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785A - 차량용 시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785A
KR20010101785A KR1020017009909A KR20017009909A KR20010101785A KR 20010101785 A KR20010101785 A KR 20010101785A KR 1020017009909 A KR1020017009909 A KR 1020017009909A KR 20017009909 A KR20017009909 A KR 20017009909A KR 20010101785 A KR20010101785 A KR 20010101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hell
front shell
backrest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프강 로르츠
Original Assignee
볼프강 로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로르츠 filed Critical 볼프강 로르츠
Publication of KR2001010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7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6Panel lik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94Upholstery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석 부분(2) 및/또는 등받이 부분(3)을 구비한 특히 차량용 시트(1)에 관한 것이다.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구성된 시트(1)를 제공하기 위해, 좌석 부분(2) 및/또는 등받이 부분(3)은 후방 쉘(4)과 스프링 장치(6)를 구비한 전방 쉘(5)을 구비하며, 이 후방 쉘(4) 및 전방 쉘(5)이 본체(4)를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고, 발포재 특히 PUR 발포체가 본체(7)의 외면(8)의 적어도 일부분에 도포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서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구조체{VEHICLE SEAT STRUCTURE}
자동차 산업에서, 차량에 사용되는 시트에 대해 다양한 요구 사항이 강조되었다. 시트는 분명히 대량 생산 품목이기 때문에, 생산 단가는 낮아야만 한다. 게다가, 시트의 개별 부품의 수는 조립 비용 및 조립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가능한 적어야만 한다. 다른 중요한 요구 사항은 시트의 무게가 가능한 많이 감소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술한 요구 사항은 공지된 시트에서는 단지 부분적으로만 충족하였다. 실제로 공지된 좌석 부분 및 등받이 부분 모두는 비교적 고가의 스프링 시스템이 갈고리로 연결되어 있는 개방형 프레임워크(framework)로 구성된다. 이 프레임워크 자체는 일반적으로 U 형 단면 윤곽을 갖고 있으며, 서로 용접된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금속판은 CO2또는 불활성가스 용접으로 용접된다. 이런 형식의 용접을 고려하면, 금속판에 녹슬 위험이 있어서 프레임워크는 용접 후에 광택 가공이 행해져야 한다. 이 광택가공은 추가적인 생산 단계뿐만 아니라 다소 관련된 추가 생산 비용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며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서론에 따른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좌석 부분 및/또는 등받이 부분을 구비한 특히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등받이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로부터 편심 장치 없이 조립된 등받이 부분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등받이 부분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등받이 부분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부분의 부분도.
도 7은 도 6에서 단면 VII-VII 에 대응하는 단면도.
전술한 구체적인 목적은 좌석 부분 및/또는 등받이 부분이 후방 쉘과 스프링 장치를 갖는 전방 쉘을 구비하며, 이 전방 쉘과 후방 쉘은 본체를 형성하도록 서로가 확실히 결합되고, 본체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발포재, 특히 PUR 발포체가 충전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의해 분명히 해결된다. 본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확실히 적은 수의 부품, 즉 가장 단순한 실시 형태로서, 후방 쉘과 스프링 장치를 구비한 전방 쉘로 구성된 좌석 부분 및 등받이 부분을 위한 단순한 구성품을 제공하며, 단지 이들 두 구성품만이 본체를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될 필요가 있다. 본체를 형성하는 두 쉘을 결합한 후에는, 상기 두 쉘의 외면의 관련 지점에 발포체를 도포하는 것만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의 결과로 개별 부품의 수는 현저히 감소된다. 동일한 것이 조립 비용과 조립 시간에도 적용되며, 이는 궁극적으로 상당한 비용감소를 가져온다. 개별 부품의 수가 더 작게됨으로서, 복수의 개별 부품에 의해 발생되는 세부지출의 증가 의해 초래되는 비용 또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후방 쉘 및 전방 쉘의 사용은 다른 많은 이점 또한 제공한다. 중요한 이점은 후방 쉘 및 전방 쉘이 이러한 식으로 설계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어서 본체의 연부가 단면에서 보여지는 폐쇄 공동 또는 요구되는 지점에서의 폐쇄 형상을 구비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주위를 둘러싸는 연부는 그 단면이 겉보기에는 관 형상으로, 본체의 작은 무게에 비해 확실히 큰 하중 흡수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특별한 용례를 위해 요구되는 하중 흡수는 쉘 재료의 두께, 단면에서의 공동 또는 폐쇄 형상의 형상과 크기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두 쉘 각각을 또는 각각의 위에 고정하거나 결합한 후에, 전술한 바와 같이 발포체 층을 도포하는 것을 단지 필요로 한다. 좌석 부분 또는 착석자에 면하는 등받이 부분의 중앙 부분의 발포체 층은 2㎝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 의 층 두께를 갖는다. 나머지의 영역, 특히 본체의 후방부와 측부는 감촉과 안전상의 이유로, 2 ㎝ 이하의 더 작은 두께, 특히 약 1㎝ 의 두께로 도포된다. 이러한 도포는 본질적으로 완성된 본체를 적당한 형틀 내에 삽입하고, 형틀을 폐쇄시켜서, 본체의 관련 지점에 발포체를 충전함으로써 만들어 질 수 있다.
사용되는 PUR 또는 일체의 성형 발포체가 비통기성 물질이기 때문에,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통기층 또는 매트(mat)가 좌석 부분 또는 선택적으로는 착석자에 면하는 등받이 쪽에 있는 발포체 층에 배치 및 도포되도록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의 기본 요소는 전방 쉘 및 후방 쉘이다. 서로 용접되어 개방 형상을 갖는 금속판이 사용되는 종래 기술과는 반대로, 전방 쉘 및 후방 쉘은 독립된 일체의 성형 부품이다. "성형 부품(shaped part)"은 예컨대 사출, 프레싱, 주조 또는 성형가공으로 제조된 일체형 구성품을 의미하며, 복수의 개별 구성품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체형 설계는 제조를 아주 단순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방 쉘 및/또는 후방 쉘은 스템핑 가공된 후 성형 가공되고, 아연 도금된 시트 메탈(sheet metal) 부품으로 구성된다. 이어서, 전방 쉘과 후방 쉘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점 용접, 절곡 또는 화학 처리될 수 있다. 이것은 매우 쉽고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 쉘과 후방 쉘의 이런 형식의 결합은 아연 도금된 시트 메탈 부품과 관련하여 본체의 추가적인 광택 공정은 불필요하게 한다.
상기 실시예의 별법으로서, 전방 쉘 및/또는 후방 쉘은 또한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바람직하게는 서로 접합될 수도 있다.
간단한 형식으로 쉘을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용 돌출부가 공동을 구비한 본체의 연부에 인접하여 전방 쉘 및/또는 후방 쉘에 마련되어 있다. 특히 점 용접용 전극봉이 특히 외측 연부의 접합점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전방 쉘 및/또는 후방 쉘에 적당한 개구부가 위치하며, 이를 통해 체결용 돌출부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개구부는 접합점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뿐만 아니라 본체의 무게 감소를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공동을 구비한 본체의 연부가 너무 약해지지 않도록 개구부의 형상과 수를 선택한다.
특히, 연부에 폐쇄된 공동을 구비한 본체는 비교적 강성의 구성품이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적당한 지지 다리를 구비한 머리 받침대를 부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런 목적으로, 본체의 상부는 머리 받침대의 어떠한 지지 다리도 적어도 삼중으로 지지 장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머리 받침대 각각의 지지 다리에서의 삼중의 지지에 의해, 본체에 대한 머리 받침대의 확실한 고정 장착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쉘을 사용한 결과로 본체는 본질적으로 매우 강한 구성품이기 때문에, 다른 중요한 이점이 본 발명의 결과에 의해 파생된다. 쉘 형상의 구조 때문에, 뒷좌석 승객을 위한 에어백을 수용하도록 후방 쉘에 함몰부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에어백은 튼튼한 후방 쉘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뒷좌석 승객을 위한 에어백을 마련하려는 시도는 최초로 본원에 의해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뒷좌석용 에어백의 배치가 본 발명을 따르는 형식의 2개의 쉘로 된 본체를 구비하는 등받이 부분에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 또한 이해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뒷좌석 승객용 에어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다른 종류의 등받이 부분에 함몰부를 마련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게다가, 함몰부와 관련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전술한 머리 받침대 지지 다리의 삼중 지지를 달성할 수 있다. 지지 다리를 삽입하는 개구부는 본체의 외면을 통과한 후 함몰부를 두 지점에서 통과한다. 이 경우, 함몰부는 뒷좌석용 에어백을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머리 받침대 지지 다리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다이나믹 시팅(dynamic seating)의 가능성에 대한 요구가 고급 자동차용 시트에 강조되었다. 공지된 실시 형태에서, 두 개의 서로 연결된 챔버가 좌석 부분 또는 등받이 부분에 위치하며, 이들 챔버 사이에서 착석자가 마시지를 받을 수 있도록 유체가 앞뒤로 펌핑된다. 이러한 형식의 다이나믹 시팅의 실시는 비교적 고가이다.
따라서, 특히 전술한 형식의 시트에 관련해서, 좌석 부분 및/또는 등받이 부분에 마련되는 스프링 장치에 작용하는 편심 장치가 본 발명에 따라서 제공된다. 이 형식의 편심 장치는 전술한 형식의 본체를 구비하는 시트와 관련하여 간단히 실시될 수 있는 단순한 기계적 조립체이다.
특히 간단한 구조의 실시 형태에서, 편심 장치는 본질적으로 좌석 부분 또는 등받이 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바람직하게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모터 구동축을 구비한다. 스프링 장치와 간단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편심축의 편심 부분은 스프링 장치의 평면부에 작용한다. 기본적으로, 편심축의 편심 부분이 스프링과 연결되는 것 또한 당연히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본적이지만, 더 고가 및/또는 더 노동 집약적이 된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스프링 장치에서의 편심 부분의 가동을 가능한 간단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 장치의 평면부에서 가동하는 롤러가 편심축의 편심 부분에 마련된다.
이러한 관점에 있어서, 만약 전방 쉘이 스프링 장치와 일체로 설계된다면 특별한 이점이 된다. 특히, 성형 부품으로서 전방 쉘을 고려할 때 전방 쉘과 스프링 장치를 일체로 설계하는 것은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전방 쉘에 대한 스프링 장치의 어떤 추가적인 조립은 요구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스프링 장치가 복수의 파형 판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며, 전술된 편심축과의 관계에 있어서 편심축의 편심 부분이 스프링 장치의 평면부 위에 항상 작용해야 하는 것을 쉽게 이룰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스프링 부재가 파형일 필요는 없다. 스프링 부재는 기본적으로 어떠한 다른 형상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인접하는 스프링 부재는 연결 피스(piece)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심축은 본체의 전방 쉘 및/또는 후방 쉘에 간단한 형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런 용도로서, 특히 플라스틱으로 된 베어링이 지지되는 돌출, 특히 천공 귀 형상부는 편심축을 지지 구속하도록 후방 쉘 또는 전방 쉘에 마련된다.
편심축 및 본체 내에 마련된 선택적인 기타 다른 수단 또는 구성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공동과 주변 연부를 제외한 본체의 내부 영역에는 발포체로 채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경우에도 편심 장치의 기능을 확실히 하기 위해, 편심 장치와 선택적으로는 베어링을 구비한 돌출 귀 형상부는 발포체 유입에 대한 방치책으로서 호스 형상의 피복/케이싱으로 포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긍정적인 양태 또한 제공한다. 안전 벨트 와인더가 B 필러(pillar)에 고정되는 3점식 안전 벨트 시스템은 차량용으로 알려졌다. 이것은 사고 시에 B 필러의 비틀림과 굽힘을 야기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다른 지점에 안전 벨트 와인더를 위치시키려는 부분적인 전환이 있었다. 시트에 대한 안전 벨트 와인더의 부착은 공지기술이다. 사고 시에, 상당한 하중이 안전 벨트 시스템에 작용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하중의 결과로서 시트의 어떤 심각한 좌굴(buckling)도 피할 수 있는 매우 안정적인 구조를 이러한 시트는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트는, 예컨대 메르세데스(Mercedes) 및 BMW의 스포츠 카에서 공지되었다. 안전 벨트 와인더를 구비한 이런 시트의 단점은 시트가 상당한 무게(약 65 ㎏)를 갖는다는 점으로, 이 무게는 이에 상응하는 불리한 효과를 차량 중량에 대해 갖는다. 게다가, 이들 시트는 고도의 노동 집약형으로서 매우 고가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받이 부분에 마련되는 안전 벨트 와인더는 차량의 프레임워크에 부착된 인장 수단, 특히 인장 케이블과 연결되어 있어서, 하중 작용 시에, 안전 벨트에 작용하는 하중이 안전 벨트 와인더에 의해 단지 편향되어서 본질적으로는 프레임워크 내에 흡수되게 하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종래 기술에 반하여, 제3 고정점은 안전 벨트 와인더가 아닌 차량의 프레임워크이다. 안전 벨트 와인더는 본질적으로 힘을 편향시키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충돌 시에, 발생되는 하중의 소량만이 시트에 흡수되고 나머지는 바닥으로 바로 흡수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의 시트는 확실히 거의 찌그러지지 않는다. 이는 아주 가볍고 이로 인해 매우 경제적인 시트로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기 구조는 전술한 본체와 관련해서 마련되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 수단이 차량의 내부로 돌출하지 않으며 뒷좌석의 승객의 승하차를 방해하지 않도록 인장 수단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공동이 본체의 보강용으로 마련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본체가 마련되지 않은 시트에 본 발명을 따른 방식의 안전 벨트 와인더가 마련될 수 있다는 것은 근본적으로 당연하다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에 연결된 안전 벨트 와인더를 지지하기 위해, 본체에 위치하여 고정되는 장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견고한 부착을 위해, 이 장착부는 본체에 대한 지지용으로 측면 및 상부 지지 섹션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사용은 장착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조정 장치가 본체의 하부 측면 영역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본체의 견고한 구조는 장착 플레이트가 쉽게 부착되도록 한다. 조정 장치가 장착 플레이트에 의해 쉽게 조립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부착 영역은 발포체로 도포되지 않아야 한다.
전술한 안전 벨트 시스템과 관련해서, 본체는 부착 영역에서 적어도 돌출하는 섹션을 구비하며 장착 플레이트가 이 섹션에 인접한 측연부를 구비한다는 것은 이점이 있다. 이 경우에, 장착 플레이트는 본체에 단순히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충돌 시에 발생되는 하중이 돌출 섹션과 장착 플레이트의 연부를 통해 본체로 직접적으로 흡수되며, 상기 돌출 섹션은 단지 뒤집힌 브래킷(bracket) 또는 함몰부의 연부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착 플레이트가 본체에서 분리될 위험은 현저히 감소되고, 한편 본체로 흡수 및 입력되는 힘은 증가한다.
다른 특성은 첨부된 도면에 관해 후술되는 예시적 실시 형태로부터 얻어진다.
도 1은 차량, 즉 승용차, 화물차 버스 등에서 현재 사용될 수 있는 시트(1)를 도시한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상기 시트(1)는 항공기, 선박, 기차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상기 시트(1)는 좌석 부분(2)과 등받이 부분(3)을 나타낸다.
상세하게 후술되는 본 발명은 단지 등받이 부분(3)에 대해서만 또는 단지 좌석 부분(2)에 대해서만 실시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두 부분(2, 3) 모두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등받이 부분(3)을 단지 참조로 하여 설명된다. 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좌석 부분(2)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좌석 부분(2)의 기본 구조는 후술되는 등받이 부분(3)의 구조와 다르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 부분(3)에 대해 후술되는 설명은 또한 좌석 부분(2)에 적용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등받이 부분(3)이 후방 쉘(4) 및 스프링 장치를 갖는 전방 쉘(5)을 구비하며, 후방 쉘(4) 및 전방 쉘(5)이 본체(7)를 형성하도록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는 것이다. 본체(7)의 외면(8)에는, 발포재(9), 특히 단지 도 4에만 도시된 바와 같은 PUR 발포체가 적어도 일부분에 도포된다. 또한, 도 3 및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 쉘(4)과 전방 쉘(5)은 공동(10)이 측연부, 즉 측부(10a) 및 상연부(10b)에서 각각 형성되도록 설계되어 외측 연부에서 서로 결합된다. 도 4는 단면에서 측부(10a) 내의 각각의 공동(10)이 주변 폐쇄 형상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공동과 같은 본체(7)의 연부의 구조는 상기 공동(10)이 이것의 길이에 걸쳐 전체 면에서 폐쇄되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공동(10)은 이하에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완전히 접근 가능하다. 그러나, 단면상에서 보여지는 공동(10)의 윤곽은 기본적으로 하중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모서리가 없도록 폐쇄되어 있다.
또한,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포체 층(9)의 두께는 본체(7)의 외면(8)에서 다양하게 변한다. 착석자에 면하는 등받이 부분(3)의 중앙 부분에서, 발포체 층(9)은 더 두껍고, 바람직하게는 약 3㎜ 의 두께이다. 나머지의 영역, 즉 등받이 부분(3)의 측부와 후방부에서, 발포체 층(9)의 두께는 약 1㎝ 이다. 게다가, 등받이 부분(3)의 착석자에 면하는 면에는, 통기성 매트(11)가 발포체 층(9) 위에 마련된다.
도 2로부터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 쉘(4) 및 전방 쉘(5)은 일체의 성형 부품이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후방 쉘(4) 및 전방 쉘(5)은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 작업되고 아연 도금된 시트 메탈 부품으로 구성된다. 도 4로부터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 쉘(4) 및 전방 쉘(5)은 이들의 단부 또는 외측 연부에서 각각 점 용접된다. 더욱이, 일련의 체결용 돌출부(12)가 후방 쉘(4) 및 전방 쉘(5)에 마련되고, 이곳에서 후방 쉘(4) 및 전방 쉘(5)은 서로 점 용접된다. 한편으로는 후방 쉘(4) 및 전방 쉘(5)의 단부 또는 외측 연부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체결용 돌출부(12)에서 점 용접을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공동(10)이 본체(7)를 보강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공동(10)에 대한 접근성을 확실히 하려고, 특히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13)가 전방 쉘(5)에 마련되며, 이것을 통해 용접 전극봉이 공동(10)의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도 1 및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1)에는 머리 받침대(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머리 받침대(14)는 등받이 부분(3)의 상부에 있는 두 개의 삽입 개구부(16, 17)에 삽입되는 두 개의 지지 다리(15)를 구비한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7)의 상부 윤곽은 머리 받침대(14)의 각각의 지지다리(15)를 안내하여 삼중 지지하도록 되어있다. 결과적으로, 본체(7)의 상부 윤곽은 대략적으로 S 형상의 윤곽을 하고 있어서 지지다리(15)는 3곳에서 본체(7)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또한, 도 5는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함몰부(18)가 후방 쉘(4)의 상부에 마련된 것을 도시한다. 이 함몰부(18)에 에어백(19)이 존재한다. 또한, 함몰부(18)는 본체(7)의 외면과 함몰부(18)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삽입 개구부(16, 17)를 위한 전술한 S형 윤곽을 구현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에어백(19)은 지지다리(15)에 연결되어서 충돌 시에 머리 받침대(14)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등받이 부분(3)은 스프링 장치(6)에 작용하는 편심 장치(20)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특히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장치(20)에는 본질적으로 등받이 부분(3)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두 개의 편심축(21, 22)이 마련되어 있다. 구동 장치의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두 개의 편심축(21, 22)은 모터 구동형이다. 이를 위해, 편심축(21, 22)의 단부에는 모터가 장착되는 정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장치(6)는 편심축(21, 22)의 편심 부분(23)이 작용하는 평면부를 구비한다. 스프링 장치(6)의 평면부에서 편심 부분(23)이 양호하게 가동하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 장치(6)의 평면부에서 가동하는 편심 부분(23)에 롤러(24)가 위치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는 스프링 장치(6)와 일체로 구성된 전방 쉘(5)이 도시되어 있다. 성형 부품으로 전방 쉘(5)을 구성함으로써, 스프링 장치(6)를 구비한 일체적 구조는 쉽게 이루어진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스프링 장치(6)는 복수의 파형 판스프링 부재를 구비한다. 판스프링 부재(25)에 의해, 편심 부분(23) 또는 롤러(24)가 가동할 수 있는 평면부가 마련된다.
스프링 부재(25)는 전방 쉘(5)의 한 쪽 측부로부터 다른 한쪽의 측부로 연장된다. 인접하는 스프링 부재(25)는 연결 피스(26)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또한, 연결 피스(26)는 본체(7)의 상하부의 연부에서 스프링 부재(25)로의 전환점에도 마련된다.
편심축(21, 22)은 돌출 귀 형상부(27)를 통해 지지되며, 이는 후방 쉘(4)로부터 스탬핑 가공되어 적당하게 외부를 향하여 굴곡되어 있다. 플라스틱 베어링(28)이 돌출 귀 형상부(27)에서 구속되고, 이 플라스틱 베어링(28)이 편심축(21, 22)을 지지한다.
단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공동(10)을 제외한 본체(7)의 내부 영역(29), 즉 후방 쉘(4)과 전방 쉘(5)의 사이에 전체 중앙 부분은 발포체로 채워진다. 이것에 의해, 중앙 부분(29)에 마련된 어떠한 구성품도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편심축(21, 22)의 기능을 확실히 하기 위해, 도 5에 편심축(22)에 대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편심축(21, 22)은 호스 형태의 피복/케이싱(30)에 의해 포위된다. 이 피복/캐이싱(30)은 어떠한 발포체의 유입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트(1)가 구비하는 3점식 안전 벨트 시스템의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며, 이 안전 벨트 시스템은 등받이 부분(3)에 마련된 안전 벨트와 안전 벨트 와인더(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현재, 안전 벨트 와인더가 차량의 프레임워크에 부착되는 인장 수단에 연결된다는 것 또한 중요하며, 이 수단은 하중 작용 시에 안전 벨트에 작용하는 하중이 안전 벨트 와인더를 통해 편향되며 적어도 본질적으로는 차량의 프레임워크로 흡수되도록 하는 인장 케이블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장 수단(31)은 본체(7)의 측부(10a)의 내부 또는 측면 공동(10)의 내부에 마련된다.
안전 벨트 와인더를 지지하기 위해, 장착부(32)가 본체(7)에 위치하게 되는데, 안전 벨트 와인더는 이 장착부(32)에서 지지된다. 장착부(32)는 측면 지지 섹션(33)과 상부 지지 섹션(34)을 구비한다. 이들 지점에서 장착부(32)는 본체(7)에 볼트 채결될 수 있다. 장착부(32) 자체는 본체(7)의 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체(中空體)이다. 또한, 본체(7)는 안전 벨트 와인더로부터 측면 공동(10) 영역에서 본체(7)와 장착부(32)를 통과하여 인장 수단을 안내하도록 장착부(32)로의 전환점에 개구부를 마련한다. 또한, 본체(7)의 하부에서, 본체(7) 밖으로 인장 수단(31)을 안내하는 개구부가 인장 수단(31)을 위해 마련되어서 인장 수단이 차량의 프레임워크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1)는 등받이 부분(3)에 대해 좌석 부분(2)을 회전시키는 조정 장치(35)를 구비한다. 이 조정 장치(35)는 각각의 측면에 수동 또는 모터 작동형 조정용으로 조정 수단(36)을 구비한다. 각각의 조정 수단(36)은 본체(7)의 하부 측면에 조정 수단(36)을 부착하는 장착 플레이트(37)를 구비한다. 이 영역에도 발포체를 충전하지 않는다. 게다가, 본체(7)는 돌출 또는 함몰 섹션(38)을 부착 영역에서 구비하며, 이 섹션의 연부에 장착 플레이트(37)의 측연부(39)가 인접한다. 또한, 장착 플레이트(37)는 본체(7), 현재는 후방 쉘(4)에 볼트 채결되며, 후방 쉘 위에 위치하는 전방 쉘(5)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착 플레이트(37)를 가려버린다.

Claims (22)

  1. 좌석 부분(2) 및/또는 등받이 부분(3)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1)에 있어서, 상기 좌석 부분(2) 및/또는 등받이 부분(3)이 후방 쉘(4) 및 스프링 장치(6)를 갖는 전방 쉘(5)을 구비하고, 이 후방 쉘(4) 및 전방 쉘(5)은 본체(7)를 형성하도록 견고하게 서로 결합되며, 본체(7)의 외면(8)에 적어도 일부분을 발포재, 특히 PUR 발포체로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쉘(4) 및 전방 쉘(5)은 상기 본체(7)가 단면상에서 적어도 일부분은 폐쇄 형상, 바람직하게는 주위를 둘러싸는 외부 프레임워크를 측연부와, 상부 및/또는 하부 연부에서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 있어서, 상기 좌석 부분(2) 및/또는 착석자에 면하는 등받이 부분(3)의 중앙 부분의 발포체 층(9)의 두께는 2㎝ 초과하며, 상기 좌석 부분(2) 및/또는 등받이 부분(3)의 나머지 부분, 특히 측부 및 후방부는 2㎝ 미만의 작은 두께의 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4.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부분(2) 및/또는 착석자에 면하는 등받이 부분(3)의 면에 하나 이상의 통기층 또는 매트(11)가 발포체 층(9) 위에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5.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쉘(4) 및/또는 전방 쉘(5)은 일체로 성형된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쉘(4) 및/또는 전방 쉘(5)은 스템핑 가공되어 성형 가공되고 특히 아연 도금된 시트 메탈 부품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쉘(4) 및/또는 전방 쉘(5)은 점용접, 절곡 또는 화학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쉘(4) 및/또는 전방 쉘(5)은 선택적으로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쉘(4) 및/또는 전방 쉘(5)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8.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용 돌출부(12)는 상기 후방 쉘(4) 및/또는 전방 쉘(5)의 연부에 마련되고, 바람직하게는 개구부(13)는 상기 후방 쉘(4) 및/또는 전방 쉘(5)의 연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9.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삽입 개구부(16, 17)는 하나 이상의 지지다리(15)를 구비한 머리 받침대(14)를 위해 상기 등받이 부분(3)의 상부에 마련되며, 이 등받이 부분(3)의 상연부는 상기 머리 받침대(14)의 각각의 지지다리(15)가 삼중 이상으로 지지 안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0. 특히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좌석 부분 및/또는 등받이 부분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함몰부(18)는 에어백을 위해 후방부 특히 등받이 부분(3)의 상연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개구부(16, 17)는 본체(7)의 외면 및 상기 함몰부(18)를 통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2. 특히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프링 장치를 갖는 좌석 부분(2) 및/또는 스프링 장치(6)를 갖는 등받이 부분(3)을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6)에 작용하는 편심 장치(20)는 상기 좌석 부분(2) 및/또는 등받이 부분(3)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장치(20)는 본질적으로 상기 좌석 부분(2) 및/또는 등받이 부분(3)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바람직하게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모터 구동형 편심축(21, 22)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장치(6)는 상기 편심축(21, 22)의 편심 부분(23)에 작용하는 평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4. 제13항에 있어서, 롤러(24)는 상기 편심축(21, 22)의 편심 부분(23)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5.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쉘(5)은 상기 스프링 장치(6)를 구비하는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 장치(6)는 복수의 파형 판스프링 부재(25)를 구비하며, 양호하게 인접해 있는 스프링 부재(25)가 연결 피스(26)를 통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6.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21, 22)은 상기 전방 쉘(4) 및/또는 후방 쉘(5)의 돌출 귀 형상부(27)에 바람직하게는 특히 플라스틱으로 된 베어링(28)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7.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부를 제외한 상기 본체(7)의 내부 영역은 발포체로 채워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심축(21, 22)과 선택적으로는 베어링(28)을 포함하는 상기 돌출 귀 형상부(27)는 피복/케이싱(30)에 의해 포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8. 특히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트(1)에 배치된 안전 벨트 시스템과, 좌석 부분(2)과, 등받이 부분(3)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1)로, 특히 상기 안전 벨트시스템이 등받이 부분에 마련된 안전 벨트와 안전 벨트 와인더를 구비한 3점식 안전 벨트 시스템으로 되어 있는 시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 벨트 와인더는 하중 작용 시에 안전 벨트에 작용되는 하중이 안전 벨트 와인더를 통해 편향되며 본질적으로는 인장 수단(31)을 통해 프레임워크로 흡수되도록 차량의 프레임워크에 부착된 인장 수단(31), 특히 인장 케이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수단(31)은 상기 등받이 부분(3)의 측부(10a)의 내부 특히 공동(1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벨트 와인더를 위한 장착부(32)는 본체(7)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이 장착부(31)는 측면 및 상부 지지 섹션(33, 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21.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 플레이트(37)를 구비한 조정 장치(35)는 본체(7)의 하부 측면에 부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본체(7)의 부착 영역은 발포체로 도포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7)는 상기 부착 영역에 돌출 또는 함몰 섹션(37)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37)의 측연부(39)는 이 섹션의 연부(38)에 대해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KR1020017009909A 1999-02-09 2000-01-26 차량용 시트 구조체 KR200101017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5215A DE19905215C2 (de) 1999-02-09 1999-02-09 Sitz
DE19905215.8 1999-02-09
PCT/EP2000/000578 WO2000047441A1 (de) 1999-02-09 2000-01-26 Fahrzeugsitzstrukt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785A true KR20010101785A (ko) 2001-11-14

Family

ID=789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909A KR20010101785A (ko) 1999-02-09 2000-01-26 차량용 시트 구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50859A1 (ko)
JP (1) JP2002536141A (ko)
KR (1) KR20010101785A (ko)
AU (1) AU2544700A (ko)
BR (1) BR0008097A (ko)
DE (1) DE19905215C2 (ko)
WO (1) WO2000047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1289A1 (de) * 2003-05-13 2004-12-0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Rückenlehne
DE102004044359B4 (de) * 2004-09-14 2012-07-05 Faurecia Autositze Gmbh Lehne für Kraftfahrzeugsitze
DE102004048351A1 (de) 2004-10-01 2006-04-06 Johnson Controls Gmbh Metallstruktur und Fahrzeugsitz
DE102004048350B4 (de) 2004-10-01 2018-04-05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Metallstruktur und Fahrzeugsitz
DE102004049115A1 (de) 2004-10-07 2006-04-27 Johnson Controls Gmbh Geschweißte Struktur, insbesondere von Sitzkomponenten
DE102005044012B4 (de) * 2005-09-14 2015-04-16 Recaro Automotive Ltd.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Sportsitz
DE102005044221B4 (de) 2005-09-15 2021-07-2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Verstärktes Seitenteil der Tragstruktur eines Kraftfahrzeugsitzes
DE102006005950A1 (de) * 2006-02-09 2007-08-23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mit integriertem Sicherheitsgurt
DE102010007052A1 (de) 2010-02-06 2011-08-11 Sitech Sitztechnik GmbH, 38442 Rückenlehne aus Kunststoff mit aus Kunststoff gebildeten oder beschichteten Funktionselementen
JP5593523B2 (ja) * 2010-05-25 2014-09-24 コクヨ株式会社 椅子
DE102011003574A1 (de) * 2010-10-28 2012-05-03 Johnson Controls Gmbh Hohlprofil für einen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Hohlprofils
DE102011114742A1 (de) * 2011-09-28 2013-03-28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102011087054A1 (de) * 2011-11-24 2013-05-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2020711B4 (de) * 2012-10-23 2022-08-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tzwannenmodul
DE102012222964A1 (de) 2012-12-12 2014-06-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DE102013225477A1 (de) * 2013-08-30 2015-03-05 Johnson Controls Gmbh Sitz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DE102013225478A1 (de) * 2013-08-30 2015-03-05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JP6133188B2 (ja) * 2013-09-30 2017-05-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DE102013225963B4 (de) * 2013-12-13 2023-06-22 Adient Us Llc Sitzteil und Fahrzeugsitz
JP6294772B2 (ja) * 2014-06-24 2018-03-14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2015206962A1 (de) 2015-04-17 2016-10-2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Strukturbaugruppe für eine Fahrzeugsitz-Rückenlehne
CN106004597B (zh) * 2016-06-16 2017-12-12 柳州西格尔汽车内饰件有限公司 整体式后排座椅靠背骨架总成
CN106004598B (zh) * 2016-06-16 2017-12-12 柳州西格尔汽车内饰件有限公司 分体式后排座椅靠背骨架总成
CN107512210A (zh) * 2017-08-24 2017-12-26 柳州市瑞星机械配件有限责任公司 汽车座椅焊接方法
CN107512209A (zh) * 2017-08-24 2017-12-26 柳州市瑞星机械配件有限责任公司 汽车座椅靠背骨架
DE102018215171A1 (de) * 2018-09-06 2020-03-12 Sitech Sitztechnik Gmbh Optimierte Hybrid-Lehnenstruktur zur gezielten Gurtkraftaufnahme in der Lehnenstruktur
FR3117957B1 (fr) * 2020-12-21 2023-01-06 Renault Sas nappe de suspension allégée à montage simplifi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60241A (en) * 1971-03-15 1974-07-17 Chrysler Uk Seats
JPS5495421A (en) * 1978-01-13 1979-07-27 Nissan Motor Co Ltd Seat for vehicle
JPS5588713A (en) * 1978-12-27 1980-07-04 Tachikawa Spring Co Sheet for car in synthetic resin
JP2526693Y2 (ja) * 1989-11-15 1997-02-19 株式会社東洋シート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フレーム構造
US5522645A (en) * 1994-04-01 1996-06-04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Seat having retained cushion
DE19727006C5 (de) * 1996-07-06 2014-03-13 Volkswagen Ag Rahmenelement für einen Fahrzeugsitz
DE19757060A1 (de) * 1997-12-20 1999-06-2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Rückenlehne für ein Kraftfahrzeug
DE19827563A1 (de) * 1998-06-20 1999-12-2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itz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544700A (en) 2000-08-29
WO2000047441A1 (de) 2000-08-17
JP2002536141A (ja) 2002-10-29
EP1150859A1 (de) 2001-11-07
DE19905215A1 (de) 2000-08-10
DE19905215C2 (de) 2002-01-31
BR0008097A (pt) 2001-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1785A (ko) 차량용 시트 구조체
US10870410B2 (en) Seat integrated belt structure with load taking frame
EP0929412B1 (en) Seat backrest frame
US20080136240A1 (en) Vehicle seat
JP3358450B2 (ja) 自動車用座席
US8967725B2 (en) Backrest, in particular for a rear seat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EP3075611B1 (en) Vehicular seat
EP3519245A1 (en) Seat for vehicles having an engagement edge
CA2775554A1 (en) Seat integrated energy management device
JP2001519281A (ja) 傾倒可能な背もたれを備えた車両のためのベンチシート
JP4387373B2 (ja) ヘッドレスト
JP2002079864A (ja) 自動車
JP2003312340A (ja) 自動車用シート
JPH09175443A (ja) 車両のキャブの下部構造
JP3672251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
KR20190003763A (ko) 차량 좌석 등받이
JP3773580B2 (ja) 自動車用ヘッドレスト
CN219467594U (zh) 用于交通工具的座椅的椅垫和交通工具的座椅
KR200156312Y1 (ko)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의 고정구조
KR100527761B1 (ko)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AU715690B2 (en) Seat backrest frame
KR0132606Y1 (ko) 호그링 조립식 뒷좌석 등받이 측면체
JPH11189175A (ja) 自動車のフロア構造
JP2002336091A (ja) 自動車のリア・シートに用いるリア・シート・クッション
JP2000102447A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