스토퍼(63)의 자중에 의해 아래부위에 처져 회전스토퍼(63)의 걸림턱(63)이 크랭크아암 홀더(66)를 구속하게 되므로 역회전시 페달(60)의 공회전을 막을수 있게 된다.
상기 기어케이스(40)는 도3에서 보는바와 같이 프레임(20) 후부측 상면에 착탈가능(도면 미도시)하게 고정되어 구동제1축(41)과 구동제2축(51)이 각각 베어링에 의해 결속되게 되며, 축의 위치를 유지하고 속도증속부와 방향변환부를 보호하게 되며 후부 돌출부에는 아이들 크랭크아암(62)을 회전가능하게 결속하기 위한 돌출부가 나사공과 함께 형성된다.
또한 내부에는 윤활유를 급유할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속도 증속부는 동력발생부에 의해 정,역회전하게 되는 구동제1축(41)과, 상기 구동제1축(41)에 내주면이 키이(73)결속되고 외주면은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제1평기어(42)와, 내주면은 구동제1축(41)에 회전가능하게 축결속되며 외주 면은 직경이 다른 2단으로 기어가 형성되어지는 제2증속기어(43)와, 구동제1축(41)과 나란히 별도 형성되는 구동제2축(51)에 내주면이 회전가능하게 결속되며 외주면은 직경이 다른 2단으로 기어가 형성되어지는 제1증속기어(52)와, 내주면은 구동제2축(51)과 회전가능하게 축결속하고 외주면은 평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제1증속기어(52)로 구성되어지며, 제1평기어(42)는 제1증속기어(52)의 작은기어부와 치결속하고, 큰기어부는 제2증속기어(43)의 작은기어부와 치결속하고, 큰기어부는 제2평기어(53)와 치결속되어 구성되며, 제2증속기어(43) 및 제2평기어(53)는 방향변환부의 제1,2체인기어(44, 54)와 정,역래치장치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속도를 증속할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방향변환부는 나란히 형성되는 구동제1축(41) 및 구동제2축(5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축 결속하는 제1,2체인기어(44,54)와: 각 체인기어(44,54)를 동일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체인(49)과: 상기 속도 증속부에서 증속된 동력을 제1체인기어(44) 또는 제2체인기어(54)에 정방향으로 동력 전달하기 위해 제2증속기어(43) 또는 제2평기어(53)의 내에 설치되어 일방향 동력전달하게 되는 제1,2래치장치(45,55):와 상기 제2체인기어(54)와 키이결속되어져 동력전달수단에 동력을 출력하게 되는 구동제2축(51)으로 구성되어져 속도증속부에서 증속된 동력은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방향이 변환되어 출력될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방향변환부의 제1,2래치장치(45,55)는 구동제1축(41)에는 제1체인기어(44)와 제2증속기어(52)사이, 구동제2축(51)에는 제2체인기어(54)와 제2평기어(53)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일측면 주위로 형성되는 래치홈부(45a)와 탄성돌기되는 래치돌기부(45b)에 의해 정방향 구동시에는 동력을 전달하고 역방향 구동시에는 공회전할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방향변환부의 제1체인기어(44)의 직경은 정방향 구동시의 속도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2체인기어(54)의 직경보다 더크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증속기어(43)의 큰기어부와 치결속하는 제2평기어(53)는 역방향 구동시 적은 속력으로 큰힘을 전달할수 있도록 정방향 구동시의 속도비보다 적도록 구성하여 정방향구동시는 빨리 달릴수 있도록 하고, 역방향 구동시는 늦은 속도로 힘있게 달릴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실제적인 2단 변속기의 역할을 할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페달의 역방향구동 및 2단변속기의 역활은 탑승자의 재미를 배가할수 있을뿐 아니라 역방향구동으로 평상시 쓰지않든 사람의 여러가지근육을 쓸수있게 함으로서 건강에 많은 도움을 줄수 있게 된다.
보다 빠른 속도를 원할때는 구동제1축(41) 및 구동제2축(51)에 있는 증속기어(52,43)의 잇수비를 늘려줌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 수단은 구동제2축(51) 및 후륜축(31) 일단에 고정키이(73)에 의해 축결속되는 원동 및 종동스플라켓(70, 72)과: 원동 스플라켓(70)의 동력을 종동 스플라켓(72)으로 전달하는 구동체인(71)과: 전달받은 동력을 후륜(30)에 전달하게 되는 후륜축(31)과: 신체의 몸무게를 지탱하며 전달받은 동력을 직접 회전함으로서 전진하게 되는 후륜(30): 으로 구성되며, 후륜축(31)과 프레임(20)은 베어링(90)에 의해 결합되고, 후륜축(31) 및 후륜(30)사이에는 일방향 베어링(32) 또는 래치장치에 의해 일방향 동력전달이 될수 있도록 결속되어 내리막길 또는 관성주행시는 동력전달없이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상기 원동 및 종동 스플라켓(70, 72)은 체인(71)등에 의해 연결되게 되며, 체인 둘레로는 보호카버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나 여기서는 도면상 미도시 되어 있다.
상기 미설명된 고정와셔(67), 고정너트(68)는 기어케이스(40)를 프레임(20)에 고정하고 또 크랭크아암홀더(66)를 구동제1축(41)에 고정할 때 사용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방향구동(도6A의 실선방향)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방향 구동은 일정각도까지는 한쪽 페달(60)에 체중을 싣고서 다른 한발로 동력을 발생할수 있게 함으로서 안정된 상태에서 동력을 발생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7 에서와 같이 기어케이스(40) 좌,우(도면상 상, 하) 양측에 형성된 페달(60)에 양 발을 올려놓고 하부에 위치한 페달(60)에 몸의 체중을 싣고 상부에 위치한 페달(60)을 천천히 시계방향 으로 돌리면 크랭크 아암(61)은 도6A와 같이 구동제1축(41)과 고정되어 있는 크랭크아암 홀더(66)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것은 다시 구동제1축(41)을 시계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때 크랭크아암(61)에 형성된 회전스토퍼(63)는 도 5B 및 도5C와 같이 자중에 의해 회전핀(64)을 중심으로 회전낙하하게 되므로 하부측에 있는 페달(60)은 체중에 의해 일정각도까지는 정지된채로 구동제1축(41)을 회전할 수가 있게되며, 이때 구동제1축의 회전에 의해 이것과 연결된 복귀스프링(65)이 반시계방향으로 감겨지게 된다. 점차적으로 신체의 체중을 하부에 위치한 페달(60)에서 상부에 위치한 페달(60)로 옮기면서 상부측 페달(60)을 누르게 되면 구동제1축(41)은 더욱더 회전하게 되고 하부측 페달(60)은 반시계방향으로 감겨진 복귀스프링(65)의 복귀력에 의해 급속히 시계방향으로 복귀되어 좌,우측 페달이 180도의 위상차를 유지하게 되며, 더욱더 회전하면 상부측과 하부측의 페달(60)은 상하 위치가 바뀌어 진 상태로 위치하게 되므로 하부에 위치한 페달(60)에 체중을 싣고서 상기 동작을 반복함으로 서 연속적으로 동력을 발생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력발생부의 페달(60)에 의해 구동제1축(41)이 시계방향으로 정방향 구동하게 되면 도 6A에서와 같이 제1평기어(42), 제1증속기어(52), 제2증속기어(43)를 거치면서 속도가 증속되고, 제1래치장치(45), 제1체인기어(44), 체인(49), 제2체인기어(54)를 거치면서 구동제2축(51)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구동제2축(51)의 회전에 의해 원동체인기어(70), 구동체인(71), 종동체인기어(72), 후륜축(31), 일방향 베어링(32), 후륜(30)순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전진구동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제2증속기어(43)와 기어 결속된 제2평기어(53)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나 제2체인기어(54)와 연결된 제2래치장치(55)에 의해 공회전하게 된다.
역방향구동(도6a의 점선방향)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8 에서와 같이 기어케이스(40) 좌,우(도면상 상, 하) 양측에 형성된 페달(60)에 양 발을 올려놓고 하부에 위치한 페달(60)에 몸의 체중을 싣고 상부에 위치한 페달(60)을 천천히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부측 크랭크 아암(61)에 형성된 회전스토퍼(63)는 도5b에서와 같이 자중에 의해 회전핀(64)을 중심으로 회전낙하하게 되므로 걸림턱이 크랭크아암 홀더(63)에 걸리게 되고, 페달(60)을 역방향구동(반시계방향)하게 되면 크랭크아암(61)의 회전은 회전스토퍼(63)의 걸림턱에 의해 크랭크아암 홀더(61)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공회전 없이 구동제1축(41)을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스토퍼(63)는 정방향구동 및 역방향 구동에 관계없이 항상 자중에 의해 회전핀(64)을 중심으로 회전낙하하게 되므로 상부측에 있을때는 걸림턱이 크랭크아암(61)에 걸리게 되고, 하부측에 있을때는 걸림턱이 크랭크아암(61)과 이탈되게 된다. 동력발생부의 페달(60)에 의해 구동제1축(41)이 역방향(반시계방향) 구동하게 되면 도6A와 같이 제1평기어(42), 제1증속기어(52), 제2증속기어(43), 제2평기어(53)를 거치면서 속도를 증속하게 되고, 제2래치장치(55), 제2체인기어(54)를 거치면서 구동제2축(51)을 정방향 구동하게되며, 구동제2축(51)의 정방향 구동으로 원동체인기어(70), 구동체인(71), 종동체인기어(72), 후륜축(31), 일방향 베어링(32), 후륜(30)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전진구동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제1체인기어(44)는 체인(49)에 의해 항상 정방향 구동을 하게 되고, 구동제1축(41)은 역방향 구동하게 되나 제1래치장치(45)에 의해 공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양쪽 측부 좌,우에 대칭되게 페달을 설치하여 정,역방향에 관계없이 회전구동하여 전진주행할수 있게 함으로서 신체의 균형적인 발달을 도모할수 있으며, 또한 페달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한쪽발로는 몸의 균형을 유지한채 다른발로는 페달을 구동할수 있게 함으로서 안정된 탑승상태에서 구동이 가능하므로 안전성과 더불어 유희성을 배가시켜 사용자의 저변확대를 도모할수 있으며, 특히 연속적인 동력전달과 함께 정방향 구동시와 역방향 구동시의 속도비를 달리 구성할 수 있음으로서 실질적인 이단변속기를 부착한 킥보드를 제공할 수가 있게된다

Claims (5)

  1.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전단에 설치되어 방향조절이 가능하고 하단부에 회전하는 전륜(11)이 구비되는 핸들(10): 상기 프레임(20)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륜(11)과 함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후륜(30)과: 상기 후륜(30)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흙받이(80)로 구성되어 있는 통상의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 좌우에 설치되는 페달(60) 및 크랭크아암(61)의 회전운동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며, 속도증속부의 구동제1축(41)과 각각 제한적으로 구속 회전하도록 결속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의 크랭크아암(61)과 연결되는 구동제1축(41)과, 이와 평형하게 설치되는 방향변환부의 구동제2축(51)에 각각 축설되는 제1,2평기어(42,53) 및 제1,2증속기어(43, 52)의 기어결속에 의해 속도를 증속하는 속도증속부와:
    상기 속도증속부의 제2증속기어(43) 및 제2평기어(53)와 제1,2래치장치(45,55)에 의해 각각 결속되며, 일측은 구동제1,2축에 각각 축결속되는 제1.2체인기어(44,54)와: 제1,2체인기어(44.54)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를 연결하여 체인기어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체인(49):과, 제2체인기어(54)와 키이결속되어 하기 동력전달수단에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구동제2축(51):으로 구성되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변환부와:
    상기 속도증속부와 방향변환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어케이스와:
    상기 방향변환부의 구동제2축(51)과 키이 결속되는 원동체인기어(70) 및 후륜축(31)과 키이 결속되는 종동체인기어(72)가 구동체인(71)에 의해 연결되어지며, 또한 후륜축(31)과 후륜(30) 사이에 결속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일방향 베어링(32)에 의해 구동제2축(51)의 동력을 후륜(30)에 전달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수단:이 추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구동형 킥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동력발생부는 좌,우 측부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며, 구동제1(41)축에 구속회전할수 있도록 결속되는 크랭크아암(61)과: 기어케이스(40) 후부 돌출부에 동일크기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아이들 크랭크아암(62)과: 상기 2개의 아암 돌출부의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페달(60)이 평형크랭크기구로 구성되어져 페달(60)이 항상 수펑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구동형 킥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동력발생부의 크랭크아암(61)은 크랭크암 홀더(66)에 의해 일정각도까지 제한되게 회전할수 있도록 구동제1축(41)과 축결합하고, 일단은 크랭크아암(61)과 연결되며 타단은 크랭크아암 홀더(66)와 연결된 복귀스프링(65)에 의해 항상 크랭크아암(61)이 전진방향으로 크랭크아암 홀더(66)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져 좌,우측 동력발생부가 제한적으로 상호구속 동작할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크랭크아암(61)에는 걸림턱을 갖는 회전스토퍼(63)가 회전핀(6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져 크랭크아암(61)이 상부에 있을때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크랭크아암홀더(66)를 구속하여 역방향 구동시 페달의 공회전을 방지할수 있도록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구동형 킥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증속부는 페달(60)에 의해 정,역회전으로 구동되는 구동제1축(41)과:
    상기 구동제1축(41)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평형하게 별도 구성되며 증속된 회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구동제2축(51)과:
    구동제1축(41)의 회전력을 제1증속기어(52)에 전달하기 위해 구동제1축과 결속수단
    에 의해 결속되어지는 제1평기어(42)와:
    구동제1,2축(41,51)에 각각 내주면이 회전가능하게 축결속되며 외주면은 직경이 다른 2개의 기어가 동시에 형성되어져 회전시 점차적으로 증속될수 있도록 치결속되어 구성되어지는 제1.2증속기어(52,43)와:
    상기 증속기어(52,43)의 증속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동제2축(51)에 결속수단에 의해 결속되는 제2평기어(53):로 구성되어져 페달(60)구동시 속도를 증속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구동형 킥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변환부는 나란히 형성되는 속도증속부의 구동제1축(41) 및 구동제2축(5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축 결속하는 제1,2 체인기어(44,54)와: 제1,2 체인기어(44,54)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49)과: 제2증속기어(43)의 동력을 제1체인기어(44)에 전달하기 위한 제1래치장치(45)와: 제2평기어(53)를 제2체인기어(54)에 역방향동력 전달하기 위한 제2래치장치(55):와 동력전달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제2축(51):으로 구성되어져 속도증속부의 구동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일방향으로 동력을 출력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구동형 킥보드
KR1020030067105A 2003-09-23 2003-09-23 페달구동형 킥보드 KR100597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105A KR100597850B1 (ko) 2003-09-23 2003-09-23 페달구동형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105A KR100597850B1 (ko) 2003-09-23 2003-09-23 페달구동형 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660A KR20050029660A (ko) 2005-03-28
KR100597850B1 true KR100597850B1 (ko) 2006-07-06

Family

ID=3738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105A KR100597850B1 (ko) 2003-09-23 2003-09-23 페달구동형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835B1 (ko) * 2006-03-27 2007-05-10 이왕희 족답식 승용물
KR100768964B1 (ko) * 2006-11-09 2007-10-23 김한수 기립식 운동용 소형자전거
WO2008056869A1 (en) * 2006-11-09 2008-05-15 Min, Kyoung-Mi Standup type small bicycle for exercise
KR101145797B1 (ko) * 2007-12-12 2012-05-16 김은영 스탭식 킥보드
CN102001402A (zh) * 2010-10-28 2011-04-06 张璐 双踏板动感平衡车
KR102295926B1 (ko) * 2019-11-22 2021-08-31 주식회사 스텝벨로 고속주행이 가능한 스텝퍼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660A (ko) 2005-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7244A (en) Exercise bicycle
KR100802638B1 (ko) 안장이 없는 서서 타는 자전거
RU2529587C1 (ru) Самокат с педальным приводом
US8353228B2 (en) Lockable or releasable bicycle with bidirectional input and one-way output
WO2009035278A2 (en) Mini bike having pedal as a power generator
US5643145A (en) Exercise bike
KR20100057684A (ko) 2개의 왕복 페달을 갖는 인력 차량
JPH09511470A (ja) 自転車および運動装置のためのペダル機械装置
JP3101174U (ja) 自転車
KR100597850B1 (ko) 페달구동형 킥보드
US4895362A (en) Exercise bicycle
US5035417A (en) Exercise bicycle
US10259524B2 (en) Direct-drive double wing scooter
KR20070042066A (ko) 이중 증속 일륜 자전거
KR100907732B1 (ko) 전신 운동 자전거
US10023262B2 (en) Direct-drive double wing scooter
KR20090103259A (ko) 전동 자전거
KR100968689B1 (ko) 인력 구동형 동력전달장치
KR200263890Y1 (ko) 킥보드
US20110221163A1 (en) Standing bike
KR100553134B1 (ko) 자기동력발생장치를 구비한 킥보드
KR200222180Y1 (ko)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
KR101190036B1 (ko) 스텝퍼형 자전거
KR20100085812A (ko) 전신 운동 자전거
KR100947919B1 (ko) 익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