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312Y1 -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312Y1
KR200156312Y1 KR2019970023231U KR19970023231U KR200156312Y1 KR 200156312 Y1 KR200156312 Y1 KR 200156312Y1 KR 2019970023231 U KR2019970023231 U KR 2019970023231U KR 19970023231 U KR19970023231 U KR 19970023231U KR 200156312 Y1 KR200156312 Y1 KR 200156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bracket
upper arm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969U (ko
Inventor
장천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3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31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9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9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3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 백 프레임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부시트 프레임의 단부에 힌지고정된 상부 브라켓과 상부로 파이프 상부아암에 용접으로 고정된 시트 백 프레임에 있어서, 양단으로 절곡되어 있는 보강부(11)(12)를 구비한 어퍼 아암(10)과 그 하부로 하부 브라켓(20)과 연결토록 하는 상부 브라켓(30)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 브라켓(30)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일측으로 절곡된 받침부(31)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상기 어퍼 아암과 상부 브라켓의 받침부 내측으로 등받이 시트 프레임용 파이프(40)를 양측으로 용접(50)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주행중 발생하게 되는 교번하중으로 인한 피로한도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트 프레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백 프레임의 고정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 백 프레임의 고정 구조(Seat back frame of automobil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 백 프레임의 길이를 축소하고 등받이 시트의 프레임용 파이프를 고정토록 하는 상부 아암의 양단을 절곡하여 용접함으로써 주행중 발생하게 되는 교번하중으로 인한 피로한도가 발생하게 되어 시트 프레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장시간 주행시 노면으로부터 받게 되는 진동으로 인한 이질감과 속도감에서 오게 되는 단조로움 등으로 인해 쌓이게 되는 피로를 풀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상 진동을 흡수토록 하는 쿠션재의 시트를 구비하여 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트는 전, 후의 길이로 간격조정이 가능한 프론트 시트와 고정되어 있는 리어 시트로 구성되며, 각각의 시트 외측으로는 급제동과 충, 추돌시 발생하게 되는 반작용으로 인해 운전자 및 탑승자가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벨트가 구비되어 있다.
시트는 하부 시트와 등받이 시트로 구성되며, 하부 시트는 신체의 전 하중을 받히기 위한 것으로 양측으로 프레임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 탄성부재 및 폼재로 구비된 쿠션을 구비하며 그 외측으로 미관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스킨으로 씌워져 있다.
그리고, 신체의 등을 받히기 위한 것으로 하부 시트의 뒤쪽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받이 시트로 구비되며, 이 등받이 시트의 양측으로는 허리를 받히기 위해 중앙부분에 비해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되어 있다.
이 등받이 시트는 허리 부분을 타이트하게 받히기 위해 그 내부에 캠의 원리를 이용하여 일부가 돌출 되도록 구비된 것도 있다.
한편, 프론트 시트의 저면으로 후로위 패널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 슬라이딩 레일과 그 상부로 프론트 시트의 저면 프레임에 고정된 가동 슬라이딩 레일로 구비되어 신체조건이 각기 다른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신체에 맞출 수 있도록 하였다.
등받이 시트의 내측으로는 그 형상을 유지토록 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은 도 4 는 종래 고안의 사시 예시도와 도 5 의 횡단면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시트 프레임(100)의 단부에 힌지고정된 상부 브라켓(110)과 상부 브라켓(120)과 중앙의 파이프(130)로 구비된 프레임(130)을 고정하기 위한 상부 아암(140)으로 구비하되, 상기 상부 아암(140)과 파이프(130)와의 고정은 영구적 이음인 용접(150)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프레임의 내측으로 쿠션재와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진동 등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외측으로 스킨을 씌우는 것으로 구성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앉았을 때 안락감을 만끽하면서 주행에 필요한 조작이나 여행을 하게 된다.
그러나, 주행중 잦은 급제동이나 출발시 발생하게 되는 반작용으로 인해 등받이 시트의 프레임에 응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프레임의 피로 한도에 의해 상부 아암과 파이프를 고정하고 있는 용접부위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으로 시트를 교환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한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등받이 시트의 파이프를 고정토록 하는 상부 아암의 양단을 절곡하여 용접함으로써 주행중 발생하게 되는 교번하중으로 인해 그 프레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 백 프레임의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백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 예시도,
도 2 는 도 1 의 A부 횡단면 예시도,
도 3 은 도 1 의 B부 횡단면 예시도,
도 4 는 종래 고안의 사시 예시도,
도 5 는 도 4 의 C부 횡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어퍼 아암 11,12;보강부
20;하부 브라켓 30;상부 브라켓
31;받침부 40;파이프
50;용접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단으로 절곡되어 있는 보강부를 구비한 어퍼 아암과 그 하부로 하부 브라켓과 연결토록 하는 받침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한 상부 브라켓을 구비하고 파이프를 양측으로 용접토록 하여 시트 프레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백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 예시도이며, 도 2 는 도 1 의 A부 횡단면 예시도이고, 도 3 은 도 1 의 B부 횡단면 예시도이다.
하부시트 프레임의 단부에 힌지고정된 상부 브라켓과 상부로 파이프 상부아암에 용접으로 고정된 시트 백 프레임에 있어서, 파이프를 양측으로 고정하기 위한 어퍼 아암(10)과 이 어퍼 아암(10)을 하부 브라켓(20)과 연결토록 하는 상부 브라켓(30)을 형성하다.
상기 어퍼 아암(10)은 등받이 시트의 내측으로 그 측면의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그 폭을 유지하기 위한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양 단에 강도를 높이기 위해 절곡되어 있는 보강부(11)(12)를 일체형으로 구비한다.
상기 상부 브라켓(30)은 어퍼 아암(10)과 하부 브라켓(20)을 연결 고정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강도보강을 위해 받침부(31)를 일체형으로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아암(10)과 상부 브라켓(30)의 보강부(12)와 받침부(31)에 파이프(40)를 접하도록 위치시킨 후 이 파이프(40)의 양측으로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토록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어퍼 아암의 양측으로 보강부를 구비하였으나 그 중앙에 양 보강부와 평행한 부재를 구비하여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또한 양측의 보강부에 대각선방향으로 부재를 구비하여 그 강도를 보강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후로워 패널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슬라이드 레일의 상부에 가변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있는 프론트 시트에 앉은 후 이를 전, 후로 조절하여 알맞게 맞히는 것으로 여유 있게 앉아 주행에 필요한 조작이나 여행을 하면 된다.
그리고, 주행중 발생하게 되는 급제동 및 급출발로 인해 신체가 앞뒤로 쏠리면서 등받이 시트에 압력을 가하게 됨과 동시에 각각의 연결된 부위에는 응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어퍼 아암(10)에 구비된 보강부(12)와 상부 브라켓(30)에 구비되어 있는 받침부(31)로 그 압력이 전달되어 퍼짐으로 아암과 파이프와의 용접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등받이 시트의 프레임용 파이프를 고정토록 하는 상부 아암의 양단을 절곡하고 이 절곡된 부위에 파이프를 위치시키고 용접함으로써 교번하중으로 인한 피로한도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프레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하부시트 프레임의 단부에 힌지고정된 상부 브라켓과 상부로 파이프 상부아암에 용접으로 고정된 시트 백 프레임에 있어서, 양단으로 절곡되어 있는 보강부(11)(12)를 구비한 어퍼 아암(10)과 그 하부로 하부 브라켓(20)과 연결토록 하는 상부 브라켓(30)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 브라켓(30)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일측으로 절곡된 받침부(31)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상기 어퍼 아암과 상부 브라켓의 받침부 내측으로 등받이 시트 프레임용 파이프(40)를 양측으로 용접(50)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백 프레임의 고정 구조.
KR2019970023231U 1997-08-26 1997-08-26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의 고정구조 KR200156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231U KR200156312Y1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231U KR200156312Y1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69U KR19990009969U (ko) 1999-03-15
KR200156312Y1 true KR200156312Y1 (ko) 1999-09-01

Family

ID=19508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231U KR200156312Y1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3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69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36240A1 (en) Vehicle seat
JP5463659B2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KR20010101785A (ko) 차량용 시트 구조체
KR20000048877A (ko) 좌석 등받이 프레임
KR20150055621A (ko) 자동차 버킷 시트
US4787676A (en) Vehicle seat, notably for motor vehicle
JPH10181400A (ja) 車両用シート
KR200156312Y1 (ko)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의 고정구조
JP4101617B2 (ja) シートのフレーム構造体
JP4001668B2 (ja) シートバック内部構造体およびランバサポートアジャスタ
JP3670204B2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フレーム構造
JPH11105602A (ja) 車両用シート
JP3748480B2 (ja) リア・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JP3314914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構造
JP3146544B2 (ja) キャブオーバー型車のシート構造
JP3543596B2 (ja) 自動車のフロア構造
JP4141939B2 (ja) 自動車の座席
JP7108215B2 (ja) 車両用シート
JP3586907B2 (ja) 車両用シートのモールドパッド支持構造
JP2019059311A (ja) 車両用シート
JPH11169259A (ja) シートバックのフレーム構造体
JPH0614823A (ja) リヤシートのフレーム構造体
JPH05317135A (ja) 車両用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4498125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0125234Y1 (ko) 자동차용 드라이버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