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393A - 개선된 청소수단이 갖춰진 충전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청소수단이 갖춰진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393A
KR20010101393A KR1020017008553A KR20017008553A KR20010101393A KR 20010101393 A KR20010101393 A KR 20010101393A KR 1020017008553 A KR1020017008553 A KR 1020017008553A KR 20017008553 A KR20017008553 A KR 20017008553A KR 20010101393 A KR20010101393 A KR 20010101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pout
filling
shutter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0013B1 (ko
Inventor
아드리안센스에릭
뮤니어에릭
상-마르텡로돌프
Original Assignee
올리비에 프랑시스
시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리비에 프랑시스, 시델 filed Critical 올리비에 프랑시스
Publication of KR2001010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7/00Concurrent cleaning, filling, and closing of bottles; Processes or devices for at least two of these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01Cleaning of fil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nfectio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주둥이(22)를 갖고 있는 유형의 충전기를 제안하는 것으로, 그 충전 주둥이를 통해 제품이 유출되고 주둥이(22)는 충전될 용기(12) 입구와 비교해서 도입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그 특징으로는 충전 주둥이(22)가 지지체(34)와 연관된 고정 케이스(38) 안에 있고 그 케이스(38)에는 구동형 폐쇄 셔터(50)가 있어서 폐쇄된 위치에서 구멍(48)을 막고 방수 수단의 케이스(38)를 봉쇄하는 것이며, 충전기가 케이스(38) 내부에서 청소제를 순환시켜주는 수단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Description

개선된 청소수단이 갖춰진 충전기 {FILLING MACHINE COMPRISING ADVANCED CLEANING MEANS}
이러한 기계들은 일반적으로 일련의 충전 주둥이를 갖춘 회전대를 갖고 있다. 용기들은 충전 주둥이의 아래에 배치되어 원형의 일정한 지점이 있는 회전대 위에 끼워진다. 일단 용기가 주둥이 아래에 적당한 자리를 잡으면 이 주둥이는 제품을 용기 내부에 방출하도록 제품을 공급한다. 필요한 충전 정도에 달성되면 주둥이를 통한 공급은 주둥이 공급 서킷 안에 삽입된 밸브에 의해 중단되며 그때 용기는 회전대에서 풀어지는데 물론 회전대가 완전히 한바퀴 돌기 전이다.
회전대 위에 여러 주둥이들을 배치시켜서 동시에 여러 용기들을 충전시킬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충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는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기간에 다량의 용기들을 충전시킬 수 있게 한다. 사실상, 제품이 특히 거품이 너무 많이 일어나는 것을 피해야만 하는데 거품이 일면 용기가 일부분만 충전되거나 넘쳐서 제품 손실이 생길 수 있다.
물론 충전 작업에 있어서는 제품의 전 오염을 방지하면서 실시된다. 이것은 제품이 음식물인 경우에는 중요한 문제로 예를 들어서 유제품인 경우에는 더욱 더 중요한 것이다.
또한 충전기 청소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실시해야 하며 특히 제품과 접촉하는 기계의 모든 부품들을 철저히 청소하도록 감시해야 한다. 그렇지만 또한 제품 가까이에 있는 기계의 다른 부품들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신경 써야만 한다.
청소는 모든 제품 흔적과 먼지와 다른 이상한 물체들을 제거하는 것이고 게다가 생물학적인 또는 세균학적인 오염을 제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청소는 또한 세척, 소독, 오염방지 또는 소독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청소는 일반적으로 액체형 혹은 가스형 청소제로 실시되며 기계 내의 제품들에 의해 차용된 서킷 내에서 청소제를 순환시킨다.
세척제 사용량을 제한하기 위해, 특히 경우에 따라 일어날 수도 있는 순환 사용을 목적으로 쉽게 회수하기 위해 외부와 차단된 내부에서 세척제를 순환시키길 선호한다.
이런 목적에서 각각의 주둥이에 구동형 작은 컵으로 된 충전기를 갖춰주는 건 공지된 사실이며 기계의 청소 과정 시에 작은 컵은 해당 주둥이 위로 끌어들여진다. 작은 컵은 예를 들어 충전 주둥이 위에 방수 수단으로 와서 꽂히며, 작은 컵은 청소제 배출 서킷과 연결되어 있다. 작은 컵은 충전 주둥이 아래의 용기 자리를 눈에 띄게 차지한다. 그와 마찬가지로 주둥이와 밸브와 서킷의 내부 청소를 보장하는 수단의 주둥이의 공급 서킷 내에 청소제를 주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공지된 장치들은 제품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충전 주둥이의 내부 면만 청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주둥이 외부 표면들과 같은 바로 근처에 있는 부분들은 청소제 영향이 미치지 못 한다.
그러므로 주둥이 근처에 불순물이 모아지면 이 불순물들이 충전 시에 벗겨질 수 있고 제품과 접촉할 수도 있으며 더구나 용기 안에 떨어져 내릴 수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주둥이 외부 부분들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설계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게다가 기계가 많은 수의 주둥이를 갖고 있는 회전대를 갖고 있을 때, 각 주둥이에 해당하는 청소 수단들의 총체를 정돈할 수 있게 하는 구동형 구조를 예상하는 게 흥미롭다. 앞에 설명한 공지된 장치에는 작은 컵들은 보이지 않는 위치와 서비스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구동형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이동은 회전대 회전축과 평행 방향에 따라 실행되며 아래쪽으로 감춰지는 구조이다.
그래서 이 이동 방향을 잘 계산하여 이러한 이동은 기계 작동 시에 용기들이 통과하는데 불가피한 용적을 완전히 끌어내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중요한 이동거리 상에서 이루어진다. 이동 폭과 작은 컵들의 지지체 구조의 총량 자체가 부피가 큰 관계로 무거운 작동자들을 설계하는 게 불가피하다. 그러므로 구조와 운전 조작 수단들의 총체는 기계에 편입하기 어려운 특히 방해가 되는 총체로 모습을 드러낸다.
게다가 총체의 무게와 면적으로 인해 회전대 상에서 조립하기가 불가능하게 만든다. 그래서 이 총체를 기계의 고정 틀 위로 바로 이끌고 올라갔다. 이것으로작은 컵들이 회전대의 회전 움직임을 따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가 있다. 청소 과정은 회전대가 정지했을 때만 행해질 수 있다.
이것은 이중의 불리한 점을 드러낸다. 한편으로는, 작은 컵들의 지지체 구조가 청소 위치로 이끌어질 때 각각의 주중이가 정확히 작은 컵들 중의 하나와 정확히 접속할 수 있도록 회전대의 각도를 분류하는 정확한 수단을 채택해야만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회전대가 회전 중에는 청소가 실행되지 않아서 몇몇 공급 서킷 부분들이 완벽하게 청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킷에는 일반적으로 고정 저장소에 비축된 제품을 회전대로 지탱된 각각의 주둥이까지 전달해주는 회전 분배기가 있다. 청소는 정지시에 실행되고 분배기의 완벽한 청소는 보장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개선된 청소수단이 포함된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병이나 단지들처럼 속이 우묵한 용기들에 예를 들어 음식물같은 제품을 채우는 기계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상된 충전기의 회전대 부분을 묘사한 축 방향으로의 개략단면도.
도 2는 열린 위치에서 묘사된 셔터인 폐쇄 셔터와 그 작동 수단들과 더불어 충전 주둥이의 청소 케이스를 더욱 특별히 보여주는 도 1의 상세단면도.
도 3은 셔터가 폐쇄 위치에서 묘사된 도 2와 동일한 단면도.
도 4와 도 5는 회전대의 회전축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면에 의한 단면으 보인 것으로 구동형 셔터 작동 수단들을 더욱 특별히 도시되어 있으며 이 구동형 셔터가 열려진 위치와 폐쇄 위치에서 제각기 표현된 단면도.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 주둥이의 내부와 외부 청소를 보장해주는 청소 수단들을 통합하는 충전기의 신 개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수단들은 단순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자리를 많이 차지하지 않고 작동이 쉽다. 그건 주둥이가 많은 기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주둥이를 갖고 있는 유형의 충전기를 제안하는 것으로, 그 충전 주둥이를 통해 제품이 유출되고 주둥이는 충전될 용기 입구와 비교해서 도입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그 특징으로는 충전 주둥이가 주둥이를 지탱하는 프레임과 연관된 고정 케이스 안에 있고 그 케이스에는 구동형 폐쇄 셔터가 있어서 폐쇄된 위치에서 구멍을 막고 방수 수단의 케이스를 봉쇄하는 것이며, 충전기가 케이스 내부에서 청소제를 순환시켜주는 수단들을 포함하고 있는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폐쇄 셔터가 케이스의 폐쇄된 위치와 열려진 위치 사이에 있는 작동 수단들에 의해 조종된다.
- 셔터 작동 수단들이 이중 작용된 유체 압력 잭을 갖고 있다.
- 케이스는 통 모양이며, 그 구멍은 케이스의 측면 내벽면에 갖춰져 있고 폐쇄 셔터에는 케이스 위를 미끄러지는 통 모양의 연결기가 있다.
- 후방 축의 극단에서, 셔터는 제한된 체임버 내에 방수 수단으로 미끄러지는 방사형 플랜치를 갖고 있으며, 방사성 모양으로는 두 원통형 내벽면 사이에, 축 모양으로는 두 방사성 내벽면 사이에 있다. 그 방사형 내벽면은 환상형의 입구를 갖추기 전 단계로 환상형 입구를 통하여 셔터 연결기가 방수 수단으로 미끄러진다.
- 플랜치는 방수 수단으로 체임버의 두 부분을 분리한다. 체임버 각각의 부분은 열려져 있거나 폐쇄된 위치들 사이에서 셔터의 이동을 유발하기 위해 압력 액체의 원천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 셔터는 케이스 외부에 방사성으로 배치된다.
- 케이스는 제품 배출 방향과 상당히 직각을 이루는 방향 에 따라 자리를 차지한다.
- 청소 세제는 충전 주둥이를 통해 케이스 내부로 삽입된다.
- 청소 세제는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는 보조 왕복대를 통해서 배출된다.
- 보조 왕복대는 케이스 하단 지점 정도에 배치된다.
- 충전 중에 무균 가스가 케이스 내에 주입되며, 충전 주둥이와 용기 사이의 제품 흐름을 보살피면서 케이스 구멍을 통해 배출된다.
- 무균 가스는 보조 왕복대를 통해 케이스 내에 주입된다.
- 충전 주둥이를 통한 공급은 주둥이와 비교해서 한쪽으로 기울게 된 밸브에 의해 조종되는데 밸브는 공급관에 의해 주둥이에 연결되어 있다.
- 밸브가 충전 용기 아래에 배치되며 이 충전 용기 자체는 충전 주둥이 아래에 배치된다.
- 주둥이는 회전식 회전대로 지탱되며 고정 케이스는 회전대와 연동되어 있다
- 기계는 여러 충전 주둥이를 갖추고 있으며, 그 충전 주둥이 각각은 방수 수단의 케이스를 닫을 수 있게 하는 구동형 셔터를 갖춘 고정 케이스 안에 넣어져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과 잇점들이 첨부도면과 비교하여 다음에 계속되는 상세한 설명들로 드러날 것이다.
도 1상에 물처럼 아무것도 섞이지 않은 액체를 갖는 병(12)과 같은 용기들의 충전을 보장하도록 설계된 충전기(10)를 개략적이고 부분적인 수단으로 도시하였다. 물론 본 발명은 모든 종류의 제품을 담을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용기들의 충전 시에 적용될 수 있다.
기계(10)는 고정 틀(16)과 비교하여 편리하게 상하로 규정되어질 축(A1)의 주위에 회전하며 올라가는 회전대(14)를 갖고 있는 회전기계이다.
회전대(14)는 축(A1)의 주위에서 규칙적인 수단으로 각을 이루어 벌어지는 일련의 충전단(18)을 갖추고 있다. 각 충전단(18)은 병(12)을 충전 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충전을 위해 특히 병(12) 지지체의 장치(20)를 갖고 있으며 병을 채울 제품이 충전 주둥이(22)를 통해 흘러 들어가고 공급 서킷이 주둥이(22)와 충전기(10)의 회전 분배기(24)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공급 서킷은 상위 섹션(26)과 하위 섹션(28)의 두 섹션을 보여주는 공급관을 갖고 있으며 두 섹션 사이에, 밸브(30)를 배열하여 서킷 내의 제품의 유량과 용기 내의 제품 분배를 명령할 수 있게 하였다.
회전 분배기(24)는 방사성 모양으로 회전대(14)의 중앙에서 하단부에 배열되었다. 고정 부분 위에는 공급 파이프들(도시되지 않았음)이 연결되어 있으며 공급관들은 틀(16)과 비교하여 고정되어 있고, 특히 회전대에 제품을 공급하게 하며 게다가 나중에 보이는 것처럼 청소 세제와 압축 공기를 회전대에 공급한다.
분배기(24)는 회전 부분(32)을 갖고 있으며 그 회전 부분 상에는 공급관들(26)(28)이 연결되어 있다. 회전 분배기(24)의 두 부분들은 회전대의 상응하는 관들에 고정된 공급 파이프들을 선택하여 연결시킬 수 있게 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들을 갖고 있다.
각각의 충전단(18)은 속이 움푹 패인 수직 기둥(34)을 갖고 있으며 그 기둥은 수평 플래튼(36) 위에 하부 극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부 극단에는 충전 주둥이가 있다. 충전 주둥이는 축(A1)과 비교하여 거리에 따라 두드러지게 외부로 펼쳐진다.
밸브(30)는 연합 충전 주둥이(22)와 두드러지게 수직으로 플래튼(36) 아래에 정렬되어 있어서 공급관의 하위 섹션(28)이 플래튼(36)의 구멍(40)을 통하여 그리고 기둥(34) 내부에 펼쳐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기둥(34)은 그 상부 극단에 케이스(38)를 갖고 있다. 그 케이스 내에는 충전 주둥이(22)가 내포되어 있는데 그것은 주둥이의 간편한 청소를 위한 것이다.
도 2-도 5에서 더욱 특별히 볼 수 있는 것은 공급관의 하위 섹션(28)의 말단 부분이 축(A1)과 비교하여 방사형 면 내에 펼쳐져서 케이스가 기둥(34)과 비교하여 외부로 방사성 모양으로 돌출된 부위에 고정된다. 케이스(38)는 대판(42)을 갖고 있다. 대판은 기둥(34) 상에 고정되어 있고 방사형 축(A2)의 회전하는 통 모양의내벽면(44)에 의해 외부로 방사형 모양으로 찔러넣어져 있다. 내벽면(44)은 단부 내벽면(46)에 의해 외부의 방사형 단부에서 폐쇄되며 그 단부 내벽면은 내벽면(44) 상에 방수 수단으로 나사로 조여진 마개로 구성된다.
공급관(28)의 단부는 통 모양 내벽면(44)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 닫힌 공간 내에 이르기 위해 방수 수단으로 대판(42)을 관통한다. 충전 주둥이(22)는 내벽면(44) 내에 있는 구멍(48)과 비교해 위치해 있기 위해서 하부로 구부러져 있다. 이 구멍은 병(12)의 충전 입구가 지지체(20) 위에서 자리를 잡고 있을 때 병의 충전 입구와 비교해서 자리를 잡는다.
본 발명의 교시에 비추어, 케이스(38)에는 구멍(48)을 폐쇄해주는 구동형 셔터(50)가 있어서 케이스가 완벽하게 닫힌 공간의 범위를 정하고 액체가 새지 않게 한 그 공간 내에 주둥이(22)는 넣어져 있다.
셔터(50)는 원통형 내벽면(44) 위를 미끄러지며 올라간 레벌류션의 원통형 연결기(52)로 구성되어 있다. 셔터(50)는 이렇게 제2도와 제4도에 도시된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즉 열린 위치에서 셔터는 구멍(48)을 끌어내는 수단으로 뒤로 물러나고, 도 3과 도 5에 도시된 폐쇄된 위치에서는 셔터는 구멍(48)을 완전히 덮는 수단으로 앞으로 돌출한다.
연결기(52)의 후 단부는 내벽면(44)의 후 단부를 둘러싸는 축(A2)의 원통형 셸(shell)(56)에 의해 원통형 내벽면(44) 주위의 범위가 정해진 환상의 체임버 내부에서 방수 수단으로 미끄러지는 플랜치(54) 형태를 보인다. 플랜치(54)는 이렇게 체임버 내에서 전방 부분(58)와 후방 부분(60) 범위를 정하는 피스톤 역할을 한다.두 부분(58)(60)의 각각의 용량은 플랜치의 위치와 셔터(50)의 위치와 축(A2)의 길이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체임버의 두 부분들(58)(60) 중 하나에 액체로 압력을 가하여서 열리거나 폐쇄된 위치 중 하나를 향해 셔터(50)가 이동하게 한다. 달리 표현하자면, 플랜치(54)와 체임버의 두 부분들(58)(60)은 이중 작동으로 된 유체 압력 잭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서, 케이스(38)의 틀(42)은 두 개의 압력 액체 진입 구멍을 갖고 있다. 제1구멍(62)은 체임버의 전방 부분(58)에 연결되어 있고, 제2구멍(64)은 후방 부분(60)에 연결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제1액체진입구멍(62)은 사실상 분배 갤러리(66)와 연결되어 있다. 이 분배 갤러리는 셸(56) 깊숙이에 갖춰져 있고 체임버의 전방 부분(58)과 연결되는 환상의 홈(68) 내로 셸(56) 전방에서 흘러들어가기 위해 체임버와 대비하여 축을 따라서 펼쳐진다.
제1진입구멍(62)이 압력 액체의 원천(도시되지 않았음)과 연결될 때, 셔터(50)는 열려진 후방 위치로 밀치고 들어가며, 그 안에서 케이스(38)의 구멍(48)이 풀어진다. 그와는 반대로, 제2진입구멍(64)이 압력하의 액체의 원천과 연결될 때, 셔터(50)는 폐쇄 위치까지 전방으로 밀치고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이동 중에 원통형의 연결기(52)는 셸(56)과 원통형 내벽면(44) 사이의 체임버 전방 단부에 범위가 정해진 환상형 입구를 관통하여 방수 수단으로 미끄러져 움직인다. 셔터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연결기(52)는 체임버의 내부에 거의 전부 받아들여진다.
이 셔터 작동 장치는 대부분의 충전기가 이미 여러 기능들을 위한 에너지 원천 처럼 압력하의 액체를 이미 사용하고 있으므로 특히 실행하기가 간단하다. 그 결과로 장치 설치에는 진입구멍들(62)(64)의 공급 조종의 전기밸브의 첨가만이 필요할 뿐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될 압력 액체는 회전 분배기(24)를 이용하여 케이스까지 끌어들이는 압축공기이다. 그렇지만 액체는 또한 회전대 상에 실은 저장 탱크에서 생기는 것이다.
게다가 이러한 작동 장치는 셔터(50)를 열거나 닫기 위해 충전기(10) 위에 직접적으로 사람의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히 매우 편리한 것이다. 사람이 개입하게 되면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충전기가 여러 개의 주둥이를 갖고 있을 때, 각각의 충전단(18)이 셔터(50)의 조종 전기밸브를 갖추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셔터(50)들은 개별적으로 작동되고 주둥이들이 서로 경우에 따라서는 자리가 변경될 수 있다.
그렇지만 충전기가 상당한 수의 충전 주둥이들을 갖고 있을 때에는, 충전기는 모든 주둥이들을 위한 유일한 조종 전기밸브를 갖을 수 있는 것이다.
두 경우에 있어서, 셔터들은 본 발명 덕분에 아주 짧은 시간에 모든 주둥이들 위에서 동시에 작동된다. 유리하게도 셔터들 작동이 회전대가 회전 중일 때에도 실행될 수 있다.
그렇지만 셔터의 또 다른 자동 작동 수단들을 예상할 수 있다. 셔터는 이렇게 압축공기, 수력 또는 전자기 형태의 자율적인 잭에 의해 조종될 수 있으며 캠에 의해서도 조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술되었던 구동형 셔터는 미끄러져 움직이는 연결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틀을 벗어나지 않고, 예를 들어 연접된 셔터 형태로, 모든 다른 형태의 셔터 제작도 예상할 수 있는 것이다.
케이스(38)가 셔터(50)에 의해 닫혀져 있을 때, 셔터 내부에서 청소 세제가 순환할 수 있게 해줘서 주둥이(22) 내부뿐 아니라 주둥이의 외부도 청소 시켜준다. 그러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진입관과 밸브(30)와 주둥이(22)를 관통하여 케이스(38)를 채우는 청소 액을 순환시킨다. 청소액은 틀(42) 안에 있고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는 보조 왕복대(70)를 관통해서 케이스를 통해 배출된다. 보조 왕복대(70)는 예를 들어서 보조 관(72)과 청소액의 회수와 순환사용 장치인 분배기(24)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소비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특히 보조 왕복대(70)는 케이스(38) 하부 지점 높이에서 빠져나오도록 배열되어 있어서 보조 관(72)에 의해 청소액이 가장 완벽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한 방법으로, 이러한 기계의 도움으로 충전 청결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충전하는 순간에 케이스(38)의 내부에 무균 공기, 질소, 탄소 이산화물 같은 무균 가스 주입을 예상할 수 있다. 무균 가스는 케이스(38)의 내부 용적을 채우고 병(12)의 방향으로 충전 주둥이에 의해 인도되는 제품 분출을 담당하는 구멍(48)을 통하여 밖으로 분출한다. 이런 식으로 주둥이(22)와 병(12) 사이에서, 제품이 무균 가스의 차폐로 고립되고, 경우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환경 오염에 노출되지 않는다. 유리하게 무균 가스는 충전기 청소 단계 중에 청소 세제 배출 역할을 하는 보조 왕복대(70)를 관통하여 케이스(38)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에 따르면, 공급관들(26)(28) 내의 제품 순환을 명령하는 밸브(30)는 충전 주둥이와 비교하여 한쪽으로 기울어진다. 실제로 밸브(30)를 주둥이(22)에 연결하는 관의 하위 섹션 길이가 1미터보다 높은 길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여러 잇점을 보여준다.
첫 번째 잇점은 밸브(30)가 잘 유지되도록 쉽게 접근이 가능한 장소로 자리 잡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사실상 기술된 기계에 있어서, 기계는 회전대의 외부 방사형 부분에 자리를 잡고, 회전대의 중앙에 자리 잡지 않는다. 주둥이(22) 뒤에 위치하는 건 이전에 공지된 기계들의 경우이다.
두 번째 잇점은 많은 수의 주둥이(22)를 갖고 있는 기계들의 경우에서 특히 드러난다. 실제로, 각 충전단을 위한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각 공간이 한정되어 있다. 큰 지름 범위 상에서 이 주둥이들(22) 각각에 연합된 밸브(30)들을 마음대로 이용하면서, 각각의 밸브는 용이한 설치 허용를 위해서와 밸브 시행의 공업기술 선택에 있어서 치수가 결정 기준이 아니기 위해 충분한 공간을 마음대로 이용한다.
게다가 밸브가 주둥이들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서 이 주둥이들 주위에 많은 공간을 갖게 한다. 그래서 청소하기 까다로운 먼지 쌓인 함정이 되지 않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들인 유선형 구상이 가능하다.
요컨대, 충전 주둥이의 높이에 확보된 공간은 주둥이 주위에 케이스(38)를 마음대로 이용할 수 있게 하며 케이스는 주둥이가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청소가 되게 하며 그 크기가 축소되게 한다.
지금까지 기술한 기계는 충전 주둥이가 충전시에 병(12)과 접촉하지 않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렇지만 전문가는 일반적인 지식만으로 충전기 내에서 주둥이가 병과 접촉을 하는 경우에 병 혹은 주둥이의 상하 이동으로 본 발명의 교훈을 쉽게 도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충전 주둥이(22)를 갖고, 그 충전 주둥이를 통해 제품이 유출되고 주둥이(22)는 충전될 용기(12) 입구와 비교해서 도입되도록 설계된 것으로 그 충전 주둥이(22)가 주둥이(22) 지지체(34)와 연관된 고정 케이스(38) 안에 있고 그 케이스(38)에는 통과 구멍(48)과 비교하여 주둥이(22)가 배치되어 있고, 구동형 폐쇄 셔터(50)가 있어서 폐쇄된 위치에서 구멍(48)을 막고 방수 수단의 케이스(38)를 봉쇄하며, 기계 내에 케이스(38) 내부에서 청소제를 순환시켜주는 수단들을 포함하는 충전기에 있어서, 케이스(38)가 통 모양으로 그 구멍(48)이 케이스(38)의 측면 내벽면(44)에 정리되어 있으며 폐쇄 셔터(50)가 케이스의 축(A2)에 따라서 케이스 상에 미끄러지는 통 모양의 연결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청소수단이 갖춰진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폐쇄 셔터(50)가 케이스(38)의 폐쇄된 위치와 케이스(38) 구멍(48)이 풀어지는 열려진 위치 사이에 있는 작동 수단들(58)(60)(54)에 의해 조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셔터의 작동 수단들이 이중 작용된 유체 압력 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후방 축의 극단에서, 셔터(50)가 제한된 체임버 내에 방수 수단으로 미끄러지는 방사형 플랜치(54)를 갖고 있으며, 방사성 모양으로는 두 원통형 내벽면(44)(56) 사이에, 축 모양으로는 두 방사성 내벽면 사이에 있고 그 방사형 내벽면은 환상형의 입구를 갖추기 전 단계로 환상형 입구를 통하여 셔터 연결기가 방수 수단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플랜치(54)가 방수 수단으로 체임버의 두 부분(58, 60)을 분리하며 체임버 각각의 부분은 열려져 있거나 폐쇄된 위치들 사이에서 셔터(50)의 이동을 유발하기 위해 압력 액체의 원천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6.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셔터(50)가 케이스(38) 외부에 방사성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7.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스(38)가 제품 배출 방향과 상당히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따라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8.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소 세제가 충전 주둥이(22)를 통해 케이스(38)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9. 제8항에 있어서, 청소 세제가 케이스(38) 내부로 들어가는 보조 왕복대(70)를 통해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10. 제9항에 있어서, 보조 왕복대(70)가 케이스 하단 지점 정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11.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 중에 무균 가스가 케이스(38) 내에 주입되며, 충전 주둥이(22)와 용기(12) 사이에서 제품 흐름을 보살피면서 케이스(38) 구멍(48)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12. 제9항과 제10항에 조합하는 제11항에 있어서, 무균 가스가 보조 왕복대(70)를 통해 케이스(38) 내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13.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 주둥이(22)를 통한 공급이 주둥이(22)와 비교해서 한쪽으로 기울게 된 밸브(30)에 의해 조종되며, 이 밸브(30)가 공급관(28)에 의해 주둥이(22)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14. 제13항에 있어서, 밸브(30)가 충전 주둥이(22)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15. 제14항에 있어서, 밸브(30)가 충전 용기(12) 아래에 배치되며 이 충전 용기 자체가 충전 주둥이(22)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16.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둥이(22)가 회전식 회전대(14)로 지탱되며 고정 케이스(38)가 회전대(14)와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17.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러 충전 주둥이(22)를 갖추고 있으며, 그 각각의 충전 주둥이가 방수 수단의 케이스(38)를 닫을 수 있게 하는 구동형 셔터(50)를 갖춘 고정 케이스(38) 안에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KR10-2001-7008553A 1999-01-06 1999-12-07 개선된 청소수단이 갖춰진 충전기 KR100460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0115 1999-01-06
FR9900115A FR2788047B1 (fr) 1999-01-06 1999-01-06 Machine de remplissag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nettoy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393A true KR20010101393A (ko) 2001-11-14
KR100460013B1 KR100460013B1 (ko) 2004-12-04

Family

ID=954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553A KR100460013B1 (ko) 1999-01-06 1999-12-07 개선된 청소수단이 갖춰진 충전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457497B1 (ko)
EP (1) EP1173383B1 (ko)
JP (1) JP3462857B2 (ko)
KR (1) KR100460013B1 (ko)
AT (1) ATE270654T1 (ko)
AU (1) AU1567300A (ko)
BR (1) BR9916755A (ko)
CA (1) CA2357795C (ko)
DE (1) DE69918575T2 (ko)
ES (1) ES2224720T3 (ko)
FR (1) FR2788047B1 (ko)
PT (1) PT1173383E (ko)
WO (1) WO2000040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1338B1 (fr) * 1999-03-26 2002-07-12 Serac Group Dispositif de remplissage de recipients equipe d'un dispositif de nettoyage integre
ITBO20030411A1 (it) * 2003-07-03 2005-01-04 Stk Stocchi Progetti S R L Rubinetto per il riempimento sterile di liquidi alimentari.
US7686043B2 (en) * 2005-12-14 2010-03-30 Evergreen Packaging Inc. Container filling apparatus including cleaning system
US9821992B2 (en) * 2006-03-06 2017-11-21 The Coca-Cola Company Juice dispensing system
FR2899220B1 (fr) * 2006-03-31 2008-05-30 Sidel Participations Dispositif de nettoyage pour machine de remplissage
FR2911595B1 (fr) * 2007-01-22 2011-04-08 Sidel Participations Machine de remplissage equipee d'un dispositif de nettoyage
FR2911594B1 (fr) * 2007-01-22 2009-04-03 Sidel Participations Machine de remplissage equipee d'un dispositif de nettoyage avec membrane deformable
US8678239B2 (en) * 2007-07-13 2014-03-25 The Coca-Cola Company Clean in place system for beverage dispensers
US9168569B2 (en) 2007-10-22 2015-10-27 Stokely-Van Camp, Inc. Container rinsing system and method
US8147616B2 (en) * 2007-10-22 2012-04-03 Stokely-Van Camp, Inc. Container rinsing system and method
DE102008031680A1 (de) * 2008-07-04 2010-01-07 Krones Ag Vorrichtung zum Befüllen von Behältnissen mit magnetisch betätigter Verschließkappe
DE102010031873A1 (de) * 2010-07-21 2012-01-26 Krone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üllen von Behältnissen mit Reinigungseinrichtung
US9173521B2 (en) * 2011-12-02 2015-11-03 Fbd Partnership, Lp Food and beverage dispenser with cleaning system
JP6167905B2 (ja) * 2011-12-22 2017-07-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飲料充填方法及び装置
CN104044778A (zh) * 2014-06-09 2014-09-17 苏州柏德纳科技有限公司 一种牛奶灌装机支撑板
CN110769863B (zh) 2017-04-24 2021-11-16 豪夫迈·罗氏有限公司 从导管系统中取出用于生产注射用药物的液体的取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3528A (en) * 1980-02-05 1981-09-07 Dainippon Printing Co Ltd Germless filling method
IN159651B (ko) * 1982-03-10 1987-05-30 El Srl
JPS61290026A (ja) * 1985-06-19 1986-12-20 Yoshida Kogyo Kk <Ykk> 小物成形用射出成形機
SE461032B (sv) * 1988-03-21 1989-12-18 Roby Teknik Ab Anordning vid en foerpackningsmaskin foer att ombesoerja en steril fyllningsatmosfaer
JP2582559Y2 (ja) * 1992-02-03 1998-10-08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充填機の洗浄装置
KR960006735B1 (ko) * 1992-12-01 1996-05-23 주식회사동명중장비 유압 브레이커
DE4409617A1 (de) * 1994-03-21 1995-09-28 Bernd Hansen Einrichtung zum sterilen Befüllen von Behältnissen
DE4411629A1 (de) * 1994-04-02 1995-11-02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Ventil zum Abfüllen von Flüssigkeiten in Verpackungen
FR2720733B1 (fr) * 1994-06-02 1996-07-19 Serac Sa Dispositif de remplissage comportant un collecteur de nettoyage fixé à un conduit de distribution.
US5782274A (en) * 1997-03-11 1998-07-2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Elliptical cleaning box for filling apparatus
JPH1191877A (ja) * 1997-09-12 1999-04-06 Toyo Shokuhin Kikai Kk 充填バルブの洗浄装置
FR2788046B1 (fr) * 1999-01-06 2001-01-26 Sidel Sa Machine de remplissage comportant une vanne deportee
FR2788049B1 (fr) * 1999-01-06 2001-01-26 Sidel Sa Procede de refoulement dans une machine de remplissage et machine de remplissage pour la mise en oeuvre d'un tel procede
FR2791338B1 (fr) * 1999-03-26 2002-07-12 Serac Group Dispositif de remplissage de recipients equipe d'un dispositif de nettoyage integ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567300A (en) 2000-07-24
CA2357795C (fr) 2004-06-29
ES2224720T3 (es) 2005-03-01
DE69918575D1 (de) 2004-08-12
WO2000040504A1 (fr) 2000-07-13
CA2357795A1 (fr) 2000-07-13
JP2002534329A (ja) 2002-10-15
FR2788047B1 (fr) 2001-01-26
ATE270654T1 (de) 2004-07-15
EP1173383A1 (fr) 2002-01-23
BR9916755A (pt) 2001-09-25
DE69918575T2 (de) 2005-09-01
PT1173383E (pt) 2004-10-29
FR2788047A1 (fr) 2000-07-07
JP3462857B2 (ja) 2003-11-05
EP1173383B1 (fr) 2004-07-07
KR100460013B1 (ko) 2004-12-04
US6457497B1 (en) 2002-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1393A (ko) 개선된 청소수단이 갖춰진 충전기
EP2226126B1 (en) Paint robot
EP0962420A2 (en) Rotary filling machine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ids
CN102421957A (zh) 衣物洗涤设备
CN101360866A (zh) 马桶钵体清洁和/或除臭装置
KR100452842B1 (ko) 충전기 내의 역류방법과 이러한 방법 실행을 위한 충전기
JP7174767B2 (ja) 洗剤投入装置及び洗濯機
CN102700771B (zh) 充填机
CN110130059B (zh) 洗涤剂投放装置
CN107257774A (zh) 有助于在不去除容器盖的情况下将汲取管插入容器的汲取管插入构件
KR20020001714A (ko) 하부로 기울어진 밸브가 포함된 충전헤드를 갖춘 충전기
EP0103484A2 (en) Filling machine for foaming liquids
CN113200370B (zh) 带有连杆升降的料斗对接车
KR20170063107A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CN106273363A (zh) 具有无菌室和将液体排出无菌室的容器处理系统
CN202670175U (zh) 充填机
CN116768133B (zh) 一种用于饮料灌装装置的灌装组件
CN218982610U (zh) 一种煎药容器预翻式清洗装置
CN217756862U (zh) 一种药膏生产用灌装装置
CN219406963U (zh) 一种粉末罐装结构
CN213254270U (zh) 一种挤料装置及染发剂配色装置
KR0181656B1 (ko) 냉각음료 공급장치
CN213254271U (zh) 一种挤料装置及染发剂配色装置
CN211593140U (zh) 袋装机
CN117980672A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