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0801A - 세정을 포함하는 동작 시퀀스를 수행할 수 있는 액체 전자사진 장치 - Google Patents

세정을 포함하는 동작 시퀀스를 수행할 수 있는 액체 전자사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0801A
KR20010100801A KR1020010010433A KR20010010433A KR20010100801A KR 20010100801 A KR20010100801 A KR 20010100801A KR 1020010010433 A KR1020010010433 A KR 1020010010433A KR 20010010433 A KR20010010433 A KR 20010010433A KR 20010100801 A KR20010100801 A KR 20010100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hoto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pressing roller
photoconductiv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8017B1 (ko
Inventor
니시까와히로시
Original Assignee
사까모도 마사모도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까모도 마사모도,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까모도 마사모도
Publication of KR20010100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single rotation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탠덤(tandem) 타입의 액체 전자 사진 장치의 인쇄 동작으로부터 대기 상태로의 시프트 진행 중에 대기 상태로 시프트하는 처리 장치의 세정을 포함하는 동작 시퀀스가 양호하게 행해진다. 처리 장치는, 광도전성 벨트(2) 상에 형성된 화상으로부터 잔여 액체 현상액의 이동(removal)을 수행하고 화상을 필름으로 형성하기 위한 압착 롤러를 구비하고, 압착 롤러(6) 상에 부착된 액체 현상액을 세정한 후에 화상 형성 동작이 종료될 때 상기 압착 롤러(6) 상에 남아 있는 액체 현상액의 상기 광도전성 벨트(2)로의 이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압착 롤러(6)가 상기 광도전성 벨트(2)로부터 틈(clearance)을 갖는 상태로부터 상기 광도전성 벨트(2)에 대해 압착되는 상태로 시프트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remove)되고, 상기 광도전성 벨트(2)의 진행 방향의 하류 측의 처리 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이동이 진행된다.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압착 롤러(6) 상에 남아 있는 액체 현상액의 상기 광도전성 벨트(2)로의 이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상기 압착 롤러(6)가 상기 광도전성 벨트(2)로부터 틈을 갖는 상태로부터 상기 광도전성 벨트(2)에 대해 압착되는 상태로 시프트하게 하기 위하여 후퇴(retract)되고, 상기 광도전성 벨트(2)의 진행 방향의 상류 측의 처리 장치의 압착 롤러로부터 상기 광도전성 벨트(2)로 이동된 액체 현상액의 먼지가 상기 하류 측의 처리 장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하류 측의 처리 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후퇴가 진행된다.

Description

세정을 포함하는 동작 시퀀스를 수행할 수 있는 액체 전자 사진 장치{LIQUID ELECTROPHOTOGRAPHIC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OPERATIONAL SEQUENCE INCLUDING CLEANING}
본 발명은 액체 전자 사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린터,팩시밀리, 복사기 등의 화상 출력 및 액체 현상 시스템의 복수 세트의 처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색 화상 형성을 수행하는 액체 전자 사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전자 사진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등의 화상을 출력하기 위한 전자 사진 장치에 몇몇 종류의 시스템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고품질의 풀컬러 화상을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액체 현상 시스템의 복수 세트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탠덤 타입(tandem type)이라 불리는 액체 전자 사진 장치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시스템의 전자 사진 장치는 벨트형 또는 드럼형의 광도전체의 표면을대전하고 레이저 조사를 소망 화상을 기록함으로써 잠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자 사진 장치는 처리 장치 내의 액체 현상액에 의해 상기 잠상을 현상한다. 통상, 4 세트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4색 현상에 의해 풀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현상 직후 광도전체 상의 화상에 남아 있는 잔여 액체 현상액을 이동시키고 필름으로의 변환을 수행하기 위해 처리 장치 내에 압착 롤러가 제공되어 광도전체에 압착된다. 전자 사진 장치가 화상 형성 동작을 완료한 후 대기 상태로 시프트할 때 압착 롤러는 세정된다. 세정 후에 여전히 남아 있는 잔여 액체 현상액은 광도전체로 이동되고 장치 내의 세정 기구에 의해 세정된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 탠덤 타입 액체 전자 사진 장치의 경우에는, 장치가 대기 상태로 시프트할 때, 처리 장치 내에 배치된 압착 롤러 상의 잔여 액체 현상액의 처리와 관련하여 제1 처리 장치로부터 광도전체로 먼지를 이동시키는 처리 중에 먼지가 통과하는 동안에는 제2 처리 장치가 상승하는 (광도전체의 압착) 타이밍이 중지된다.
본 시퀀스의 경우에는, 제3 및 제4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처리 장치들에서 통과 시간에 의해 야기되는 손실이 일어나고 모든 처리 장치들의 대기 상태로의 시프트 시간의 문제가 야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 동작으로부터 대기 상태로의 시프트 진행 중에 처리 장치의 대기 상태까지 세정을 포함하는 동작 시퀀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액체 전자 사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전자 사진 장치는 복수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광도전체 상의 잠상을 액체 처리함으로써 다색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액체 전자 사진 장치인데, 상기 처리 장치들 각각은 상기 광도전체에 액체 현상액을 공급하기 위한 현상 롤러 및 상기 광도전체 상에 형성된 화상으로부터 잔여 액체 현상액의 이동(removal)을 수행하고 화상을 필름으로 형성하기 위한 압착 롤러를 구비한다. 액체 전자 사진 장치는, 상기 압착 롤러 상에 부착된 액체 현상액을 세정한 후에 화상 형성 동작이 종료될 때 상기 압착 롤러 상에 남아 있는 액체 현상액의 상기 광도전체로의 이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압착 롤러가 상기 광도전체로부터 틈(clearance)을 갖는 상태로부터 상기 광도전체에 대해 압착되는 상태로 시프트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가 이동(remove)되고 상기 광도전체의 진행 방향의 하류 측의 처리 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이동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장치는 상기 압착 롤러 상에 남아 있는 액체 현상액의 상기 광도전체로의 이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상기 압착 롤러가 상기 광도전체로부터 틈을 갖는 상태로부터 상기 광도전체에 대해 압착되는 상태로 시프트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가 후퇴(retract)되고 상기 광도전체의 진행 방향의 하류 측의 처리 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후퇴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장치는, 상기 광도전체의 진행 방향의 하류 측의 처리 장치가, 압착 롤러로부터 상기 진행 방향의 상류 측의 처리 장치의 광도전체로 이동된 액체 현상액의 먼지가 상기 하류 측의 처리 장치에 도달하기 전에, 후퇴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장치는, 상기 압착 롤러에 부착된 액체 현상액을 닦아내기 위한 압착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장치는, 화상 형성 동작이 종료될 때 상기 압착 롤러에 부착된 액체 현상액을 세정하기 위하여 상기 압착 롤러의 상기 광도전체에 대한 압력이 화상 형성 동작 중의 압력 아래로 저감되고 상기 압착 롤러는 상기 광도전체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장치는, 상기 압착 롤러가 상기 압착 블레이드에 대해 틈을 가진 이후, 상기 압착 블레이드는 상기 압착 롤러와 접촉하고 상기 압착 블레이드와 상기 압착 롤러의 접촉 및 상기 압착 롤러의 회전이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장치는, 상기 광도전체 내에 화상 형성에 이용할 수 없는 비화상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비화상 영역에서 상기 광도전체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상기 압착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세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장치는, 상기 압착 롤러에 부착된 액체 현상액을 닦아내기 위한 압착 세정 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장치는, 상기 압착 세정 롤러에 부착된 액체 현상액을 닦아내기 위한 세정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장치는, 상기 현상 롤러, 상기 압착 롤러 및 상기 압착 세정 롤러에 전압을 인가하되, 상기 압착 롤러의 전압은 상기 화상 형성 동작 중에는 상기 현상 롤러보다 높게 설정되고, 상기 압착 롤러의 전압은 상기 화상 형성동작 종료 시에 상기 압착 롤러에 부착된 액체 현상액이 세정될 때는 상기 현상 롤러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의 (a) 내지 (d)는 제1 실시예의 대기 상태로 처리 장치를 시프트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광도전 벨트 상의 비화상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예의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1 실시예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2 실시예의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의 (a) 내지 (d)는 제2 실시예의 대기 상태로 처리 장치를 시프트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2 실시예의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제1 실시예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광도전성 벨트
30, 32, 34, 36 : 제1 내지 제4 레이져
31, 33, 35, 37 : 제1 내지 제4 처리 장치
38 : 건식 롤러
40 : 전사 롤러
41 : 고정 롤러
42 : 메인 충전기
43∼46 : 제1 내지 제4 보조 충전기
47 : 페이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보다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전체 소자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 실시예는 칼라 레이저 프린터의 일예이다.
제1 레이저(30), 제2 레이저(32), 제3 레이저(34) 및 제4 레이저(36)는 660 내지 720 nm의 파장인 잠상을 형성하는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는 광원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반도체 레이저 대신에 적용가능하다. 제1 프로세싱 소자(31), 제2 프로세싱 소자(33), 제3 프로세싱 소자(35), 및 제4 프로세싱 소자(37)는 이하에 설명될 각각 노랑, 자홍, 청록 및 검정의 색을 현상한다.
광도전성 벨트(2)는 수지 필름 상의 감광층에 표면의 도전성을 제공하고 감광층을 보호하기 위한 라미네이팅 장벽층와 현상액을 만들기 위한 릴리즈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광도전성 벨트(2)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거품제(foaming agent)가 도포된 직경 20 내지 50 mm의 금속 원통을 포함하는 건식 롤러(38)는 실리콘이 도포된 탄성 표면을 갖는 원통형이고 표면 온도는 50 내지 100 도 사이로 설정된다. 건식 롤러(38)는 광도전성 벨트(2)에 대하여 3 내지 6 mm 사이의 소폭으로 압착되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도전성 벨트(2)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건식 롤러(38)는 4개 색으로 현상된 화상에 포함된 잔여의 전기 절연액을 건조하여 90 내지 98 %까지 고체 재료비를 올리기위하여 제공된다.
레젠(regen) 롤러(39)는 직경 10 내지 30 mm 이고 건식 롤러(38)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한다. 열원을 제공하는 레젠 롤러(39)는 광도전성 벨트(2)에 대하여 1 내지 3 사이의 소폭으로 압착되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식 롤러(38)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표면 온도는 건식 롤러(38) 보다 10 내지 20 도 만큼 높게 설정된다. 레젠 롤러(39)는 잔여의 전기 절연액을 흡수한 건식 롤러(38)의 표면을 건조하고 건식 롤러(38)가 팽창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제공된다.
직경 20 내지 50 mm의 원통을 포함하는 전사 롤러(40)는 고무 재료에 의해 도포되어 탄성을 제공한다. 열원을 제공하는 전사 롤러(40)는 표면 온도가 50 내지 100 도로 설정되고 광도전성 벨트(2)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전사 롤러(40)는 광도전성 벨트(2)에 대하여 3 내지 6 mm의 소폭으로 압착됨으로써 광도전성 벨트(2)로부터 화상을 전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고정 롤러(41)는 종이 위에 전사 롤러(40)로 전사된 화상을 고정하는 목적으로 제공된다. 금속을 포함하는 원통형을 갖는 고정 롤러(41)는 내부에 열원을 제공하고 표면 온도가 전사 롤러(40) 보다 10 내지 40 도 높게 설정된다. 고정 롤러(41)는 전사 롤러(40)에 대하여 3 내지 6 mm의 소폭으로 압착되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 롤러(40)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메인 충전기(42)는 스코트론(scotron), 크로트론(crotron)과 같은 충전기와 벨트, 롤러, 브러쉬 등을 사용하여 광도전성 벨트(2)를 충전하고 표면 전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제1 보조 충전기(43), 제2 보조 충전기(44), 제3 보조 충전기(45) 및 제4 보조 충전기(46)는 스코트론, 크로트론와 같은 충전기와 벨트, 롤러, 브러쉬 등을 사용하여 현상을 완료한 후 압착된 광도전성 벨트(2) 상에 표면 전위를 재충전하고 다음 현상에 대하여 충분한 표면 전위를 보장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다음, 프로세싱 소자의 구성이 설명된다. 제1 내지 제4 프로세싱 소자 모두가 유사한 구성이다. 도 2는 프로세싱 소자의 모델 도면이다. 프린팅 동작에서 내부에 압착 블레이드를 설치하는 일종의 프러세싱 소자의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현상액 공급 부재(1)가 현상액을 현상 롤러(3)으로 공급한다. 현상액은 전기 절연액에서 염료 및 수지의 적어도 두 재료를 포함하는 대전된 입자의 토너(이하 토너라함)를 분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토너는 본 발명에서 양으로 대전된다.
현상 롤러(3)는 알루미늄, SUS(stainless)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원통형의 롤러이다. 잠상을 갖는 광도전성 벨트(2)에 대하여 현상을 실행하기 위하여 현상 롤러(3)는 나타내지 않은 구동 시스템에 의해 광 전도성 벨트(2)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광도전성 벨트(2)와 현상 롤러(3)의 사이에 0.15 mm의 갭을 갖는 현상 영역으로 현상액 공급 부재(1) 밖으로 배출된 현상액을 운반한다. 현상에 대한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광도전성 벨트(2) 상의 노광 전위에 대하여 300 내지 500 V의 전위차를 제공하는 전압이 현상 롤러(3)에 인가된다.
백업 롤러(4)는 반대 롤러로서 작용하여 광도전성 벨트(2)와 현상 롤러(3) 사이의 현상 갭이 변함없이 유지된다.
백업 롤러(5)는 반대 롤러로서 작용하여 압착 롤러(6)가 광도전성 벨트(2)에 대하여 압착된다.
고무 재료를 포함하는 탄성체가 도포된 알루미늄, SUS(stainless) 등의 원통형 샤프트를 포함하는 압착 롤러(6)는 스프링 재료에 의해 광도전성 벨트(2)에 대하여 나타내지 않은 지지 부재의 양단을 누르고 20 내지 30 kg의 적합한 압력에 의해 광도전성 벨트(2)에 대하여 압착된다. 압착 롤러(6)는 현상 후 즉시 화상으로부터 잔여의 현상액을 제거하고 광도전성 벨트(2)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필름 내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방향 전류 전압이 압착 롤러(6)에 인가되고 50 내지 200 V의 높은 전압이 프린팅 동작 동안 현상 롤러(3)에 인가된 전압에 대하여 설정된다.
현상액 공급 개구(8)가 프로세싱 소자에 제공된 주입구이고 현상액이 나타내지 않은 현상액 저장고로부터 파이프를 거쳐 공급된다. 현상액 공급 개구(8)루부터 공급된 현상액이 잉크 저장소(11)에 채워지고 현상액 공급 부재(1)를 경유하여 현상 롤러(3)에 공급된다.
탄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세정 블레이드(10)가 단부에 의해 현상 롤러(3)에 대하여 압착되고 현상 후 즉시 현상 롤러(3)의 표면 상에 부착된 현상액이 씻겨진다.
세정 블레이드(10)에 의해 버려진 현상액이 세정 롤러(9)에 의해 씻겨진다. 세정 롤러(9)는 스폰지 고무, 브러쉬 등과 같은 거친 재료를 포함하는 원통형 롤러이고 현상 롤러(3)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세정 블레이드(10)에 부착된 현상액을 세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세정 롤러(9)는 1 내지 1.5 mm 갚이의 세정 블레이드에 대하여 적용되도록 배치된다.
POM(polyacetal), 우레탄(urethane) 등을 포함하는 잉크 저장소(11) 내부에 세정 롤러(9) 및 세정 블레이드(10)가 설치되고 현상 동작 동안 현상액으로 채워진 구성을 갖는다. 상기 세정 블레이드(10)에 의해 버려지고 세정 롤러(9)에 의해 세정된 현상액이 잉크 저장소(11)의 내부를 채우는 현상액과 혼합되고 잉크 저장소(11)에서 나타내지 않은 구동 시스템에 의해 현상 롤러(3)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세정 롤러(9)에 의해 휘저어진다. 이후, 현상액을 잉크 저장소(11)에 흘리고 현상액 방출구(12)를 거쳐 나타내지 않은 현상액 저장소로 재이송된다.
고무 재료 등과 같은 탄성체를 포함하는 압착 블레이드(13)가 프린트 동작 동안 압착 롤러(6)로부터 떨어져 머무른다. 그리고 일단 프로세싱 소자가 도 3에 도시된 중간 단계 위치로 이동하면, 압착 블레이드(13)가 단부에서 압착 롤러(6)와 접촉하고 표면 상에 부착된 현상액을 제거하여 압착 롤러(6)를 세정한다.
프로세싱 소자의 모든 부재는 현상 유닛(7) 내에 설비된다. 다음, 동작이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대기 상태로 이동하는 소자의 프로세스 동작이 이하에 설명된다.
광도전성 벨트(2)가 화전하여 메인 충전기(42)의 일부에 도달할 때, 광도전성 벨트(2)의 표면이 표면 전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메인 충전기(42)에 의해 양으로 대전된다. 그리고, 광도전성 벨트(2)가 제1 레이저(30)에 도달할 때, 잠상이 광도전성 벨트(2)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잠상부의 전위가 낮아진다.
잠상을 얻은 후,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광도전성 벨트(2)가 현상 프로세스를 통해 제1 프로세싱 소자(31)에서 현상 동작을 완료하고, 잔여의 현상액을 제거하고, 화상을 필름으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광도전체의 표면은 제1 보조 충전기(43)에 의해 확실하게 재충전되고 그 표면 전위가 보장된다. 보조 충전없이 연속적으로 현상하는 경우에는, 암흑 감쇄 특성으로 인해 표면 전위가 더 낮게 억제되고 텍스쳐 오염과 같은 문제는 제2 처리 장치(33)와 다음 처리 장치에 발생된다.
제2 처리 장치(33)와 다음 처리 장치에서의 화상 형성 및 현상 동작은 전술된 제1 처리 장치(31)의 경우와 유사하다.
제4 처리 장치(37)를 통과함으로써 4색 현상을 종료한 후, 화상은 광도전성 벨트(2)의 회전에 의해 건식 롤러(38)로 전송된다. 액체 현상액내의 나머지 전기 절연 액체는 건식 롤러(38)의 열과 압력에 의해 건조되고 고체 물질의 비율은 광도전성 벨트(2)상의 화상의 90 내지 98 퍼센트까지 상승된다. 이후, 광도전성 벨트(2) 상의 화상은 전사 롤러(40)에 의해 광도전성 벨트(2)로부터 분리되고 전사 롤러(40)에 옮겨진다. 전사 롤러(40)가 회전하는 동안 고정 롤러(41)에 화상이 도달할 때, 페이퍼(47)는 도시되지 않은 페이퍼 저장소로부터 옮겨지고 전사 롤러(40)와 고정 롤러(41)의 닙(nip)들 사이에 급송된다. 다음으로, 고정 롤러(41)는 화상을 전사 롤러(40)로부터 분리시켜서 그 화상을 페이퍼(47) 상에 고정시킨다.
인쇄 동작이 종료될 때, 각각의 처리 장치는 전술된 시퀀스에 따라 대기 상태로 이동한다.
그 때 광도전성 벨트(2) 상에 생긴 먼지는 건식 롤러(38)에 의해 건조되고, 전사 롤러(40)로 제거되며, 도시되지 않은 세정 소자에 의해 복구된다. 복구가 종료된 후, 건식 롤러(38)와 전사 롤러(40)는 광도전성 벨트(2)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고, 메인 충전기(42)는 스위치 오프되고 광도전성 벨트(2)는 소정 위치에 멈춘다.
다음으로, 대기 상태로 이동하는 처리 장치의 동작이 기술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상이 기록되지 않는 비화상 영역(51)은 광도전성 벨트(2)에 미리 결정되고 처리 장치의 대기 상태 이전의 세정 동작은 상기 영역에서 수행된다.
비화상 영역이 설정되지 않는 경우에,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영역의 광도전체의 표면은 손상을 입을 수 있고 광도전성 벨트(2)에 대해 압착 롤러(6)의 마찰 회전에 의해 화질이 손실될 수 있다.
도 3은 대기 상태로 시프트되는 처리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난 비화상 영역(51)이 처리 장치에 도달하기 전에, 처리 장치에 현상액의 공급은 중지된다. 비화상 영역(51)이 처리 장치에 도달할 때, 처리 장치는 도 2의 현상 상태로부터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간 단계 위치로 시프트된다. 처리 장치가 중간 단계 위치로 시프트될 때, 압착 롤러(6)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시스템을 사용하여 광도전성 벨트(2)의 순회 방향에 대해 역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본 동작은 압착 롤러(6)의 상향측에 축적된 현상 용액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압착 롤러(6)는 중간 단계 위치로 시프트하는데, 이는 압착 롤러(6)가 광도전성 벨트(2)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상태에 있을 때, 압착 롤러(6)는 광도전성 벨트(2)에 대해 10 내지 30 kg의 높은 압력에서 압착되기 때문에 압착 롤러(6)는 토크가 증가하고 도시되지 않은 구동 시스템과 광도전성 벨트(2)에 과부하가 걸리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압착 롤러(6)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중간 단계 위치로 시프트하여 5 내지 10kg으로 감소한다.
그리고 압착 블레이드(13)는 동시에 역회전하기 시작하는 압착 롤러(6)와 접촉하고 상부에 부착된 토너를 스크랩(scrap)하여 압착 롤러(6)의 표면을 세정한다.
처리 장치가 중간 단계 위치로부터 시프트된 이후의 소정 시간 후에, 현상 롤러(3)와 보조 충전기에 인가된 전압의 공급은 중지된다.
그리고 광도전성 벨트(2)와 압착 롤러(6) 사이에 축적된 현상 용액의 세정을 종료한 후, 처리 장치는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 단계 위치로 시프트한다. 하위 단계 위치에서, 압착 블레이드(13)는 압착 롤러(6)가 회전하는 동안 이 롤러와 접촉하고 있다. 현상 롤러(3)의 회전은 중지된다.
압착 블레이드(13)에 의해 충분하게 압착 롤러(6)의 세정을 완료하고, 압착 롤러(6)의 구동을 중지하고, 압착 롤러(6)로부터 압착 블레이드(13)를 분리하며, 처리 장치를 상단 위치(현상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단계에 의해, 압착 롤러(6)는 광도전성 벨트(2)와 접촉하고, 처리 장치는 도 3c의 상태로 시프트하게 된다. 압착 롤러(6)는 상단 위치에서의 구동을 제공하지 않고도 광도전성 벨트(2)의 순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단 위치에서 압착 롤러(6)에 부착되는 토너를제거하며 광도전성 벨트(2)에 완벽하게 스크랩되지 않는다.
상단 위치에서 세정될 압착 롤러(6)의 표면에 대해 적절한 간격을 유지한 후, 처리 장치는 중간 단계 위치에서 세정 동작없이 하단 위치로 이동하고 도 3d에 나타난 상태로 시프트한다. 그리고 하단 위치로 시프트한 후, 압착 롤러(6)에 인가된 전압은 중지된다.
최종적으로, 처리 장치의 한 세트에 대한 세정 동작이 종료하게 된다. 처리 장치의 전술된 세정 처리는 광도전성 벨트(2)의 순회 방향에 대해 처리 장치의 상향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각 동작 시퀀스의 모델이 되는 도면은 도 6에 나타나 있다. 본 시퀀스는 광도전성 벨트(2)의 순회 속도가 76.2 mm/sec이고, 각 처리 장치간의 거리가 97mm이며, 광도전성 벨트(2)의 순회 방향에 대한 비화상 영역(51)의 길이가 50.8mm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비화상 영역(51)이 제1 처리 장치(31)에 도달할 때, 도 3a에 나타난 세정 동작이 시작된다. 비화상 영역(51)의 통과 시간으로부터 상단으로부터 중간 단계를 거쳐 하단으로 시프트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차감한 시간은 전술된 중간 단계 위치에서 압착 롤러(6)의 상향측과 광도전성 벨트(6) 사이에 생성된 현상 용액의 축적을 세정하기 위한 시간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대략 666 msec의 시간이 시프트 시간을 포함하는 세정을 완료하는데 필요하다. 압착 롤러(6)의 압력과 회전수는 전술된 시간의 길이 이내에서 세정을 완료하기 위한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현상 용액의 공급을 중지하기 위한 타이밍은 현상 용액을 압착 롤러(6)에 충분히 공급하는 것과 공급을 중지하는 것 사이의 적절한 시간 포인트에 설정된다.
도 3a에 나타난 제2 처리 장치의 세정 동작의 시작은 1273 msec 이후에 설정되며, 이 시간은 제1 처리 장치(31)의 동작의 시작으로부터 97 mm의 처리 장치를 관통하는 광도전성 벨트(2)에 요구되는 시간이다.
한 영역과 동일한 비화상 영역(51)에서의 세정 동작에 의한 컬러의 혼합은 도 3b에 나타난 상태에서 수행된 세정 동작이 광도전성 벨트(2)로부터 현상액을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처럼 큰 관심을 기울일 필요는 없다. 그리고 처리 장치가 시프트되는 동안 세정 동작이 수행된다고 할지라도, 컬러 혼합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문제는 없다.
제2 처리 장치(33)의 세정 동작은 제1 처리 장치(31)에서와 같이 광도전성 벨트(2)의 세정을 완료하는데 대략 666 msec의 동일한 시간 길이를 필요로 한다. 전술된 세정 시간이내에서 제4 처리 장치(37)에 도달할 때까지 유사한 동작이 반복된다.
도 3a에 나타난 제4 처리 장치(37)에 대한 모든 세정 상태를 완료하고 도 3b에 나타난 하단으로 세정 상태를 시프트한 후, 처리 장치는 하단에서 적절한 세정 시간을 확보한 후 다시 도 3c에 나타난 상태로 상승 및 시프트된다.
도 3c에 나타난 상태에서, 구동없이 회전하는 압착 롤러(6)는 광도전성 벨트(2)에 어떠한 손상도 입히지 않기 때문에, 상승 위치에 관련하여 비화상 영역 또는 화상 영역의 지정이 없다. 재차 위치에 대한 상승을 시작하기 위한 타이밍은하단에서 충분히 압착 롤러(6)의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적절한 시간을 확보한 후 결정된다.
재상승의 경우에, 상승 동작은 제4 처리 장치(37)로부터 제1 처리 장치(33)로 순차적으로 시작된다. 상승을 시작하는 제3 처리 장치(35)에 대한 타이밍은 제4 처리 장치(37)의 압착 롤러(6)상의 먼지가 광도전성 벨트(2)에 완벽하게 제거된 후, 즉 하단으로 시프트되기 대략 1273 msec 전에 결정된다.
상술된 타이밍은 압착 롤러(6) 상의 먼지가 제4 처리 장치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정된다. 제3 처리 장치(35)가 상승하여, 제3 처리 장치(35)의 압착 롤러(6)상의 먼지가 광도전성 벨트(2)로 제거된 후, 광도전성 벨트(2) 상의 먼지가 제2 처리 장치(37)의 압착 롤러(6)에 도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1273㎳의 시간 주기가 요구된다. 따라서, 제4 처리 장치(37)는 제3 처리 장치(35)의 먼지가 도달하기 전에 낮은 단계로 시프트 하는 것을 완료하여, 제3 처리 장치(35) 보다 나중의 처리 장치에서 상술된 조건을 만족하는 재-상승 및 재-하강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단 위치에서 압착 롤러(6) 및 하단 위치에서 대기 상태로의 시프트를 완료함으로써 대기 상태에서 시프트된 모든 처리 장치를 세정한 후, 압착 롤러(6)에 인가된 전압이 동시에 중지한다. 중지하는 시간은 하나의 시간이거나 또는 대기 상태를 시프트 함으로써 각 컬러마다 상이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모든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서의 처리 장치의 모델 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의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이한 점은, 압착 세정 롤러(14)가 압착 블레이드 대신 인스톨된다는 점이다(도 2의 13). 이하, 제1 실시예에서와 상이한 부분이 설명된다.
압착 세정 롤러(14)는 실린더 형태로서 SUS(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고, 압착 롤러(6)에 대하여 0.15㎜의 갭을 갖도록 배치된다. 세정 롤러(9)는 1 내지 2㎜의 맞물린 갭을 갖는 현상 롤러(3) 및 압착 세정 롤러(14) 모두에 대하여 프레스 된다. 직류 전압이 압착 세정 롤러(14)에 인가되고, 압착 롤러(6)에 인가된 전압보다 300 내지 1200V 낮게 설정된다.
탄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한 제2 세정 블레이드(15)가 압착 세정 롤러(14)에 대하여 그 단부에 의하여 프레스되고, 표면에 부착된 토너 성분을 문지름으로써 세정한 후 압착 롤러를 세정한다.
다음, 동작이 설명된다. 도 8은 대기 상태로 시프트되는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처리 장치가 프린팅 동작으로부터 대기 상태로 시프트될 때, 프린팅 위치(상단 위치)에서 세정 동작이 수행되어,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인스톨형 압착 블레이드의 처리 장치에 비해 중간 단계 위치가 없다.
프린팅 동작을 완료한 후, 처리 장치는 도 8a의 상태를 갖고, 현상자를 공급하는 것이 중단된다. 압착 롤러(6)에 현상자를 공급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중단되는 시간 주기 이후, 압착 롤러에 인가된 전압은 프린팅 동작 동안 현상자 롤러(3)에 인가된 전압에 비해 50 내지 200V 높게 설정된 전압을, 현상자 롤러(3)에 인가된 전압에 비해 50 내지 1000V 낮게 설정된 전압으로 스위치 한다. 이는 압착 롤러(6)의 상류측 상에 축적된 현상자에서 토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압착 롤러(6) 방향으로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이다.
또한, 압착 롤러(6)의 인가 전압을 스위칭하기 위한 타이밍과 동시에, 압착 세정 롤러(14)의 인가 전압은, 압착 롤러(6)에 인가된 스위치된 전압 보다 300 내지 1200V 낮게 스위치 된다. 이는 압착 세정 롤러(14)를 세정함으로써, 압착 롤러(6)의 표면에 부착된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프로세스이다. 도 9는 토너가 압착 롤러(6)로부터 압착 세정 롤러(14)로 제거될 때의 상황을 설명하는 모델 다이어그램이다. 압착 세정 롤러(14)로 제거된 토너는 제2 세정 블레이드(15)에 의해 문질러져서, 도시되지 않은 현상자 기억 장치로 재-전송될 잉크 저장기(11)에서 다시 흔들어진다.
압착 롤러(6)의 상류측 상에 축적된 현상자에서의 토너 성분이 압착 롤러(6)측으로 제거되어, 현상자에서의 토너 성분이 충분히 저하될 때 처리 장치는 낮은 단계로 시프트된다. 낮은 토너 성분을 포함하는 전기 절연 용액이 광도전성 벨트(2) 상에 남아있어, 도 1에 도시된 건식 롤러(38)에 의해 다시 커버된다. 광도전성 벨트(2) 상에 여전히 남아있는 토너 성분은 전사 롤러(40)에 의해 전사되어, 도시되지 않은 세정제에 의해 전사 롤러(40)의 표면으로부터 다시 커버된다.
처리 장치가 하부 단계로 시프트된 후, 압착 롤러(6) 및 압착 세정 롤러(14) 모두에 인가된 전압의 공급이 중단된다. 제2 세정 블레이드(15)에 의해 압착 세정 롤러(14)의 표면으로부터 먼지를 문지르는데 필요한 시간 주기 이후, 압착 세정 롤러(14)의 회전 및 각 롤러에 인가된 전압이 중단된다.
상술된 바는 대기 상태에서 단일 유닛의 처리 장치의 시프팅 동작을 설명한 것이다.
다음, 각각의 처리 장치의 동작 순서가 설명된다. 도 10은 대기 상태로 시프트하기 위한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현상 용액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중단되나, 동작을 스위칭 상태에서 세정 상태로 스위칭 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현상자의 공급을 완전히 중단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동일한 경우 각각의 처리 장치에 의해 공급을 중단할 수도 있다.
현상액의 공급이 중단되는 임의의 시간 주기 이후에, 각각의 처리 장치에서 압착 롤러(6)에 인가된 전압은 압착 세정 롤러(14)에 인가된 전압으로 스위치 된다.
상술된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이 동시에 스위치될 때, 전압은 각각의 처리 장치에 의해 동시에 스위치될 수 있다.
세정 종료 이후에, 처리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단계 위치(도 8b의 상태)로 제거된다. 처리 장치의 시프팅 시간도 동시에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제4 처리 장치의 위치로부터 제1 처리 장치(31)의 위치를 경유한 하부 단계 위치로의 처리 장치의 시프트도 또한 수용 가능하다. 처리 장치를 하부 단계로 시프트하는 조건은, 하부 단계로의 시프트의 대상인 처리 장치가 시프트를 시작한 이래로, 광도전성 벨트(2)의 이동 방향의 하류측 상의 처리 장치가 1273㎳ 내에 하부 단계로의 시프트를 완료하는 것이다.
압착 롤러(6) 및 압착 세정 롤러(14) 모두로의 인가 전압의 공급이 하부 단계에서 중지되고 압착 롤러(14)의 표면이 임의의 시간 주기의 회전에 의해 세정된 이후, 회전이 중지된다.
회전을 중지한 이후, 압착 롤러(6) 상의 잔여 먼지를 광도전성 벨트(2)로 제거하기 위한 동작은 처리 장치를 다시 상승시킴으로써 시작된다. 상술된 동작의 순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인스톨형 압착 블레이드의 처리 장치의 순서와 유사하다.
인스톨형 압착 세정 롤러(14)의 처리 장치의 동작 순서는 상술된 바와 같다. 따라서, 압착 롤러(6)의 역회전이 제2 실시예에서는 수행되지 않으므로, 비화상(non-image) 영역(도 4의 51)을 설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효과는 각각의 처리 장치에서의 세정 시간이 제4 처리 장치로부터 시작하는 처리 장치를 상승시킴으로써 상류측으로부터 생성되거나 제거된 먼지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설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제2 효과는, 처리 장치가 광도전성 벨트로부터 분리될 때, 하류측 상의 처리 장치에 속하는 광도전성 벨트 상의 잔여 먼지를 방지하여 하류측 상의 제4 처리 장치로부터 처리 장치를 수축함으로써 컬러 및 재료값을 변화시킨다는 점이다.
제3 효과는, 압착 롤러의 표면상의 먼지를 광도전성 벨트로 제거하여 세정이 수행될 때, 광도전성 벨트의 이동 방향의 상류측 방향에서 제4 처리 장치로부터 제1 처리 장치로 처리 장치를 순차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제4 처리 장치의 동작시제3 처리 장치의 동작이 시작될 수 있을 때, 4 세트의 처리 장치가 시간의 손실 없이 대기 상태로부터 효과적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길이의 간격에서 인쇄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평균 인쇄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다.

Claims (9)

  1. 복수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광도전체 상의 잠상을 액체 처리함으로써 다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액체 전자 사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처리 장치들 각각은,
    상기 광도전체에 액체 현상액을 공급하기 위한 현상 롤러, 및
    상기 광도전체 상에 형성된 화상으로부터 잔여 액체 현상액의 이동(removal)을 수행하고 상기 화상을 필름으로 형성하기 위한 압착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압착 롤러 상에 부착된 액체 현상액을 세정한 후에 화상 형성 동작이 종료될 때 상기 압착 롤러 상에 남아 있는 액체 현상액의 상기 광도전체로의 이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압착 롤러가 상기 광도전체로부터 틈을 갖는 상태로부터 상기 광도전체에 대해 압착되는 상태로 시프트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가 이동(remove)되고 상기 광도전체의 진행 방향의 하류 측의 처리 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이동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전자 사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롤러 상에 남아 있는 액체 현상액의 상기 광도전체로의 이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상기 압착 롤러가 상기 광도전체로부터 틈을 갖는 상태로부터 상기 광도전체에 대해 압착되는 상태로 시프트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가 후퇴(retract)되고 상기 광도전체의 진행 방향의 하류 측의 처리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후퇴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전자 사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전체의 진행 방향의 하류 측의 처리 장치는, 압착 롤러로부터 상기 진행 방향의 상류 측의 처리 장치의 광도전체로 이동된 액체 현상액의 먼지가 상기 하류 측의 처리 장치에 도달하기 전에,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전자 사진 장치.
  4. 제1항,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롤러에 부착된 액체 현상액을 닦아내기 위한 압착 블레이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전자 사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이 종료될 때 상기 압착 롤러에 부착된 액체 현상액을 세정하기 위하여 상기 압착 롤러의 상기 광도전체에 대한 압력이 화상 형성 동작 중의 압력 아래로 저감되고 상기 압착 롤러는 상기 광도전체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압착 롤러가 상기 압착 블레이드에 대해 틈을 가진 이후, 상기 압착 블레이드는 상기 압착 롤러와 접촉하고 상기 압착 블레이드와 상기 압착 롤러의 접촉 및 상기 압착 롤러의 회전이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전자 사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전체 내에 화상 형성에 이용할 수 없는 비화상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비화상 영역에서 상기 광도전체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상기 압착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세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전자 사진 장치.
  7. 제1항,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롤러에 부착된 액체 현상액을 닦아내기 위한 압착 세정 롤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전자 사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세정 롤러에 부착된 액체 현상액을 닦아내기 위한 세정 블레이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전자 사진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 상기 압착 롤러 및 상기 압착 세정 롤러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압착 롤러의 전압은 상기 화상 형성 동작 중에는 상기 현상 롤러보다 높게 설정되고, 상기 압착 롤러의 전압은 상기 화상 형성 동작 종료 시에 상기 압착 롤러에 부착된 액체 현상액이 세정될 때는 상기 현상 롤러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전자 사진 장치.
KR10-2001-0010433A 2000-02-28 2001-02-28 세정을 포함하는 동작 시퀀스를 수행할 수 있는 액체 전자사진 장치 KR100398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0633A JP3365391B2 (ja) 2000-02-28 2000-02-28 液体電子写真装置
JP2000-050633 2000-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801A true KR20010100801A (ko) 2001-11-14
KR100398017B1 KR100398017B1 (ko) 2003-09-19

Family

ID=1857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433A KR100398017B1 (ko) 2000-02-28 2001-02-28 세정을 포함하는 동작 시퀀스를 수행할 수 있는 액체 전자사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12907B2 (ko)
JP (1) JP3365391B2 (ko)
KR (1) KR100398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0073B2 (en) * 2001-01-23 2003-10-28 Ricoh Company, Ltd. Liquid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liquid developing device
US6738592B2 (en) * 2001-07-06 2004-05-1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developing liquid
EP1420306A4 (en) * 2001-08-21 2009-11-25 Pfu Ltd ELECTROPHOTOGRAPHIC DEVICE WITH LIQUID DEVELOPER
US6868246B2 (en) * 2001-11-20 2005-03-15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liquid coating device, develop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ing device
US7058341B2 (en) * 2003-12-31 2006-06-06 Samsung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ostatic transfer type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ing a continuous photoreceptor web as a photoreceptor medium
JP2006047793A (ja) 2004-08-06 2006-02-16 Toshiba Corp 湿式画像形成装置及び液体現像剤クリーナ
US7437104B2 (en) * 2005-01-07 2008-10-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eloper cleaning
JP4816881B2 (ja) * 2005-07-06 2011-1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WO2010144076A1 (en) * 2009-06-08 2010-12-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eloper unit and method thereof
JP6164251B2 (ja) * 2015-06-02 2017-07-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用紙加湿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10353320B2 (en) 2015-08-19 2019-07-16 Hp Indigo B.V. Controlling ink developer voltages
US10684571B2 (en) 2015-08-19 2020-06-16 Hp Indigo B.V. Wet null voltages
JP6686548B2 (ja) * 2016-03-07 2020-04-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清掃方法
EP3449319B1 (en) * 2016-04-28 2021-03-17 Hp Indigo B.V. Developer unit drying
CN110402419B (zh) * 2017-03-13 2022-10-11 惠普印迪戈股份公司 打印流体显影器组件
US11474465B2 (en) * 2019-10-11 2022-10-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developing device that develop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024A (ko) * 1999-01-18 2000-08-16 윤종용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스퀴즈 롤러 크리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12907B2 (en) 2003-01-28
KR100398017B1 (ko) 2003-09-19
JP2001242716A (ja) 2001-09-07
US20010026713A1 (en) 2001-10-04
JP3365391B2 (ja)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8017B1 (ko) 세정을 포함하는 동작 시퀀스를 수행할 수 있는 액체 전자사진 장치
EP15749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n image transfer device
JP3037264B2 (ja) 湿式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1320250B (zh) 显影剂收集/充电装置、图像形成设备和清洁方法
JP412615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310194A (ja) 画像形成装置
US20110262170A1 (en) Clea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6316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유닛
JP2001154493A (ja) 液体現像器
JP3202010B2 (ja) 湿式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の現像液クリーニング方法
JPH0511968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5038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7495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93999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49985B1 (ko) 전사벨트 크리닝장치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3592891B2 (ja) 液体画像形成装置
US20030123914A1 (en)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338733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JP202211241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14597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77664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
JP200633773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86365A (ja) 電子写真装置および電子写真装置の制御方法
JP200800334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9954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