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224A - 트랜스미션을 구비한 자동차 - Google Patents

트랜스미션을 구비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224A
KR20010108224A KR1020017010381A KR20017010381A KR20010108224A KR 20010108224 A KR20010108224 A KR 20010108224A KR 1020017010381 A KR1020017010381 A KR 1020017010381A KR 20017010381 A KR20017010381 A KR 20017010381A KR 20010108224 A KR20010108224 A KR 20010108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ing
drive
drive mod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벤드센비다르
Original Assignee
게르하르트로터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르하르트로터,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filed Critical 게르하르트로터
Publication of KR20010108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22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00/00Determining of new ratio
    • F16H2300/14Selecting a state of operation, e.g. depending on two wheel or four wheel drive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모터, 변속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제어 장치 및 속도 선택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구동 모드로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랜스미션을 구비한 자동차{MOTOR VEHICLE WITH TRANSMISSION}
상기 방식의 자동차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있다. 구동 모드의 선택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스위칭 소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단점은, 구동 모드간의 전환을 위해 항상 운전자가 직접 개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운전자에게 상당한 불편을 주기 때문에 종종 번거롭다는 이유로 구동 모드를 변경하지 않거나 너무 늦게 변경하는 일이 발생함에 따라, 조건 또는 요구에 맞지 않는 구동 모드가 유지된다. 그 결과 안전 운전에 방해가 된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 변속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제어 장치 및 속도 선택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트랜스미션은 속도 선택 장치를 통해 변속이 유도되는 제 1 구동 모드, 및 제어 장치를 통해 변속이 유도되는 제 2 구동 모드를 갖는다.
도 1은 동력전달장치, 트랜스미션 조작장치 및 제어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개략도이고,
도 2는 구동 모드의 선택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제어 장치에 의한 구동 모드의 선택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컨대 전술한 이유로 구동 모드의 변경이 생략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구동 모드간의 전환시 운전자가 반드시 직접 개입할 필요가 없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방식으로 운전자가 훨씬 더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운전에도 기여하게 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동 모드의 자동 전환이 제어 장치에 의해 자동 제어됨으로써 달성된다.
구동 모드의 전환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관련 신호가 수신될 때 이루어진다.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에 의해 변속이 유도되는 제 1 구동 모드로의 전환은 제 1 신호에 의해 이루어지며, 변속 장치에 의해 변속이 이루어지는 제 2 구동 모드로의 전환은 제 2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구동 모드로의 전환은 임의로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호출이 끝난 후에도 변속 장치에 의해 변속이 유도되는 제 1 구동 모드가 유지된다.
제 1 신호가 발생하기 전에 이미 제 1 구동 모드가 선택되어있는 경우에는 제 2 신호에 의한 제 2 구동 모드로의 전환이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속 장치에 의해 변속이 유도되는 제 2 구동 모드로의 전환이 바람직하게는 변속비의 변경 없이 수행됨에 따라, 앞서 제 1 구동 모드에서 제어 장치에 의해 선택되었던 변속비가 유지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특징은,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가 전기 장치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 장치로는 특히 휴대폰과 같은 통신 장비가 사용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선호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제어 장치에 의해변속이 이루어지는 제 1 구동 모드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제 1 신호가 송신된 또는 수신된 호출을 의미하거나, 또는 적어도 호출을 행하거나 수용하려는 의도를 나타낸다.
변속 장치에 의해 변속이 이루어지는 제 2 구동 모드로의 전환은 종료된 호출 또는 적어도 호출을 종료하려는 의도를 표시하는 제 2 신호에 의해 유도된다.
하기에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도면을 참고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내연기관으로서 형성된 구동 모터(2), 클러치(4) 및 트랜스미션(6)을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한 자동차(1)를 나타낸다. 카르단 샤프트(8) 및 차동 기어(10)에 의해 자동차(1)의 휠(12)이 구동된다. 선택 레버와 같이 센서(61) 및 제어 장치(18, 44)로 이루어진 속도 선택 장치(60)가 블록 회로도로서 도시되어있다. 상기 제어 장치(18, 44)는 유닛으로서, 또는 구조적으로 및/또는 기능적으로 분리된 부분 영역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18, 44)가 구조적으로 및/또는 기능적으로 분리된 부분 영역으로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18, 44)는 예컨대 CAN-버스(54)를 통해 또는 데이터 교환을 위한 다른 전기 컨넥터(5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트랜스미션의 변속비 변경을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엑추에이터(48, 50)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이 때 상기 엑추에이터의 구동을 통해 변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클러치(4)도 엑추에이터(46)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 장치의 일부(44)는 적어도 클러치(2)의 전동 상태 및 트랜스미션(6)에 설정된 변속비를 나타내는 신호, 구동 토크용 센서(52)로부터의 신호, 속도 선택 장치(60)의 센서(61)로부터의 신호 및 전기 장치(65)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전기 장치(65)로서 바람직하게는 통신 장비, 특히 휴대폰이 사용된다.
제어 장치의 또 다른 일부(18)는 스로틀 밸브(30)를 조절함으로써 내연기관(2)을 제어한다. 흡입관 압력 센서(26), 냉각수 온도 센서(24), 엔진 토크 센서(28), 스로틀 밸브(22) 조절 센서(20) 및 액셀러레이터 작동(14) 센서(16)로부터의 신호가 수신된다.
도 2의 다이어그램(100)은 구동 모드의 선택을 설명한 것이다. 구동 모드의 선택은 예컨대 스위치 소자를 통한 운전자의 직접 개입에 의해 수행되거나(블록 101), 또는 제어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블록 102). 제어 장치(블록 102)는 다수의 신호들을 수신하며, 여기서는 그 중 3 개만, 즉 103a, 103b 및 103c가 예로서 도시되어있다. 이러한 다수의 신호들, 즉 103a, 103b, 103c 및 그 외 도시되지 않은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 장치(블록 104)에 의해 발생된다. 전기 장치(블록 104)에 의해 발생한 상기 신호는 제 1 구동 모드에서 제어 장치에 의해 자동화된 속도 선택을 유도하거나(블록 105), 제 2 구동 모드에서 운전자에 의해수동으로 이루어진 속도 선택을 유도한다(블록 107, 108).
도 3의 다이어그램은 제어 장치(블록 202)에 의한 구동 모드의 선택을 나타낸다. 상기 제어 장치(블록 202)는 전기 장치(블록 101 참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신호, 바람직하게는 제 1 신호(203 참조) 및 제 2 신호(206 참조)를 수신한다. 상기 신호에 따라 제 1 구동 모드(블록 204)로, 또는 제 2 구동 모드(블록 207)로 스위칭되고, 그리하여 변속비의 변경이 제어 장치에 의해(블록 205) 또는 운전자에 의해(블록 208) 이루어진다.
전기 장치(블록 201 참조)로는 예컨대 휴대폰과 같이, 독립적인 기기로서 형성되나 자동차 내 예컨대 네비게이션 장치, 카 오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및/또는 CD 플레이어와 같은 엔터테인먼트 장치 및/또는 인포메이션 장치 내에 통합될 수 있는 통신 장비가 사용된다.
휴대폰으로부터 제어장치로 전달되는 신호들은 통신 시작 또는 통신 종료를 지시하는 의미있는 신호이다. 자동 및 수동 구동 모드로서 표현될 수 있는 구동 모드간의 전환은, 통신 시작시에는 자동 구동 모드로, 및 통신 종료시에는 수동 구동 모드로 스위칭되도록 수행된다.
통신 시작시 자동차가 이미 자동 구동 모드 상태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통신 종료시 수동 구동 모드로의 전환은 수행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통신 시작시 수동 구동 모드로 설정되어있으면, 통신 종료 후에도 자동 구동 모드에 머무를 수 있으며, 이 경우 자동 구동 모드로 전환하는 데에는 단 하나의 신호, 즉 통신 시작을 지시하는 제 1 신호만 있으면 된다는 이점이 있다.
통신 시작의 인식은 다이얼을 누를 때, 또는 홀더로부터 휴대폰을 들었을 때 송신되는 호출용 호출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통신 종료의 인식은 예컨대 연결 종료에 의해, 즉 운전자가 통신을 종료하거나 통신 상대가 통신을 종료하는 경우 또는 휴대폰을 홀더 내에 꽂아 넣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장치 및/또는 인포메이션 장치의 뮤팅(muting)이나 호출의 광 신호화를 위해 사용되는 신호도 이용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의해 제출된 특허 청구항은 판례없이 특허를 획득하기 위한 포괄적인 특허권 보호의 작성 제안이다. 출원인 측은 지금까지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만 공개된 특징 조합을 청구하는 것을 유보하고 있다.
종속항에서 사용된 재인용은 독립항의 대상을 각각의 종속항의 특징들을 통해 추가로 설명함을 가리키는 것이며, 재인용된 종속항의 특징 조합의 독립적이고 구체적인 특허 획득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종속항의 대상은 선행 기술의 관점에서 우선권일에 독자적인 독립 발명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출원인은 종속 청구항의 대상을 독립 청구항의 대상 또는 분할 설명으로 하는 것을 보류하고있다. 또한 종속항의 대상은 선행 종속항의 대상에 종속되지 않는 형태를 가진 독립적인 발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 예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와 같은 변형물, 구성 요소 및 조합물 및/또는 재료들이 예컨대 개별적인 재료의 조합 또는 변형을 통해 일반적인 명세서와 실시 예 및 청구항에 기술되고 도면에 제시되는 특징들이나 요소들 또는 공정단계들과 함께 목적 달성의 관점에서 전문가를 위해 제시될 수 있으며, 조합 가능한 특징들에 의해 새로운 대상 또는 새로운 공정단계 내지는 공정 단계 시퀀스가 야기되고, 이들은 대체로 제조 방법, 검사 방법 및 작업 방법에 연관된다.

Claims (12)

  1. 구동모터, 변속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제어 장치 및 속도 선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미션이 제어 장치를 통해 변속이 유도되는 제 1 구동 모드, 및 속도 선택 장치를 통해 변속이 유도되는 제 2 구동 모드를 갖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구동 모드간의 자동 전환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 제 1항에 있어서, 구동 모드간의 전환은 제어 장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수신될 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제 1 구동 모드로의 전환은 제 1 신호에 의해 유도되고, 제 2 구동 모드로의 전환은 제 2 신호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4. 제 3항에 있어서, 제 2 신호에 의한 제 2 구동 모드로의 전환은 선택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는 제 2 구동 모드로의 전환을 유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가 발생하기 전에 이미 제 1 구동 모드가 선택되어있는 경우에는 구동 모드의 전환이 유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7. 제 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구동 모드로의 전환이 기존의 변속비의 유지 하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가 전기 장치에 의해, 특히 통신 장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비로서 휴대폰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0. 제 1항 내지 3항, 8항 및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구동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상기 제 1 신호는 수신 또는 송신된 호출을 의미하거나, 또는 적어도 호출을 행하거나 수용하려는 의도를 나타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1. 제 1항 내지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구동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 2 신호는 종료된 호출 또는 적어도 호출을 종료하려는 의도를 나타내는 것임을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2. 구동모터, 변속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제어 장치 및 속도 선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미션이 속도 선택 장치를 통해 변속이 유도되는 제 1 구동 모드, 및 제어 장치를 통해 변속이 유도되는 제 2 구동 모드를 갖는 자동차에 있어서, 본 출원서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017010381A 1999-12-17 2000-11-23 트랜스미션을 구비한 자동차 KR200101082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60915.2 1999-12-17
DE19960915 1999-12-17
PCT/DE2000/004158 WO2001044696A1 (de) 1999-12-17 2000-11-23 Kraftfahrzeug mit getrieb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224A true KR20010108224A (ko) 2001-12-07

Family

ID=793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381A KR20010108224A (ko) 1999-12-17 2000-11-23 트랜스미션을 구비한 자동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53856B2 (ko)
JP (1) JP2003517550A (ko)
KR (1) KR20010108224A (ko)
AU (1) AU2350801A (ko)
BR (1) BR0008277A (ko)
DE (2) DE10083953D2 (ko)
FR (1) FR2802602B1 (ko)
IT (1) IT1319560B1 (ko)
WO (1) WO2001044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5067B2 (ja) 2002-06-12 2008-07-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US6781510B2 (en) * 2002-07-24 2004-08-24 Shimano, Inc. Bicycle computer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JP4475281B2 (ja) * 2007-02-14 2010-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009156436A (ja) * 2007-12-27 2009-07-16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1484218B1 (ko) * 2013-06-07 2015-01-1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US9869560B2 (en) 2015-07-31 2018-0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driving vehicle's response to a proximate emergency vehicle
US9785145B2 (en) 2015-08-07 2017-10-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driving modes of self-driving vehicles
US9721397B2 (en) 2015-08-11 2017-08-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toll booth interaction with self-driving vehicles
US9718471B2 (en) 2015-08-18 2017-08-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spatial separation of self-driving vehicles from manually operated vehicles
US9896100B2 (en) 2015-08-24 2018-0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spatial separation of self-driving vehicles from other vehicles based on occupant preferences
US9731726B2 (en) 2015-09-02 2017-08-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directing self-driving vehicles to a product provider based on physiological states of occupants of the self-driving vehicles
US9566986B1 (en) 2015-09-25 2017-0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driving modes of self-driving vehicles
US9834224B2 (en) * 2015-10-15 2017-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driving modes of self-driving vehicles
US9944291B2 (en) 2015-10-27 2018-04-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driving modes of self-driving vehicles
US9751532B2 (en) 2015-10-27 2017-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spacing of self-driving vehicles based on social network relationships
US10607293B2 (en) 2015-10-30 2020-03-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insurance toggling for self-driving vehicles
US10176525B2 (en) 2015-11-09 2019-0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ally adjusting insurance policy parameters for a self-driving vehicle
US9791861B2 (en) 2015-11-12 2017-10-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nomously servicing self-driving vehicles
US10061326B2 (en) 2015-12-09 2018-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shap amelioration based on second-order sensing by a self-driving vehicle
US9836973B2 (en) 2016-01-27 2017-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ly controlling a self-driving vehicle's access to a roadway
US10685391B2 (en) 2016-05-24 2020-06-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recting movement of a self-driving vehicle based on sales activity
US10093322B2 (en) 2016-09-15 2018-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ally providing explanations for actions taken by a self-driving vehicle
US10643256B2 (en) 2016-09-16 2020-05-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figuring a self-driving vehicle for charitable donations pickup and delivery
US10370061B2 (en) * 2016-10-21 2019-08-06 Sram, Llc Bicycle control device and system
US10259452B2 (en) 2017-01-04 2019-04-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driving vehicle collision management system
US10363893B2 (en) 2017-01-05 2019-07-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driving vehicle contextual lock control system
US10529147B2 (en) 2017-01-05 2020-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driving vehicle road safety flare deploying system
US10152060B2 (en) 2017-03-08 2018-1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tecting contents of a smart vault being transported by a self-driving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05174D0 (en) * 1995-03-15 1995-05-03 Automotive Products Plc Vehicle transmissions
FR2732276B1 (fr) * 1995-04-03 1997-06-20 Magneti Marelli France Systeme a boite de vitesses mecanique robotisee
JPH10141496A (ja) * 1996-10-25 1998-05-29 Aqueous Res:Kk 車両制御装置
JP3638389B2 (ja) * 1996-11-05 2005-04-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4010380B2 (ja) * 1997-08-08 2007-11-2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DE19736406B4 (de) * 1997-08-21 2007-05-16 Siemens Ag Einrichtung zum Steuern eines automatischen Getriebes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350801A (en) 2001-06-25
IT1319560B1 (it) 2003-10-20
WO2001044696A1 (de) 2001-06-21
US20020026841A1 (en) 2002-03-07
US6553856B2 (en) 2003-04-29
DE10058004A1 (de) 2001-06-21
BR0008277A (pt) 2001-11-06
DE10083953D2 (de) 2002-07-25
ITMI20002729A1 (it) 2002-06-15
FR2802602B1 (fr) 2002-08-09
FR2802602A1 (fr) 2001-06-22
JP2003517550A (ja)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8224A (ko) 트랜스미션을 구비한 자동차
US7131510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propulsion of a hybrid motor vehicle
JPH11141663A (ja) 自動車のオートマティ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FR2803004B1 (fr) Ensemble d'entrainement pour un vehicule automobile, et son procede de commande de changement de vitesse
JP4405392B2 (ja) 自動車用段付きギヤボックス
CN111608809A (zh) 一种发动机制动方法、装置及车辆
EP1298361A3 (en) Shift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CA2418953C (en) Apparatus for enabling truck power take off functionality during auto neutral
KR20040097480A (ko) 차량용 동력인출 안전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03049969A3 (de)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antriebsstrangs
US6271749B1 (en) Semi-automatic transmission for motor vehicles
US7198589B2 (en) Electric motor couple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a motor vehicle
EP1191260A3 (en) Gear shift system for a vehicle
JPS58116229A (ja) 車載用油圧源の駆動装置
KR20010037780A (ko) 자동변속 차량의 급발진 방지 제어방법
CN113135176B (zh) 混合动力车辆的模式切换控制方法、装置和车辆
CN220430064U (zh) 一种车下控制装置及车辆
KR19990047660A (ko) 반자동 변속기 자동차의 클러치 체결 패턴 선택장치 및 방법
KR200177140Y1 (ko) 자동변속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시스템
JPH1151173A (ja) 車両用無段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方法
JP2000097319A (ja) 自動車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シフトダウン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0123269B1 (ko) 자동변속기차량의 시동키조작 제어장치
DE1993332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in Kraftfahrzeugen zur Ermöglichung eines stabilen Fahrbetriebs bei extrem niedriger Fahrzeuggeschwindigkeit
KR100337507B1 (ko) 트랜스 액슬의 링 기어와 차동 기어 케이스의 조립 장치
JP2000213440A (ja) 内燃機関の始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