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473A - 생강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강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473A
KR20010099473A KR1020010061418A KR20010061418A KR20010099473A KR 20010099473 A KR20010099473 A KR 20010099473A KR 1020010061418 A KR1020010061418 A KR 1020010061418A KR 20010061418 A KR20010061418 A KR 20010061418A KR 20010099473 A KR20010099473 A KR 20010099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er
tea
cut
pieces
bo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숙
Original Assignee
이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숙 filed Critical 이영숙
Priority to KR1020010061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9473A/ko
Publication of KR20010099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4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 생강을 사용하여 끓이지 않고 끓인 물에 타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강차제조방법을 새로이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껍질을 벗기고 세척한 생강을 토막을 낸 후 분리커터를 갖는 롤러에 통과시켜 이를 으깸과 동시에 절단 분리시켜서 생강편을 제조하는 단계와, 생강편을 저속회전 커터로 분쇄하여 1-4mm 내외의 크기를 갖는 생강 알갱이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한 생강알갱이를 설탕과 혼합하여 숙성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차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자연 그대로의 생강의 향과 맛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어 인스턴트 류의 생강차에 비해 선호도가 매우 높고, 생강 자체를 끓이지 않고 끓인 물을 부어 음용할 수 있음으로서 음용이 매우 편리하고,비타민류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음용 후 남은 건더기를 그대로 씹어 먹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생강차의 제조방법{Ginger Tea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생강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 생강을 사용하여 끓이지 않고 끓인 물에 타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강차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강은 수분과 무기질(Ca,Fe) 및 비타민(A,B1,B2,C,NiaciN)을 많이 함유하고 있고, 진저롤(Zingerol),진저론(Gingerone),쇼가올(Shogaol)에 의한 신미성분에 의해 특유의 향기와 매운맛을 내어 향신료로 주로 사용하며, 독을 억제하고 원기를 늘이며 속을 덮게 하는 한방작용에 의해 한방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감기에도 좋은 효과를 발휘하여 생강차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알려진 생강차의 제조방법은 인스턴트식품으로서 생강차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생 생강을 가공 처리하는 방법과 건조한 생강을 가공 처리하는 방법이 있으며, 생 생강을 그대로 이용하는 방법으로 민간에서 주로 이용하는 저민 생강을 설탕에재어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인스턴트 식품형태의 생강차 제조방법은 특허공고 89-4576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습식분쇄한 생강을 효소반응탱크에 넣어 가용성 덱스트린이하 단위로 분해 착즙하고 이를 역삼투압 농축장치에서 농축하여 부형제와 혼합한 후 냉동 건조시키는 방법과 특허공고92-4881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생강을 슬라이스로 절단 한 후 건조하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 한 후 생강분말과 주정을 혼합하여 추출된 여액을 진공 농축시켜 부형재와 혼합 건조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한 각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생강차는 인스턴트형태의 차로서 음용의 편의성은 있으나 생강자체의 독특한 맛과 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인스턴트 식품에 익숙하지 못한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을 꺼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민간에서는 불편을 감수하면서 생강을 얇게 저민 후 설탕에 재어 필요시마다 물에 끓여 먹는 방법이 널리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민간에서 이용되는 상기한 방법은 생강차의 독특한 향과 맛을 즐길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설탕에 잰 생강을 충분히 끓여야 만 생강의 맛과 향이 우러나오기 때문에 음용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그 과정에서 유용한 비타민 류가 손실되어 파괴되는 단점이 있고,생강 건더기는 섬유질 때문에 씹어 먹을 수 없어 그대로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생강에 인위적인 첨가물이나 인위적인 공정을 가하지 않고 생강의 맛과 향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생강 자체를 끓이지 않고 끓인 물을 부어 음용할 수 잇도록 하여 음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며 비타민류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며, 음용 후 남은 건더기를 그대로 먹을 수 잇도록 하는 생강차의 제조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롤러의 실시례도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껍질을 벗기고 세척한 생강을 토막을 낸 후 분리커터를 갖는 롤러에 통과시켜 이를 으깸과 동시에 10-20mm내외의 크기로 절단 분리시켜서 두께 2-4mm내외의 생강편을 제조하는 단계와, 생강편을 저속회전 커터로 분쇄하여 1-4mm 내외의 크기를 갖는 생강 알갱이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한 생강알갱이를 체적 비로 1:1 내외의 범위로 설탕과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설탕과 혼합된 생강을 4-10℃의 온도로 20일 내외의 기간동안 숙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생강차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생강차는 1-4mm내외의 팥알 크기의 알갱이를 포함하며, 상기 알갱이는 롤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으깨어지고 저속 커터에 의해 작은 크기로 분리되어 내부의 섬유조직이 단절되고 절단된 상태로 알갱이의 형태를 성상을 갖게 되며, 설탕과 혼합된 상태로 숙성되어 내부의 일부 유효성분이 설탕과 함께 용해되어 음용시 끓인 물에 타서 먹더라도 생강의 독특한 향과 맛이 우러나오며, 차를 마신 후 남은 알갱이는 거부감 없이 씹어 먹을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각 단계별로 상세한 실시례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①생강편제조단계
본 발명에서 생강편은 생 생강을 롤러에 통과시켜 1-4mm 내외의 두께와 10-20mm내외의 넓이를 갖는 얇은 생강 조각으로 정의된다.
생강편을 얻기 위하여 표피를 제거하여 세척한 생강을 10-20mm내외의 길이로 토막내고, 이를 분리커터를 갖는 롤러에 통과시킴으로서 얻어 진다.
적합한 형태의 롤러는 도1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롤러(1)는 좌우 2개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분리커터(2)가 형성되며, 분리커터는 10-20mm 범위의 변길이를 갖는 격자형태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분리커터의 돌출부는 롤러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1-2mm내외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좌우 롤러의 분리커터가 서로 접하도록 상하 롤러의 유격을 조절하여 토막낸 생강(3)을 호퍼에 넣고 통과시키면 생강이 으깨어지면서 내부의 섬유조직이 절단되고, 그 상태에서 가로 세로의 길이가 10-20mm 범위이고, 두께가 1-4mm 범위인 생강편(4)이 제조된다.
②알갱이제조단계
알갱이는 1-4mm 내외의 둥글거나 혹은 각진 형태의 생강 조각으로 정의된다.
상기한 알갱이는 생강편을 다시 여러 조각으로 분리함으로서 얻어지며, 생강편을 100rpm 내외의 저속 믹서기에 넣고 교반시켜 줌으로서 얻을 수 있다.
저속회전에 의한 교반은 생강조각이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함으로서 씹어먹을 수 있도록 하고, 알갱이에 의해 생강특유의 향과, 매운 맛, 화한 맛 및 톡 쏘는맛을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완전 분쇄 방법과 다음과 같이 비교된다.
즉, 생강을 믹서로 완전히 갈 경우에는 생강조직이 완전 분쇄되어 휘발성분인 향과 매운 맛, 화한 맛 및 톡 쏘는 맛이 유지되지 않고, 물에 타서 마실 때 섬유질등의 성분이 물에 용해되어 텁텁한 맛을 내게 되나 본 발명과 같이 알갱이 형태로 유지시킴으로서 생강특유의 향이 휘발되어 소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생강 특유의 매운 맛, 화한 맛 및 톡 쏘는 맛이 보다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음용시 물에 녹는 추출물과 알갱이가 분리되어 깨끗한 맛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③혼합단계
혼합단계는 설탕과 생강알갱이를 혼합하는 과정으로 체적 비로 대략 1:1범위로 혼합함으로서 생강의 변색,부폐가 방지되고 보존성이 양호해지며, 생강특유의 향과 맛을 유지시킬 수 있고, 생강차에 적절한 단맛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④숙성단계
숙성은 생강알갱이에 포함된 기포 등을 배출시키고 생강의 유효성분이 설탕에 용해되도록 하며, 유통중 급격한 온도변화에 의한 변색이나 변질을 예방하기 위한 단계로 4-10℃의 온도에서 대략 20일간 유지시킴으로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생강차와 전통적으로 민간에서 이용되는 생강차제조방법(즉, 생강을 얇게 썰어 설탕에 재어 만드는 방법)과 비교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종래 방법은 생강차를 포트에 넣고 충분히 끓여 생강추출물을 우려내야 생강차의 맛을 내나 본 발명에 의한 생강차는 물에 접하는 면적이 넓고 내부섬유조직이 으깨는 과정에서 분리됨으로 끓인 물에 넣고 저어 주더라도 유효성분이 우러나와 생강차의 맛을 내기 때문에 음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둘째, 종래 방법에 의한 생강차는 끓여 낸 건더기는 섬유질 만 남아 있고 끓이는 과정에서 생강특유의 맛과 향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씹어 먹기 곤란하여 음식쓰레기로 버려지나 본 발명에 의한 생강차는 끓이지 않아도 생강의 독특한 맛과 향이 우러나오고 알갱이는 그대로 유지되며, 내부의 섬유질이 으깨는 과정에서 절단되기 때문에 부담 없이 씹어 먹을 수 있게 된다.
셋째, 종래 방법에 의한 생강차는 끓이는 과정에서 유용한 비타민 류가 열에 의해 쉽게 파괴되어 소멸하나 본 발명에 의한 생강차는 끓이지 않고 끓인 물에 타서 음용함으로 대부분의 비타민이 그대로 보존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최상의 실시례로서 설명된 것으로 생강편 및 알갱이를 단일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으며, 생강알갱이의 크기나 설탕과의 혼합비 및 숙성방법등에 있어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자연 그대로의 생강의 향과 맛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어 인스턴트 류의 생강차에 비해 선호도가 매우 높고, 생강 자체를 끓이지 않고 끓인 물을 부어 음용할 수 있음으로서 음용이 매우 편리하고,비타민류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음용 후 남은 건더기를 그대로 씹어 먹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껍질을 벗기고 세척한 생강을 토막을 낸 후 분리커터를 갖는 롤러에 통과시켜 이를 으깸과 동시에 절단 분리시켜서 생강편을 제조하는 단계와, 생강편을 저속회전 커터로 분쇄하여 1-4mm 내외의 크기를 갖는 생강 알갱이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한 생강알갱이를 설탕과 혼합하여 숙성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차 제조방법.
KR1020010061418A 2001-10-05 2001-10-05 생강차의 제조방법 KR20010099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418A KR20010099473A (ko) 2001-10-05 2001-10-05 생강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418A KR20010099473A (ko) 2001-10-05 2001-10-05 생강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473A true KR20010099473A (ko) 2001-11-09

Family

ID=1971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418A KR20010099473A (ko) 2001-10-05 2001-10-05 생강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947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640A (ko) 2015-02-25 2016-09-02 이영숙 생강 절단장치
KR20160103639A (ko) 2015-02-25 2016-09-02 이영숙 생강 절단장치
KR20160129601A (ko) * 2015-04-30 2016-11-09 황인숙 생강차 제조방법
KR101836006B1 (ko) * 2016-11-28 2018-04-19 박은희 생강을 주원료로 하는 과립생강의 제조방법
KR20230045130A (ko) 2021-09-28 2023-04-04 박연섭 생강차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640A (ko) 2015-02-25 2016-09-02 이영숙 생강 절단장치
KR20160103639A (ko) 2015-02-25 2016-09-02 이영숙 생강 절단장치
KR20160129601A (ko) * 2015-04-30 2016-11-09 황인숙 생강차 제조방법
KR101836006B1 (ko) * 2016-11-28 2018-04-19 박은희 생강을 주원료로 하는 과립생강의 제조방법
KR20230045130A (ko) 2021-09-28 2023-04-04 박연섭 생강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60702A (zh) 一种脱苦白果制备白果咀嚼片和泡腾片的方法
JP6576248B2 (ja) 結晶質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99473A (ko) 생강차의 제조방법
JP2002084977A (ja) 羊羹及び羊羹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羊羹を用いた菓子
KR20160071630A (ko) 떫은맛이 나지 않는 아로니아액, 아로니아시럽 및 아로니아잼의 제조방법
CN104054883A (zh) 一种拔丝红枣绿豆饼及其制备方法
CN104068338A (zh) 一种拔丝海带紫米饼及其制备方法
CN104068326A (zh) 一种冬粉薯橄榄面条及其制备方法
US6849289B2 (en) Effervescent caramel product
WO2022117833A1 (en) Ground dried coffee flowers as food ingredient
JP2003334041A (ja) ニガウリジュース粉末の製造方法
JP2005204586A (ja) シークワーサー入りゴーヤー茶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86441A (ja) ケールの加工方法
KR19990046277A (ko) 단감을주성분으로하는고추장의제조방법및이방법에의해제조된단감고추장
JPS6185178A (ja) 人参甘酒の製造方法
KR20100009289A (ko) 한약재 함유 건강 증진용 젤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된 젤리
KR20190059346A (ko) 고농축 생강즙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생강즙을 이용한 생강분말의 제조방법
KR102588562B1 (ko) 건강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2883889B2 (ja) 健康飲料用ヨモギ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78911A (ko) 도라지가 함유된 조청 및 그 제조방법
JPS6322146A (ja) カカオエキスの製造法
KR100497125B1 (ko) 죽엽 매작과의 제조방법
KR20220096321A (ko) 고수 또는 생강을 이용한 샤베트의 제조방법
KR20040019139A (ko) 인삼을 이용한 갓물김치의 제조방법
CN105076314A (zh) 一种降血脂板栗酥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