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180Y1 -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 - Google Patents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180Y1
KR200222180Y1 KR2020000029033U KR20000029033U KR200222180Y1 KR 200222180 Y1 KR200222180 Y1 KR 200222180Y1 KR 2020000029033 U KR2020000029033 U KR 2020000029033U KR 20000029033 U KR20000029033 U KR 20000029033U KR 200222180 Y1 KR200222180 Y1 KR 200222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ckboard
pedaling
frame
rear wheel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남용
Original Assignee
정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남용 filed Critical 정남용
Priority to KR2020000029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180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방향조절이 가능하고 하단부에 회전하는 전륜이 구비되는 핸들과,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륜과 함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후륜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후륜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후륜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한 발을 프레임에 얹고 다른 발로 땅을 지쳐서 탈 수도 있고, 양 발로 페달링을 하여서 탈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이다.

Description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Kickboard comprising additional function of pedaling}
본 고안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로 땅을 지치면서 탈 수도 있고 페달을 밟아 탈 수도 있도록 하여 운동 효과를 증진시키기에 적당하도록 한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한쪽 발을 얹고 한 쪽 발로 땅을 지치면서 전진할 수 있도록 만들어서 놀이용이나 운동용으로 사용되는 기구이다.
도 1은 종래 킥보드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킥보드는 발판(1)과, 핸들(2)과, 한 쌍의 바퀴(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킥보드는 작은 부피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도 주행할 수 있고 도보보다도 훨씬 빠른 이동성 때문에 현대인들에게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기구이다.
최근 들어서는 무동력으로 땅을 지치며 주행하는 특성 때문에 그 운동 효과가 강조되면서 점점 수요자층이 두터워져 가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킥보드는 그 운동 효과에 있어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즉 한쪽 발로 땅을 지치면서 전진하는 주행 방식에서는 땅을 지치는 다리와 발판(1)에 얻어놓은 다리와의 운동량에 큰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킥보드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동작을 보면, 우선 사용자가 핸들(2)을 양손으로 잡아쥐고 한쪽 발을 발판(1)에 올려 놓게 된다. 그리고 다른 쪽 발로 땅을 지치며 전진하게 되는데, 이 때 충분한 속도까지 가속되고 나면, 사용자는 두발을 모두 발판(1)에 올려 놓고 핸들(2)을 조정하면서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킥보드의 주행 동작을 분석해 보면, 땅을 지치는 다리의 대퇴근과 대둔근의 근력에 주로 의지하는 형태인데, 보통 킥보드를 타는 사람들은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다리로만 땅을 지치게 된다.
결국 양쪽 대퇴근과 대둔근의 운동량은 크게 차이날 수 밖에 없다.
이처럼 운동량 차이가 현격한 상태의 움직임이 지속된다면 양쪽 대퇴근과 대둔근의 균형적인 발달과 유지는 기대하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
특히 킥보드의 주 수요자 층의 하나인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근육의 균형적인 형성, 발달이 그 누구보다도 절실한 때여서 운동기구나 놀이기구 하나의 선택에 있어서도 신중을 기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킥보드로는 근력의 균형발달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킥보드는 주행 시의 칼로리 소모량이 미흡하여 다이어트 효과까지를 원하는 소비자 계층들에게는 적절한 운동기구가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성인들은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으로 칼로리 소모가 많은 운동기구를 원하고 있었으나, 킥보드는 단순히 한 발로 땅을 지치는 동작시에만 운동이 되기 때문에 성인들에게는 운동용 기구로 활용이 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성인들은 킥보드를 타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한편 종래 킥보드의 정지수단으로는 후륜덮개(4)의 하면에 부착된 마찰부재가 사용되고 있었다. 즉 사용자는 주행 중에 멈추고자 할 때 후륜덮개(4)를 발로 밟아서 후륜의 회전을 마찰부재와의 마찰을 이용해 정지시켰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지수단의 브레이킹 효과는 그 주행속도에 비해 대단히 미흡해서 전력 질주하던 킥보드 사용자가 장애물을 발견했을 때는 이미 브레이킹으로 충돌을 피하기에는 역부족인 경우가 많았다.
최근 보도를 통해 접하게 되는 킥보드 이용자들의 충돌사고 소식도 대부분 이러한 정지수단의 문제점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들이었다.
그리고 종래의 킥보드를 이용해서는 오르막길을 오르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종래 킥보드의 추진력을 얻는 주행 방식이 단속적이기 때문인데, 결국 킥보드 사용자들은 오르막길에서 킥보드를 끌고 올라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땅을 지치면서도 탈 수 있고, 페달을 밟아서도 탈 수 있는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킥보드보다 운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어 성인들도 수요자로 확보할 수 있는 페달링이 가능한 칵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킥보드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동력전달수단으로서 체인을 채용한 제 1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동력전달수단으로서 기어를 채용한 제 2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프레임 120 : 핸들
130 : 동력발생부 151 : 구동스프로킷휠
152 : 종동스프로킷휠 161 : 제 1베벨기어
164 : 제 2베벨기어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서 동력발생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는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전단에 설치되어 방향조절이 가능하고 하단부에 회전하는 전륜(121)이 구비되는 핸들(120)과, 상기 프레임(110)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륜(121)과 함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후륜(111)과,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상기 후륜(111)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130)와, 상기 동력발생부(130)와 상기 후륜(111)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발을 얹을 수 있는 발판(11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112)은 상기 프레임(110) 자체를 제작 시에 넓적한 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플라스틱이나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넓은 판을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130)는 상기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는 회전축(131)과, 상기 회전축(131)의 양단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크랭크암(132)과, 상기 크랭크암(132)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페달(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동력발생부(130)는 상기 프레임(110) 후방부의 상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페달링을 할 때 핸들과 페달(133)과의 적당한 거리가 형성되는 것이 페달링에 편리하므로 이를 감안하여 동력발생부(130)가 프레임(110)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발판(112)이 프레임(11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동력발생부(130)는 상기 페달(133)이 접철 또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한 발로 땅을 지치며 주행할 때 페달(133)에 다리가 걸리는 일이 없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은 접철 가능하도록 회동접철부(14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접철부(140)는 프레임(110)의 전반부와 후반부를 접철 가능하게 핀결합으로 연결하고 접철 후에 상기 프레임(110)의 전반부와 후반부를 고정시킬수 있는 고정레버 등의 고정수단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는 주행중 정지토록 하는 정지수단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정지수단으로는 브레이크레버(122)를 구비한 브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레버는 주행시 핸들(120)을 잡은 채로 조작하기 편리하게 상기 핸들(120)의 손잡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레이크는 후륜(111)의 휠에 브레이크라이닝을 설치하고 이를 상기 브레이크레버(122)에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라이닝은 전륜(121)에도 함께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에는 이를 세워놓을 시에 넘어지지 않게 지지해주는 지지수단이 더욱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114)와, 상기 지지대(114)의 축과 편심된 위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114)에 타단이 연결되는 지지스프링(11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스프링(116)은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핸들(120)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으로는 하부에 전륜(121)을 유지하는 제 1핸들대(123)와, 상기 제 1핸들대(123)에 내입되고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 2핸들대로(124)와, 상기 제 2핸들대(124)를 제 1핸들대(123)에 고정할 수 있는 잠금레버(125)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레버(125) 대신에 상기 제 1핸들대(123)에 나사홈을 천공하고, 이를 관통하여 상기 제 2핸들대(124)를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체인이나 벨트를 채용한 간접 동력전달수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캠이나 기어를 채용한 직접 동력전달수단일 수도 있다.
도 3a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채용된 동력전달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전방부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에서 후방부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채용된 동력전달수단(150)은 상기 회전축(131)과 축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휠(151)과, 상기 후륜(111)의 회전축(131)과 동일한 축 상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휠(152)과, 상기 구동스프로킷휠(151)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스프로킷휠(152)에 전달하는 체인(1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131)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는 베어링하우스(155)와, 상기 베어링하우스(155) 내부에 설치되는 볼베어링(154)이 구비된다.
여기서 종동스프로킷휠(152)에는 역회전 시에는 공회전하고, 정회전 시에는 후륜(11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공지의 래칫(156)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참조번호 112는 후륜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동력전달수단으로서 기어를 채용한 제 2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채용된 동력전달수단(150)은 상기 회전축(131)의 회전력을 직각방향으로 전환하는 제 1베벨기어(161)와, 상기 제 1베벨기어(161)의 구동력을 후륜(111)까지 전달하는 구동축(167)과, 상기 구동축(167)의 회전력을 후륜(111)에 전달하는 제 2베벨기어(16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베벨기어(161)는 구동기어(162)와 종동기어(16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베벨기어(164)도 구동기어(165)와 종동기어(16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베벨기어(161)의 구동기어(162)는 회전축(131)과 후륜(111)축의 높이를 감안하여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혀있는 프레임(110)을 펼친다. 이때 프레임(110) 전반부와 후반부는 서로 연결하고 있는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고정레버를 조여 프레임(110)의 전반부와 후반부를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110)을 펼치고 나서 사용자는 본 고안을 이용해서 주행을 하게된다.
이때 사용자가 일반적인 킥보드처럼 주행하고자 할 때는 먼저 동력발생부(130)에서 페달(133)을 접거나 또는 페달(133)을 탈거시키고 난 후에 한 발을 프레임(110)의 발판(112)에 얹고 다른 발로 땅을 지치면서 주행하면 된다.
이때 땅을 지치는 다리나 프레임(110)에 얹어 놓은 다리가 페달(133)에 걸리는 일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주행 중에 사용자가 정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브레이크레버(122)를 당기면 된다. 브레이크레버(122)를 당기게 되면 브레이크라이닝이 후륜(111)의 휠과 말착되게 되고 브레이크라이닝과 휠과의 마찰력에 의해 후륜(111)은 회전을 멈추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페달링으로 주행하고자 할 때는 페달(133)을 펼치거나 부착하고 난 후 두 발을 페달(133)에 얹고 페달링을 하면 된다.
이때 페달(133)을 밟는 답력은 크랭크암(132)으로 전달되고, 이는 회전력으로 변환되어 회전축(131)을 회전시키게 된다.
본 고안에는 종래의 자전거가 구비하는 안장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페달링은 종래의 자전거와는 달리 안장에 엉덩이를 걸침이 없이 단지 페달(133) 위에 두 발을 올려놓고 서 있는 자세로 한다는 것이 본 고안의 중요한 특징으로서, 이로 인해 칼로리 소모가 많은 운동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동력전달수단으로 체인이 채용된 경우의 동작을 보면 다음고 같다.
회전축(131)의 회전력은 구동스프로킷휠(151)로 전달되게 되고, 구동스프로킷휠(151)의 회전과 맞물려 체인(153)이 회전하게 된다. 체인(153)의 회전은 후륜(111)에 연결된 종동스프로킷휠(152)을 회전시키게 되어 후륜(111)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동력전달수단으로 베벨기어가 채용된 경우의 동작을 보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131)의 회전에 따라 제 1베벨기어(161)의 구동기어(162)가 회전하게 되고, 이는 직각방향으로 전환되어 제 1베벨기어(161)의 종동기어(163)로 전달되게 된다.
회전력은 구동축(167)을 통해 제 2베벨기어(164)의 구동기어(165)로 전달되고, 다시 후륜(111)에 일체로 형성된 제 2베벨기어(164)의 종동기어(166)에 전달되게 되어 후륜(111)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행 중에 사용자가 정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브레이크레버(122)를 당기면 된다.
한편 사용자가 주행을 끝내고 본 고안에 따른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를 세워두고자 할 경우에는 후방으로 펴진 지지대(114)를 앞으로 당겨 지면에 닿게 하여 지지시키면 된다.
다시 주행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지대(114)를 후방으로 밀치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지지대(114)가 펼쳐지고 나서 아래로 쳐지는 일이 없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발판(112)에 한 발을 얹고 다른 발로 땅을 지쳐서 탈 수도 있고, 양 발로 페달링을 하여서 탈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발로 지치면서 올라가기 어려운 급경사의 오르막길에서도 동력발생부(130)가 구비되어 있어 페달링을 통해 주행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극대화된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는 종래의 킥보드와 자전거의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는 획기적인 제품으로서, 발판에 한 발을 얹고 다른 발로 땅을 지쳐서 탈 수도 있고, 양 발로 페달링을 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페달링이 가능하므로써 신체 근육의 균형 발달은 물론 언덕길 주행 등을 통한 극대화된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고 그 재미 또한 배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6)

  1.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방향조절이 가능하고 하단부에 회전하는 전륜이 구비되는 핸들과,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륜과 함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후륜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후륜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후륜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크랭크암과,
    상기 크랭크암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페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회전축과 축결합으로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휠과,
    상기 후륜의 축과 축결합으로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휠과,
    상기 구동스프로킷휠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스프로킷휠에 전달하는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직각방향으로 변환하는 제 1베벨기어와,
    상기 제 1베벨기어의 구동력을 후륜까지 전달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후륜에 전달하는 제 2베벨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
  5.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는,
    세워놓을 시에 넘어지지 않게 지지해주는 지지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
  6.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는,
    후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
KR2020000029033U 2000-10-18 2000-10-18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 KR200222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033U KR200222180Y1 (ko) 2000-10-18 2000-10-18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033U KR200222180Y1 (ko) 2000-10-18 2000-10-18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180Y1 true KR200222180Y1 (ko) 2001-05-02

Family

ID=7305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033U KR200222180Y1 (ko) 2000-10-18 2000-10-18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1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8321A (en) Dual-footboard low-profile exercise cycle
KR100802638B1 (ko) 안장이 없는 서서 타는 자전거
US20060116248A1 (en) Upper-body exercise cycle
US4618141A (en) Therapeutic exercise device
WO2009035278A2 (en) Mini bike having pedal as a power generator
KR20050053564A (ko) 손발 구동 주행장치
US5643145A (en) Exercise bike
US6375208B1 (en) Combined skateboard scooter/exerciser
JP3101174U (ja) 自転車
JP2003514712A (ja) ペダルの前後駆動方式の自転車
KR20090090743A (ko) 헬스 자전거
US20030125167A1 (en) Eccentric cycling trainer
KR200222180Y1 (ko) 페달링이 가능한 킥보드
KR200299481Y1 (ko) 승마 겸용 헬스 자전거
KR100597850B1 (ko) 페달구동형 킥보드
WO2007046599A1 (en) Unicycle having double acceleration function
KR100796358B1 (ko) 킥보드 겸용 자전거
KR100579530B1 (ko) 핸들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
KR100510165B1 (ko) 운동량이 향상된 자전거
KR100907732B1 (ko) 전신 운동 자전거
KR20030000148A (ko) 페달로라보드
JP5105269B1 (ja) 半固定式靴固定シャフト
KR200263890Y1 (ko) 킥보드
US5762586A (en) Exercise apparatus accessory
KR200222205Y1 (ko) 승물놀이구용 후륜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