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7646A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7646A
KR20010107646A KR1020010028050A KR20010028050A KR20010107646A KR 20010107646 A KR20010107646 A KR 20010107646A KR 1020010028050 A KR1020010028050 A KR 1020010028050A KR 20010028050 A KR20010028050 A KR 20010028050A KR 20010107646 A KR20010107646 A KR 20010107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late
attachment
plates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395B1 (ko
Inventor
이치마루다카히데
하마구치다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10107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 F16B21/075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the socket having resilient parts on its inside and out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0Trim molding fastener
    • Y10T24/309Plastic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2Independent, headed, aperture pass-through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과제) 부착대상물에 형성된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에 대해, 상기 삽입부의 삽입방향에 걸치는 각소에 있어서 적절하게 협지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피부착대상물(200)에 개설된 부착구멍(201)에 삽입되는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끼움판부(102)를, 외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그 사이에 받아들여, 상기 끼움판부(102)에 끼워져 부착되는 1쌍의 협지판(10,10)과, 삽입부(101)의 부착구멍(201)에 대한 삽입에 따라서 내측방향으로 일단 탄성적으로 휘어져 들어간 후, 부착구멍(201)으로의 삽입종료위치에서 탄발하여 부착구멍(201)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암(11)을 구비한다. 1쌍의 협지판(10,10)의 서로 마주 향하는 측에 각각, 부착구멍(201)으로의 삽입방향에 걸쳐서 다단형상을 이루며, 받아들여진 끼움판부(102)에 선단을 압접시키는 복수의 돌기(10c, 10c...)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클립{clip}
본 발명은, 피부착대상물에 개설(開設)된 부착구멍에 삽입되는 부착대상물의 삽입부에 끼워져 부착되며, 이 삽입부를 부착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부착구멍에 걸어맞춰서, 이러한 피부착대상물에 부착대상물을 원터치로 부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클립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부착대상물(100)에 형성된 삽입부(101)에 있어서의 끼움판부(102)를 그 사이에 받아들여 협지하는 1쌍의 협지판(300,300)과, 이 1쌍의 협지판(300,300)의 외측에, 상기 삽입부(101)를 피부착대상물(200)에 형성시킨 부착구멍(201)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부착구멍(201)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암(301)을 구비한 클립이 있다.(도 16 내지 도 18)
이러한 클립에 있어서의 1쌍의 협지판(300,300) 및 걸어맞춤 암(301)은, 모두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클립은, 이러한 1쌍의 협지판(300,300) 사이에 상기 끼움판부(102)를 상기 1쌍의 협지판(300,300)이 외측방향으로 휘어져 나오도록 하면서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1쌍의 협지판(300,300)의 내면으로 상기 끼움판부(102)를 탄성적으로 협지하여 상기 끼움판부(102)에 끼워져 부착되며, 이와 같이 끼움판부(102)에 끼워져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101)와 함께 상기 부착구멍(20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어맞춤 암(3010)을 일단 내측방향으로 휘어져 들어가게 한 후 상기 부착구멍(201)의 삽입 이면측에서 탄발시켜 상기 삽입 이면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상기 걸어맞춤 암(301)을 걸어 맞추도록 기능되며, 이것에 의해 부착대상물(100)을 원터치로 피부착대상물(200)에 부착하는 것이다.
또, 이러한 클립은, 1쌍의 협지판(300,300)의 서로 마주 향하는 면측에 상기 끼움판부(102)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상기 1쌍의 협지판(300,300)이 외측방향으로 일단 휘어져 나오도록 상기 끼움판부(102)에 충돌됨과 아울러, 이러한 끼움판부(102)의 소정의 끼워넣음위치에서, 상기 끼움판부(102)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109)에, 상기 휘어져 나온 협지판(300)의 탄발에 의해서 걸어맞춰지는 볼록부(302)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어맞춤 암(301)을 부착구멍(201)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상기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를 상기 부착구멍(201)에서 발출하기 위해 상기 부착대상물(100)측을 잡아 당겼을 때에 상기 부착구멍(201)측에 클립을 남겨두지 않고 삽입부(101)에 끼워붙인 체로 상기 부착구멍(201)에서 발출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부착대상물(100)의 재차의 부착 등에 지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클립에 있어서는, 상기 끼움판부(102)를 상기 1쌍의 협지판(300,300)의 내면으로 협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끼움판부(102)의 판면에 요철 등이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이러한 끼움판부(102)의 삽입방향에 걸치는 각소에 있어서 상기 판면에 상기 내면을 항상 적절하게 압착할 수 없는경우가 적지 않아서, 이러한 끼움판부(102)에 대한 클립의 끼워맞춤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거듭되는 개량이 요망되어 왔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클립은, 일단 피부착대상물(200)에 부착된 부착대상물(100)을 상기 피부착대상물(200)로부터 발출할 시에, 클립이 상기 부착구멍(201)에 남아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끼움판부(102)측에 걸어맞춤구멍(109)을 개설하여 둘 것을 필연적으로 요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부착대상물에 형성된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에 대해서, 상기 삽입부의 삽입방향에 걸치는 각소에 있어서 상기 끼움판부의 판면에 요철 등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적절하게 협지력을 작용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삽입부측에 각별한 가공을 실시하지 않아도 피부착대상물의 부착구멍으로부터 상기 삽입부를 발출시킬 때에, 상기 삽입부와 함께 상기 부착구멍에서 확실하게 발출할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1)과 삽입부(101)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클립(C1)에 의한 부착대상물(100)과 피부착대상물(200)과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부착구멍(201)로부터 삽입부(101)를 발출시키는 방향으로 피부착대상물(100)측을 끌어 당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상태를 도 2와 90도 다른 위치에서 본 측면도(또한, 본 도에 있어서는 편의상, 삽입부(101)의 측판(103)에 눌려서 탄성변형되는 클립(C1)의 탄성 볼록부(12a)를 탄성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2)과 삽입부(101)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클립(C2)에 의한 부착대상물(100)과 피부착대상물(200)과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3)과 삽입부(101)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클립(C3)에 의한 부착대상물(100)과 피부착대상물(200)과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클립(C3)의 평면도
도 10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4)에 의한 부착대상물(100)과 피부착대상물(200)과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를 도 10과 90도 다른 위치에서 본 측면도
도 12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4)과 삽입부(101)을 분리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클립(C4)의 평면도
도 14는 클립(C4)의 저면도
도 15는 도 12의 A-A선 단면도
도 16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종래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8은 종래예의 평면도
*도면중 주요주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부착대상물 101 - 삽입부
102 - 끼움판부 200 - 피부착대상물
C1, C2, C3, C4 - 클립 10, 20, 30, 40 - 협지판
11, 21, 31, 41 - 걸어맞춤 암 10c, 20c, 30c, 40 - 볼록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클립을, 피부착대상물에 개설된 부착구멍에 삽입되는 부착대상물의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를, 외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그 사이에 받아들여, 상기 끼움판부에 끼워져 부착되는 1쌍의 협지판과, 이 1쌍의 협지판의 외측에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부착대상물의 삽입부를 상기 피부착대상물의 부착구멍에 삽입함에 따라서 내측방향으로 일단 탄성적으로 휘어져 들어간 후, 상기 부착구멍으로의 삽입종료위치에서탄발하여 상기 부착구멍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암을 구비하는 클립으로서, 상기 1쌍의 협지판의 서로 마주 향하는 측에 각각, 상기 부착구멍으로의 삽입방향에 걸쳐서 다단형상을 이루도록, 받아들여진 상기 끼움판부에 선단을 압접시키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1쌍의 협지판 사이에 끼움판부를 끼워넣음으로써, 이와 같이 끼워져 들어가는 끼움판부의 판면에 상기 1쌍의 협지판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돌기가 각각 압접되도록 상기 1쌍의 협지판을 외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이러한 1쌍의 협지판에 의해 상기 끼움판부를 협지할 수 있으므로, 이로써 상기 클립을 상기 끼움판부에 끼워서 부착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복수의 돌기는, 상기 부착구멍으로의 삽입부의 삽입방향, 즉, 상기 끼움판부의 돌출방향에 걸쳐서 다단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끼움판부의 양면측에서 상기 끼움판부의 돌출방향에 걸치는 복수 개소에서 상기 협지판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돌기를 상기 끼움판부에 압접시킬 수 있어서, 이러한 1쌍의 협지판사이로의 상기 끼움판부의 끼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끼움판부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돌기의 선단으로써 점적으로 상기 협지판의 탄발력을 작용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끼움판부의 판면에 약간의 요철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1쌍의 협지판에 의해 적절하게 상기 끼움판부를 협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상기 끼움판부를 1쌍의 협지판 사이에 끼워넣어서 부착대상물의 삽입부에 클립을 부착한 후, 이 삽입부를 피부착대상물의 부착구멍에 삽입함에따라, 상기 걸어맞춤 암을 일단 내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져 들어가게 한 후, 이 삽입부의 상기 부착구멍에 대한 삽입종료위치에서 탄발시켜 상기 걸어맞춤 암을 상기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출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클립을 통해서 피부착대상물에 부착대상물을 원터치로 부착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의 클립을 구성하는 협지판에 형성된 돌기가 탄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러한 돌기의 탄발력을, 상기 1쌍의 협지판 사이에 끼워져 들어간 상기 끼움판부에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끼움판부와 클립과의 끼워맞춤상태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의 클립에 있어서의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를 받아들인 1쌍의 협지판이, 피부착대상물의 부착구멍으로부터 상기 삽입부를 발출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압압되어 내측방향으로 휘어져 들어가는 걸어맞춤 암에, 외측으로부터 그 자유단측이 압압되는 구성으로 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클립을 통해서 일단 부착시킨 상기 부착대상물과 피부착대상물을 상기 부착구멍에서 상기 삽입부를 발출시키는 크기의 힘으로 상기 부착대상물 측을 잡아 당겨서 분리시킬 때에, 1쌍의 협지판이 벌어지는 것을 상기 걸어맞춤 암에 의해서 저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클립을 피부착대상물측, 즉 부착구멍에 남겨두지 않고,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에 끼워붙인 상태로 상기 삽입부과 함께 상기 부착구멍에서 발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부착대상물의 재차의피부착대상물에 대한 부착 등에 지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1의 클립이, 부착대상물의 삽입부의 돌출기부측에 형성된 1쌍의 저지벽 사이에, 피부착대상물의 부착구멍에서 상기 삽입부를 발출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충돌되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를 받아들인 1쌍의 협지판의 자유단을 위치시키는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클립을 통해서 일단 부착시킨 상기 부착대상물과 피부착대상물을 상기 부착구멍에서 상기 삽입부를 발출시키는 크기의 힘으로 상기 부착대상물측을 잡아 당겨서 분리시킬 때에, 이 발출방향으로 이동되는 끼움판부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휘어져 나오는 힘을 받는 상기 1쌍의 협지판이 상기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상기 협지판의 자유단을 상기 저지벽에 눌러 댐으로써 저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이러한 클립을 피부착대상물측, 즉 부착구멍에 남겨두지 않고,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에 끼워붙인 상태로 상기 삽입부와 함께 상기 부착구멍에서 발출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클립에 부가하여, 부착대상물의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를 1쌍의 협지판 사이에 받아들임으로써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클립을 통해서 일단 부착시킨 상기 부착대상물과 피부착대상물을 상기 부착구멍에서 상기 삽입부를 발출시키는 크기의 힘으로 상기 부착대상물을 잡아 당겨서 분리시킬 때에, 클립측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부와 삽입부측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이러한 클립을 피부착대상물 측, 즉 부착구멍에 남겨두지 않고,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에 끼워붙인 상태로 상기 삽입부와 함께 상기 부착구멍에서 발출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6에 있어서, 청구항 5의 클립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부가, 끼움판부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를 이루는 볼록부에 대해, 상기 끼움판부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충돌되어 1쌍의 협지판을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이 1쌍의 협지판이 벌어짐으로써 상기 볼록부를 타넘은 위치에서의 상기 1쌍의 협지판의 탄성복귀에 의해 상기 볼록부에 걸어맞춰지는 돌기로 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클립을 통해서 일단 부착시킨 상기 부착대상물과 피부착대상물을 상기 부착구멍에서 상기 삽입부를 발출시키는 크기의 힘으로 상기 부착대상물측을 잡아당겨서 분리시킬 때에, 클립측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부를 구성하는 돌기와 삽입부측에 형성된 볼록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이러한 클립을 피부착대상물측, 즉 부착구멍에 남겨두지 않고,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에 끼워붙인 상태로 상기 삽입부와 함께 상기 부착구멍에서 발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7의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5의 클립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부가, 끼움판부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상기 끼움판부의 측면에 충돌되어 일단 1쌍의 협지판을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1쌍의 협지판의 탄성복귀에 의해 상기 끼움판부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를 이루는 구멍에 끼워져 들어가 걸어맞춰지는 돌기로 하고 있는 것으로 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클립을 통해서 일단 부착시킨 상기 피부착대상물과 피부착대상물을 상기 부착구멍에서 상기 삽입부를 발출시키는 크기의 힘으로 상기 부착대상물측을 잡아당겨서 분리시킬 때에, 클립측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부를 구성하는 돌기를 삽입부측에 형성된 구멍과 걸어맞춤으로써, 이러한 클립을 피부착대상물측, 즉 부착구멍에 남겨두지 않고,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에 끼워붙인 상태로 상기 삽입부와 함께 상기 부착구멍에서 발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8의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5의 클립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부가, 끼움판부를 사이에 두고 피부착대상물의 삽입부에 형성된 1쌍의 측벽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를 이루는 볼록부에, 상기 1쌍의 협지판 사이로 끼움판부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일단 충돌된 후, 탄성변형하여 상기 볼록부를 타넘고 상기 타넘은 위치에서 탄발하여 상기 볼록부에 걸어 맞춰지는, 탄성 볼록부로 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클립을 통해서 일단 부착한 상기 부착대상물과 피부착대상물을 상기 부착구멍에서 상기 삽입부를 발출시키는 크기의 힘으로 상기 부착대상물측을 잡아당겨서 분리시킬 때에, 클립측에 형성된 상기 탄성 볼록부와 삽입부 측에 형성된 볼록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이러한 클립을 피부착대상물측, 즉 부착구멍에 남겨두지 않고,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에 끼워붙인 상태로 상기 삽입부와 함께 상기 부착구멍에서 발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15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클립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1∼C4)은, 피부착대상물(200)에 개설된 부착구멍(201)에 삽입되는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에 끼워져 부착되며, 이 삽입부(101)를 부착구멍(201)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부착구멍(201)에 걸어맞춰서, 이러한 피부착대상물(200)에 부착대상물(100)을 원터치로 부착할 수 있도록 이용되는 것이다. 전형적으로는, 이들 클립(C1∼C4)은 플라스틱재료를 이용하여 사출성형 등의 성형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부(101)를 형성시킨 자동차의 내장부품을, 상기 부착구멍(201)을 형성시킨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대해, 이러한 삽입부(101)를 상기 부착구멍(201)에 끼워넣음으로써 원터치로 부착할 수 있도록 이용되는 것이다.
(제 1 실시형태)
우선,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클립(C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클립(C1)은, 부착대상물(100)에 형성된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상기 삽입부(101)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끼움판부(102)를 그 사이에 받아들이는 1쌍의 협지판(10,10)과, 이 1쌍의 협지판(10,10)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걸어맞춤 암(11)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협지판(10)은, 상기 끼움판부(102)를 받아들이는 측(이하, 협지판(10)의 자유단(10a)측이라 한다.)과의 반대측(이하, 협지판(10)의 기부측(이라 한다.)에 있어서, 연접부(10b)로 타측의 협지판(10)과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연접부(10b)의 내면에 상기 끼움판부(102)의 선단이 충돌되는 위치까지, 상기 1쌍의 협지판(10,10) 사이에 상기 끼움판부(102)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끼움판부(102)가, 상기 끼움판부(102)의 판면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벽(103a)이 배치되는 1쌍의 측판(103,103)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 상기 끼움판부(102)와 1쌍의 측판(103,103)에 의해서 상기 삽입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측판(103)도 상기 삽입부(101)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있다. 또, 이러한 측판(103)은 상기 끼움판부(102)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측판(103)의 선단은 끼움판부(102)의 선단보다 삽입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이러한 끼움판부(102)는, 측판(103)의 폭방향의 거의 중간정도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서, 1쌍의 측판(103,103)간의 공간을 상기 끼움판부(102)에 의해서 좌우로 구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10,10)의 서로 마주 향하는 측(이하, 협지판(10)의 내면측이라 한다.)에 각각, 상기 부착구멍(201)으로의 삽입방향에 걸쳐서 다단형상을 이루며, 받아들여진 부착대상물(100)의 끼움판부(102)에 선단을 압접시키는 복수의 돌기(10c.10c…)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복수의 돌기(10c,10c…)는 각각, 상기 협지판(10)의 내면측에 형성된 상기 협지판(10)의 폭방향에 걸치는 리브형상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 각 돌기(10c,10c…)간에는 각각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측의 협지판(10)에 형성된 각 돌기(10c,10c…)의 선단이 위치되는 가상면과, 타측의 협지판(10)에 형성된 각 돌기(10c,10c)의 선단이 위치되는 가상면과의 사이의 간격이, 이러한 1쌍의 협지판(10,10) 사이에 끼워져 들어가는 상기 끼움판부(102)의 판두께보다 약간 좁게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러한 1쌍의 협지판(10,10)이 각각 상기 기부측을 대강 중심으로 하여 타측의 협지판(10)으로부터 멀어져 나오는 방향의 탄성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10,10) 사이에 그 자유단(10a)측으로부터 상기 끼움판부(102)를 끼워넣음으로써, 이와 같이 끼워져 들어가는 끼움판부(102)의 판면에 상기 1쌍의 협지판(10,10)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돌기(10c,10c…)가 각각 압접되도록 상기 1쌍의 협지판(10,10)을 외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이러한 1쌍의 협지판(10,10)에 의해 상기 끼움판부(102)를 협지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협지함으로써 클립(C1)을 상기 끼움판부(102)에 끼워서 부착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복수의 돌기(10c,10c…)는, 상기 부착구멍(201)으로의 삽입부(101)의 삽입방향 즉, 상기 끼움판부(102)의 돌출방향에 걸쳐서 다단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끼움판부(102)의 양면측으로부터 상기 끼움판부(102)의 돌출방향에 걸치는 복수 개소에서 상기 협지판(1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돌기(10c)를 상기 끼움판부(102)에 압접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1쌍의 협지판(10,10) 사이로의 상기 끼움판부(102)의 끼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끼움판부(102)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돌기(10c,10c…)의 선단으로써 점적으로 상기 협지판(10)의 탄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이러한 끼움판부(102)의 판면에 약간의 요철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1쌍의 협지판(10,10)에 의해 적절하게 상기 끼움판부(102)를 협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10,10)의 내면측에 있어서, 그 자유단(10a)으로부터 이 자유단(10a)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상기 돌기까지의 개소에, 상기 자유단(10a)을 향해서 연속하여 점차 타측의 협지판(10)의 내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0d)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1쌍의 협지판(10,10) 사이에 상기 자유단(10a)측으로부터 상기 끼움판부(102)를 끼워넣을 때에 상기 경사면(10d)에 의해서 상기 끼움판부(102)의 선단을 안내하여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협지판(10)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10c,10c…)는 각각, 상기 자유단(10a)측을 향하고 있는 상측면이, 상기 돌기의 근본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서 점차 상기 기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이 상측면의 경사에 의해 상기 끼움판부(102)의 선단이 각 돌기(10c,10c…)를 타넘기 쉽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10,10)의 외측에 각각, 그 내면이 상기 협지판(10)의 외면과 마주 향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협지판(10)과 같은 폭의 판형상을 이루는 걸어맞춤 암(11)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걸어맞춤 암(11)은, 그 일단을 상기 협지판(10)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간정도의 위치에 일체로 연접시키고 있으며, 이 연접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협지판(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져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러한 걸어맞춤 암(11)은, 그 선단을 상기 협지판(10)의 자유단(10a)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면부에 걸어맞춤 볼록부(11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1쌍의 걸어맞춤 암(11,11)의 걸어맞춤 볼록부(11a)의 최정상단(11b) 사이의 간격이 상기 피부착대상물(200)에 개설된 부착구멍(201)의 구멍폭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끼움판부(102)를 1쌍의 협지판(10,10) 사이에 끼워 넣어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에 클립(C1)을 부착한 후, 이 삽입부(101)를 피부착대상물(200)의 부착구멍(201)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암(11)의 걸어맞춤 볼록부(11a)를 상기 부착구멍(201)의 삽입 표면측에 있는 구멍 가장자리부에 충돌시켜서 상기 걸어맞춤 암(11)을 일단 내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져 들어가도록 한 후, 이 삽입부(101)의 상기 부착구멍(201)으로의 삽입종료위치에서 상기 걸어맞춤 암(11)을 탄발시켜서 상기 걸어맞춤 암(11)을 삽입 이면측에 있는 상기 부착구멍(201)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11a)를 걸어맞출 수 있으며, 이로써 클립(C1)를 통해서 피부착대상물(200)에 부착대상물(100)을 원터치로 부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 암(11)의 외면측에는, 이 걸어맞춤 암(11)에 있어서의 상기 협지판(10)과의 연접측에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11a)의 최정상단(11b)을 향하여 점차 외측으로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11c)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삽입부(101)의 부착구멍(201)으로의 삽입에 따라서 상기 부착구멍(201)의 삽입 표면측에 있는 구멍 가장자리부에 상기 경사면(11c)을 충돌시켜서 부드럽게 상기 걸어맞춤 암(11)을 내측방향으로 휘어 넣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이러한 걸어맞춤 볼록부(11a)와 걸어맞춤 암(11)의 선단(先端)사이에는, 상기 부착구멍(201)의 내면에 상기 삽입종료위치에서 눌려져 닿는 상기 삽입방향을 따른맞닿음면(11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맞닿음면(11d)측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멍(201)의 삽입 이면측에 있는 구멍 가장자리부에 상기 걸어맞춤 암(11)의 걸어맞춤 볼록부(11a)가 걸어맞춰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끼움판부(102)를 받아들인 1쌍의 협지판(10,10)이, 피부착대상물(200)의 부착구멍(201)으로부터 상기 삽입부(101)를 발출시키는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부착구멍(201)의 가장자리에 압압되어 내측방향으로 휘어져 들어가는 걸어맞춤 암(11)에 외측에서 자유단(10a)측을 압압받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 암(11)의 걸어맞춤 볼록부(11a)가, 상기 맞닿음면(11d)측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11a)의 최정상단(11b)으로부터 상기 맞닿음면(11d)측을 향해서 점차 내측을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면(11e)을 구비하고 있어서, 이러한 걸어맞춤 볼록부(11a)를 상기 부착구멍(201)의 삽입 이면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춘 부착대상물(100)과 피부착대상물(200)과의 부착상태로부터 소용의 힘으로 부착대상물(100)측을 피부착대상물(200)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잡아당긴 경우, 이 경사면(11e)이 삽입 이면측에 있는 부착구멍(201)의 가장자리부에 눌려져 닿아, 다시 걸어맞춤 암(11)을 내측방향으로 점차 휘어져 들어가도록 하여 걸어맞춤 볼록부(11a)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11a)를 부착구멍(201) 내로 집어 넣어서, 클립(C1)이 부착된 삽입부(101)를 부착구멍(201)으로부터 다시 발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것과 아울러, 이 삽입부(101)의 발출조작에 따라서 내측방향으로 휘어져 들어간 상기 걸어맞춤 암(11)의 자유단(10a)측 내면부에 형성된 융기부(11f)가, 상기 협지판(10)의 자유단(10a)측 외면부에 눌려져 닿아, 상기 융기부(11f)에 의해서 1쌍의 협지판(10,10)을 서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압압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립(C1)을 통해서 일단 부착한 상기 부착대상물(100)과 피부착대상물(200)을 상기 부착구멍(201)로부터 상기 삽입부(101)를 발출시키는 크기의 힘으로 상기 부착대상물(100)측을 잡아 당겨서 분리시킬 때에, 클립(C1)을 피부착대상물(200)측, 즉 부착구멍(201)에 남겨두지 않고,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끼움판부(102)에 끼워붙인 상태로 상기 삽입부(101)와 함께 상기 부착구멍(201)으로부터 발출시킬 수 있어서, 상기 부착대상물(100)을 다시 피부착대상물(200)에 부착하는 등에 지장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립(C1)에,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끼움판부(102)를 1쌍의 협지판(10,10) 사이에 받아들임에 따라서 상기 삽입부(101)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104)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12)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클립(C1)의 걸어맞춤부(12)가, 상기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1쌍의 측판(103,103)의 마주 향한 측벽(103a)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104)가 되는 볼록부(104a)에, 상기 1쌍의 협지판(10,10) 사이에 끼움판부(102)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일단 충돌된 후 탄성변형하여 상기 볼록부(104a)를 타넘고 상기 타넘는 위치에서 탄발하여 상기 볼록부(104a)에 걸어맞춰지는 탄성 볼록부(12a)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립(C1)에 있어서의 1쌍의 협지판(10,10)의 판두께방향에 있는 단면(10e)으로서, 상기 협지판(10)의 길이방향에 있는 양 단면(10e)에 각각, 상기 협지판(10)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간격을 두고 복수의 탄성 볼록부(12a,1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협지판(10)의 일측의 단면(10e)에 형성된 복수의 탄성 볼록부(12a,12a…)의 선단이 위치되는 가상면과, 이러한 협지판(10)의 타측의 단면(10e)에 형성된 복수의 탄성 볼록부(12a,12a…)의 선단이 위치되는 가상면간의 간격이, 상기 1쌍의 측판(103,103)의 마주 향한 측벽(103a)간의 간격보다 약간 크게 구성되어 있어서, 이 복수의 탄성 볼록부(12a)가 측벽(103a)에 눌려져 닿아 탄성변형하면서 상기 1쌍의 협지판(10,10) 사이에 상기 끼움판부(102)가 끼워져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그것과 아울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10,10) 사이에 상기 연접부(10b)의 내면에 선단을 충돌시키는 위치까지 상기 끼움판부(102)를 끼워넣음에 따라서, 이 협지판(10)의 가장 자유단(10a)측에 있는 탄성 볼록부(12a)에 일단 충돌한 후, 이 충돌에 의해 상기 탄성 볼록부(12a)를 변형시키면서 상기 탄성볼록부(12a)를 타넘어 상기 탄성 볼록부(12a)의 하측에 끼워져 들어가 상기 탄성 볼록부(12a)에 걸어맞춰지는 융기부형상을 이루는 볼록부(104a)가, 상기 1쌍의 측판(103,103)에 있어서의 상기 끼움판부(102)를 사이에 둔 양측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립(C1)을 통해서 일단 부착된 상기 부착대상물(100)과 피부착대상물(200)을 상기 부착구멍(201)로부터 상기 삽입부(101)를 발출시키는 크기의 힘으로 상기 부착대상물(100)측을 잡아당겨서 분리시킬 시에, 클립(C1)측에 형성된 상기 탄성 볼록부(12a)와 삽입부(101)측에 형성된 볼록부(104a)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이러한 클립(C1)을 피부착대상물(200)측, 즉 부착구멍(201)에 남겨두지 않고,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끼움판부(102)에 끼워붙인 상태로 상기 삽입부(101)과 함께 상기 부착구멍(201)로부터 발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복수의 탄성 볼록부(12a,12a…)가 각각, 상기 협지판(10)의 자유단(10a)측을 향한 측면을, 상기 탄성 볼록부(12a)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로 상기 자유단(1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서, 이 경사진 측면을 이용하여, 상기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1쌍의 측판(103,103) 사이에, 상기 측판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탄성 볼록부(12a)를 탄성변형시키면서 클립(C1)을 넣기 쉽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협지판(10)의 내면측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10c,10c…)가 탄성을 구비하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이러한 돌기(10c)의 탄발력을, 상기 1쌍의 협지판(10,10) 사이에 끼워져 들어간 상기 끼움판부(102)에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끼움판부(102)와 클립(C1)과의 끼워맞춤상태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이어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나는 클립(C2)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클립(C2)은, 부착대상물(100)에 형성되는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상기 삽입부(101)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끼움판부(102)를 사이에 받아들이는 1쌍의 협지판(10,10)과, 이 1쌍의 협지판(20,20)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걸어맞춤 암(21)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협지판(20)은, 상기 끼움판부(102)의 받아들임측(이하, 협지판(20)의 자유단(20a)측이라 한다)과의 반대측(이하, 협지판(20)의 기부측이라 한다)에 있어서, 연접부(20b)로써 타측의 협지판(20)과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연접부(20b)의 내면에 상기 끼움판부(102)의 선단이 충돌되는 위치까지, 상기 1쌍의 협지판(20,20) 사이에 상기 끼움판부(102)를 끼워넣을 수 있는 구성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끼움판부(102)가, 이 끼움판부(102)의 판면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벽(103a)을 배치시키는 1쌍의 측판(103,103)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이 끼움판부(102)와 1쌍의 측판(103,103)에 의해서 상기 삽입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측판(103)도 상기 삽입부(101)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있다. 또, 이러한 측판(103)은 상기 끼움판부(102)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측판(103)의 선단은 끼움판부(102)의 선단보다 삽입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이러한 끼움판부(102)는, 측판(103)의 폭방향 거의 중간정도의 위치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어서, 1쌍의 측판(103,103)간의 공간을 상기 끼움판부(102)에 의해서 좌우로 구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20,20)의 서로 마주 향하는 측(이하, 협지판(20)의 내면측이라 한다.)에 각각, 상기 부착구멍(201)으로의 삽입방향에 걸쳐서 다단형상을 이루며, 받아 들여진 부착대상물(100)의 끼움판부(102)에 선단을 압접시키는 복수의 돌기(20c,20c…)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복수의 돌기(20c,20c…)는 각각, 상기 협지판(20)의 내면측에 형성된 상기 협지판(20)의 폭방향에 걸치는 리브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각 돌기(20c,20c…)의 사이에는 각각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측의 협지판(20)에 형성된 각 돌기(20c,20c…)의 선단이 위치되는 가상면과, 타측의 협지판(20)에 형성된 각 돌기(20c,20c…)의 선단이 위치되는 가상면간의 간격이, 이러한 1쌍의 협지판(20,20) 사이에 들어가는 상기 끼움판부(102)의 판두께보다 약간 좁게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러한 1쌍의 협지판(20,20)이 각각 상기 기부를 대략 중심으로 하여 타측의 협지판(20)으로부터 멀어져 나오는 방향의 탄성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20,20) 사이에 그 자유단(20a)측으로부터 상기 끼움판부(102)를 끼워넣음으로써, 이와 같이 끼워져 들어가는 끼움판부(102)의 판면에 상기 1쌍의 협지판(20,20)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20,20c…)가 각각 압접되도록 상기 1쌍의 협지판(20,20)을 외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벌려내면서, 이러한 1쌍의 협지판(20,20)에 의해 상기 끼움판부(102)를 협지할 수 있고, 이렇게 협지함으로써 클립(C2)을 상기 끼움판부(102)에 끼워서 부착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복수의 돌기(20c,20c…)는, 상기 부착구멍(201)에 대한 삽입부(101)의 삽입방향, 즉, 상기 끼움판부(102)의 돌출방향에 걸쳐서 다단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끼움판부(102)의 양면측에서 상기 끼움판부(102)의 돌출방향에 걸치는 복수 개소에서 상기 협지판(2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돌기(20c)를 상기 끼움판부(102)에 압접시킬 수 있어서, 이러한 1쌍의 협지판(20,20) 사이로의 상기 끼움판부(102)의 끼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판부(102)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돌기(20c,20c…)의 선단으로써 점적으로 상기 협지판(20)의 탄발력을 작용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끼움판부(102)의 판면에 약간의 요철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1쌍의 협지판(20,20)에 의해 적절하게 상기 끼움판부(102)를 협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20,20)의 외측에 각각, 상기 협지판(20)의 외면에 내면을 마주 향하도록 한 상기 협지판(20)과 같은 폭을 구비한 판형상을 이루는 걸어맞춤 암(21)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걸어맞춤 암(21)은, 그 일단을 상기 협지판(20)의 연접부(20b)와 가까운 위치에 연접시키고 있어, 이 연접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협지판(2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져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걸어맞춤 암(21)은, 그 선단을 상기 협지판(20)의 자유단(20a)의 하측에 위치시키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면부에 걸어맞춤 볼록부(21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이어서는, 이러한 1쌍의 걸어맞춤 암(21,21)의 걸어맞춤 볼록부(21a)의 최정상단(21b)간의 간격이 상기 피부착대상물(200)에 개설된 부착구멍(201)의 구멍폭보다도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끼움판부(102)를 1쌍의 협지판(20,20)사이에 끼워넣어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에 클립(C2)을 부착한 후, 이 삽입부(101)를 피부착대상물(200)의 부착구멍(201)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암(21)의 걸어맞춤 볼록부(21a)를 상기 부착구멍(201)의 삽입 표면측에 있는 구멍 가장자리부에 충돌시켜서 상기 걸어맞춤 암(21)을 일단 내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 넣은 후, 이 삽입부(101)의 상기 부착구멍(201)로의 삽입종료위치에서 상기 걸어맞춤 암(21)을 탄발시켜서 상기 걸어맞춤 암(21)을 삽입 이면측에 있는 상기 부착구멍(201)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걸어맞춤부(21a)를 걸어맞출 수 있으며, 이로써 클립(C2)을 통해서 피부착대상물(200)에 부착대상물(100)을 원터치로 부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 암(21)의 외면측에는, 이 걸어맞춤 암(21)에 있어서의 상기 협지판(20)의 연접측으로부터 상기 걸어맞춤볼록부(21a)의 최정상단(21b)을 향해서 점차 외측으로 벌어져 나오도록 경사진 경사면(21c)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삽입부(101)의 부착구멍(201)으로의 삽입에 따라서 상기 부착구멍(201)의 삽입 표면측에 있는 구멍 가장자리부에 상기 경사면(21c)을 충돌시켜서 부드럽게 상기 걸어맞춤 암(21)을 내측방향으로 휘어 넣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이러한 걸어맞춤 볼록부(21a)와 걸어맞춤 암(21)의 선단간에는, 상기 부착구멍(201)의 내면에 상기 삽입종료위치에서 눌려져 닿는 삽입방향을 따른 맞닿음면(21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맞닿음면(21d)측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멍(201)의 삽입 이면측에 있는 구멍 가장자리부에 상기 걸어맞춤 암(21)의 걸어맞춤 볼록부(21a)가 걸어맞춰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립(C2)에,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끼움판부(102)를 1쌍의 협지판(20,20) 사이로 받아들임에 따라서 상기 삽입부(101)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105)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22)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클립(C2)의 걸어맞춤부(22)를, 상기 피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끼움판부(102)의 양면측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105)를 이루는 볼록부(105a)에, 상기 1쌍의 협지판(20,20) 사이로 끼움판부(102)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걸어맞춰지는, 상기 협지판(20)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돌기(20c,20c…)의 하나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끼움판부(102)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105)가 되는 볼록부(105a)에 대해, 상기 1쌍의 협지판(20,20)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20c,20c…)중 상기 협지판(20)의 자유단(20a)측으로부터 두번째에 있는 돌기(20c)가, 이 1쌍의 협지판(20,20) 사이로 상기 끼움판부(102)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충돌되어 상기 1쌍의 협지판(20,20)을 외측방향으로 벌려냄과 아울러, 이 1쌍의 협지판(20,20)이 벌어짐에 따라서 상기 볼록부를 타넘고 상기 타넘은 위치에서의 상기 1쌍의 협지판(20,20)의 탄성복귀에 의해 상기 볼록부에 걸어 맞춰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립(C2)을 통해서 일단 부착시킨 상기 부착대상물(100)과 피부착대상물(200)을 상기 부착구멍(201)에서 상기 삽입부(101)를 발출시키는 크기의 힘으로 상기 부착대상물(100)측을 잡아 당겨서 분리시킬 때에, 클립(C2)측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부(22)를 구성하는 돌기(20c)와 삽입부(101)측에 형성된 볼록부(105a)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이러한 클립(C2)을 피부착대상물(200)측, 즉 부착구멍(201)에 남겨두지 않고,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끼움판부(102)에 끼워붙인 상태에로 상기 삽입부(101)와 함께 상기 부착구멍(201)에서 발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협지판(20)의 내면측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20c,20c…)가 탄성을 구비하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이러한 돌기(20c)의 탄발력을, 상기 1쌍의 협지판(20,20) 사이에 끼워 넣은 상기 끼움판부(102)에 작용시킬 수 있어서, 끼움판부(102)와클립(C2)과의 끼워맞춤상태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의 돌출기부측에 형성된 1쌍의 저지벽(107a,107a) 사이에, 피부착대상물(200)의 부착구멍(201)에서 상기 삽입부(101)를 발출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충돌되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끼움판부(102)를 받아들인 1쌍의 협지판(20,20)의 자유단(20a)이 위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끼움판부(102)의 양측에 각각, 이 끼움판부(102)의 판면을 마주 향한 저지벽(107a)을 구비한 저지볼록부(107)가 상기 1쌍의 측판(103,103)에 기부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것과 함께, 이러한 끼움판부(102)를 사이에 받아들인 1쌍의 협지판(20,20)의 자유단(20a)의 외측부간의 간격이 상기 1쌍의 저지벽(107a,107a)간의 간격보다 약간 작아서, 이 1쌍의 협지판(20,20) 사이에 있는 연접부(20b)의 내면에 상기 끼움판부(102)의 선단이 충돌되는 상기 끼움판부(102)의 삽입종료위치에 있어서, 이러한 1쌍의 협지판(20,20)이 각각 그 자유단(20a)을 상기 저지볼록부(107a,107a)의 내측에 위치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립(C2)를 통해서 일단 부착시킨 상기 부착대상물(100)과 피부착대상물(200)을 상기 부착구멍(201)에서 상기 삽입부(101)를 발출시키는 크기의 힘으로 상기 부착대상물(100)측을 잡아 당겨서 분리시킬 때에, 이 발출방향으로 이동되는 끼움판부(102)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휘어져 나오는 힘을받는 상기 1쌍의 협지판(20,20)이 상기 외측방향으로 벌어져 나오는 것을 , 상기 협지판(20)의 자유단(20a)을 상기 저지벽(107a)에 눌러 댐으로써 저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이러한 클립(C2)을 피부착대상물(200)측, 즉 부착구멍(201)에 남겨두지 않고,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끼움판부(102)에 끼워붙인 상태로 상기 삽입부(101)와 함께 상기 부착구멍(201)에서 발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이어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나는 클립(C3)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클립(C3)은, 부착대상물(100)에 형성되는 삽입부(101)를 구성하며 상기 삽입부(101)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끼움판부(102)를 사이에 받아 들이는 1쌍의 협지판(30,30)과, 이 1쌍의 협지판(30,30)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걸어맞춤 암(31)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협지판(30)은, 상기 끼움판부(102)를 받아들이는 측(이하, 협지판(30)의 자유단(30a)측이라 한다.)과의 반대측(이하, 협지판(30)의 기부측이라 한다.)에 있어서, 연접부(30b)로써 타측의 협지판(30)과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접부(30b)의 내면에 상기 끼움판부(102)의 선단이 충돌되는 위치까지, 상기 1쌍의 협지판(30,30) 사이에 상기 끼움판부(102)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끼움판부(102)가, 상기 끼움판부(102)의 판면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벽(103a)을 배치시키는 1쌍의 측판(103,103)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판부(102)와 1쌍의 측판(103,103)에 의해서 상기삽입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측판(103)도 상기 삽입부(101)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있다. 또, 이러한 측판(103)은 상기 끼움판부(102)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어, 상기 측판(103)의 선단은 끼움판부(102)의 선단보다 삽입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이러한 끼움판부(102)는, 측판(103)의 폭방향의 거의 중간정도의 위치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1쌍의 측판(103,103)간의 공간을 상기 끼움판부(102)에 의해서 좌우로 구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30,30)의 서로 마주 향하는 측(이하, 협지판(30)의 내면측이라 한다.)에 각각, 상기 부착구멍(201)으로의 삽입방향에 걸쳐서 다단형상을 이루며, 받아들여진 부착대상물(100)의 끼움판부(102)의 선단을 압접시키는 복수의 돌기(30c,30c…)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복수의 돌기(30c,30c…)는 각각, 상기 협지판(30)의 내면측에 형성된 상기 협지판(30)의 폭방향에 걸치는 리브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각 돌기(30c,30c…) 사이에는 각각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측의 협지판(30)에 형성된 각 돌기(30c,30c…)의 선단이 위치되는 가상면과, 타측의 협지판(30)에 형성된 각 돌기(30c,30c…)의 선단이 위치되는 가상면간의 간격이, 이러한 1쌍의 협지판(30,30) 사이에 끼워져 들어가는 상기 끼움판부(102)의 판두께보다 약간 좁게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러한 1쌍의 협지판(30,30)이 각각 상기 기부측을 대강 중심으로 하여 타측의 협지판(30)으로부터 멀어져 나오는 방향의 탄성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30,30) 사이에 그 자유단(30a)측으로부터 상기 끼움판부(102)를 끼워 넣음으로써, 이와 같이 끼워져 들어가는 끼움판부(102)의 판면에 상기 1쌍의 협지판(30,30)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돌기(30c,30c…)가 각각 압접되도록 상기 1쌍의 협지판(30,30)을 외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이러한 1쌍의 협지판(30,30)에 의해 상기 끼움판부(102)를 협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협지함으로써 클립(C3)를 상기 끼움판부(102)에 끼워서 부착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복수의 돌기(30c,30c…)은, 상기 부착구멍(201)에 대한 삽입부(101)의 삽입방향, 즉, 상기 끼움판부(102)의 돌출방향에 걸쳐서 다단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끼움판부(102)의 양면측에서 상기 끼움판부(102)의 돌출방향에 걸치는 복수 개소에서 상기 협지판(3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돌기를 상기 끼움판부(102)에 압접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1쌍의 협지판(30,30) 사이로의 상기 끼움판부(102)의 끼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끼움판부(102)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돌기(30c,30c…)의 선단으로써 점적으로 상기 협지판(30)의 탄발력을 작용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끼움판부(102)의 판면에 약간의 요철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1쌍의 협지판(30,30)에 의해 적절하게 상기 끼움판부(102)를 협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협지판(30)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30c,30c…)는 각각, 상기 자유단(20a)측을 향한 상측면을, 상기 돌기(30c)의 근본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서 점차 상기 기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하고 있어서, 이 경사면의 경사에 의해 각 돌기(30c,30c…)를 상기 끼움판부(102)의 선단이 타넘기 쉽도록 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30,30)의 외측에 각각, 상기 협지판(30)과 같은 폭을 구비하며, 상기 협지판(30)의 판면과 같은 방향으로 판면을 구비한 판형상을 이루는 걸어맞춤 암(31)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걸어맞춤 암(31)은, 그 일단을 상기 협지판(30)의 자유단(30a)에 가까운 위치에 일체로 연접시키고 있으며, 이 연접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협지판(3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져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걸어맞춤 암(31)은, 그 선단을 상기 협지판(30)의 자유단(30a)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면부에 걸어맞춤 볼록부(31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1쌍의 걸어맞춤 암(31,31)의 걸어맞춤 볼록부(31a)의 최정상단(31b)간의 간격이 상기 피부착대상물(200)에 개설(開設)된 부착구멍(201)의 구멍폭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끼움판부(102)를 1쌍의 협지판(30,30) 사이에 끼워 넣어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에 클립(C3)을 부착한 후, 이 삽입부(101)를 피부착대상물(200)의 부착구멍(201)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암(31)의 걸어맞춤 볼록부(31a)를 상기 부착구멍(201)의 삽입 표면측에 있는 구멍 가장자리부에 충돌시켜서 상기 걸어맞춤 암(31)을 일단 내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져 들어가게 한 후, 상기 삽입부(101)의 상기 부착구멍(201)에 대한 삽입종료위치에서 상기 걸어맞춤 암(31)을 탄발시켜서 상기 걸어맞춤 암(31)을 삽입 이면측에 있는 상기 부착구멍(201)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31a)를 걸어맞출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클립(C3)를 통해서 피부착대상물(200)에 부착대상물(100)을 원터치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 암(31)의 외면측에는, 이 걸어맞춤 암(31)에 있어서의 상기 협지판(30)과의 연접측에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31a)의 최정상단(31b)을 향해서 점차 외측으로 벌어져 나가도록 경사진 경사면(31c)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삽입부(101)의 부착구멍(201)에 대한 삽입에 따라서 상기 부착구멍(201)의 삽입 표면측에 있는 구멍 가장자리부에 상기 경사면(31c)을 충돌시켜서 부드럽게 상기 걸어맞춤 암(31)을 내측방향으로 휘어져 들어가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이러한 걸어맞춤 볼록부(31a)와 걸어맞춤 암(31)의 선단간에는, 상기 부착구멍(201)의 내면에 상기 삽입종료위치에서 눌려져 닿는 상기 삽입방향을 따른 맞닿음면(31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맞닿음면(31d)측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멍(201)의 삽입 이면측에 있는 구멍 가장자리부에 상기 걸어맞춤 암(31)의 걸어맞춤 볼록부(31a)가 걸어맞춰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립(C3)에,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를구성하는 끼움판부(102)를 1쌍의 협지판(30,30) 사이에 받아들임에 따라서 상기 삽입부(101)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106)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32)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클립(C3)의 걸어맞춤부(32)를, 상기 끼움판부(102)의 받아들임에 따라서 상기 끼움판부(102)의 측면에 충돌되어 일단 1쌍의 협지판(30,30)을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1쌍의 협지판(30,30)의 탄성복귀에 의해 상기 끼움판부(102)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106)를 이루는 구멍(106a)에 끼워져 들어가 걸어맞춰지는 돌기(32a)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30,30)의 자유단(30a)측의 내면부에 각각, 상기 돌기(32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돌기(32a)는, 상기 협지판(3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돌기(30c,30c…)보다 협지판(30)으로부터의 돌출치수가 크게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1쌍의 협지판(30,30)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32a)와 타측에 형성된 돌기(32a)가 그 돌출 선단(32b)면이 마주 향하지 않도록, 일측의 협지판(30)에 대한 상기 돌기(32a)의 형성위치와 타측의 협지판(30)에 대한 상기 돌기(32a)의 형성위치가, 클립(C3)을 상기 협지판(30)의 자유단(30a)측에서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구성하고 있다.(도 9)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끼움판부(102)에 상기 피걸어맞춤부(106)를 이루는 구멍(106a)이 뚫리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구멍(106a)에 대해, 상기 1쌍의 협지판(30,30)에 각각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부(32)를이루는 돌기(32a)가, 이 1쌍의 협지판(30,30) 사이로 상기 끼움판부(102)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상기 끼움판부(102)의 선단에 각각 충돌되어, 상기 1쌍의 협지판(30,30)을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이 걸어맞춤부(32)를 이루는 돌기(32a)가 상기 구멍(106a)에 끼워져 들어가는 상기 끼움판부(102)의 받아들임위치에서의 상기 1상의 협지판(30,30)의 탄성복귀에 의해 상기 구멍(106a)에 끼워져 들어가서 각각 걸어맞춰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립(C3)을 통해서 일단 부착한 상기 부착대상물(100)과 피부착대상물(200)을 상기 부착구멍(201)으로부터 상기 삽입부(101)를 발출시키는 크기의 힘으로 상기 부착대상물(100)측을 잡아 당겨서 분리시킬 때에, 클립(C3)측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부(32)를 구성하는 돌기(32a)와 삽입부(101)측에 형성된 구멍(106a)과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이러한 클립(C3)을 피부착대상물(200)측, 즉 부착구멍(201)에 남겨두지 않고,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끼움판부(102)에 끼워붙인 상태로 상기 삽입부(101)와 함께 상기 부착구멍(201)에서 발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부(32)를 구성하는 1쌍의 협지판(30,30)에 각각 형성된 돌기(32a)가, 상기한 바와 같이 클립(C3)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C3)을 측면에서 본 상태에서는 일측의 협지판(30)에 형성된 돌기(32a)의 돌출 선단면(32b)과 타측의 협지판(30)에 형성된 돌기(32a)의 돌출 선단면(32b)이 거의 동면을 이루도록 한 상태이므로, 상기 클립(C3)을 플라스틱재료를 이용하여 사출성형 등에 의해 지장없이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구멍(106a)에 대한 상기 돌기(32a)의 걸어맞춤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협지판(30)의 내면측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30c,30c…)가 탄성을 구비하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이러한 돌기(30c)의 탄발력을, 상기 1쌍의 협지판(30,30) 사이에 끼워져 들어간 상기 끼움판부(102)에 작용시킬 수 있어서, 끼움판부(102)와 클립(C3)과의 끼워맞춤상태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제4실시형태)
이어서, 도 10 내지 도15에 나타나는 클립(C4)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클립(C4)는, 부착대상물(100)에 형성된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상기 삽입부(101)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끼움판부(102)를 사이에 받아들이는 1쌍의 협지판(40,40)과, 이 1쌍의 협지판(40,40)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걸어맞춤 암(41)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협지판(40)은, 상기 끼움판부(102)를 받아들이는 측(이하, 협지판(40)의 자유단(40a)측이라 한다.)과의 반대측(이하, 협지판(40)의 기부측이라 한다.)에 있어서, 연접부(40b)로 타측의 협지판(40)과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연접부(40b)의 내면에 상기 끼움판부(102)의 선단이 충돌되는 위치까지, 상기 1쌍의 협지판(40,40) 사이에 상기 끼움판부(102)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끼움판부(102)가, 상기 끼움판부(102)의판면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벽(103a)을 배치시키는 1쌍의 측판(103,103)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끼움판부(102)와 1쌍의 측판(103,103)에 의해서, 상기 삽입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측판(103)도 상기 삽입부(101)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있다. 또, 이러한 측판(103)은 상기 끼움판부(102)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측판(103)의 선단은 끼움판부(102)의 선단보다 삽입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이러한 끼움판부(102)는, 측판(103)의 폭방향의 거의 중간정도의 위치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1쌍의 측판(103,103)간의 공간을 상기 끼움판부(102)에 의해서 좌우에 구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40,40)의 서로 마주 향하는 측(이하, 협지판(40)의 내면측이라 한다.)에 각각, 상기 부착구멍(201)으로의 삽입방향에 걸쳐서 다단형상을 이루며, 받아들여진 부착대상물(100)의 끼움판부(102)에 선단을 압접시키는 복수의 돌기(40c,40c…)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복수의 돌기(40c,40c…)는 각각, 상기 협지판(40)의 내면측에 형성된 상기 협지판(40)의 폭방향에 걸치는 리브 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각 돌기(40c,40c…)의 사이에는 각각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측의 협지판(40)에 형성된 각 돌기(40c,40c…)의 선단이 위치되는 가상면과, 타측의 협지판(40)이 형성된 각 돌기(40c,40c…)의 선단이 위치되는 가상면간의 간격이, 이러한 1쌍의 협지판(40,40)사이에 끼워져 들어가는 상기 끼움판부(102)의 판두께보다 약간 좁도록 구성되어있음과 아울러, 이러한 1쌍의 협지판(40,40)이 각각 상기 기부를 대강 중심으로 하여 타측의 협지판(40)으로부터 멀어져 나오는 방향의 탄성변성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40,40) 사이에 그 자유단(40a)측으로부터 상기 끼움판부(102)를 끼워넣음으로써, 이와 같이 끼워져 들어가는 끼움판부(102)의 판면에 상기 1쌍의 협지판(40,40)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돌기(40c,40c…)가 각각 압접되도록 상기 1쌍의 협지판(40,40)을 외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이러한 1쌍의 협지판(40,40)에 의해 상기 끼움판부(102)를 협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협지에 의해 클립(C4)를 상기 끼움판부(102)에 끼워서 부착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복수의 돌기(40c,40c…)는, 상기 부착구멍(201)에 대한 삽입부(101)의 삽입방향, 즉, 상기 끼움판부(102)의 돌출방향에 걸쳐서 다단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끼움판부(102)의 양면측에서 상기 끼움판부(102)의 돌출방향에 걸치는 복수 개소에서 상기 협지판(4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돌기(40c)를 상기 끼움판부(102)에 압접시킬 수 있어서, 이러한 1쌍의 협지판(40,40) 사이로의 끼움판부(102)의 끼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끼움판부(102)에 대해 상기 복수의 돌기(40c,40c…)의 선단으로써 점적으로 상기 협지판(40)의 탄발력을 작용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끼움판부(102)의 판면에 약간의 요철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1쌍의 협지판(40,40)에 의해 적절하게 상기 끼움판부(102)를 협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40,40)의 내면측에 있어서, 자유단(40a)에서부터 이 자유단(40a)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상기 돌기(40c)까지의 개소에, 상기 자유단(40a)을 향하여 연이어 점차로 타측의 협지판(40)의 내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40d)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러한 1쌍의 협지판(40,40) 사이에 상기 자유단(40a)측으로부터 상기 끼움판부(102)을 끼워넣을 때에 상기 경사면(40d)에 의해서 상기 끼움판부(102)의 선단을 안내하여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협지판(40,40)의 외측에 각각, 상기 협지판(40)의 외면에 그 내면을 마주 향하도록 한 상기 협지판(40)의 약 반정도의 폭을 구비한 판형상을 이루는 걸어맞춤 암(41)이 형성되어 있다. 또, 1쌍의 협지판(40,40)의 일측에 형성된 걸어맞춤 암(41)은, 그 길이방향에 있는 일측의 가장자리(41a)가 상기 일측의 협지판(40)의 길이방향에 있는 일측의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하며, 또, 상기 1쌍의 협지판(40,40)의 타측에 형성된 걸어맞춤 암(41)은, 그 길이방향에 있는 일측의 측가장자리(41a)가 상기 타측의 협지판(40)의 길이방향에 있는 타측의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립(C4)을 협지판(40)의 자유단(40a)측에서 평면으로 본 상태에 있어서, 일측의 협지판(40)측의 걸어맞춤 암(41)과 타측의 협지판(40)측의 걸어맞춤 암(41)이 클립(C4)의 중심부(연접부(40b)의 중앙)를 기준으로 한 점대칭위치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13)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걸어맞춤 암(41)은, 그 일단을 상기 협지판(40)의 연접부(40b)와 가까운 위치에 일체로 연접시키고 있으며, 이 연접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협지판(4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걸어맞춤 암(41)은, 그 선단을 상기 협지판(40)의 자유단(40a)의 하측에 위치시키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면부에 걸어맞춤 볼록부(41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1쌍의 걸어맞춤 암(41,41)의 걸어맞춤 볼록부(41b)의 최정상단(41c)간의 간격이 상기 피부착대상물(200)에 개설된 부착구멍(201)의 구멍폭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끼움판부(102)를 1쌍의 협지판(40,40) 사이에 끼워 넣어서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에 클립(C4)를 부착한 후, 이 삽입부(101)를 피부착대상물(200)의 부착구멍(201)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암(41)의 걸어맞춤 볼록부(41b)를 상기 부착구멍(201)의 삽입 표면측에 있는 구멍 가장자리부에 충돌시켜서 상기 걸어맞춤 암(41)을 일단 내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져 들어가게 한 후, 이 삽입부(101)의 상기 부착구멍(201)으로의 삽입종료위치에서 상기 걸어맞춤 암(41)을 탄발시켜서 상기 걸어맞춤 암(41)을 삽입 이면측에 있는 상기 부착구멍(201)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걸어맞춤부(41b)를 걸어맞출 수 있으므로, 이것에 의해 클립(C4)을 통해서 피부착대상물(200)에 부착대상물(100)을 원터치로 부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 암(41)의 외면측에는, 이 걸어맞춤 암(41)에 있어서의 상기 협지판(40)과의 연접측에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41b)의 최정상단(41c)을 향해서 점차 외측으로 벌어져 나가도록 경사진 경사면(41d)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부(101)의 부착구멍(201)으로의 삽입에 따라서 상기 부착구멍(201)의 삽입 표면측에 있는 구멍 가장자리부에 상기 경사면(41d)을 충돌시켜서 부드럽게 상기 걸어맞춤 암(41)이 내측방향으로 휘어져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또, 이러한 걸어맞춤 볼록부(41b)와 걸어맞춤 암(41)의 선단간에는, 상기 부착구멍(201)의 내면에 상기 삽입종료위치에서 눌려져 닿는 상기 삽입방향을 따른 맞닿음면(4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맞닿음면(41e)측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멍(201)의 삽입 선단에 있는 구멍 가장자리부에 상기 걸어맞춤 암(41)의 걸어맞춤 볼록부(41b)가 걸어맞춰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협지판(40)의 내면측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40c,40c…)가 탄성을 구비하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이러한 돌기(40c)의 탄발력을, 상기 1쌍의 협지판(40,40)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상기 끼움판부(102)에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끼움판부(102)와 클립(C4)과의 끼워맞춤상태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의 돌출기부측에 형성된 1쌍의 저지벽(108a,108a)간에, 피부착대상물(200)의 부착구멍(201)에서 상기 삽입부(101)를 발출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충돌되어 외측방향의 벌어져 나오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101)를 구성하는끼움판부(102)를 받아들인 1쌍의 협지판(40,40)의 자유단(40a)이 위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끼움판부(102)의 양측에 각각, 이 끼움판부(102)의 판면을 마주 향하도록 한 저지벽(108a)을 구비한 저지볼록부(108)가 상기 1쌍의 측판(103,103)에 기부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것과 아울러, 이러한 끼움판부(102)를 사이에 받아들인 1쌍의 협지판(40,40)의 자유단(40a)의 외측부간의 간격이 상기 1쌍의 저지벽(108a,108a)간의 간격보다 약간 작아서, 이 1쌍의 협지판(40,40) 사이에 있는 연접부(40b)의 내면에 상기 끼움판부(102)의 선단이 충돌되는 상기 끼움판부(102)의 삽입종료위치에 있어서, 이러한 1쌍의 협지판(40,40)이 각각 그 자유단(40a)을 상기 저지볼록부(108)의 내측에 위치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립(C4)를 통해서 일단 부착한 상기 부착대상물(100)과 피부착대상물(200)을 상기 부착구멍(201)에서 상기 삽입부(101)를 발출시키는 크기의 힘으로 상기 부착대상물(100)측을 잡아 당겨서 분리시킬 때에, 이 발출방향으로 이동되는 끼움판부(102)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휘어져 나오는 힘을 받는 상기 1쌍의 협지판(40,40)이 상기 외측방향을 향해서 벌어지는 것을, 상기 협지판(40)의 자유단(40a)을 상기 저지벽(108a)에 눌러 댐으로써 저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이러한 클립(C4)을 피부착대상물(200)측, 즉 부착구멍(201)에 남겨두지 않고,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끼움판부(102)에 끼워붙인 상태로 상기삽입부(101)와 함께 상기 부착구멍(201)에서 발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착대상물(100)의 삽입부(101)의 부착구멍(201)에 대한 삽입종료위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1)를 구성하는 상기 저지볼록부(108)도 상기 부착구멍(201) 내에 들어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것과 아울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립(C4)를 협지판(40)의 자유단(40a)측에서 평면으로 본 상태에 있어서, 1쌍의 협지판(40,40)의 일측에 형성된 걸어맞춤 암(41)과 타측에 형성된 걸어맞춤 암(41)은 점대칭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부착구멍(201)에 끼워져 들어가는 개소에 있는 저지볼록부(108)에 상기 걸어맞춤 암(41)의 선단측의 이동을 허용하는 절결부(108b)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절결부(108b)도 일측의 저지볼록부(108)측과 타측의 저지볼록부(108)측에서 그 형성위치를 달리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클립에 의하면, 부착대상물에 형성된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에 대해, 1쌍의 협지판의 서로 마주 향하는 측에 각각 다단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복수의 돌기에 의해 상기 삽입부의 삽입방향에 걸치는 각 소에 있어서 상기 끼움판부의 판면에 요철 등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적절하게 협지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3 및 청구항 4의 클립에 의하면, 부착대상물의 삽입부측에 각별한 가공을 실시하지 않더라도 피부착대상물의 부착구멍으로부터 상기 삽입부를 발출시키는 부착대상물 발출시에, 상기 삽입부와 함께 상기 부착구멍으로부터 클립을 확실하게 발출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피부착대상물에 개설된 부착구멍에 삽입되는 부착대상물의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를, 외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그 사이에 받아들여 상기 끼움판부에 끼워져 부착되는 1쌍의 협지판과,
    이 1쌍의 협지판의 외측에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부착대상물의 삽입부를 상기 피부착대상물의 부착구멍에 삽입함에 따라서 내측방향으로 일단 탄성적으로 휘어져 들어간 후, 상기 부착구멍에 대한 삽입종료위치에서 탄발하여 상기 부착구멍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암을 구비하는 클립으로서,
    상기 1쌍의 협지판의 서로 마주 향하는 측에 각각, 상기 부착구멍으로의 삽입방향에 걸쳐서 다단형상을 이루며, 받아들여진 상기 끼움판부에 선단을 압접시키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협지판에 형성된 돌기가 탄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를 받아들인 1쌍의 협지판이, 피부착대상물의 부착구멍으로부터 상기 삽입부를 발출시키는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졌을 시에 상기 부착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압압되어 내측방향으로 휘어져 들어가는 걸어맞춤 암에 외측으로부터 자유단측이 압압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청구항 1에 있어서,
    부착대상물의 삽입부의 돌출기부측에 형성된 1쌍의 저지벽간에, 피부착대상물의 부착구멍에서 상기 삽입부를 발출시키는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충돌되어 외측방향의 벌어지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를 받아들인 1쌍의 협지판의 자유단이 위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대상물의 삽입부를 구성하는 끼움판부를 1쌍의 협지판사이에 받아들임에 따라서,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청구항 5에 있어서,
    걸어맞춤부가, 끼움판부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를 이루는 볼록부에 대해, 상기 끼움판부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충돌하여 1쌍의 협지판을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이 1쌍의 협지판의 벌어짐에 의해 상기 볼록부를 타넘고 상기 타넘은 위치에서의 상기 1쌍의 협지판의 탄성복귀에 의해 상기 볼록부에 걸어맞춰지는 돌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7. 청구항 5에 있어서,
    걸어맞춤부가, 끼움판부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상기 끼움판부의 측면에 충돌되어 일단 1쌍의 협지판을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1쌍의 협지판의 탄성복귀에 의해 상기 끼움판부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를 이루는 구멍에 끼워져 들어가 걸어맞춰지는 돌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8. 청구항 5에 있어서,
    걸어맞춤부가, 끼움판부를 사이에 두고 부착대상물의 삽입부에 형성된 1쌍의 측벽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를 이루는 볼록부에, 상기 1쌍의 협지판사이에 끼움판부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일단 충돌된 후 탄성변형하여 상기 볼록부를 타넘고 상기 타넘은 위치에서 탄발하여 상기 볼록부에 걸어맞춰지는 탄성 볼록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10-2001-0028050A 2000-05-22 2001-05-22 클립 KR100427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9707A JP4657419B2 (ja) 2000-05-22 2000-05-22 クリップ
JP2000-149707 2000-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646A true KR20010107646A (ko) 2001-12-07
KR100427395B1 KR100427395B1 (ko) 2004-04-27

Family

ID=1865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050A KR100427395B1 (ko) 2000-05-22 2001-05-22 클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05413B2 (ko)
JP (1) JP4657419B2 (ko)
KR (1) KR100427395B1 (ko)
TW (1) TW57447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111A (ko) * 2003-07-14 2005-0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조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7552B2 (en) * 2001-06-25 2014-01-14 Termax Corporation Multicontact adaptive fastener clip
US6449814B1 (en) * 2001-09-13 2002-09-17 Summit Polymers, Inc. Trim fastener clip employing multiple lines-of-contact stabilization
JP4227741B2 (ja) * 2001-10-29 2009-02-18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KR100796487B1 (ko) * 2001-12-22 2008-01-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6796006B2 (en) * 2002-04-25 2004-09-28 Illinois Tool Works Inc. Rib clip
US6668429B2 (en) * 2002-05-03 2003-12-30 Ykk Corporation Of America Deep-groove fastener
US10336265B2 (en) * 2015-10-21 2019-07-02 Termax Llc Fastener clip over a carrier secured with hooks
JP2005098437A (ja) * 2003-09-26 2005-04-14 Tokai Kogyo Co Ltd 成形品組立体及び装着具
JP4190409B2 (ja) * 2003-12-26 2008-12-0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KR100970986B1 (ko) * 2005-06-08 2010-07-20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플라스틱 파스너
JP4884022B2 (ja) * 2006-02-10 2012-02-2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部品の取付け装置
JP4713455B2 (ja) * 2006-12-19 2011-06-2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FR2938886B1 (fr) * 2008-11-27 2013-02-08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Clip de fixation elastique en u
US8683662B2 (en) 2009-03-13 2014-04-01 Illinois Tool Works Inc. Piercing rib clip
BRPI1009000A2 (pt) * 2009-03-23 2016-03-08 Illinois Tool Works montagem retentora estojo
KR101094558B1 (ko) * 2009-08-12 2011-12-1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플라스틱 클립
CN101776113B (zh) * 2010-03-04 2011-06-01 王泳 一种构建薄壁板材空间组合结构的卡扣连接件
DE202010008001U1 (de) 2010-07-07 2010-09-02 Newfrey Llc, Newark Clip zur Befestigung einer Leiste oder Rippe
KR20120094653A (ko) * 2011-02-17 2012-08-2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플라스틱 클립
US8790058B2 (en) * 2011-08-15 2014-07-29 Zephyros, Inc. Push-pin cavity sealer
CN103178396A (zh) * 2011-12-21 2013-06-26 英业达股份有限公司 电子系统及其导引接合装置
TW201328509A (zh) * 2011-12-21 2013-07-01 Inventec Corp 電子系統及其導引接合裝置
US9322420B2 (en) 2013-03-12 2016-04-26 Trw Automotive U.S. Llc Fastening method and apparatus
DE202016101880U1 (de) * 2016-04-11 2016-04-27 Häfele Berlin Gmbh & Co Kg Beschlag zum lösbaren Verbinden zweier Möbelteile
US10215214B2 (en) * 2016-10-24 2019-0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engagement push clip assembly
EP3413688B1 (en) 2017-06-09 2021-08-1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Connecting element for connecting an induction coil to a coil carrier of an induction cooking hob
CN113153879B (zh) * 2021-02-27 2024-04-30 广东精诺五金实业有限公司 一种连接装置及其锁紧结构
JP7414034B2 (ja) 2021-03-29 2024-01-16 豊田合成株式会社 クリップ構造
US11969091B2 (en) * 2021-10-06 2024-04-30 Findlay Machine & Tool, Llc Outdoor furniture foo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3054Y2 (ko) * 1975-06-06 1980-06-02
US4402118A (en) * 1981-09-28 1983-09-06 Usm Corporation Clip for securing a panel to a support
JPH0139924Y2 (ko) * 1984-11-19 1989-11-30
JPS6256809U (ko) * 1985-09-30 1987-04-08
US4644612A (en) * 1986-05-30 1987-02-24 Usm Corporation Panel retainer
JPH025124Y2 (ko) * 1986-12-05 1990-02-07
JPH0310408Y2 (ko) * 1987-02-28 1991-03-14
JP2979079B2 (ja) * 1989-12-07 1999-11-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内装材の取付構造
JP2560968Y2 (ja) * 1991-10-08 1998-01-26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2578353Y2 (ja) * 1992-10-13 1998-08-13 株式会社東郷製作所 保持具
US5533237A (en) * 1994-09-12 1996-07-09 Emhart, Inc. Grommet fastener assembly for automobiles
JPH1054411A (ja) * 1996-06-03 1998-02-24 Daiwa Kasei Kogyo Kk クリップ
JPH1130214A (ja) * 1997-07-11 1999-02-02 Daiwa Kasei Ind Co Ltd クリップ
JP2932385B1 (ja) * 1998-02-12 1999-08-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部品の取付構造
JP4101920B2 (ja) * 1998-03-05 2008-06-18 株式会社ニフコ 二つの部材の連結具
JP2932388B1 (ja) * 1998-03-06 1999-08-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部品の取付構造
US6101686A (en) * 1998-03-17 2000-08-15 Daimlerchrysler Corporation Interior trim spring clip
JPH11287221A (ja) * 1998-04-02 1999-10-19 Daiwa Kasei Kogyo Kk クリップ
JP2000013645A (ja) * 1998-06-19 2000-01-14 Fujitsu General Ltd クリップ式カメラ取付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111A (ko) * 2003-07-14 2005-0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05413B2 (en) 2002-06-18
US20020004971A1 (en) 2002-01-17
JP2001330011A (ja) 2001-11-30
JP4657419B2 (ja) 2011-03-23
KR100427395B1 (ko) 2004-04-27
TW574477B (en) 200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395B1 (ko) 클립
EP1630426B1 (en) Double clip fastener device with retaining plate
EP0899466B1 (en) Trim clip
US6210419B1 (en) Surgical clip
KR102233415B1 (ko) 체결 방법 및 장치
JP2000515047A (ja) 止血クリップ支持具
JP2004156722A (ja) 本留め用の雄パーツを有する連結具
KR100427393B1 (ko) 클립
EP2161441B1 (en) Double locking connector for an injector
WO2007007687A1 (ja) クリップ
JP4634860B2 (ja) クランプ
KR100452395B1 (ko) 연결구조
KR100193026B1 (ko) 클립 드라이버
WO2022239629A1 (ja) ヒューズプラー
JP2003007371A (ja) コネクタ固定用クリップ
JP4149038B2 (ja) バックル
JP7134363B2 (ja) サンバイザホルダ
CN109378779B (zh) 一种线束扎带总成
JP3220689B2 (ja) 保持具
KR200258689Y1 (ko) 코너 클립
JP2595109Y2 (ja) 電気機器の取付装置
JPH08121653A (ja) 線、棒状物のクランプ
JP2022167100A (ja) 留め具
JPH0226136Y2 (ko)
JPH021580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