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639A - 생강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생강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639A
KR20160103639A KR1020150026187A KR20150026187A KR20160103639A KR 20160103639 A KR20160103639 A KR 20160103639A KR 1020150026187 A KR1020150026187 A KR 1020150026187A KR 20150026187 A KR20150026187 A KR 20150026187A KR 20160103639 A KR20160103639 A KR 20160103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er
hopper
crushing
cutt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0352B1 (ko
Inventor
이영숙
Original Assignee
이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숙 filed Critical 이영숙
Priority to KR1020150026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35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강차의 제조를 위하여 생강을 절단하고 분쇄하기 위한 생강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생강 재료의 투입이 이루어져 하부에 마련된 배출구(101)에 생강 재료를 1차적으로 분쇄하게 되는 제1분쇄부(110)(120)가 구비되는 호퍼(100)와; 상단에 상기 호퍼(100)가 조립되며, 한 쌍의 롤러(211)(212)가 마련되어 상기 제1분쇄부(110)(120)에서 분쇄된 생강 재료가 상기 롤러(211)(212) 사이에서 2차 분쇄가 이루어지는 제2분쇄부(210)가 구비되는 프레임(200)과; 상기 제2분쇄부(210)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1분쇄부(110)(120)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전달부재(217)와; 상기 프레임(200)에 구비되어 상기 제2분쇄부(210)를 회전 구동하게 되는 구동원(21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생강 절단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crushing ginger}
본 발명은 생강차의 제조를 위하여 생강을 절단하기 위한 생강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강은 수분과 무기질(Ca, Fe) 및 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고, 진저롤(Zingerol), 진저론(Gingerone), 쇼가올(Shogaol)에 의한 신미성분에 의해 특유의 향기와 매운맛을 내어 향신료로 주로 사용하며, 또한 한방에서는 뿌리줄기 말린 것을 약재로 사용하여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가래의 치료에 효과가 있어서 끓는 물에 달여서 차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알려진 생강차의 제조방법은 인스턴트식품으로서 생강차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생 생강을 가공 처리하는 방법과 건조한 생강을 가공 처리하는 방법이 있으며, 생 생강을 그대로 이용하는 방법으로 민간에서 주로 이용하는 저민 생강을 설탕에 재어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인스턴트 식품형태의 생강차 제조방법으로는 특허공고 제89-004576호(공고일자: 1989.11.1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습식 분쇄한 생강을 효소반응탱크에 넣어 가용성 덱스트린이하 단위로 분해 착즙하고 이를 역삼투압 농축장치에서 농축하여 부형제와 혼합한 후 냉동 건조시키는 방법과, 특허공고 특1992-0004881호(1992.06.22)에 제시된 바와 같은 생강을 슬라이스로 절단 한 후 건조하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 한 후 생강분말과 주정을 혼합하여 추출된 여액을 진공 농축시켜 부형재와 혼합 건조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한 각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생강차는 인스턴트형태의 차로서 음용의 편의성은 있으나 생강자체의 독특한 맛과 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인스턴트 식품에 익숙하지 못한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을 꺼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민간에서는 불편을 감수하면서 생강을 얇게 저민 후 설탕에 재어 필요시마다 물에 끓여 먹는 방법이 널리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민간에서 이용되는 상기한 방법은 생강차의 독특한 향과 맛을 즐길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설탕에 잰 생강을 충분히 끓여야만 생강의 맛과 향이 우러나오기 때문에 음용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그 과정에서 유용한 비타민 류가 손실되어 파괴되는 단점이 있고, 생강 건더기는 섬유질 때문에 씹어 먹을 수 없어 그대로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공개특허공보 특2001-0099473호(공개일자: 2001.11.09)에서 생 생강을 사용하여 끓이지 않고 끓인 물에 타서 음용할 수 있는 생강차제조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허공고 제89-004576호(공고일자: 1989.11.16)
특허공고 특1992-0004881호(1992.06.22)
공개특허공보 특2001-0099473(공개일자: 2001.11.09)
본 발명은 생강을 가공하여 생강차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중에 생강을 효율적으로 절단하여 분쇄할 수 있는 생강 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강을 절단하게 되는 절단공구의 정비성을 개선할 수 있는 생강 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절단장치는, 생강 재료의 투입이 이루어져 하부에 마련된 배출구에 생강 재료를 1차적으로 분쇄하게 되는 제1분쇄부가 구비되는 호퍼와; 상단에 상기 호퍼가 조립되며, 한 쌍의 롤러가 마련되어 상기 제1분쇄부에서 분쇄된 생강 재료가 상기 롤러 사이에서 2차 분쇄가 이루어지는 제2분쇄부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제2분쇄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1분쇄부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전달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2분쇄부를 회전 구동하게 되는 구동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분쇄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호퍼 배출구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커터부와; 상기 고정커터부와 나란하게 마련되어 호퍼 배출구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커터부;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터부는, 호퍼 배출 선단과 면접촉되어 제1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커터홀더와; 상기 커터홀더 일측에 면접촉되어 제2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길이 방향으로 칼날이 형성된 커터;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터홀더는, 바 타입으로써 호퍼의 사면(slope)과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제1접합면(S1)과; 상기 제1접합면(S1)과 일정한 경사를 갖고 접하여 호퍼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제2접합면(S2)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동커터부는, 상기 호퍼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축과; 나선형 단면을 갖고 상기 회동축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삭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분쇄부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제1분쇄부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함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외접하여 치결합을 이루는 피동기어와; 상기 구동롤러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피동기어에 의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는 피동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절단장치는, 호퍼 하부에 마련되는 고정커터부와 회동커터부에 의해 생강 재료를 1차 분쇄하고 한 쌍의 롤러에 의해 다시 생강 재료를 2차 분쇄함으로써, 생강 재료를 효과적으로 미립 알갱이로 분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절단장치는, 1차 분쇄가 이루어지는 호퍼와, 2차 분쇄가 이루어지는 프레임이 쉽게 분해가 가능하고 또한 호퍼에 구비되어 1차 분쇄가 이루어지는 고정커터부의 커터 교체 및 유지 관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절단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절단장치에 있어서, 호퍼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선의 단면도,
도 5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절단장치에 있어서, 고정커터부의 사시도 및 단면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절단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절단장치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생강 절단장치는, 생강 재료의 투입이 이루어져 하부에 마련된 배출구에 생강 재료를 1차적으로 분쇄하게 되는 제1분쇄부(110)(120)가 구비되는 호퍼(100)와; 상단에 호퍼(100)가 조립되며, 한 쌍의 롤러(211)(212)가 마련되어 제1분쇄부(110)(120)에서 분쇄된 생강 재료가 롤러(211)(212) 사이에서 2차 분쇄가 이루어지는 제2분쇄부(210)가 구비되는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호퍼(100)는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깔대기 모양의 용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역각뿔 형상을 갖는다. 특히 호퍼(100)의 배출구에는 1차적으로 생강 재료를 분쇄하기 위한 제1분쇄부(110)(120)가 마련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절단장치에 있어서, 호퍼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호퍼(100)는 역각뿔형으로써, 하단에 배출구(101)를 형성하는 배출덕트(102)가 마련되어 1차 분쇄된 생강 재료는 제2분쇄부로 공급된다. 배출덕트(102) 바깥으로는 다수의 고정판(103)이 마련되어 호퍼(100)는 고정판(103)에 지지되어 프레임(200)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호퍼(100)는 프레임(200)에서 쉽게 분리가 가능하여 정비성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호퍼(100)는 하단 배출구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커터부(110)와, 고정커터부(110)와 나란하게 마련되어 호퍼 배출구(101)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커터부(1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커터부(110)는 제1체결부재에 의해 호퍼 배출 선단과 면접촉되어 고정되며, 이때 제1체결부재는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5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절단장치에 있어서, 고정커터부의 사시도 및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고정커터부(110)는 호퍼의 배출 선단과 면접촉되어 제1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커터홀더(111)와, 커터홀더(111) 일측에 면접촉되어 제2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길이 방향으로 칼날(112a)이 형성된 커터(112)를 포함한다.
커터홀더(111)는 바(bar) 타입으로써 제1체결공(111a)이 형성되어 제1체결공(111a)을 관통하는 볼트 또는 나사에 의해 호퍼의 배출 선단과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호퍼의 사면(slope)과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제1접합면(S1)과, 제1접합면(S1)과 일정한 경사를 갖고 배출덕트(102)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제2접합면(S2)을 갖는다.
제1접합면(S1)과 제2접합면(S2)은 서로 일정한 각도(θ)를 갖고 접하게 되며, 따라서 커터홀더(111)는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제1접합면(S1)과 제2접합면(S2)에 의해 호퍼와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바깥면인 제2접합면(S3)은 제1접합면(S1)과 함께 호퍼의 사면과 같은 경사를 가지며, 커터(112)가 단차 없이 제2제결부재에 의해 조립되고 커터(112)의 하측 선단으로 면에 수직하게 칼날(112b)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커터(112)는 제2체결공(112b)이 형성되어 커터홀더(111)와 볼트 또는 나사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정커터부(110)는 호퍼(100)에서 쉽게 분해가 가능하며, 또한 커터홀더(111)와 커터(112)가 나사식으로 조립되어 커터(112)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쉽게 교환이 가능하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커터부(110)는 회동커터부(120)와 함께 생강 재료를 1차 분쇄한다.
바람직하게는, 회동커터부(120)는 회동축(121)과, 나선형 단면을 갖고 회동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삭날(122)을 포함한다.
회동커터부(120)는 모터 등의 구동원(미도시)과 직접 또는 간접 연결되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고정커터부(110)의 칼날(112b)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져 고정커터부(110)의 칼날(112b)과 회동커터부(120)의 절삭날(122) 사이에서 생강 재료의 절삭 분쇄가 이루어진다.
한편 회동커터부(120)의 상단으로 수평하게 플레이트(104)가 마련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104)는 호퍼(100)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104)는 호퍼(100) 내에 투입된 생강 재료가 고정커터부(110)의 칼날(112b)과 회동커터부(120)의 절삭날(122) 사이로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프레임(200)은 상단에 호퍼(100)가 조립되며, 호퍼(100)의 하단으로 한 쌍의 롤러(211)(212)로 이루어진 제2분쇄부(210)가 구비된다.
제2분쇄부(210)는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구동롤러(211)와 피동롤러(212)로 구성되며, 구동롤러(211)는 구동모터(213)와 벨트(214)로 연결되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진다.
도 1에서 피동롤러(212) 표면에는 생강 재료를 효과적으로 분쇄하기 위한 일정한 패턴의 요철(212a)이 형성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구동롤러의 표면에도 일정 패턴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요철 패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생강 재료를 효과적으로 분쇄 가능한 범위 내에서 나선형 커터날과 같은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구동롤러(211)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215)가 구비되며, 피동롤러(212)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215)와 외접하여 치결합하게 되는 피동기어(216)가 구비된다.
구동모터(213)에 구동력은 벨트(214)를 의해 구동롤러(211)로 전달되어 구동롤러(211)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며, 또한 구동롤러(211)의 회전 구동력은 구동기어(215)와 피동기어(216)를 통하여 피동롤러(212)를 회전 구동하게 되며, 따라서 1차 분쇄되어 구동롤러(211)와 피동롤러(212) 사이로 투입되는 생강 재료는 두 롤러 사이에서 다시 분쇄되면서 생강 알갱이로 가공이 이루어진다.
제2분쇄부(210) 하단에는 분쇄된 생강 재료를 바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플레이트(20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롤러(211)와 회동커터부(120)는 벨트(217)로 연결되어 회동커터부(120)의 회전 구동력이 제공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제1분쇄부(110)(120)와 제2분쇄부(210)를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전체 장치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구동력전달부재로써 벨트를 예시하고 있으나, 주지의 체인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호퍼 110 : 고정커터부
111 : 커터홀더 112 : 커터
112a : 칼날 120 : 회동커터부
200 : 프레임 210 : 제2분쇄부
211 : 구동롤러 212 : 피동롤러
213 : 구동모터 214, 217 : 벨트
215 : 구동기어 216 : 피동기어

Claims (6)

  1. 생강 재료의 투입이 이루어져 하부에 마련된 배출구에 생강 재료를 1차적으로 분쇄하게 되는 제1분쇄부가 구비되는 호퍼와;
    상단에 상기 호퍼가 조립되며, 한 쌍의 롤러가 마련되어 상기 제1분쇄부에서 분쇄된 생강 재료가 상기 롤러 사이에서 2차 분쇄가 이루어지는 제2분쇄부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제2분쇄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1분쇄부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전달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2분쇄부를 회전 구동하게 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생강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쇄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호퍼 배출구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커터부와;
    상기 고정커터부와 나란하게 마련되어 호퍼 배출구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커터부;를 포함하는 생강 절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터부는,
    호퍼 배출 선단과 면접촉되어 제1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커터홀더와;
    상기 커터홀더 일측에 면접촉되어 제2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길이 방향으로 칼날이 형성된 커터;를 포함하는 생강 절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홀더는,
    바 타입으로써 호퍼의 사면(slope)과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제1접합면(S1)과;
    상기 제1접합면(S1)과 일정한 경사를 갖고 접하여 호퍼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제2접합면(S2)을 포함하는 생강 절삭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커터부는,
    상기 호퍼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축과;
    나선형 단면을 갖고 상기 회동축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삭날;을 포함하는 생강 절삭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쇄부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제1분쇄부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함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외접하여 치결합을 이루는 피동기어와;
    상기 구동롤러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피동기어에 의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는 피동롤러;를 포함하는 생강 절삭장치.
KR1020150026187A 2015-02-25 2015-02-25 생강 절단장치 KR101710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187A KR101710352B1 (ko) 2015-02-25 2015-02-25 생강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187A KR101710352B1 (ko) 2015-02-25 2015-02-25 생강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639A true KR20160103639A (ko) 2016-09-02
KR101710352B1 KR101710352B1 (ko) 2017-02-27

Family

ID=5694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187A KR101710352B1 (ko) 2015-02-25 2015-02-25 생강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3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8761A (zh) * 2018-10-29 2019-01-22 南京欧嘉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冰冻块状水产饲料快速粉碎机
CN116060167A (zh) * 2023-01-04 2023-05-05 浙江圣华药业有限公司 一种中药材粉碎混合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8740A (zh) * 2019-12-25 2020-05-19 盐城顶益食品有限公司 一种植脂奶油生产用原料粉碎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576A (ko) 1987-08-12 1989-04-22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클럭신호 발생시스템
KR200219303Y1 (ko) * 2000-11-11 2001-04-02 김몽필 고추 분쇄기
KR20010099473A (ko) 2001-10-05 2001-11-09 이영숙 생강차의 제조방법
KR200337892Y1 (ko) * 2003-09-30 2004-01-07 진정식 고추 분쇄기
KR200379509Y1 (ko) * 2004-12-22 2005-03-18 강두석 고추분쇄기
KR20080006634U (ko) * 2007-06-25 2008-12-31 류종복 칡 분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576A (ko) 1987-08-12 1989-04-22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클럭신호 발생시스템
KR200219303Y1 (ko) * 2000-11-11 2001-04-02 김몽필 고추 분쇄기
KR20010099473A (ko) 2001-10-05 2001-11-09 이영숙 생강차의 제조방법
KR200337892Y1 (ko) * 2003-09-30 2004-01-07 진정식 고추 분쇄기
KR200379509Y1 (ko) * 2004-12-22 2005-03-18 강두석 고추분쇄기
KR20080006634U (ko) * 2007-06-25 2008-12-31 류종복 칡 분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8761A (zh) * 2018-10-29 2019-01-22 南京欧嘉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冰冻块状水产饲料快速粉碎机
CN109248761B (zh) * 2018-10-29 2023-12-22 南京欧嘉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冰冻块状水产饲料快速粉碎机
CN116060167A (zh) * 2023-01-04 2023-05-05 浙江圣华药业有限公司 一种中药材粉碎混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352B1 (ko) 201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352B1 (ko) 생강 절단장치
KR101984392B1 (ko) 고추 분쇄장치
CN103639014A (zh) 一种石磨及石磨面粉加工工艺
CN204485948U (zh) 一种辣椒碾碎装置
CN110280357A (zh) 一种调味品原材料粉碎机
KR101710351B1 (ko) 생강 절단장치
CN213486794U (zh) 一种捣切一体的生姜打浆设备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CN104350894A (zh) 秸秆粉碎装置
KR101837528B1 (ko) 과일용 생즙 분쇄기
KR200462836Y1 (ko) 소형 블렌더
JP6472501B2 (ja) 砥石および磨砕装置
KR200370599Y1 (ko) 축산사료 분쇄 배합기
CN218796330U (zh) 一种生产超微枣粉的机械设备
KR200204228Y1 (ko) 고추 분쇄기
CN212524391U (zh) 一种梅菜加工粉碎设备
KR200255866Y1 (ko) 가축사료제조용 분쇄기
KR101915508B1 (ko) 착즙기
CN212035943U (zh) 一种用于制备软颗粒教槽料的低温调制器
KR100931716B1 (ko) 식품분쇄기용 커터
KR200216304Y1 (ko) 굴 껍질 분쇄기
KR200342456Y1 (ko) 분쇄기용 칼날
KR200391635Y1 (ko) 개량 분말 제조장치
KR20030063788A (ko)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의 개량된 분쇄 수단
KR200409549Y1 (ko) 고추분쇄기의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