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161A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161A
KR20010106161A KR1020010013964A KR20010013964A KR20010106161A KR 20010106161 A KR20010106161 A KR 20010106161A KR 1020010013964 A KR1020010013964 A KR 1020010013964A KR 20010013964 A KR20010013964 A KR 20010013964A KR 20010106161 A KR20010106161 A KR 20010106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blower
vacuum cleaner
handle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메자와고오이찌
나까가와요오지
야마모또와따루
이와세유끼지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10106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1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깨끗한 배기를 분산 배기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 청소기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청소기 본체(100)에 집진실(109)과, 이 집진실(109)의 후방에 배치되는 송풍기(110)와, 이 송풍기(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복수의 충전지(138a)를 갖는 전원부(111)와, 송풍기(110)의 하방에 배치되는 배기 필터 수납부(136)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필터 수납부(136)는 송풍기(110)로부터의 배기를 취입하고, 이 배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배기 필터(116)를 갖고, 이 배기 필터 수납부(136)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복수의 배기 통로(164, 165, 156)로 분기하여 청소기 본체(100)의 복수 부위에 형성되는 배기구(113, 114, 115)로부터 배출한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 본체와 흡인 호스와 손잡이 핸들과 접속관과 흡구체 로 이루어지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전기 청소기는, 송풍기를 내장한 하우징의양측에 한 쌍의 대형 바퀴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이 청소기 본체에 일단부가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 호스와, 이 흡인 호스의 타단부와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과, 이 손잡이 핸들에 부착되어 상기 흡인 호스에 연통하는 접속관과, 이 접속관에 부착되어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흡구체로 이루어지는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이다.
이들의 청소기 본체는 코드 릴 장치를 구비하여 가정내 배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일본 특허 공개 평7-39483호와 같이 축전지를 구비하여 충전 가능하게 한 것이 있다. 또한, 전기 청소기 본체는 먼지를 제거한 배기로 송풍기를 냉각하여 배면 후방이나 대형 바퀴 등의 특정한 부위로부터 집중하여 배기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은 배기 순환 방식이라 불리우는 배기를 흡구체로 복귀시켜 다시 취입하는 것이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배기하는 종래 예는 특정 부위로부터 집중하여 배기하고 있으므로, 그 배기가 사용자에게 닿는 것이 과제이다. 또한, 이 배기가 방의 대류(對流)를 일으켜 청소 근방의 먼지를 확산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깨끗한 배기를 분산 배기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 시스템의 종수납 자세의 외관도이며,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를 충전대에 장착하려고 하는 외관도와 장착한 상태를 나란히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청소 상태를 도시한 외관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 본체의 외관도로 (a)도가 전방 사시도, (b)도가 평면도, (c)도가 정면도, (d)도가 우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 본체의 부품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 본체의 중앙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 본체에 전원부를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충전부의 설명도이며, (a)도가 전기 청소기 본체의 후방 커버를 벗긴 상태의 후방 사시도, (b)도가 충전부의 구조를 도시한 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 본체의 배기 흐름을 도시한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 본체의 배기 흐름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 본체의 바퀴으로부터의 배기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전대가 달린 전기 청소기 시스템
10 : 전기 청소기
100 : 전기 청소기 본체
101 : 호스 부착부
104 : 대형 바퀴
109 : 집진실
110 : 송풍기
111 : 전원부
113 : 제1 배기부
114 : 제2 배기부
115 : 제3 배기부
116 : 배기 필터
136 : 배기 필터 수납부
138 : 충전 팩
138a : 셀(충전지)
152 : 충전 단자부
156 : 제3 배기 통로
160 : 전원부 냉각 통로
164 : 제1 배기 통로
165 : 제2 배기 통로
200 : 흡인 호스
300 : 손잡이 핸들
400 : 접속관
500 : 흡구체
510 : 전원부
600 : 서브 핸들부
700 : 충전대
1000 : 흡구 본체
1500 : 자재 연결부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청소기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송풍기로부터의 배기를 취입하고, 이 배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배기 필터를 갖는 배기 필터 수납부를 구비하고, 이 배기 필터 수납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복수의 배기 통로로 분기하여 청소기 본체의 복수 부위에 형성되는 배기구로부터 배출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 또는 마찬가지인 부위나 위치, 혹은 화살표 등을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충전대가 달린 전기 청소기 시스템의 개략 구조를 설명한다. 도1은 이 전기 청소기 시스템의 종수납 자세의 외관도이며,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를 충전대에 장착하려고 하는 외관도와 장착한 상태를 나란히 도시하고 있다. 도2는 전기 청소기의 청소 상태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1, 도2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에서 총괄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충전대가 달린 전기 청소기 시스템이며, 캐니스터 타입이라 불리우는 전기 청소기(10)와, 이 전기 청소기(10)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대(700)로 구성된다. 즉, 이 충전대가 달린 전기 청소기 시스템(1)에서는 전기 청소기(10)에 내장한 충전지를 구비한 전원부에 의해, 종래의 코드 릴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와 같이 가정내 배선에 전원 코드를 접속하여 이 전원 코드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내장된 송풍기를 구동하여 청소를 행함에 따른 동작 범위의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시켜 청소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를 행한 후에는 설치 면적이 작은 종수납 자세대로, 상기 충전대(700)에 설치하여 상기 전원부에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청소기(10)는 먼지를 집진실로 빨아 들이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기구, 예를 들어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호스 부착부(101)에 부착되는 연결 부재(이하 서브 핸들부라 함)(600)와, 일단부가 상기 서브 핸들부(600)에 부착되고,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 호스(200)와, 상기 흡인 호스(200)의 타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300)과,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 부착되어 상기 흡입 호스(200)에 연통하는 접속관(400)과, 상기 접속관(400)에 부착되어 상기 접속관(400)에 연통하는 흡구체(500)로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서브 핸들부(600)에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부착하기 위한 본체 부착 기구부(610)와, 상기 흡인 호스(200)를 부착하기 위한 호스 부착 기구부(620)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흡인 호스(200)를 연통하는 먼지 통로(630)와, 상기 접속관(400)을 보유 지지하는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와, 이 서브 핸들부(600)를 사용자가 보유 지지하기 위한 핸들부(660)를 구비함으로써, 가장 일반적인 전기 청소기를 수납성과 반송성이 우수한 전기 청소기(10)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핸들부(660)의 양측에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접속관(400)을 나누어 보유 지지하고, 이 핸들부(660)를 거쳐서 종수납 자세의 상기 전기 청소기(10)를 그 상태의 자세를 유지한 채 한쪽 손으로 들어올려 좌우의 중량 밸런스를 향상시켜 반송성을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손잡이 핸들(300)이 종수납 자세의 상단부에 고정되므로, 이높은 위치에 있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보유 지지하여, 이것을 거쳐서 상기 주행 수단(102)을 이용하여 종수납 자세로 고정되는 전기 청소기(10)를 편안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종수납 자세로 상기 충전대(700)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핸들(660)을 거쳐서 들어 올림으로써, 사용자는 크게 자세를 바꾸는 일 없이, 상기 충전대(700)의 소정의 위치에 간단하게 상기 전기 청소기(10)를 장착할 수 있다.
이 충전 자세에서는 종래의 것이 전기 청소기 본체의 바닥면 측에 접속관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흡구체측을 정면으로 향하게 하면 전기 청소기 본체의 바닥면이 보이게 되어 미관이 좋지 않다. 반대로, 전기 청소기 본체의 상면을 정면으로 향하게 하면 미관은 향상되지만, 벽면으로 향하게 한 흡구체의 상부에 무효 공간이 발생해 버려 수납 효율이나 안정감이 나빠진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관(400)을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에 짊어지는 구조이므로, 의장 효과가 떨어지는 바닥면을 벽면측으로 향하게 하고, 또한 상기 흡구체(500)를 정면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의장성이나 수납 효율 또는 안정감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충전대(700)는 높이가 낮은 박형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10)를 하방으로부터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그 상면에 오목형의 청소기 본체 수납부(701)와 흡구체 수납부(702)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최소 설치 면적으로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종수납 자세를 충전 자세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충전대(700)는 상기 청소기 본체 수납부(701)와 흡구체 수납부(702) 사이에 도22에 도시한 회로 기판(703)과 전원 장치(트랜스)(704)를 양측으로 분할하여 설치하고, 이것을 커버하는 제1 융기부(705)와 제2 융기부(706)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내부 실제 장착 효율을 향상시켜 설치 면적을 한층 더 향상시키고, 또한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1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충전식의 상기 전기 청소기(10)의 흡인 파워를 보조하기 위해, 상기 흡구체(500)에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동 모터(502)를 거쳐서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50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구동 모터(50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11)를 이 흡구체(500) 자신에게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흡구 본체(500)에 상기 전원부(111, 510)를 분할하여 설치함으로써, 전원부의 손실을 경감하고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상기 전원부(111)를 집중 배치시킨 경우, 이 전원부로부터 상기 흡인 호스(200)와 접속관(400)을 거쳐서 상기 흡구체(500)에 전원을 공급하면, 그 긴 배선 거리로 인해 도중의 방전이 손실이 되므로, 가동 시간이 짧아지거나, 혹은 이를 보충하기 위한 전원부의 대형화나 배선의 복잡화가 과제가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전원부의 분할화에 수반하여, 상기 충전대(700)의 상기 청소기 본체 수납부(701)와 흡구체 수납부(702)에 각각 충전 단자부(707, 70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도4,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실(109)과 송풍기(110)와 전원부(111)를 전후의 일렬 배치로 함으로써, 상기 이동 수단(102)에 의한 주행 자세에서의 인장 주행이나, 이 주행 자세로부터 종수납 자세로의 변화, 혹은 반송성이 우수한 중량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전체를 콤팩트하게 정리할 수 있다.
또, 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이 하우징의 여러 부위에 배기구를 분산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특정한 부위로부터 배기되는 종래 예에 비해 배기가 염려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하, 이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0)의 개략 구조를 더 설명한다.
도2에 있어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그 내부에 일회용 집진 주머니(144)(도5 참조)를 구비한 집진실(109)(도5 참조)을 구비하고, 한 쌍의 대형 바퀴(104)와 1개의 자재 바퀴(105)로 상기 이동 수단(102)을 구성하고, 상기 흡입 호스(200)를 거쳐서 이동시킬 수 있다. 통상의 청소(주행) 자세에서는, 상기 대형 바퀴(104)와 자재 바퀴(105)로 청소면에 설치한 전후로 긴 자세를 취한다.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길이 방향의 한쪽에 상기 집진실(109)을 설치하고, 다른 한쪽에 송풍기(110)와 전원부(111)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실(109)의 하방에 자재 바퀴(105), 상기 송풍기(110)와 전원부(111)의 양측에 한 쌍의 대형 바퀴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집진실(109) 측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상기 길이 방향에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기 호스 부착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대형 바퀴(104)는 상기 호스 부착부(101)가 설치된 단부와 대향하는 길이 방향의 다른 단부 측에 설치되고, 대형 바퀴(104) 주위의 설치부(104a)가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바닥면과 배면(상기 다른 단부)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상기 한 쌍의 대형 바퀴(104)와 상기 자재 바퀴(105)에 의해 지지된 청소 자세로부터, 상기 대형 바퀴(104)의 회전축(B1)을 중심으로 상기 자재 바퀴(105)를 뜨게 하도록 Z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호스 부착부(101)를 수직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세로 위치의 종수납 자세로 할 수 있다.
이 종수납 자세에서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가 상기 한 쌍의 대형 바퀴(104)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배면 상부에 설치한 다리부(103)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운전 제어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에 설치한 적외선 수광부(112)에서, 상기 손잡이 핸들(300)로부터 발신되는 조작 신호를 받아 조작된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큰 특징 중 하나는 충전지를 구비한 상기 전원부(111)를 내장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가정내 배선에 접속하는 일 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점이다. 게다가, 이 실시 형태에서는 종래 코드 릴이 배치되어 있었던 공간에 상기 전원부(111)를 배치함으로써, 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크기나 밸런스를 바꾸는 일 없이 전원 코드가 없는 캐니스터형의 이른바 무선 청소기를 실현하고 있다. 특히, 이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의 전기 청소기(10)를 사용한 청소가 20분 전후인 것에 주목하여, 이 가동 시간과 상기 배치 공간, 또한 상기 송풍기(110)의 파워를 고려하여 25분 정도 가동 가능한 충전 용량으로 설정하고 있다.
물론, 이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상태에서의 구동이 소정 시간 경과하고서 더 청소를 행하고 싶은 경우를 상정하여, 부속된 전원 코드를 접속하여 통상의 가정내 배선에서의 운전도 행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가 채용되는 상기 송풍기(110)는 정류자 모터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직류 전원이나 교류 전원에서도 구동시킬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정류자 모터의 특성을 이용하여 통상은 상기 전원부(111)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필요에 따라 전원 코드를 접속하여 교류 전원을 직접 상기 송풍기(110)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큰 특징 중 다른 하나는 분산 배기를 채용한 점에 있다. 예를 들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송풍기(110)의 양측에 설치한 한 쌍의 대형 바퀴(104)와, 상기 집진실(109)의 양측의 상기 범퍼부(106)와, 본체 배면 측에 각각 제1 배기부(113), 제2 배기부(114), 제3 배기부(115)(도6 참조)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배기가 분산되므로 사용자에게 배기에 대한 염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들의 배기는 상기 송풍기(110)로부터의 배기가 내장되는 배기 필터(116)(도5 참조)를 1도 통과한 후에 각각의 배기부로부터 배기되므로, 각 배기 통로가 길어져 소음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핸들부(600)는 이 서브 핸들부(600)를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부착하기 위한 기능과, 이 서브 핸들부(600)에 상기 흡인 호스(200)를 부착하기 위한 기능과,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흡인 호스(200)를 연통하는 기능과, 상기 접속관(400)을 보유 지지하는 기능과, 이 서브 핸들부(600)를사용자가 보유 지지하기 위한 핸들 기능을 갖추고 있다.
다음에, 상기 흡인 호스(200)는 먼지를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통로로서의 기능과,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인장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주름형의 유연성이 있는 호스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 핸들(300)은 상기 흡인 호스(200)와 상기 접속관(400)을 연통시키는 기능과,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운전 제어 및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기능, 또한 상기 흡구체(500)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기능과, 접속관(400)의 신축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상기 손잡이 핸들(300)은 상기 흡인 호스(200)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접속관(400)도 착탈 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상기 흡인 호스(200)와 상기 접속관(400)을 연통시켜 먼지의 반송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핸들(300)은 핸들부(302)를 구비하고, 이 핸들부(302)에 의해 상기 흡입 호스(200)를 거쳐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흡구체(500)의 움직임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10)를 상기 핸들부(302)를 거쳐서 비스듬하게 쓰러뜨려, 이 상태에서 인장하거나, 가압하거나 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이 핸들부(302)에 따르면 비틀림 동작, 즉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A1)을 중심으로 한 회전(P1)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비틀림 동작에서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 대하여 상기 흡인 호스(200)가 중력에 의해항상 상기 핸들부(30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핸들부(302)의 비틀림 동작으로 흡인 호스(200)를 인상하지 않으므로,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이 때, 핸들부(302)를 상부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하방에 설치한 흡인 호스(200)가 상기 비틀림 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이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구체(500)를 바닥면(청소면) 상에서 90도 이상 회전시킬 수 있다(도면 중 P2).
또, 상기 핸들부(302)의 근방에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운전을 조작하는 조작부(30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상기 핸들부(302)의 근방에는 접속관(400)의 신축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1 신축 스위치(30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신축 스위치(301)가 핸들부(302)의 근원 부근의 하부에 설치되고, 핸들부(302)를 쥔 때에 권총의 방아쇠를 당기는 것처럼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기구에 의해, 사용자는 핸들(302)을 보유 지지하면서 접속관(400)의 신축의 고정과 해제 조작을 한쪽 손으로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접속관(400)은 상기 손잡이 핸들(300)과 상기 흡구체(500)를 연통시키고, 또한 상기 손잡이 핸들(300)과 상기 흡구체(500)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함으로써, 상기 손잡이 핸들(300)의 움직임(이동이나 회전)을 상기 흡구체(500)의 움직임(이동이나 회전)으로 하도록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크기가 다른 2개의 관 부재, 즉 제1 관 부재(420)와 제2 관 부재(440)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접속관(400)을 소정의 길이로 고정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하게 구성하고, 한쪽에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다른쪽에 상기 흡구체(500)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접속관(400)의 신축의 고정 또는 해제를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 설치한 상기 제1 신축 스위치(301)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 핸들(300)과 분리되어도 접속관(400)의 신축이 가능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관 부재(420)의 하단부에 제2 신축 스위치(40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신축함으로써 흡구체(500)와의 길이가 변화하는 관 부재의 단부 측에 상기 부착부(401)를 설치하고, 상기 접속관(400)을 수축함으로써 필연적으로 이 상기 부착부(401)가 상기 서브 핸들부(600)에 설치한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에 끼워 마춤이 가능하므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흡구체(500)는 먼지를 빨아 들이기 위한 흡구 개구부(1107)(도12 참조)를 바닥면에 구비한 흡구 본체(1000)와, 상기 흡구 본체(1000)를 상기 접속관(400)에 연결하고, 상기 접속관(400)을 거쳐서 전달되는 손잡이 핸들(300)의 움직임에 대하여 항상 흡구 본체(1000)의 바닥면을 청소면(바닥면)에 접하도록 동작하는 동시에, 상기 흡구 본체(1000)로부터 빨아 들인 먼지를 포함한 공기류가 상기 접속관(400)으로 유도되도록 연통하는 자재 연결부(1500)로 구성된다.
상기 흡구 본체(1000)는 편평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구비하고, 그 상면 중앙에 상기 자재 연결부(1500)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자재 연결부(1500)는 관형의 제1 아암부(1501)와 제2 아암부(1502)로 구성되고, 상기 제1아암부(1501)는 그 일단부가 제1 회전부(1503)를 거쳐서 상기 흡구 본체(1100)에 대하여 앙각이 되는 Y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2 아암부(1502)는 그 일단부가 제2 회전부(1504)를 거쳐서 상기 제1 아암부(1501)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구 본체(1000)를 청소면과 평행하게 회전시키는 X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자재 연결부(1500)는 상기 흡구체(50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손잡이 핸들(300)의 고저 방향 Y와, 좌우 방향 X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림 동작의 회전 P1을 그대로 이 흡구 본체(1000)의 청소면에 대한 회전 P2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 핸들(300)의 핸들부(302)를 똑바로 한 자세에서는, 도2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구 본체(1000)의 깊이 방향이 청소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는 제1 구동 형태를 취해 폭 넓은 청소가 가능한 V1 방향의 청소가 가능해지며, 상기 핸들부(302)를 90도 비트는 동작에 의해 도2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흡구 본체(1000)의 길이 방향이 청소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는 제2 구동 형태를 취해 폭이 좁은 청소가 가능한 V2 방향의 청소가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90도 비틈으로써, 이 흡구체(500)를 길이 방향이 좌우 방향인 통상 횡자세의 상태로부터, 이 흡구체가 90도 회전한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는 종자세의 상태로 하는 차의 핸들과 바퀴와 마찬가지로 회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큰 특징은 제1 회전부(1503)의 하부에 상기 충전지를 구비한 전원부(510)(도12 참조)를 배치함으로써,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이 전원부(510)를 수납한 점에 있다. 특히,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자재 연결부(1500)를 수평하게 한 상태(눕힌 상태)에서 제1 아암부(1501)가 제2 아암부(1502)의 상측에 위치하는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이 2개의 아암부의 단차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부(510)를 배치하고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전원부의 무게 중심이 상기 제1 회전부(1503)의 회전 중심보다 후방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회전 중심에 대한 이 흡구체(500)의 전후 밸런스를 향상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접속관(400)을 거쳐서 흡구체(500)가 바닥면으로부터 부상되어도, 흡구 본체(1000)의 바닥면부가 마루면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0)에 따르면, 코드가 없는 방식의 캐니스터형 청소기로 함으로써, 전원 코드의 제약을 받는 일 없이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인장 주행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실현하는 전원부(111, 510)는 이 전원 공급을 받는 구동 모터(110, 502)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흡구체(500)에 각각 배치되고, 게다가 각각의 배치가 각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콤팩트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원 공급에 있어서의 손실을 경감할 수 있고, 게다가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운전 제어 및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기능과 상기 흡구체(500)의 움직임을조작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동시에, 접속관(400)의 신축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보유 지지하는 직립 자세의 사용자가 크게 자세를 바꾸는 일 없이 운전 조작이나 청소 및 수납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종수납 자세에서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이 가장 정상부에 배치되어 보유 지지되므로, 이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종수납 자세인 상태에서 이동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전기 청소기 본체의 외관도로, (a)도가 전방 사시도, (b)도가 평면도, (c)도가 정면도, (d)도가 우측면도이다. 도4는 전기 청소기 본체의 부품 구성도이다. 도5는 전기 청소기 본체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6은 전기 청소기 본체에 전원부를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7은 충전부의 설명도이며, (a)도가 전기 청소기 본체의 후방 커버를 벗긴 상태의 후방 사시도, (b)도가 충전부의 구조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8은 전기 청소기 본체의 배기의 흐름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9는 전기 청소기 본체의 배기의 흐름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10은 전기 청소기 본체의 바퀴으로부터의 배기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우선, 도3을 참조하여 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외관 구조를 설명한다. 도3에 있어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그 외관을, 원목을 횡배치한 형상에도 닮은 단면 형상이 큰 원형으로 형성되는 전후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후로 긴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양측면의 후방에 상기 한 쌍의 대형 바퀴(104)를 부착하고 있다. 상기 대형 바퀴(104)는 정면으로부터 보아하부측이 작아지며, 상방이 개방되도록 차축(117)(도4 참조)을 경사지게 설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주행성이나 선회성을 향상하고 있다. 또,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바닥면 전방부에는 1개의 자재 바퀴(105)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상기 대형 바퀴(104)가 배치되는 길이 방향의 단부측의 높이를 높게 함으로써,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전동 송풍기(110)와 전원부(111) 및 집진 필터(116)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은 높이가 있는 길이 방향의 상기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향하게 해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주행성이나 콤팩트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후방단부에는 이 가로로 긴 청소 자세를 유지하며 반송하는 것이 가능한 메인 핸들부(107)를 설치하고 있다. 이 메인 핸들부(107)는 U자형의 구조를 갖추고, 이 U자형의 한 쌍의 단부가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무게 중심 위치(G1)의 상방에 설치한 한 쌍의 회전축(108)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후방단부로 돌출된 손잡이부를 거쳐서 일으켜 세우거나,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 전방부에는 상기 적외선 수광부(112)와, 상기 손잡이 핸들(300)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전지 끊김 등에 의해 발신할 수 없을 때나, 전기 청소기 본체(100) 측에서 조작하고 싶은 때에 조작하는 전원 스위치와, 각종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램프를 구비한 운전 표시 패널(118)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호스 부착부(101)를 그 대략 중앙에 구비하고 있었던 전방 케이스(119)가 하단부의 힌지(120)와, 상기 운전 표시 패널(118)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로크 기구(121)를 거쳐서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종수납 자세로 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 케이스(119)를 개폐할 수 있어, 이 전방 케이스(119)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집진실(109)을 노출하고, 내부에 부착된 도시하지 않은 일회용 집진 주머니(144)를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형 바퀴(104)에 설치되는 상기 제1 배기부(113)는 측면으로부터 보아, 주위의 상기 설치부(104a)의 내측 전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작은 구멍군(113a)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작은 구멍군(113a)은 상기 대형 바퀴(104)의 상기 차축(117)에 고정하여 부착된 바퀴 커버(122)에 의해 상기 대형 바퀴(104)의 상부에 항상 초승달형의 상기 제1 배기부(113)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부와 양측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범퍼부(106)가 형성되고, 이 범퍼부(106)의 양측에는 복수의 작은 구멍군(114a)으로 구성되는 제2 배기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배기부(113)와 상기 제2 배기부(114) 와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제3 배기부(115)를 거쳐서 분산 배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면 후방의 한쪽에는 가정내 배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접속하는 전원 코드 접속부(123)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전원 코드를 부착한 때는 종래 예의 코드 릴로부터 전원 코드를 인출한 상태와 마찬가지인 상태가 되므로, 위화감 없이 전원 코드 접속에서의 사용을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자세에서의 청소면으로부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최정상부까지의 높이(H2)를 220mm, 횡폭(W1)을 240mm, 전후의 길이(L1)를 350mm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종래의 송풍기와 코드 릴을 좌우로 나란하게, 혹은 전후로 배치한 전기 청소기 본체와 같은 정도 크기의 하우징을 실현하고 있다.
도4, 도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부품 구조와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 도5에 있어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하우징은 수지 성형된 하부 케이스(124)와 상부 케이스(125)와 상기 전방 케이스(119)와 후방 케이스(126)와 집진실 커버(12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5)와 하부 케이스(124)는 양 측면의 대략 중앙에서 상하에 맞추어져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24)의 양측 후방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바퀴 베이스부(128)가 형성된다. 이 바퀴 베이스부(128)의 중앙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차축(117)이 설치되고, 이 바퀴 베이스부(128)에 상기 대형 바퀴(104)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상기 대형 바퀴(104)에 은폐되는 상기 바퀴 베이스부(128)의 상부에는 제1 배기부(113)에 배기를 공급하는 배기구(12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축(117)에 상기 바퀴 커버부(122)가 고정된다.
또한, 이 하부 케이스(124) 및 상부 케이스(125)의 내측에는 이 내부 공간을 전후로 크게 3 분할하는 전방부 내벽(130)과 후방부 내벽(131)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전방부 내벽(130)의 전방의 전방부 내부 공간(132)이 마련되고, 후방부 내벽(131)의 후방에 후방부 내부 공간(134)이 마련되고, 2개의 내벽 사이에 상기 송풍기(110)를 수납하는 중앙 내부 공간(133)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부 내벽(130)의 중앙에는 상기 전방부 내부 공간(132)으로부터 상기 중앙 내부 공간(133)에 연통시키기 위한 개구부(135)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부 내벽(131)은 상기 중앙 내부 공간(133)과 상기 후방부 내부 공간(134)을 폐쇄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내부 공간(133)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 케이스(124)의 바닥면에는 오목형의 배기 필터(116)를 수납하는 배기 필터 수납부(136)가 형성되고, 이 배기 필터 수납부(136)와 상기 중앙 내부 공간(133)이 연통한다. 또, 이 배기 필터 수납부(136)는 그 바닥면을 후방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한 바닥 덮개(137)에 의해 덮어져 있으며, 상기 배기 필터(116)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상기 후방부 내부 공간(134)은 상기 배기 필터 수납부(136)와 상기 후방부 내벽(131)의 하방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이 후방부 내부 공간(134)의 중앙에 대략 하우징형의 상기 전원부(111)가 형성된다. 이 전원부(111)는 상기 후방부 내부 공간(134)과 연통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전원부(111)의 상부를 상기 상부 케이스(125)로 형성하고, 이 전원부(111)의 하부를 하부 케이스(124)로 형성하고, 이 상부 케이스(125)와 하부 케이스(124)를 조립한 상태에서, 이 전원부(111)가 주위의 후방부 내부 공간(134)으로부터 밀폐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원부(111)에 복수의 충전지로 이루어지는 충전 팩(138)을 수납하기 위한 삽입구(139)를 하부 케이스(124)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이 삽입구(139)로부터 삽입된 충전 팩(138)이 상기 송풍기(1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방부 내부 공간(132)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 케이스(124)의 바닥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상기 자재 바퀴(105)가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전방부 내부 공간(132)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 케이스(124)의 양측 전방부에는 복수의 개구부(140)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이것을 덮도록 제2 배기부(114)를 구비한 상기 범퍼부(106)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밖에, 이 하부 케이스(124) 및 상부 케이스(125)의 내측에는 각종 장치를 부착하는 리브나 배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부에 운전 표시 패널(118), 중앙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메인 핸들부(10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의 후방부는 오목형으로 형성되고, 이 오목부(141)에 상기 전원부(111)의 상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41)를 상기 후방 케이스(126)가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전방 케이스(119)는 그 전방부에 상기 흡입 호스(200)의 일단부가 부착되는 상기 호스 접속부(101)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125)와 하부 케이스(124)의 전방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케이스(119)는상기 힌지부(120)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케이스(125)의 로크 기구부(121)를 거쳐서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이 전방 케이스(119)의 개폐에 의해 내부에 배치하는 도시하지 않은 일회용 집진 주머니(144)를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 커버(127)는 상기 전방 케이스(11) 측의 한쪽이 개방된 케이스이며, 이 개구부(142) 주위의 플랜지(142a)를 이용하여 상기 상하 케이스(125, 124)에 부착된다. 그리고, 이 플랜지(142a)를 이용하여 혹은 도시하지 않은 부착부를 거쳐서 상기 일회용 집진 주머니(144)를 부착한다.
상기 집진 커버(127)는 상기 전방부 내부 공간(132)에 수납되고, 상기 전방 케이스(119)와 함께 상기 집진실(109)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커버(127)의 상부와 상부 케이스(125)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운전 표시 패널(118)의 회로 기판(143)을 배치하고, 이 집진 커버(127)의 양측과 하부 케이스(124) 사이의 공간은 상기 배기 필터 수납부(136)와 연통시키고, 이 공간을 이용하여 제2 배기부(114)에 연통하는 배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5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5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10)는 전방부에 배치되는 직경이 큰 팬부(146)와, 이 팬부(146)의 후방에 배치되는 직경이 작은 구동 모터부(147)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 모터부(147)의 주위에는, 도9에 사선부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음재(148)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송풍기(110)는 전방부 내벽(130)과 후방부 내벽(13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중앙 내부 공간(133)에 배치된다.
이 중앙 내부 공간(133)의 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배기 필터 수납부(136)는 바닥면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박형의 편평한 배기 필터(116)를 수납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의 배기 필터(116)는 필터를 주름형으로 절곡하여 표면적을 늘려 집진 효율을 높이고, 미세한 먼지도 강력하게 캐치하는 착탈 가능한 카세트식의 항균 방취 필터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정전 필터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중앙 내부 공간(133)의 하방에 배기 필터 수납부(136)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송풍기(110)를 그 투영 면적 내에 수납할 정도의 크기를 구비한 배기 필터(116)를 배치할 수 있는 미세한 집진 효율이나 방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기(110)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 핸들부(107)를 지지하는 회전축(10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팬부(146)와 구동 모터부(147) 사이의 상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부(11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본체 후방에 코드가 없는 것을 구비한 것에 비해, 전원 코드를 인출한 상태와 전원 코드를 수납한 상태의 무게 중심 위치의 변화가 없으므로, 상기 메인 핸들부(107)로 보유 지지한 때에, 항상 전후의 밸런스가 균일해지므로, 안정된 반송이 가능해진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흡입 호스 부착부(101)에 흡인 호스(200)가 부착되어 상기 메인 핸들부(107)로 보유 지지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회전축(108)은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무게 중심(G1)의 위치보다 약간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즉, 메인 핸들부(107)의 회전축(108)을 상기 송풍기(110)를 지지하는 전방부내부벽(130)으로부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무게 중심(G1)의 위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흡인 호스(200)를 부착하거나 또는 제거하더라도 항상 이 메인 핸들부(107)로 안정된 밸런스의 반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전방부 내부 공간(132)에 형성되는 상기 집진실(109)은 측면으로부터 보아 그 중심 위치가 상기 송풍기(110)의 팬 회전 중심 위치보다 약간 하방에 배치되고, 이 집진실(109)의 상부에 상기 기판(143)을 배치하고, 이 집진실(109)의 하부에 자재 바퀴(105)가 배치된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집진실(109)을 상기 송풍기(110)보다 약간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이 집진실(109)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흡인 호스 부착부(101)의 위치를 하방으로 낮출 수 있으므로, 흡인 호스(200)에 의한 안정된 인장 주행이 가능해진다. 또, 집진실(109)의 일정한 크기를 확보하면서, 상기 자재 바퀴(105)를 하방으로 돌출시키고, 상부 기판(143)의 배치 공간을 하방으로 낮출 수 있으므로, 앞으로 기울어진 콤팩트한 외부 형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부 내부 공간(134)은 이 후방부 내부벽(134)과 하우징의 배면벽[하부 케이스의 배면벽과 후방 케이스(126)]으로 둘러싸여진 공간이다. 이 후방부 내부 공간(134)에는, 그 내부에 상기 상부 케이스(125)로 형성되는 상부 충전 커버(148)와, 하부 케이스(124)로 형성되는 하부 충전 커버(149)로 전원부(111)의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부(111)는 그 내부에 복수의 가늘고 긴 원주형의 셀(138a)(충전지)로 이루어지는 충전 팩(13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충전 팩(138)은 단열재(150)로 전원부(111) 주위의 후방부 내부 공간(134)과 열적으로 차폐되어있으며, 하방에 삽입구(139)로부터 삽입되어 충전부 덮개(145)로 보유 지지된다(도6 참조). 또한, 상세한 것은 도7에서 설명하지만, 이 충전 팩(138)은 상기 셀(138a)의 길이 방향이 수직(전기 청소기 본체의 길이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이 되는 자세에서 각 셀(138a)이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직후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후방부 내부 공간(134)은 상기 배기 필터 수납부(137)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후방부 내부벽(131)에 개구부(151)를 구비하여 연통하고, 상기 배기 필터(116)를 통과한 공기가 이 후방부 내부 공간(134)으로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111)의 상부 후방에는 상기 충전대(700)의 접점과 접속하는 충전 단자부(152)나, 전원 코드와의 전원 코드 접속부(12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집진실(109)과 송풍기(110)와 전원부(111)를 전후 방향으로 일렬 배치가 되도록 설치하고 있으므로, 높이나 전후의 길이를 억제한 콤팩트한 전기 청소기 본체(100)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원부(111)를 각 셀(138a)이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1열 배치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송풍기(110)의 후방 공간을 유효하게 사용하고, 또한 전후의 길이가 짧은 콤팩트한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집진실(109)과 송풍기(110)와 전원부(111)와 충전 단자부(152)를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시키고 있으므로, 설치 면적이 작은 종수납 자세에서의 충전이 가능하다. 이 종수납 자세에서는 상기 충전 팩(138)이 수평 배치가 되므로, 가령 전기 청소기 본체(100)가 낙하한 경우라도 충전 팩(138)의 하중을 비교적 큰 면적으로 받게 되므로, 응력집중을 피하여 본체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대형 바퀴(104)를 상기 전원부(111)와 송풍기(110)의 양측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중량이 무거운 장치를 견고한 대형 바퀴(104)로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대형 바퀴(104)의 차축(117)을 상기 전원부(111)와 송풍기(110)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자재 바퀴(105)에 관계되는 부하를 경감하여 주행성을 향상시키면서, 이 대형 바퀴(104)를 거쳐서의 종수납 자세로의 변화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직경이 180mm인 대형 바퀴(10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송풍기(110)의 후방에서 또한 상기 후방부 내부벽(131)의 근방에 상기 차축(117)을 설치하고 있지만, 가장 중량이 무거운 상기 구동 모터부(147)의 중심과 상기 전원부(111)의 중심 위치 사이에 이 차축(117)을 설치함으로써,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6, 도7을 참조하여 이 전기 청소기 본체(10)의 배면 구조와 이 배면에 있어서의 배기 구조와 냉각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6에 있어서 상기 후방 케이스(126)에는 본체 배면의 한쪽 상부에 수평면을 구비한 오목부(153)가 형성되고, 이 수평면에 전원 코드를 접속하는 상기 전원 코드 접속부(123)가 끼워 넣음구를 상부로 하여 부착된다. 이로써, L자형의 끼워 넣음구를 구비한 전원 코드를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전원 코드를 사용한 인장 주행에서도, 전원 코드에 인장 부하가 발생해도 간단하게 제거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원 코드 접속부(123)는 안전을 위해 전원 코드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는 이 전원 코드 접속부(123)가 상기 전원부(111)의 충전 단자부가 되지 않도록 도시하지 않은 절환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절환 스위치는 전원 코드의 삽입구가 이 전원 코드 접속부(123)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상기 전원부(111)와 상기 송풍기(110)를 접속하고, 이 전원 코드 접속부(123)에 전원 코드의 삽입구가 장착된 경우는 이 전원 코드 접속부(123)와 상기 송풍기(110)를 접속한다.
상기 전원 코드 접속부(123)의 옆에는 상기 전원부의 통풍로를 구성하는 슬릿형의 흡기구(154)와 배기구(155)가 마련되고, 이 흡기구(154)로부터 빨아 들여진 공기가 전원부(111) 내의 열을 빼앗아 상기 배기구(155)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상기 후방 케이스(126)의 양측에는 돌출하여 형성되는 다리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다리부(103)와 상기 대형 바퀴(104)에 의해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종수납 자세를 보유 지지한다. 그리고, 이 한 쌍의 다리부(103) 사이에 오목형의 상기 충전 단자부(152)가 설치되므로, 충전시 이외의 종수납 자세에서의 상기 충전 단자부(152)가 마루면 등에 닿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단자부(152)는, 그 오목형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리셋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 내부에 전원부(11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회로(143)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 컴퓨터가 어떠한 이유에 의해 폭주한 경우,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내부의 상기 전원부(111)의 공급을 받아 그 폭주가 멈추지 않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종래 예의 경우는, 전원 코드를 뽑는 것으로 구동 모터(110)를 정지시킬 수 있으나, 충전식인 경우는 상기 충전 팩(138)을 취출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또한, 이 충전 팩(138)을 뽑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충전함으로써,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가 리셋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충전 타단자부(152)와 상기 리셋 스위치를 일체화하고 있지만 분리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후방 케이스(126)의 하부에는 슬릿형의 상기 제3 배기부(115)가 형성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팩(138)은 본체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나사 등을 거쳐서 부착되는 충전부 덮개(145)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나사를 코인 등으로 회전 가능한 로크 기구로 함으로써 전지 교환의 사용 편의성이 좋다.
도7에 있어서, (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필터 수납부(136)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후방부 내부벽(131)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151)를 거쳐서 이 후방부 내부 공간(134)으로 들어가 상기 전원부(111)의 주위를 통과하여 상기 제3 배기부(115)로부터 배기되는 제3 배기 통로(156)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전원부(111)의 냉각을 도모하기 위해, 이 충전부(111)에 설치되는 송풍 유닛(157)을 거쳐서 상기 후방 케이스(126)의 상기 흡기구(154)를 통해 전원부(111)의 상부에 형성되는 흡기구(158)로부터 내부에 취입되고, 전원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기구(159)와 상기 후방 케이스(126)의 상기 배기구(155)로부터 외부로 배기되는 전원부 냉각 통로(16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3 배기 통로(156)와 전원부 냉각 통로(160)를 분리하는 이유는 상기 배기 필터(116)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구동 모터부(147)를 냉각한 공기이므로 고온의 온풍이 되고 있어, 이 온풍에 의해 사용시에 고온이 되는 이 전원부(111)를 냉각하는 것이 곤란한 것에 기인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2개의 통풍로(146, 160)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111)를 상기 제3 배기 통로(146)를 구성하는 주위의 후방부 내부 공간(134)으로부터 밀폐하여 형성하고, 독자적인 냉각 통로[전원부 냉각 통로(160)]를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3 배기 통로(156)로부터의 열적 영향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111)를 상기 단열재(150)로 덮도록 하고 있다. 이 단열재(150)는 전원부(111)의 내부에 설치하고 있으나, 물론 이 전원부(111)의 주위를 둘러 싸도록 해도 좋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분산 배기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하고 있으나, 상기 후방부 내부 공간(134)으로 배기를 취입하지 않는 구조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후방부 내부 공간(134)을 전원부(111)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원부(111)에 설치되는 셀(138a)의 수가 소량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송풍 유닛(157)을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상기 후방부 내부 공간(134)의 하방에 배기구를 마련하고, 여기에서 자연히 대류로 취입된 공기가 상기 충전 팩(138)을 냉각하여 상기 후방부 내부 공간(134)의 상부에 형성하는 배기구로부터 배기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충전 팩(138)은 전후 방향에 얇은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b)도는 전원부(111)를 후방으로부터 투시1개략 사시도이다. 상기 충전 팩(138)은 세로로 긴 원주 형상의 외형을 구비한 셀(138a)을 길이 방향을 상하로 하여 상하에 3단, 좌우에 7열 배열하고, 1개의 셀(138a)의 공간을 배선 공간으로 한 20개의 셀(138a)를 편평하게 배열한 것이다. 또한, 각열은 직렬 접속에 편리한 바와 같이 플러스ㆍ마이너스가 역전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셀(138a)을 길이 방향의 길이(높이)(Sh)가 43mm, 직경(Sd)이 23mm인 단삼전지보다 약간 작은 SUB-C 규격의 충전지를 채용하고 있다다. 그리고, 이들 복수의 셀(138a)은 수지 시트에 둘러 싸여져 상기 배열을 유지하여 충전 팩(138)이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충전 팩(138)은 이 충전 팩(138)의 횡 폭(Jw)을 165mm 전후, 높이(Jh)가 133mm 전후, 깊이 25mm 전후의 크기를 구비하고 있다.
즉, 종래의 5m 전후의 전원 코드의 길이를 구비한 코드 릴은 직경(J2)을 165mm, 깊이(d2)를 58mm 정도의 크기인 것을 채용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상기 충전 팩(138)은 상기 전원부(111)의 크기를 고려해도 상기 종래의 코드 릴 장치의 크기와 대략 같은 정도의 크기를 구비하면 좋으므로,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크기를 크게 변경하는 일 없이, 무선 전기 청소기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제3 배기 통로(156)를 채용하지 않으면 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크기를 작게 할 수도 있고, 혹은 깊이 방향으로 셀(138a)을 1열 늘어 세워 전후 2열로 함으로써, 셀(138a)의 수를 늘려 이 충전 팩(138)의 용량을 크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최대 직경(J1)이 120mm, 깊이(d1)가 105mm인 상기 송풍기(110)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이 충전 팩(138)의 투영 면적 내에 상기 송풍기(110)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전후 방향이 짧은 콤팩트한 전기 청소기를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5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팩(138)을 전후 방향으로 얇은 1열 배치의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상방에 상기 전원부(111)를 크게 돌출하는 일 없이 한 쌍의 대형 바퀴의 후방 하부 1/4[측면으로부터 보아 대형 바퀴(104)의 3시부터 6시의 범위]의 투영 면적 내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상기 충전 팩(138)을 수납한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대형 바퀴(104)를 중심으로 하여 청소 자세로부터 종수납 자세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지는 일반적으로 1.2V의 전압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실시 형태에서는 1.2V × 20개 = 24V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전원 공급량에 따르면, 상기 구동 모터부(147)의 모터 수명을 단축시키는 일 없이, 충분한 일량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표준 청소 시간인 25분 정도의 파워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의 셀(138a)이 20개로 24V의 전원을 확보하고 있으나, 이 셀(138a)을 18개 내지 셀 21개, 즉 18V 내지 25.2V를 얻을 수 있는 충전 팩(138)으로 하는 것이라도,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인 레벨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충전 팩(138)은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의 중앙에 칸막이 판(161)이 형성되는 편평한 상기 전원부(111)에 삽입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충전 팩(138)을 좌우로 2 분할하여 상기 칸막이 판(161)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어 있지만, 하나의 충전 팩(138)을 사용하는 경우는 좌우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지 않도록 이 충전 팩(138)에 밀착된 리브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칸막이 판(1611)은 하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좌우 한쪽으로부터 들어간 공기가 하방으로 유도되어 상기 칸막이 판(161)이 없는 부분을 거쳐서 다른쪽으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른 한쪽에 회전축이 상기 셀(138a)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프로펠러 팬을 갖는 상기 송풍 유닛(157)을 갖는 상기 배기구(159)를 배치하고, 한쪽에 상기 흡기구(160)를 배치한다. 이 구조에 의해, 상기 송풍 유닛(157)을 거쳐서 상기 흡기구(158)로부터 공기를 취입하여 상기 배기구(159)로부터 이 충전 팩(138)을 냉각시킨 공기를 배기할 수 있다. 이 때, 공기가 흐르는 방향은 원주 형상의 셀(138a)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흐르므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5, 도8, 도9, 도10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특징 중 하나인 분산 배기 구조를 더 설명한다. 도7의 설명에 있어서, 분산 배기의 하나를 구성하는 제3 배기 통로(156)를 설명하였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제3 배기 통로(156) 외에 2개의 통로, 합계 3개의 배기 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배기 통로는 모두 상기 배기 필터(116)를 통과하고 나서 분기하는 것이며, 분산 배기되는 공기는 먼지나 냄새가 매우 적은 깨끗한 배기이다. 그리고, 이 배기 필터(116)에 의해 공기 청정되어 정화된 공기는, 본체 주위로부터 느슨하게 상방으로 향하게 하는 청소면의 먼지의 떠오름을 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상방으로의 느슨한 상승 기류와 상기 흡구체(500)의 흡인력과의 상승 작용에 의해 실내의 공기 순환을 적극적으로 재촉함으로써, 매일 방 안에 부유하고 있는 공중의 먼지도 빠르게 흡인하여 청소 중에 실내의 공기도 깨끗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우선, 도5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10)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흡인 호스 부착부(101)를 거쳐서 상기 집진실(109)로 취입된 먼지는 일회용 집진 주머니(144)에 먼지를 남게 해 상기 전방부 내부벽(130)의 중앙에 설치1개구부(135)를 거쳐서 상기 팬부(146)로 들어간다. 도9에 있어서, 상기 팬부(146)로부터 압출된 공기는 구동 모터부(147)를 냉각하여 이 구동 모터부(147)의 주위로부터 배출된다. 이 배출된 공기는 구동 모터부(146)의 주위에 둘러싸도록 형성된 가이드(162)의 내측에 따라서 상방의 개구부(163)로 유도된다(도8 참조). 이 개구부(163)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상기 가이드(162)의 외측과, 이 가이드(162)의 외측 주위에 설치된 상기 소음재(148)로 형성되는 통로를 거쳐서 이번은 하방으로 유도되고, 상기 배기 필터 수납부(136)에 설치한 배기 필터(116)를 통과한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는 상기 집진실(109)과 송풍기(110)와 전원부(111)를 1열 배치로 함으로써, 상기 구동 모터부(147)의 주위에 2중의 배기 통로가 형성되므로 배기 통로가 길어져 소음을 낮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8에 있어서 상기 배기 필터(116)를 통과한 공기는 3개의 배기 통로, 제1, 제2, 제3 배기 통로(164, 165, 156)로 분기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제3 배기 통로(156)는 상기한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상기 제1 배기 통로(164)는 상기 대형 바퀴(104)에 설치한 제1 배기부(113)로부터 배기되는 배기 통로이다. 이 제1 배기 통로(164)는 상기 후방부 내부벽(131)의 양측 전후에 형성되는 2개의 배기 통로[전방부 통로(157)와 후방부 통로(158)]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부 통로(157)는 상기 후방부 내부벽(131)과 이 후방부 내부벽(131)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통로벽(159)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배기 필터(116)로부터상기 전방부 통로(157)에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를 거쳐서 연통하고, 이 전방부 통로(157)에 따라서 상승하여 상기 바퀴 베이스(128)에 설치한 상기 배기구(129)로부터 분출된다. 한편, 후방부 통로(158)는 상기 제3 배기 통로(156)에서 상기 후방부 내부 공간(134)으로 유도된 공기를 후방부 내부 공간(134)에 인접하는 상기 바퀴 베이스(128)에 설치한 상기 배기구(129)로부터 분출하는 것이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퀴 베이스(128)의 상기 배기구(129)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는 상기 대형 바퀴(104)에 설치한 복수의 작은 구멍군(113a)으로부터 이 대형 바퀴(104)의 외측으로 배기된다. 이 때, 이 대형 바퀴(104)는 회전하지만, 상기 작은 구멍군(113a)은 바퀴 전체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대형 바퀴(104)에 의해 배기가 방해되는 일이 없다. 한편, 이 대형 바퀴(104) 외측의 하부 약 2/3는 상기 바퀴 커버(122)에 의해 덮여져 있으므로, 상기 초승달형의 제3 배기부(113) 이외는 은폐되므로, 외관을 손상하는 일이 없으며, 또는 이 제3 배기부(113)가 의장적인 중점이 되고 있다.
도8로 복귀하여, 상기 제2 배기 통로(165)는 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 양측의 상기 범퍼부(106)에 형성되는 제2 배기부(114)로부터 배기되는 것이다. 이 제2 배기 통로(114)는 상기 하부 케이스(124)와 상기 집진 커버(12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이 공간과 상기 배기 필터 수납부(136)를 연통하는 개구부(166)와, 상기 범퍼부(106)의 부착부(167)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부(140)와, 이 개구부(140)를 덮도록 상기 부착부(167)에 부착되는 상기 범퍼부(106)에 형성되는 상기 제2 배기부(11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0)는 하나의 배기 필터(116)를 통과한 공기를 복수로 분기함으로써, 각 배기부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량을 적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배기가 닿는 불쾌감을 경감할 수 있다. 특히, 종래부터 본체의 후방에서 배기하는 것이나, 한 쌍의 대형 바퀴으로부터 배기되는 방식이 알려져 있지만, 이 실시 형태가 우수한 점은 본체의 양측 전체에 배기부(제1, 제2 배기부)를 설치한 점이다. 이로써, 배기부를 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배기 통로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음을 경감할 수도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의 배면에 제3 배기부(156)를 설치함으로써, 본체의 대략 전체 주위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배기부로 할 수 있으므로, 각 배기량을 적게 하여 소음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송풍기(110)의 전방부의 도면 부호 135에 도시하지 않은 2층의 중간부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집진 주머니(144)에서 샌 큰 먼지를 제거하고, 상기 배기 필터(116)에서 청정도가 높은 공기 청정을 행하여 상기 3개의 배기부의 근방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1층의 배기부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높은 청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배기부 필터는 대범한 배기의 청정과, 외부로부터의 먼지의 진입을 방지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배기부(113)와 제2 배기부(114)와 제3 배기부(115)의 내측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배기부(113)는 상기 대형 바퀴(104)의 내측이나 상기 배기구(129)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배기부(114)는 상기 범퍼부(106)의 내측이나 상기 개구부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3 배기부(115)는 배면벽의내측에 설치된다.
또, 각 배기부는 마루면으로 내뿜어 먼지를 떠오르게 하는 일도 없으며, 혹은 상방으로 날아오르게 사용자에게 내뿜는 일도 없는 주위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불쾌한 인상을 주는 것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의장적으로도 직립 자세의 사용자에게 눈에 띄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횡 자세로 눈에 띄기 쉬운 상기 대형 바퀴(104)의 상기 제1 배기부(113)와, 범퍼부(106)의 제2 배기부(114)를 중점적으로 형성하고, 또한 이 2개의 배기부를 연속하여 형성함으로써, 기능을 형태로 살리게 한 디자인으로서 활용하고 있다.
다음에, 도10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통로(164)를 형성하는 대형 바퀴(106)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 관한 대형 바퀴(104)는 상기 대형 바퀴(104) 주위의 상기 설치부(104a)의 두께(바퀴 횡 폭)와, 상기 베어링부(168)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는 동시에, 그 양 분분의 내측의 외부를 외측을 깊게 내측이 서서히 얕아지도록 오목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바퀴 폭이나 강도를 확보하면서 전체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부(168)를 상기 바퀴 베이스(128)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차축(117)에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상기 차축(117)은 내부가 관통하고 있으며, 이 관통부(169)에 상기 바퀴 커버(122)의 부착부(170)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부착부(170)는 선단부에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상승부(172)가 형성되는 동시에, 복수로 절결부(17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상기 절결부(171)에 의해 상기 선단부가 수지 탄성에 의해 왜곡되므로, 상기 상승부(172)가 있어도 상기관통부(169)를 관통하게 할 수 있고, 관통한 다음은 선단부가 복원되므로, 이 바퀴 커버(122)를 상기 차축(117)에 고정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 고정에 의해 상기 대형 바퀴(104)가 소정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상기 바퀴 커버(122)는 그 외형이 베어링부(168)를 정상점으로 하여 대략 구면형으로 형성되고, 제1 배기부(113)를 제외한 그 외주가 상기 오목부(173)에 인입하고 있으므로 상기 외주 부분 근방까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작은 구멍군(113a)을 구비한 상기 오목부(173)와, 상기 바퀴 커버(122)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바람 끊기는 소리의 경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기로부터의 배기를 배기 필터로 깨끗하게 하여 청소기 본체의 복수 부위로부터 분산 배기하므로, 배기를 깨끗하게 하여 염려되지 않게 할 수 있다.

Claims (10)

  1. 먼지를 집진실로 빨아 들이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본체와, 일단부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의 타단부와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과, 상기 손잡이 핸들에 부착되어 상기 흡입 호스에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부착되어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흡구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배기를 취입하고, 이 배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배기 필터를 갖는 배기 필터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필터 수납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복수의 배기 통로로 분기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의 복수 부위에 형성되는 배기구로부터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2. 먼지를 집진실로 빨아 들이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본체와, 일단부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의 타단부와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과, 상기 손잡이 핸들에 부착되어 상기 흡인 호스에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부착되어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흡구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배기를 취입하여, 이 배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배기 필터를 갖는 배기 필터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기 본체의 복수 부위에 형성되는 배기구와 상기 배기 필터 수납부와 연통하는 복수의 배기 통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먼지를 집진실로 빨아 들이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본체와, 일단부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의 타단부와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과, 상기 손잡이 핸들에 부착되어 상기 흡인 호스에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부착되어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흡구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흡입 호스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집진실과, 상기 집진실의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후방에 배치되는 코드 릴부와, 상기 송풍기의 하방에 배치되는 배기 필터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필터 수납부는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배기를 취입하여, 이 배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배기 필터를 갖고,
    상기 배기 필터 수납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복수의 배기 통로로 분기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의 복수 부위에 형성되는 배기구로부터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4. 먼지를 집진실로 빨아 들이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본체와, 일단부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의 타단부와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손잡이핸들과, 상기 손잡이 핸들에 부착되어 상기 흡인 호스에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부착되어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흡구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흡인 호스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집진실과, 상기 집진실의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후방에 배치되어 복수의 충전지를 갖는 전원부와, 상기 송풍기의 하방에 배치되는 배기 필터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필터 수납부는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배기를 취입하여 이 배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배기 필터를 갖고,
    상기 배기 필터 수납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복수의 배기 통로로 분기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의 복수 부위에 형성되는 배기구로부터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5. 먼지를 집진실로 빨아 들이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본체와, 일단부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의 타단부와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과, 상기 손잡이 핸들에 부착되어 상기 흡인 호스에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부착되어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흡구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흡인 호스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집진실과, 상기 집진실의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하방에 배치되는 배기 필터 수납부와, 상기 송풍기의 후방에 교환 가능하게 부착되는 전원 장치와 코드 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장치는 그 내부에 복수의 충전지를 구비하여 충전 가능하며,
    상기 배기 필터 수납부는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배기를 취입하여, 이 배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배기 필터를 갖고,
    상기 배기 필터 수납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복수의 배기 통로로 분기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의 복수 부위에 형성되는 배기구로부터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송풍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대형 바퀴와, 상기 집진실의 하방에 배치되는 1개의 자재 바퀴를 갖고,
    상기 대형 바퀴는 그 회전축의 주위에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통로 중 하나는 상기 대형 바퀴를 지지하는 하우징면으로부터 상기 대형 바퀴의 개구부를 거쳐서 배출되는 배기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송풍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대형 바퀴와, 상기 집진실의 하방에 배치되는 1개의 자재 바퀴를 갖고, 상기 집진실의 양측에 설치되는 범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통로 중 하나는 상기 범퍼부에 설치되는 배기구로부터 배기하는 배기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송풍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대형 바퀴와, 상기 집진실의 하방에 배치되는 1개의 자재 바퀴를 갖고,
    상기 배기 통로 중 하나는 상기 전원 장치가 장착된 때에 봉쇄되고, 코드 릴 장치가 장착된 때에 연통하여 이 코드 릴 장치에 설치한 배출구로부터 배기되는 배기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송풍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대형 바퀴와, 상기 집진실의 하방에 배치되는 1개의 자재 바퀴와, 상기 집진실의 양측에 설치되는 범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형 바퀴는 그 회전축의 주위에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대형 바퀴를 지지하는 하우징면으로부터 상기 대형 바퀴의 개구부를 거쳐서 배출되는 제1 배기 통로와, 상기 범퍼부에 설치되는 배기구로부터 배기하는 제2 배기 통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송풍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대형 바퀴와, 상기 집진실의 하방에 배치되는 1개의 자재 바퀴와, 상기 집진실의 양측에 설치되는 범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형 바퀴는 그 회전축의 주위에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대형 바퀴를 지지하는 하우징면으로부터 상기 대형 바퀴의 개구부를 거쳐서 배출되는 제1 배기 통로와, 상기 범퍼부에 설치되는 배기구로부터 배기하는 제2 배기 통로와, 상기 전원 장치가 장착된 때에 봉쇄되고, 코드 릴 장치가 장착된 때에 연통하여 이 코드 릴 장치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배기되는 제3 배기 통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010013964A 2000-05-17 2001-03-19 전기 청소기 KR200101061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9810 2000-05-17
JP2000149810A JP3861564B2 (ja) 2000-05-17 2000-05-17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161A true KR20010106161A (ko) 2001-11-29

Family

ID=1865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964A KR20010106161A (ko) 2000-05-17 2001-03-19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61564B2 (ko)
KR (1) KR20010106161A (ko)
CN (1) CN1323564A (ko)
TW (1) TW4801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5145B2 (ja) * 2007-06-27 2012-07-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DE102010043577A1 (de) 2010-11-08 2012-05-10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auggerät
CN104540431B (zh) 2012-09-18 2016-08-24 阿尔弗雷德·凯驰两合公司 带有电池盖的吸尘器
TWI634865B (zh) * 2013-08-21 2018-09-11 松下電器產業股份有限公司 Electric vacuum cleaner
JP6216218B2 (ja) * 2013-11-07 2017-10-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16067459A (ja) * 2014-09-29 2016-05-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1768316B1 (ko) 2015-07-29 2017-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및 배터리 어셈블리
KR20170019890A (ko) 2015-08-13 2017-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WO2017077577A1 (ja) * 2015-11-02 2017-05-1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A2971214A1 (en) * 2016-01-20 2017-07-27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Charging stand for vacuum cleaner
CN108697292B (zh) * 2016-02-29 2020-12-25 Lg电子株式会社 真空吸尘器
WO2017196000A1 (ko)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KR102603584B1 (ko) 2016-05-09 202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WO2017195999A1 (ko)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TWM536158U (zh) 2016-11-03 2017-02-01 Cheng-Chi Lu 一種高硬度軟膜結構
JP6933923B2 (ja) * 2017-06-22 2021-09-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6710186B2 (ja) * 2017-08-08 2020-06-17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充電台
US11013387B2 (en) 2018-05-31 2021-05-25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CN108742294A (zh) * 2018-07-05 2018-11-06 安徽省弘诚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简易的便携式吸尘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587U (ko) * 1987-12-18 198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공기 배기 장치
JPH0716176A (ja) * 1993-06-30 1995-01-20 Hitachi Ltd 電気掃除機
KR950005618U (ko) * 1993-08-26 1995-03-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소음장치
KR960030400U (ko) * 1995-03-28 1996-10-22 진공청소기 흡음방의 분산배기구조
KR19980024554A (ko) * 1996-09-11 1998-07-06 모리시타 요이찌 전기청소기용 대차 및 전기청소기
KR100262757B1 (ko) * 1998-05-30 2000-08-01 배길성 진공청소기의본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587U (ko) * 1987-12-18 198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공기 배기 장치
JPH0716176A (ja) * 1993-06-30 1995-01-20 Hitachi Ltd 電気掃除機
KR950005618U (ko) * 1993-08-26 1995-03-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소음장치
KR960030400U (ko) * 1995-03-28 1996-10-22 진공청소기 흡음방의 분산배기구조
KR19980024554A (ko) * 1996-09-11 1998-07-06 모리시타 요이찌 전기청소기용 대차 및 전기청소기
KR100262757B1 (ko) * 1998-05-30 2000-08-01 배길성 진공청소기의본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321298A (ja) 2001-11-20
JP3861564B2 (ja) 2006-12-20
CN1323564A (zh) 2001-11-28
TW480164B (en) 200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6161A (ko) 전기 청소기
AU2018100945C4 (en) Cleaning apparatus
US10638901B2 (en) Nozzle for cleaner
JP2001321310A (ja) 電気掃除機
JP3283503B1 (ja) 電気掃除機
JP2002355198A (ja) 電気掃除機
JP2001321306A (ja) 電気掃除機
JP2002355199A (ja) 電気掃除機
JP2001321308A (ja) 充電台付電気掃除機及びその充電台
JP3973135B2 (ja) 電気掃除機
JP2003111695A (ja) 電気掃除機
JP2003310491A (ja) 電気掃除機
JP2003260012A (ja) 電気掃除機
JP3726734B2 (ja) 電気掃除機
JP4306938B2 (ja) 電気掃除機
JP2003125992A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02355197A (ja) 電気掃除機
JP2009045507A (ja) 電気掃除機
JP5357980B2 (ja) 縦型電気掃除機
JP3205233B2 (ja) 電気掃除機
JP2003265382A (ja) 電気掃除機
JP2020039512A (ja) 電気掃除機
JP2005185342A (ja) 電気掃除機
JP2003265381A (ja) 電気掃除機
JP2019136576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